KR101948733B1 -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 - Google Patents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733B1
KR101948733B1 KR1020180037238A KR20180037238A KR101948733B1 KR 101948733 B1 KR101948733 B1 KR 101948733B1 KR 1020180037238 A KR1020180037238 A KR 1020180037238A KR 20180037238 A KR20180037238 A KR 20180037238A KR 101948733 B1 KR101948733 B1 KR 10194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housing
filter unit
ho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미
이종찬
Original Assignee
박선미
이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미, 이종찬 filed Critical 박선미
Priority to KR102018003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궐련 형상의 상단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와 상면이 일치하게 결합하고, 2개 이상의 원판 형상의 필터가 설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원통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상기 필터부 하방의 상기 하우징의 공간에 적재되는 홍삼액을 포함하고, 상기 홍삼액은 고형분 함량 64% 이상의 홍삼 농축액과 고형분 함량 1.2% 이상의 홍삼 추출액이 6:4 내지 7:3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CIGARETTE TYPE GINSENG CONCENTRATION PACKAGING CONTAINER AND CIGARETTE TYPE GINSENG PRODUCT}
본 발명은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 증진을 위한 각종 기능성 식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대표적인 예로서 홍삼을 들 수 있는데, 다양한 유형으로 포장되어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홍삼은 수삼을 수세, 증자, 저장숙성, 건조, 정형 등의 방법으로 가공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면역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사포닌(saponin)계 활성성분이 다량 생성되어 혈당 및 혈압 강하, 혈전예방, 당뇨개선 등에 뛰어난 효능을 지니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소재이다. 인삼의 총생산량 중 15%가 홍삼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현재 홍삼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홍삼차, 홍삼엑기스, 분말, 캡슐, 드링크 등이 출시, 판매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26998호의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은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쓴맛이 매우 강하여 복용이 불편하거나 거부감을 가지기 쉬운 홍삼 및 인삼 엑기스의 쓴맛을 차단하여 소비자가 복용하기 편리하도록 상품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방산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 고분자물질,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이용한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38391호 "홍삼양갱 및 그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었는데, 이는 두류를 이용하여 가당조림한 앙금을 주원료로 하는 공지의 양갱에 홍삼농축액이 함유되어 있어 기호성 및 기능성이 강화된 홍삼양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발명은 두류를 이용하여 가당조림한 앙금을 주원료로 하는 공지의 양갱에 홍삼농축액이 전체중량 대비 3.0-4.0% 함유된 홍삼양갱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흡연은 기호품인 담배를 태울 때 발생되는 연기의 맛과 향을 즐기는 것인데, 이러한 담배는 심각한 중독성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흡연자들의 경우 금연을 마음먹고도 이를 쉽게 실천하거나 성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담배가 몸에 해로운 것은 니코틴보다는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연기에 포함된 여러가지 발암성 산화물질 때문인데, 담배연기를 흡입하면 이중 90%는 인체 밖으로 배출되나 나머지 10% 정도는 인체 내로 유입되어 체내에 축적되면서 암이나 기타 염증성 병변을 일으키게 원인이 되는 것이다. 금연을 보다 쉽게 성공하기 위해선 담배를 태우지 않고, 흡연자가 흡연 행위와 유사한 행위를 통해 이와 유사한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면 흡연자는 굳이 인체에 해로운 담배를 피우지 않게 될 것이며, 그만큼 금단증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용이해 금연 성공률 또한 무작정 시도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삼제품은 추출액 홍삼, 발효 홍삼, 겔 형태의 홍삼이 있고, 파우치 포장 또는 농축액 형태의 홍삼인 경우 용기에 담아 숟가락으로 떠서 물에 타먹도록 용기 포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홍삼제품은 포장 형태가 한정되어 있어, 홍삼 제품을 금연 보조제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 제20-0383059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113624호
본 발명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홍삼을 섭취하면서 금연을 성공시키기 위한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궐련 형상의 상단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 이상의 원판 형상의 필터가 설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원통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부의 2개 이상의 상기 필터는 중심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의 2개 이상의 상기 필터는 중심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을 가로질러 띠형상의 흡입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을 가로질러 ╂ 형상의 흡입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의 저면에 결합하는 빨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필터의 상기 통공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의 빨대가 상기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필터의 상기 통공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의 하단 아래의 상기 하우징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기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궐련 형상의 상단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와 상면이 일치하게 결합하고, 2개 이상의 원판 형상의 필터가 설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원통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상기 필터부 하방의 상기 하우징의 공간에 적재되는 홍삼액을 포함하고,
상기 홍삼액은 고형분 함량 64% 이상의 홍삼 농축액과 고형분 함량 1.2% 이상의 홍삼 추출액이 6:4 내지 7:3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한 개비 피는 것과 유사한 속도로 흡연과 유사한 흡입 행위로 홍삼 농축액을 섭취할 수 있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권련형 홍삼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싱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하우징과 필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은 도 2의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필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의 필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의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기공을 상세히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커버 분리용 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100)의 정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하우징(110)과 필터부(12)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100)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부에 결합하는 필터부(120)와 필터부(120) 저면에 결합하는 빨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궐련과 유사한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일반 궐련형의 경우 지름 8㎜, 길이 84㎜의 원통형 상으로, 슬림 궐련형의 경우 지름 5.2㎜, 길이 99㎜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등을 재질로 할 수 있고, 두께는 0.09 내지 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내면은 홍삼 농축액이 용기 내면에 묻지 않고 흡입되도록 연잎 효과를 발휘하는 발수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필터부(120)와 빨대(130)가 결합한다. 하우징(110)의 필터부(120)가 결합된 필터부(120) 하방 공간(111)에 홍삼액이 적재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필터부(120)를 설명하기로 한다. 필터부(120)는 외경이 하우징(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내경에 상응하는 사이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120)는 하우징(110) 전체 길이의 20%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이, 홍삼 농축액 적재 공간을 확보하기에 바람직하다. 필터부(120)는 일반형 슬림형 모두 19mm 길이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120)는 상단과 하단에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필터(121,122,123)가 설정 간격 이격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필터부(120)는 필터(121,122,123,124,125)가 5개까지 배치되고, 도 2, 3, 및 5의 실시예에서 필터부(120)는 필터가 3개 배치된다. 필터(121,122,123)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의 중심 영역에 원형 통공(121a,122a,123a)이 형성되고, 원형 통공(121a,122a,123a)을 가로질러 ╂형상의 흡입 조절부(121b,122b,123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통공(121121a,122a,123a)의 크기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하단 필터(123)의 통공의 내경은 3mm, 중간 필터(122)의 통공의 내경은 3.5mm, 상단 필터(121)의 통공의 내경은 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120)의 원통형 외주면(126)의 두께는 0.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조절부(121b,122b,123b)는 폭이 0.5mm로 형성되고, 흡입조절부(121b,122b,123b)의 ╂ 형상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설정 각도씩 엇갈리도록 필터(121,122,123)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흡입조절부(121b,122b,123b)의 ╂ 형상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45°씩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21,122,123)는 도 2와 같이 커버(140)와 만나는 상단부와 빨대(130)가 결합하는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단부는 별도의 필터 없이 빨대(130)와의 연결공만 형성되어 빨대(130)와 결합할 수 도 있다. 도 2 내지 5에서 흡입조절부는 ╂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띠형상, 빗금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표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20)의 하단부 아래의 하우징(110)에 홍삼액 흡입시 공기 흡입을 위한 기공(150)이 형성된다. 기공(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면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내부측 직경이 외면에 형성되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커버(140)를 하우징(110)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커버는 커버 분리용 씰(160)이 단부에 형성되어 커버 분리용 씰(160)을 제거하면 커버(140)를 하우징(1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커버(140)는 복용 전 홍삼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홍삼액은 흡입시 나오는 속도 조정을 위해 홍삼 추출액과 홍삼 농축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홍삼액은 고형분 함량 64% 이상의 홍삼 농축액과 고형분 함량 1.2% 이상의 홍삼 추출액이 6:4 내지 7:3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비로 제조되는 홍삼액을 적재하는 경우, 필터를 3개 내지 5개 포함하는 필터부(120)를 구비한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를 사용할 때 담배 한 개비 흡연 시 흡입하는 횟수와 유사한 횟수로 한 개의 제품을 복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에 홍삼 농축액을 적재하면, 상이한 크기의 통공과 흡입조절부를 포함하는 필터부가 하우징의 개구를 막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흡입하여도 한번에 홍삼 농축액이 빨리지 않고, 흡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7~8회에 나누어 빨 수 있어 담배 한 개비를 피는 것과 유사한 시간 동안 담배 흡입하는 것과 유사한 체험을 사용자가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담배 대용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110 : 하우징 120 : 필터부
130 : 빨대 140 : 커버
150 : 기공 160 : 커버분리용 씰

Claims (9)

  1.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이 폐쇄된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상기 상방을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서 상기 파이프 형상의 내측으로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형상의 내측 공간을 가로 막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필터가 설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판 형상의 필터는 각각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의 상기 통공에는 상기 통공을 가로질러 하나 이상의 띠 형상의 흡입조절부가 형성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2개 이상의 상기 필터는 중심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2개 이상의 상기 필터는 중심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띠 형상의 흡입 조절부 중 두개의 흡입조절부는 서로 수직으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저면에 결합하는 빨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필터의 상기 통공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의 빨대가 상기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필터의 상기 통공에 결합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하단 아래의 상기 하우징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기공을 추가로 포함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9. 상방이 개방되고 하방이 폐쇄된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상방을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방에서 상기 파이프 형상의 내측으로 결합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형상의 내측 공간을 가로 막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필터가 설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원통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원판 형상의 필터는 각각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을 가로질러 하나 이상의 띠 형상의 흡입 조절부가 형성되는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의 상기 필터부 하방의 상기 하우징의 공간에 적재되는 홍삼액을 포함하고,
    상기 홍삼액은,
    고형분 함량 64% 이상의 홍삼 농축액. 및 고형분 함량 1.2% 이상의 홍삼 추출액이 6:4 내지 7:3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궐련형 홍삼 제품.
KR1020180037238A 2018-03-30 2018-03-30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 KR10194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238A KR101948733B1 (ko) 2018-03-30 2018-03-30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238A KR101948733B1 (ko) 2018-03-30 2018-03-30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33B1 true KR101948733B1 (ko) 2019-02-15

Family

ID=6536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238A KR101948733B1 (ko) 2018-03-30 2018-03-30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30B1 (ko) * 2003-11-05 2004-05-04 김강용 젖병
KR200383059Y1 (ko) * 2004-10-13 2005-04-29 (주)이이제이 금연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30B1 (ko) * 2003-11-05 2004-05-04 김강용 젖병
KR200383059Y1 (ko) * 2004-10-13 2005-04-29 (주)이이제이 금연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0963A1 (en) Filtered cigarette incorporating a breakable capsule
RU2731143C2 (ru) Изделие для доставки ароматизатора
AU2007274728B2 (en) Smoking article with plate impactor
US7237558B2 (en) Filtered cigarette incorporating an adsorbent material
KR101804349B1 (ko) 삽입식 필터 유닛
KR101291472B1 (ko) 슬림형 담배
JP7235757B2 (ja) 喫煙品用フィルターまたはエアロゾル発生製品
RU2640712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KR101948733B1 (ko) 궐련형 홍삼 제품 포장 용기 및 궐련형 홍삼 제품
WO2021218811A1 (zh) 加热不燃烧烟支及其制备方法和加热不燃烧烟支系统
JPH02190178A (ja) 無煙たばこ
KR101595325B1 (ko) 담배를 피우는 듯한 효과를 갖는 담배대용품
JP2021531818A (ja) 相互接続された活性成分含有パウチ
CN106690413B (zh) 一种万向打孔球形滤棒香珠包裹装置及其制备的卷烟滤棒
WO2023089859A1 (ja) 香味吸引物品用材料、加熱型香味吸引物品、及び香味吸引物品用材料の製造方法
CN209449683U (zh) 一种用于巴甫洛夫条件反射戒烟方法的安慰烟
KR20180067369A (ko)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담배
KR200355103Y1 (ko) 분리형 담배 및 그 담배케이스
KR101775672B1 (ko) 담배 필터 기능 부가 장치
EP4213656A1 (en) Article with a refreshing liquid substance
KR20100003951U (ko) 궐련 흡연용 파이프
TW201544019A (zh) 附有過濾器之吸煙物品
CN108835708A (zh) 食用香艾草卷烟
JPS62198379A (ja) パイプ
JPS62198376A (ja) カプセルと煙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