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154B1 -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 Google Patents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154B1
KR101948154B1 KR1020180122606A KR20180122606A KR101948154B1 KR 101948154 B1 KR101948154 B1 KR 101948154B1 KR 1020180122606 A KR1020180122606 A KR 1020180122606A KR 20180122606 A KR20180122606 A KR 20180122606A KR 101948154 B1 KR101948154 B1 KR 10194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ing
blade
power
main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홍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서정공
Priority to KR102018012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01D34/78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electr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초날을 회전시키고,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기는 축전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구동모터로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원을 이원화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과; 제초부(20)와; 제초날(25)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30)과; 바퀴(5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0)와; 구동모터(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엔진(30)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45)와, 생산된 전기를 구동모터(40)로 전달하는 컨트롤러(4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초부(20)는, 제초날(25)과, 제초날(25)이 각각 축연결되는 풀리(22)와,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23)와, 풀리(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초프레임(21)을 포함하고, 상기 제초날(25)은, 풀리(22)에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25a)와, 회전부재(25a)의 양단 상측에 설치되는 일자형상의 상부날(25b)과, 회전부재(25a)의 양단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날(25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HYBRID WEEDING APPARATUS OF SELF TRAVELING TYPE}
본 발명은 동력원을 이원화한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초날을 회전시키고, 발전기를 작동시켜 발생된 전기를 축전지를 거치지 않고 컨트롤러를 통해 바로 구동모터로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제초장치의 무게 및 크기를 줄여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고,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주식(自走式)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나 목초 등의 지피식물은, 맨땅의 표면을 덮어줌으로써 비료의 유출이나 토양의 침식 등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피식물은 일반적으로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답압에도 잘 견디고 재생력이 강한 특성이 있으며, 다량의 산소를 생산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지피식물은 대부분 잡초와 함께 자라게 되며, 잡초의 성장에 따라 생육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잡초가 함께 자라지 않더라도 지피식물이 무성하게 자라게 되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부패하거나 병충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장이나 운동장 등의 잔디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제초작업을 하여 잡초나 병충해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잔디를 깎거나 길게 자란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제초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초날을 구비한 제초기를 직접 밀고 다니거나, 전용 트랙터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수입산 제초기는, 가격이 고가이어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장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면서 제초날을 회전시켜 잔디 를 깎는 승용형 제초장치 및 무선 조작에 의해 이동하면서 제초날을 회전시켜 잔디 등을 깎는 자주식(自走式) 제초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승용형 제초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엔진의 동력 중 일부를 인출하여 제초날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초시 이동속도가 낮을 점을 감안할 때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싱기 자주식 제초장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초날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허문헌이 검색되었다.
특허문헌 1은,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동력 전달 축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지면에 노출되는 땅속 작물의 순을 강제적으로 안내하여 직립시키는 직립 안내부와; 상기 직립 안내부의 인근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며, 상기 직립되는 순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본체의 하단 타측 양측부에 설치되며, 지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의 상하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제초용 커터가 구비된 승용식 제초기에 있어서, 운전석의 저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 하는 운전석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운전석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레버 수단을 구비하는 레버 고정 플레이트와; 후단부는 운전석 후방의 차체 프레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 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레버 고정 플레이트에서 하향 돌출되게 결합시킨 축핀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의 관 형상인 연결구가 형성된 제1 회동간과 제2 회동간으로 이루어져 운전석을 자유자재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승용식 제초기의 운전석 이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승용형, 조,주간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앉아서 조작하게 의자를 설치한 전면에 변속레버부, 승강레버부를 구비하면서 조향핸들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전환되게 주프레임의 전방에 전륜을 설치하고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후륜을 설치한 조향장치부와, 상기 조향장치부에 의한 방향전환과 더블어 변속레버부에 의해 변속되어 동력을 발생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조향장치부와 변속레버부에 의한 진행방향과 변속 조정에 의한 이동중 모의 조간, 주간사이를 제초하게 굴취부, 주간제초부, 조간매립바퀴로 구성하여 승강하게 다수 설치된 제초장치부를 포함하며, 모내기를 한 논에 발생되는 풀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시 동력을 이용하여 전진 이동하면서 장착된 제초장치부의 주간제초 회전날개부와 조간매립바퀴에 의해 모포기의 조,주간(條,株間)에 걸쳐 발생되는 풀을 뽑은 다음 논바닥에 눌러주어 성장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한, 승용형 조,주간 제초기를 개시하고 있다.
KR 10-2012-0047366 A KR 20-0381266 Y1 KR 20-0396450 Y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주행과 제초날의 회전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동력원을 엔진과 구동모터로 이원화한 하이브리드 제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초장치의 무게 및 크기를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동시에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초날을 회전시키고,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지 않고 컨트롤러를 통해 구동모터에 직접 공급하여, 전기의 저장이나 인출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초부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동시에는 제초부가 상향 이동되어 장치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함과 아울러 제초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초날의 회전을 단속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제초과정에서 돌이 튀어 바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제초장치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초날의 구조를 개선하여, 풀이 순차적으로 절단되고 부하가 분산되도록 함과 아울러 풀이 제초날의 회전부재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바퀴가 구비되어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과; 하나 이상의 제초날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제초부와; 상기 제초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상기 바퀴를 구동하도록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감속기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엔진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생산된 전기를 일정한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구동모터로 전달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는, 무선 조작에 의해 이동되거나 일측에 운전석이 구비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초부는, 하나 이상의 제초날과, 엔진의 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초날이 각각 축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풀리와, 엔진의 풀리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와, 상기 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초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초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복수개의 튐방지판으로 이루어진 튐 방지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초날은, 풀리에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단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 날이 형성된 일자 형상의 상부날과, 상기 회전부재의 양단 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간 부분이 상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날이 형성되고 후면측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하부날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날이 상부날에 비해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초부는, 본체의 메인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초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만 메인프레임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초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는, 제초프레임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대와, 앵글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메인프레임의 앞쪽 또는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단부는 제초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대의 앞쪽 또는 뒤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하조절링크와, 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전방측 상하조절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는, 메인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륜과, 하중 분산을 위하여 지지륜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기륜과, 메인프레임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지지륜에 결합된 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구동륜으로 이루어진 궤도형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제초날을 회전시키고,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축전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바퀴를 회전시킨다.
즉 동력원이 제초날을 회전시키는 동력과 제초장치를 이동시키는 동력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전지 및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무게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집중된 부하로 인한 모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원으로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를 컨트롤러를 통해 구동모터에 직접 전달하므로, 에너지 변환에 따른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가 무선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에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본체에 운전석이 구비된 경우에는 대형 장치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초날이 축연결된 풀리가 엔진의 풀리에 벨트로 연결되고, 엔진의 풀리에 전자클러치가 구비되어 제초날로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제초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초날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초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튐방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제초날에 부딪친 돌이 외부로 튀어나가거나 바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초날이 상부날과 하부날의 이중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날이 상부날에 비해 회전방향 앞쪽에 배치되는 구조이이므로, 하부날에 부하가 작용한 상태에서 상부날에 의해 1차 절단이 이루어진 후에, 하부날에 의한 2차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초날에 걸리는 부하가 분산되고, 2차례의 절단에 의해 잔디나 풀의 길이가 짧아져서 회전부재에 잘 걸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초부를 구성하는 제초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제초작업을 하지 않고 이동만 하는 경우에는 제초프레임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낮은 위치의 제초프레임으로 인한 장치의 이동속도 저하, 제초부의 손상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퀴가 궤도형 바퀴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형에 관계없이 이동하면서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초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이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와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초부의 승강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는 이동시의 도면이고, 도 5는 제초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초날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초부의 튐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바퀴(50)가 구비되어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10)과; 하나 이상의 제초날(25)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는 제초부(20)와; 상기 제초날(25)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30)과; 상기 바퀴(50)를 구동하도록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감속기가 구비된 구동모터(40)와; 상기 구동모터(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엔진(30)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45) 및 생산된 전기를 일정한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구동모터(40)로 전달하는 컨트롤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초작업시에는 엔진(30)에 의해 제초날(25)이 회전하고, 장치의 이동시에는 구동모터(40)에 의해 바퀴(50)가 회전하도록 동력원이 이원화된다.
따라서 엔진 구동식에 비해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가 감소하고, 모터 구동식에 비해서는 부하가 감소하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고장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40)에 전기를 공급할 때, 발전기(45)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지 않고 컨트롤러(46)를 통해 구동모터(40)에 직접 전달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전기의 저장 및 인출을 위하여 에너지의 형태를 변형할 필요가 없고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 내에 배터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지만, 이 배터리는 엔진의 시동이나 후술하는 승강장치(26)의 승강실린더(26d) 및 전자클러치(23)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만 이용된다.
즉 메인 프레임(10) 내의 배터리는, 구동모터(40)로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을 포함하는 본체는, 유선 또는 무선 조작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본체 일측에 운전석이 구비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장치의 대형화를 통해 제초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초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초날(25)과, 엔진(30)의 풀리에 벨트(24)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초날(25)이 각각 축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풀리(22)와, 엔진(30)의 풀리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23)와, 상기 풀리(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초프레임(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클러치(23)를 이용하여 풀리(22)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초프레임(21)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복수개의 튐방지판으로 이루어진 튐 방지부재(27)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초작업시 제초날(25)에 부딪친 돌이 외부로 튀어나가거나 바퀴(5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퀴의 고장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초날(2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2)에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25a)와, 상기 회전부재(25a)의 양단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 날이 형성된 일자 형상의 상부날(25b)과, 상기 회전부재(25a)의 양단 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간 부분이 상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날이 형성되고 후면측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하부날(25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날(25c)은 상부날(25b)에 비해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날(25c)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잔디나 풀을 절단할 때 하부날(25c)에 부하가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부날(25c)이 상부날(25b)에 비해 회전이 늦어짐으로써, 상부날(25b)에 의한 1차 절단 후 하부날(25c)에 의한 2차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부날(25b)과 하부날(25c)에 의한 절단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5a)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되고, 2차례에 걸친 절단으로 인해 잔디나 풀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풀이 회전부재(25a)에 감기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제초부(20)는, 본체의 메인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초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만 메인프레임(10)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초작업을 하지 않고 이동만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초부(20)가 상향 이동됨으로써 제초부(2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제초부(20)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초부(20)가 메인프레임(10)의 하부측으로 하향 이동됨으로써 제초날(25)에 의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한 승강장치(26)는, 제초프레임(21)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대(26a)와, 앵글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메인프레임(10)의 앞쪽 또는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단부는 제초프레임(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대(26a)의 앞쪽 또는 뒤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하조절링크(26b)(26c)와, 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전방측 상하조절링크(26c)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26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승강실린더(26d)의 로드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실린더(26d)와 연결대(26a)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하조절링크(26b)(26c)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초프레임(21)을 끌어올리게 되므로, 제초부(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26d)의 로드가 승강실린더(26d)의 내부로 수납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실린더(26d)와 연결대(26a)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하조절링크(26b)(26c)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초프레임(21)을 밀어내리게 되므로 제초부(20)가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50)는, 통상의 원형 바퀴 또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퀴(50)가 무한궤도 타입인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륜(51)과, 하중 분산을 위하여 지지륜(51)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기륜(52)과, 메인프레임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지지륜에 결합된 무한궤도(54)를 회전시키는 구동륜(5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바퀴(50)에 작용하는 부하가 분산되고 지형에 관계없이 제초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메인프레임(Main Frame)
20...제초부
21...제초프레임
22...풀리(Pulley)
23...전자클러치(Clutch)
24...벨트(Belt)
25...제초날
25a...회전부재
25b...상부날
25c...하부날
26...승강장치
26a...연결대
26b, 26c...상하조절링크
26d...승강실린더
27...튐 방지부재
30...엔진
40...구동모터
45...발전기
46...컨트롤러
50...바퀴
51...지지륜
52...보기륜
53...구동륜
54...무한궤도

Claims (3)

  1. 양측에 바퀴(50)가 구비되어 본체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10)과; 하나 이상의 제초날(25)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초부(20)와; 상기 제초날(25)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30)과; 상기 바퀴(50)를 구동하도록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감속기가 구비된 구동모터(40)와; 상기 구동모터(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엔진(30)에 의해 작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45)와, 생산된 전기를 일정한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여 구동모터(40)로 전달하는 컨트롤러(46)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을 포함하는 본체는, 무선 조작에 의해 이동되거나 일측에 운전석이 구비되어 운전자가 탑승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초부(20)는,
    하나 이상의 제초날(25)과,
    엔진(30)의 풀리에 벨트(24)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초날(25)이 각각 축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풀리(22)와,
    엔진(30)의 풀리에 구비되어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23)와,
    상기 풀리(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초프레임(21)을 포함하고,
    상기 제초프레임(21)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복수개의 튐방지판으로 이루어진 튐 방지부재(27)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초날(25)은,
    풀리(22)에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25a)와,
    상기 회전부재(25a)의 양단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전면에 날이 형성된 일자 형상의 상부날(25b)과,
    상기 회전부재(25a)의 양단 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간 부분이 상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날이 형성되고 후면측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하부날(25c)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날(25c)이 상부날(25b)에 비해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부(20)는, 본체의 메인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초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만 메인프레임(10)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초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26)는,
    제초프레임(21)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대(26a)와,
    앵글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메인프레임(10)의 앞쪽 또는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단부는 제초프레임(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대(26a)의 앞쪽 또는 뒤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하조절링크(26b)(26c)와,
    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전방측 상하조절링크(26c)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실린더(26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50)는,
    메인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륜(51)과,
    하중 분산을 위하여 지지륜(51)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기륜(52)과,
    메인프레임(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지지륜(51)에 결합된 무한궤도(54)를 회전시키는 구동륜(53)으로 이루어진 궤도형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KR1020180122606A 2018-10-15 2018-10-15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KR10194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606A KR101948154B1 (ko) 2018-10-15 2018-10-15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606A KR101948154B1 (ko) 2018-10-15 2018-10-15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154B1 true KR101948154B1 (ko) 2019-02-14

Family

ID=6536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606A KR101948154B1 (ko) 2018-10-15 2018-10-15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70B1 (ko) 2020-12-28 2021-05-28 유우겐가이샤 트렁크 제초범위 식별모듈이 구비된 r/c형 예초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7789A (ja) 2002-11-22 2006-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動力装置
JP2012075367A (ja) 2010-09-30 2012-04-19 Iseki & Co Ltd 乗用型芝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7789A (ja) 2002-11-22 2006-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動力装置
JP2012075367A (ja) 2010-09-30 2012-04-19 Iseki & Co Ltd 乗用型芝刈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670B1 (ko) 2020-12-28 2021-05-28 유우겐가이샤 트렁크 제초범위 식별모듈이 구비된 r/c형 예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201B2 (en) Modular mower deck for use with a lawnmower
US8096374B1 (en) Control system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US20040148917A1 (en) Variable contour mowing machine
US3601958A (en) Self-propelled rotary mower
KR101948154B1 (ko) 자주식 하이브리드 제초장치
US20120298022A1 (en) High capacity slice seeder
US2530041A (en) Power mower
CN109565971A (zh) 一种多功能耕地机
US4291522A (en) Mower mounted on vehicle
US3563012A (en) Tractor for lawn mowers
JP5726480B2 (ja) 草刈装置
JP3821063B2 (ja) 苗植機
JP2006262716A (ja) 草刈機
CN211152816U (zh) 一种一体调高式零转弯半径草坪割草机
US3146832A (en) Plant thinner
KR102474439B1 (ko) 로터리식 제초기
KR20190000230U (ko) 예초기
WO2010121617A1 (en) Narrow mower
US20230301236A1 (en) Working machine
JP2514107Y2 (ja) 自走型茶葉摘採機
JP4107756B2 (ja) 根菜作物収穫機
JP2011050287A (ja) 苗移植機
JP3363048B2 (ja) 畦草刈機
US1366019A (en) Tractor
US1304372A (en) Laww-mo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