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574B1 -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574B1
KR101948574B1 KR1020120025070A KR20120025070A KR101948574B1 KR 101948574 B1 KR101948574 B1 KR 101948574B1 KR 1020120025070 A KR1020120025070 A KR 1020120025070A KR 20120025070 A KR20120025070 A KR 20120025070A KR 101948574 B1 KR101948574 B1 KR 10194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collision
vessel
route
op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984A (ko
Inventor
최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574B1/ko
Priority to US13/601,435 priority patent/US8949015B2/en
Publication of KR2013010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3Specially adapted for sail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선을 기준으로 상대 선박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상대 선박과의 충돌 가능성 여부를 예측하고, 상대 선박과의 조우 관계를 고려하여 피항 항로를 산출함으로써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충돌방지 방법 및 장치는 기준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을 통해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대 선박의 정보를 토대로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단계, 충돌 예상 항로에 해당하는 충돌 가능성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단계, 각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하는 단계 및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각 선박의 운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OF VASSELS}
본 발명은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선을 기준으로 상대 선박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상대 선박과의 충돌 가능성 여부를 예측하고, 상대 선박과의 조우 관계를 고려하여 피항 항로를 산출함으로써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해양 사고 통계상으로 해마다 해양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해양사고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 유형 중 하나는 충돌 사고로써, 100톤 미만의 선박 관련 사고가 가장 많으며, 비어선과 어선간, 어선간의 충돌 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타 선박과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대선을 인지하고, 초단파무선전화(VHF) 등을 이용하여 상대선과 상호 확인 단계를 거쳐 지속적으로 상대선의 동태를 관찰하여 충돌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피항 동작을 실시하고 상대선도 피항 협력 동작을 적절히 취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충돌 사고가 잦은 어선 등의 소형 선박의 경우에는 대형 선박에 비해 타 선박을 인지하기 위한 인지 장치 예를 들어, 레이더, 자동식별장치(AIS) 등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소형 선박의 경우에는 인지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기능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소형 선박의 선원들이 레이더 플로팅 방법을 숙지하고 있지 않아서 레이더를 이용한 충돌 예측을 할 수 없거나, 전문적인 항해 기술이 부족하거나 항법 규정을 숙지하고 있지 않아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충돌 사고 당시 충돌 직전까지도 상대선박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상대 선박을 발견하더라도 육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잇는 거리가 주로 2마일에서 5마일 이내로, 충돌 몇 분전에 확인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래의 선박 충돌방지 방법은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자선 주변의 선박의 정보를 수집하고, 자선의 위치 및 속력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예측을 하여 충돌 경보를 한다. 또한, 종래의 선박 충돌방지 방법은 자선과 상대 선박과의 조우 관계에 따른 항법 규정에 대한 고려 없이, 자선이 취해야 할 충돌 방지 항로를 제공하거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자선의 조타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였다.
그러나, 선박간 충돌 사고는 양측의 협력 동작이 필요한 사항이며, 피항 협력에 있어서 항법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그러므로, 충돌 가능성이 있는 양측이 취해야 할 피항 동작은 양 선박이 어떤 상태에서 조우하는 지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여러 선박들이 항해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선박이 항해 항로를 변경하는 것이 다른 선박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변의 다른 선박들도 이를 알아야 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초단파무선전화를 이용하여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해상에서는 다국적 선박들이 항해를 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의사소통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박간의 충돌 방지 방법은 의사소통의 문제가 있으므로, 항해에 관한 정보와 피항 방법을 논의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혼잡한 항로에서는 여러 선박과의 조우시 초단파무선전화의 장애로 인하여 해당 주파수로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선을 기준으로 상대 선박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상대 선박과의 충돌 가능성 여부를 예측하고, 상대 선박과의 조우 관계를 고려하여 피항 항로를 산출함으로써,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방법은
선박 충돌방지 장치는 기준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토대로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돌 예상 항로에 해당하는 충돌 가능성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단계; 각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각 선박의 운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충돌이 예상되는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박에 상기 상대 선박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장치를 토대로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상기 선박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는 상기 상대 선박의 위치, 상기 상대 선박과의 거리, 상기 상대 선박의 속력, 상기 상대 선박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기준 선박이 피항 동작을 해야되는 피항선인지 침로와 속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유지선인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받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항로 변경을 승인받지 못한 경우, 상기 승인을 하지 않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이 피항선인지 유지선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이 피항선인지 유지선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피항 항로를 대체하는 대체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는
기준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 위치 정보 처리부;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토대로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 상기 충돌 예상 항로에 해당하는 충돌 가능성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피항 항로 계산부; 및 각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각 선박의 운항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는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충돌이 예상되는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추출하고,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정보 처리부는 상기 기준 선박에 상기 상대 선박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장치를 토대로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상기 선박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는 상기 상대 선박의 위치, 상기 상대 선박과의 거리, 상기 상대 선박의 속력, 상기 상대 선박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항 항로 계산부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기준 선박이 피항 동작을 해야되는 피항선인지 침로와 속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유지선인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받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항로 변경을 승인받지 못한 경우, 상기 피항 항로 계산부는 상기 승인을 하지 않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이 피항선인지 유지선인지를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피항 항로를 대체하는 대체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은 선박 내 전문적인 항해 장비 없이 충돌 가능성을 예측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은 막연히 상대 선박이 피해갈 것이라는 오판으로 선박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법 규정에 따라 각 선박의 역할에 따른 피항 협력 동작을 계획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선박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알림으로써, 선박간 충돌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를 적용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를 적용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육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해상에 위치하는 각 선박의 선원이 소유하는 모바일 단말(200)과 연동하여 해상에 위치하는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위치 정보 처리부(110),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120), 피항 항로 계산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처리부(110)는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에 접속중인 모바일 단말(200)의 지피에스(GPS)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대응하는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 위치 정보 처리부(110)는 기준 선박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자체적으로 획득한 선박들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충돌이 예상되는 지점 즉, 충돌 예상 지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충돌 예상 지점에서 설정 반경 내 위치하는 충돌 예상 선박을 검색한다. 여기서, 기준 선박은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상대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에 선박 충돌방지 서비스를 요청한 선박에 해당한다.
또한, 위치 정보 처리부(110)는 기준 선박이 충돌 예상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실제 측정되는 위치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피항 항로 계산부(130)로 전달한다.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120)는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대 선박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한다. 이때,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120)는 충돌 예상 항로를 토대로 기준 선박과 상대 선박간의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 즉, 충돌 가능성을 계산한다.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120)는 선박마다 설정된 피항 항로가 있는 경우, 충돌 예상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시간 경과에 따른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충돌 예상 항로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선박 간의 피항 항로를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피항 항로 계산부(130)는 충돌 예상 항로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해상교통안전법이나 국제해상충돌예상규칙에 따른 각 선박의 항법상의 지위를 토대로 1차 피항 항로를 산출한다. 또한, 피항 항로 계산부(130)는 선박간의 통신 두절, 1차 피항 항로의 승인 거부 등과 같은 여러가지 상황으로 인하여 1차 피항 항로에 따른 피항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기준 선박과 상대 선박의 크기, 속력 등의 선박 정보, 각 상황에 대응하는 해상교통안전법 또는 국제해상충돌예상규칙의 예외 상황 등을 토대로 2차 피항 항로를 산출한다.
제어부(140)는 각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피항 항로를 각각 제공하고,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및 충돌 예상 지점의 정보를 토대로 선박 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박을 관리한다.
다음, 선박 내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여 해상에 위치하는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해상에 위치하는 각 선박의 선원이 소유하는 모바일 단말(200)과 연동하여 해상에 위치하는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하나의 선박 즉, 기준 선박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상대 선박을 확인한 경우, 기준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200)을 토대로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S301). 구체적으로, 기준 선박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상대 선박을 확인한 경우, 기준 선박의 선원은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하여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에 접속한다. 그러면,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지피에스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 예를 들어, 위치 및 속도 등을 파악한다.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기준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기준 선박의 선원으로부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다(S302). 여기서, 상대 선박은 기준 선박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 선박에 해당한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준 선박에 상대 선박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장치 예를 들어, 레이더나 선박자동식별장치 등이 탑재된 경우,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는 식별 장치를 토대로 상대 선박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선박에 식별 장치가 탑재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상대 선박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 선박 정보는 상대 선박의 위치(상대 위치), 상대 선박과의 거리(상대선과의 거리), 상대선박의 속력(상대선의 속력), 상대선박의 크기(상대선의 크기) 등을 포함한다.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S301 단계에서 수집된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운항중인 상대 선박들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S303).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기준 선박에서 입력한 상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서버에서 수집된 상대 선박들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 것이 있는 경우, 이후 단계부터는 서버에 수집된 상대 선박의 위치 정보를 반영한다(S304).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대 선박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충돌이 예상되는 지점 즉, 충돌 예상 지점을 추출하고, 충돌 예상 지점을 이용하여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한다(S305). 이때,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충돌 예상 항로를 토대로 기준 선박과 상대 선박간의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 즉, 충돌 가능성을 계산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계산한 충돌 예상 항로를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 즉, 해도상에는 기준 선박(= 본선)과 상대 선박(= 상대선)의 항법규정상의 지위를 포함한다. 또한, 해도상에는 각 선박의 위치 및 운항 상황이 표시되며, 충돌 예상되는 위치 및 시간을 예측치로 나타낸다.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S305 단계에서 계산한 충돌 예상 항로에 대응하는 충돌 가능성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피항 항로를 산출한다(S306). 이때,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해상교통안전법이나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에 따라 기준 선박이 피항 동작을 해야 되는 피항선인지 침로와 속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유지선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피항 항로를 산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S305 단계에서 계산한 충돌 예상 항로에 대응하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항법상의 기준 선박(= 본선)의 역할 및 지위에 따라 피항이 요구되는 피항선일 경우,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피항 협력이 가능한 기준 선박(= 본선)의 변침 항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충돌이 예상되는 양측 선박(피항선 및 유지선) 또는 피항선 역할을 수행할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200)로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S307).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충돌이 예상되는 양측 선박(피항선 및 유지선)에 각각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200)이 모두 접속하고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양측 선박 또는 기준 선박에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각 선박의 역할(피항선의 역할 또는 유지선의 역할)에 맞도록 피항 항로를 전달한다.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S307 단계에서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전달받은 양측 선박으로부터 항로 변경을 승인 받았는지 확인한다(S308).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양측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항로 변경을 승인받지 못한 경우, 승인을 받지 못한 측이 피항선인지 유지선인지를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 피항 항로를 산출한다(S309).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각 선박들로부터 항로 변경을 승인받은 경우, 양측 선박으로부터 설정 반경 이내 위치하는 주변 항해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로 양측 선박의 항로 변경 사실을 전달한다(S310).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소정의 선박이 충돌 예상 지점을 통과하기 까지, 소정의 선박의 실체 위치 즉,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한다(S311).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가 다른 경우, 소정의 선박이 피항 항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항로를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항로 이탈 메시지를 해당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전달한다(S312).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가 동일한 경우, 충돌 예산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충돌 가능성을 확인한다(S313). 이때,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경우, S609 단계와 같이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 피항 항로를 산출한다.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소정의 선박이 충돌 예상 지점을 통과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S314), 충돌 예상 지점을 통과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선박의 충돌을 경계시키는 경계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15). 반면에, 선박 충돌방지 장치(100)는 소정의 선박이 충돌 예상 지점을 통과한 경우,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은 선박 내 전문적인 항해 장비 없이 충돌 가능성을 예측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선박 충돌방지 장치 200; 모바일 단말
110; 위치 정보 처리부 120;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
130; 피항 항로 계산부 140; 제어부

Claims (12)

  1. 선박 충돌방지 장치는 기준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토대로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돌 예상 항로에 해당하는 충돌 가능성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단계;
    각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각 선박의 운항을 관리하는 단계;
    각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받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항로 변경을 승인받지 못한 경우,
    상기 승인을 하지 않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이 피항선인지 유지선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이 피항선인지 유지선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피항 항로를 대체하는 대체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 충돌방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충돌이 예상되는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 충돌방지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박에 상기 상대 선박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장치를 토대로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상기 선박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는
    상기 상대 선박의 위치, 상기 상대 선박과의 거리, 상기 상대 선박의 속력, 상기 상대 선박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기준 선박이 피항 동작을 해야되는 피항선인지 침로와 속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유지선인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방법.
  6. 삭제
  7. 기준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상대 선박의 정보를 입력받는 위치 정보 처리부;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토대로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
    상기 충돌 예상 항로에 해당하는 충돌 가능성이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선박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피항 항로 계산부; 및
    각 선박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각 선박의 실측 위치의 변화와 피항 항로를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각 선박의 운항을 관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각 선박에 해당하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하고, 상기 피항 항로를 제공받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항로 변경을 승인받지 못한 경우,
    상기 피항 항로 계산부는
    상기 승인을 하지 않은 선박 중 적어도 하나의 선박이 피항선인지 유지선인지를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피항 항로를 대체하는 대체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상 항로 계산부는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와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기준 선박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충돌이 예상되는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추출하고, 상기 충돌 예상 지점을 이용하여 상기 충돌 예상 항로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처리부는
    상기 기준 선박에 상기 상대 선박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장치를 토대로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상기 선박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기준 선박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대 선박의 정보는
    상기 상대 선박의 위치, 상기 상대 선박과의 거리, 상기 상대 선박의 속력, 상기 상대 선박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항 항로 계산부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상기 기준 선박이 피항 동작을 해야되는 피항선인지 침로와 속력을 유지하여야 하는 유지선인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항 항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충돌방지 장치.
  12. 삭제
KR1020120025070A 2012-03-12 2012-03-12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94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70A KR101948574B1 (ko) 2012-03-12 2012-03-12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13/601,435 US8949015B2 (en) 2012-03-12 2012-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vess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70A KR101948574B1 (ko) 2012-03-12 2012-03-12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84A KR20130103984A (ko) 2013-09-25
KR101948574B1 true KR101948574B1 (ko) 2019-02-15

Family

ID=4911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070A KR101948574B1 (ko) 2012-03-12 2012-03-12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49015B2 (ko)
KR (1) KR101948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9449B2 (en) 2008-12-30 2017-06-13 Oneevent Technologies, Inc. Evacuation system
US8749392B2 (en) * 2008-12-30 2014-06-10 Oneevent Technologies, Inc. Evacuation system
US9799205B2 (en) 2013-07-15 2017-10-24 Oneevent Technologies, Inc. Owner controlled evacuation system with notification and route guidance provided by a user device
US9418558B1 (en) * 2014-03-25 2016-08-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Secretary Of The Navy Autonomous collision avoidanc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93982B1 (ko) * 2015-04-29 2017-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충돌 회피 방법 및 장치
JP6627615B2 (ja) * 2016-03-31 2020-01-08 富士通株式会社 評価プログラム、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WO2018029269A1 (en) * 2016-08-12 2018-02-15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ng position reference signals
FR3084149B1 (fr) * 2018-07-19 2021-04-23 Naval Group Systeme et reseau d'aide a la navigation d'embarcations
US10854090B2 (en) 2018-09-27 2020-12-01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a watercraft
KR20210023080A (ko) 2019-08-22 2021-03-04 김동근 안전성이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선박 충돌 방지 시스템
KR20210046500A (ko) 2019-10-18 2021-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자율 항해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EP3907470B1 (en) * 2020-05-06 2023-02-22 Fincantieri S.p.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operator for navigation
CN113781842B (zh) * 2021-09-30 2022-08-30 海南超船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船舶识别控制方法
CN117314301B (zh) * 2023-11-29 2024-03-22 广州一链通互联网科技有限公司 内贸集运的运输路线规划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586A1 (en) * 2001-02-14 2002-08-15 Showell Evan A. Marine signaling device
US20110144912A1 (en) * 2009-12-10 2011-06-16 Young Sick Kim System for safety of vessel and method for safety of vessel
KR101042695B1 (ko) * 2010-11-19 2011-06-20 (주) 장산아이티 소형선박용 자동식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115A (en) * 1978-05-10 1982-01-26 Sperry Limited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KR20110009983A (ko) 2009-07-23 2011-01-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충돌 회피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충돌 회피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586A1 (en) * 2001-02-14 2002-08-15 Showell Evan A. Marine signaling device
US20110144912A1 (en) * 2009-12-10 2011-06-16 Young Sick Kim System for safety of vessel and method for safety of vessel
KR101042695B1 (ko) * 2010-11-19 2011-06-20 (주) 장산아이티 소형선박용 자동식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49015B2 (en) 2015-02-03
US20130238232A1 (en) 2013-09-12
KR20130103984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574B1 (ko)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9464B1 (ko) 선박의 해양사고 예측 시스템
KR101314308B1 (ko) 운항체의 운항 상황별 운항경로정보를 이용한 교통관제장치 및 그 방법
KR101410956B1 (ko) 이기종 통신망의 위치정보 통합 비교를 통한 선박 간의 충돌 예측 분석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93340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considering GPS jamming
KR102064202B1 (ko) 선박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17692A1 (en) Vessel monitoring system and vessel monitoring method thereof
KR101800453B1 (ko) Ais정보를 이용한 선박 충돌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799012B1 (ko)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CN106448152B (zh) 用于确保错道驾驶员信息的方法和设备
JP2009202635A (ja) 列車自動通報システム
EP37617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524206B1 (ko) 해상 교통 경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60992B1 (ko) 선박의 표준항로 생성 및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20160134095A (ko) 선박의 이상상황 자동감지시스템, 선박엔진의 비상상태 자동통지시스템 및 그들의 전송방법
WO2016047852A1 (ko) 규칙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한 선박 항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1961A (ko)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선박간 지능적 충돌예측정보 제공방법
KR102142381B1 (ko) 선박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415979B1 (ko)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KR101378859B1 (ko) 위험 선박 판별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해적선 퇴치 통합 시스템
CN111812610B (zh) 一种水上目标监管系统、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1658169B1 (ko) Gps 교란을 고려한 교통관제 방법 및 시스템
CN106154263A (zh) 一种船舶溢油检测用雷达信号处理装置及监测方法
KR102538084B1 (ko)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21056640A (ja) 不審船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