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117B1 -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117B1
KR101948117B1 KR1020180129637A KR20180129637A KR101948117B1 KR 101948117 B1 KR101948117 B1 KR 101948117B1 KR 1020180129637 A KR1020180129637 A KR 1020180129637A KR 20180129637 A KR20180129637 A KR 20180129637A KR 101948117 B1 KR101948117 B1 KR 10194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pparatus main
photographing apparatus
lubricant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공운
Original Assignee
서광항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항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항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11)와, 충격감지센서(12)와, 촬영장치본체(13)와, 커버(23)와, 피봇볼(14)과, 카메라(15)와, 밀착기구(24)와, 개폐마개(20)와, 인장스프링(21)과, 제1,2가압기구(16,16')와, 제1,2마개(17,17')와, 제3,4마개(18,18')와, 제1,2충격완화부재(19,19')와, GPS모듈(25) 및, 제어유닛(22)으로 이루어져, 촬영 고도 확인이 가능한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기류 변화에 따른 항공기(11)의 흔들림에도 정확한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Equipment Of Aerial Photograph}
본 발명은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 촬영은 네비게이션, 인터넷 웹지도 작성 뿐만 아니라 지도제작, 국토 설계 계획, 임업 분야 및 지리정보 분야 등에 그 사용이 더욱 다양화되고있다.
이러한 항공촬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항공촬영은 지면 기준으로 정확한 항공촬영 고도를 확인해야만 항공촬영 시 동일 고도에서 촬영한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항공촬영은 연직으로 촬영되어야만 정확한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지도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항공기는 하늘을 일정속도로 운항하는 기기이므로, 항공기의 고도와 조향 조정, 대기압과 기류 변화 등에 따라 항공기 기체의 자세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변할 수 있으며, 항공기 기체의 자세 변화는 카메라의 촬영각도와 배율에 변화를 일으키므로 카메라가 지상의 의도한 위치를 오차 없이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게 되고, 이와 같이 오차가 있는 상태로 촬영된 항공영상는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소하기 위한 종래에는 카메라를 항공기의 기체와 피봇 구조로 연결시켜서, 기체가 전후좌우로 회전하더라도 카메라의 자중에 의해 해당 중력방향을 유지하면서 기체와는 독립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항공기가 난기류를 만나 이동속도가 급가속되거나 급감속되면 카메라가 관성에 의해 회전하여 정확한 항공영상을 얻기가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87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항공촬영 고도를 확인하여 동일 고도의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항공기의 급가속, 급감속에도 연직 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항공 촬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방으로 개구된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을 구비한 항공기(11)와;
항공기(11)에 설치되어 항공기(11)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며, 일정 기준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2)와;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피봇볼설치홈(13a)과, 피봇볼설치홈(13a)과 각각 연통되어 측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연통홀(13b,13b')과, 제1,2연통홀(13b,13b')과 각각 연통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내부설치홈(13c,13c')과, 하측이 하방으로 개구되고 상측이 상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와,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와 각각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과, 촬영장치본체(13)의 외측면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수용홈(13f,13f')과, 제1,2수용홈(13f,13f')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13g)와, 제1,2수용홈(13f,13f')의 상측에 각각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 및,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와 각각 연통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을 갖추고서, 항공기(11)의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촬영장치본체(13)와;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설치홈(13a)의 상측을 개폐하는 커버(23)와;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볼설치홈(13a)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볼(14)과;
피봇볼(14)에 설치되는 카메라(15)와;
밀착기구(24)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4a)과, 밀착기구(24)의 하측에 형성되어 피봇볼(14)과 접촉가능하도록 하면이 라운드 진 접촉면(24b)과, 밀착기구(24)의 내부에 형성되어 윤활유가 수용되는 윤활유수용홈(24c)과, 윤활유수용홈(24c)과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주입구(24d) 및, 윤활유수용홈(24d)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된 배출구(24e)를 갖추고서, 피봇설치홈(13a)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밀착기구(24)와;
밀착기구(24)의 주입구(24d)를 개폐하는 개폐마개(20)와;
일단이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설치홈(13a)의 상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밀착기구(24)의 상측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21)과;
일측이 경사져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각각 맞대어지고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연통홀(13b,13b')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체(16a)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내부설치홈(13c,13c')에 설치되어 고정체(16a)를 각각 구동하는 구동기구(16b)를 갖춘 제1,2가압기구(16,16')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 상측을 각각 개폐하는 마개체(17a)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체(17b) 및, 일측이 마개체(17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개폐체(17b)에 설치되어 개폐체(17b)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17c)을 갖춘 제1,2마개(17,17')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을 각각 개폐하는 제3,4마개(18,18')와;
내부에 윤활유를 수용하여,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의 하측에 착탈가능하면서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1,2충격완화부재(19,19')와;
촬영장치본체(13)에 설치되는 GPS모듈(25) 및;
항공기(11)에 설치되어, 충격감지센서(12)로부터 충격신호를 수신하면 제1,2가압기구(16,16')의 구동기구(16b)를 구동하여 제1,2가압기구(16,16')의 고정체(16a)가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수회 번갈아가면서 맞닿도록 하고, 촬영된 항공영상에 촬영시점의 고도를 입력하는 제어유닛(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공 촬영 시 GPS모듈(25)을 통해 지면 기준의항공촬영 고도를 확인(식별)하여, 촬영 항공영상에 항공촬영 시의 고도를 입력함으로써, 추후 항공영상 편집 작업에서 항공영상을 이을 시 동일 고도 촬영 항공영상만을 선별하여 동일 고도에서 촬영되고 서로 인접한 항공영상을 쉽게 이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11)의 급감속 또는 급가속이 발생하지 않은 평시 상황에서 카메라(15)가 안정적으로 연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11)가 기류에 의해 급감속 또는 급가속 될 시 제1,2가압기구(16,16') 및 밀착기구(24)를 매개로 순간적으로 피봇볼(14)의 회전을 잠궈 카메라(15)가 연직방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촬영된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가압기구(16,16') 및 밀착기구(24)는 피봇볼(14)을 수회 번갈아 잠금으로써, 밀착기구(24)와 피봇볼(14)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피봇볼(14)의 회전을 잠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본체(13)가 항공기(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촬영장치본체(13) 및 촬영장치본체(13)와 연결되는 구성을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밀착기구(24)와 피봇볼(14)의 접촉에 문제가 발생하여 카메라(15)가 기준 이상 회전할 경우, 제1,2충격완화부재(19,19')를 매개로 카메라(15)를 완충하면서, 제1,2충격완화부재(19,19')의 윤활유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로 즉각적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카메라(15)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 항공기(11) 착륙 후 작업자가 보수 점검을 할 시, 촬영장치본체(13)를 항공기(11)에서 신속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로 배출된 윤활유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수용홈(13f,13f')에 수용되어, 촬영장치본체(13)을 항공기(11)에서 분리하기 위해 촬영장치본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킬 시 제1,2수용홈(13f, 13f')에 수용된 윤활유가 방출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윤활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수용홈(13f,13f')에 많은 량의 윤활유가 유입될 시, 일부 윤활유를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로 유도하여 저장함으로써, 윤활유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에 저장된 윤활유를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마개(17,17')를 통해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수용된 윤활유를 안정적으로 저장하면서, 제1,2충격완화부재(19,19')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시에는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로 윤활유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마개(17,17')를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나사산 체결할 시, 제1,2마개(17,17')의 마개체(17a)가 회전하더라도 제1,2마개(17,17')의 개폐체(17b)는 안정적으로 상하이동하여, 제1,2마개(17,17')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항공기 하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b) 내지 도 7(a,b)는 도 2의 A,A'~D,D'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항공기 하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b) 내지 도 7(a,b)는 도 2의 A,A'~D,D'부분을 나타낸 도면로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촬영 처리장치는 항공기(11)와, 충격감지센서(12)와, 촬영장치본체(13)와, 커버(23)와, 피봇볼(14)과, 카메라(15)와, 밀착기구(24)와, 개폐마개(20)와, 인장스프링(21)과, 제1,2가압기구(16,16')와, 제1,2마개(17,17')와, 제3,4마개(18,18')와, 제1,2충격완화부재(19,19')와, GPS모듈(25) 및, 제어유닛(22)을 갖춘다.
상기 항공기(11)는 하방으로 개구된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을 갖춘다. 본 발명에서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은 항공기(11)의 저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은 'ㅗ'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충격감지센서(12)는 항공기에 설치되어 항공기(11)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며, 일정 기준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신호를 제어유닛(22)으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충격감지센서(12)는 난기류 등에 의해 항공기(11)에 충격이 가해질 시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격감지센서(12)를 대체하여, 난기류 등에 의해 항공기(11)의 속도가 급격기 감속되거나 증속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촬영장치본체(13)는 피봇볼설치홈(13a)과, 제1,2연통홀(13b,13b')과, 제1,2내부설치홈(13c,13c')와,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와,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과, 제1,2수용홈(13f,13f')과, 돌기(13g)와,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 및,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을 갖추고서, 항공기(11)의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상기 피봇볼설치홈(13a)은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피봇볼설치홈(13a)은 촬영장치본체(13)의 중앙부분에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2연통홀(13b,13b')은 피봇볼설치홈(13a)과 각각 연통되어 측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2연통홀(13b,13b')은 피봇볼설치홈(13a)의 좌우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2내부설치홈(13c,13c')은 제1,2연통홀(13b,13b')과 각각 연통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내부설치홈(13c)은 제1연통홀(13b)의 좌방에 구비되고, 제2내부설치홈(13c')은 제2연통홀(13b')의 우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는 하측이 하방으로 개구되고 상측이 상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는 피봇설치홈(13a)를 기준으로 좌우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은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와 각각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된다. 본 실시시예에서 제1윤활유배출홀(13e)은 제1윤활유통과로(13d)의 좌측에 구비되고, 제2윤활유배출홀(13e')은 제2윤활유통과로(13d')의 우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2수용홈(13f,13f')은 촬영장치본체(13)의 외측면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2수용홈(13f,13f')은 내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촬영장치본체(13)의 좌우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돌기(13g)는 다수 개가 제1,2수용홈(13f,13f')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는 제1,2수용홈(13f,13f')의 상측에 각각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는 피봇설치홈(13a)를 기준으로 좌우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은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와 각각 연통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은 하측이 개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은 피봇설치홈(13a)를 기준으로 좌우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커버(23)는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설치홈(13a)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피봇설치홈(13a)의 상측을 개폐한다.
상기 피봇볼(14)은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볼설치홈(13a)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15)는 피봇볼(14)에 설치되어, 항공촬영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15)는 피봇볼(14)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에 설치된다.
상기 밀착기구(24)는 밀착기구(24)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4a)과, 밀착기구(24)의 하측에 형성되어 피봇볼(14)과 접촉가능하도록 하면이 라운드 진 접촉면(24b)과, 밀착기구(24)의 내부에 형성되어 윤활유가 수용되는 윤활유수용홈(24c)과, 윤활유수용홈(24c)과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주입구(24d) 및, 윤활유수용홈(24d)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된 배출구(24e)를 갖추고서, 피봇설치홈(13a)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기구(24)는, 경사면(24a)의 상방에 상기 경사면(24a)과 대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윤활유수용홈(24c)에 수용되는 윤활유는 점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밀착기구(24)는, 윤활유수용홈(24c), 주입구(24d), 배출구(24e)가 형성되지 않게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마개(20)는 밀착기구(24)의 주입구(24d)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밀착기구(24)의 주입구(24d)를 개폐한다.
상기 인장스프링(21)은, 일단이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설치홈(13a)의 상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밀착기구(24)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장스프링(21)은 커버(23)와 밀착기구(2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2가압기구(16,16')는 일측이 경사져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각각 맞대어지고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연통홀(13b,13b')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체(16a)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내부설치홈(13c,13c')에 설치되어 고정체(16a)를 각각 구동하는 구동기구(16b)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구동기구(16b)는 솔레노이드가 적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밀착기구(24)를 구동하기 위해 제1,2가압기구(16,16')가 구비되지만, 제1가압기구(16) 또는 제2가압기구(16')만 구비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2마개(17,17')는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 상측을 각각 개폐하는 마개체(17a)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체(17b) 및, 일측이 마개체(17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개폐체(17b)에 설치되어 개폐체(17b)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17c)을 갖춘다. 본 발명에서 마개체(17a)는 상면에 일자 또는 십자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4마개(18,18')는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을 개폐한다.
상기 제1,2충격완화부재(19,19')는 내부에 윤활유를 수용하여,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의 하측에 착탈가능하면서 연통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제1,2충격완화부재(19,19')는 하측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측이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촬영장치본체(13)의 하면에 제1,2충격완화부재(19,19')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제1,2충격완화부재(19,19')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윤활유가 충전된다. 제1,2마개(17,17')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윤활유를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주입한다. 이때 윤활유 주입양은 미리 계산되고, 윤활유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에 근접하게 채워지도록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윤활유가 주입되면 작업자는 제1,2마개(17,17')를 매개로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를 폐쇄하고, 이때 마개(17,17')의 개폐체(17b)는 충진된 윤활유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제1,2마개(17,17')를 매개로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를 폐쇄할 시, 작업자는 드라이브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제1,2마개(17,17')의 마개체(17a)를 회전시켜 마개체(17a)를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나사산 체결한다. 이때 제1,2마개(17,17')의 스프링(17c)은 제1,2마개(17,17')의 마개체(17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제1,2마개(17,17')의 개폐체(17b)가 안정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GPS모듈(25)은 촬영장치본체(13)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GPS모듈(25)은 항공기(11)의 위치를 확인하여, 항공기(11)의 고도 값을 추출한다.
상기 제어유닛(22)은 항공기(11)에 설치되어, 충격감지센서(12)로부터 충격신호를 수신하면 제1,2가압기구(16,16')의 구동기구(16b)를 구동하여 제1,2가압기구(16,16')의 고정체(16a)가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수회 번갈아가면서 맞닿도록 하고, 촬영된 항공영상에 촬영시점의 고도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22)은 제1,2가압기구(16,16')의 고정체(16a)가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번갈아가면서 맞닿도록 제어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1,2가압기구(16,16)의 고정체(16a)가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22)은 항공기(11)에 설치되지만 촬영장치본체(13)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항공기(11)는 설정된 경로를 따라 운항하고, 카메라(15)는 지상을 연직으로 촬영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11)가 설정된 경로를 따라 천천히 선회하여 기울어질 시, 카메라(15)는 자중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상적인 기류 상황에서는 정확한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유닛(22)은 GPS모듈(25)로부터 항공기(11)의 고도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15) 촬영 시점에서의 항공기(11) 고도 값을 상기 촬영 시점에서 촬영한 항공영상에 입력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11)가 기울어지고, 카메라(15)가 자중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할 시, 밀착기구(24)로부터의 윤활유에 의해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설치홈(13a)과 피봇볼(14)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보다 용이하게 카메라(15)가 연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항공촬영 중 비정상적인 기류가 발생하여, 항공기(11)에 충격이 가해져 항공기(11)의 속도가 급감할 경우, 관성에 의해 카메라(1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화살표 방향 참조) 회전하려 한다.
이때, 제어유닛(22)이 충격감지센서(12)로부터 충격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22)은 제1,2가압기구(16,16')의 구동기구(16b)를 구동하여 제1,2가압기구(16,16')의 고정체(16a)가 짧은 시간에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수회 번갈아가면서 맞닿도록 한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기구(24)는 상하방 왕복운행을 하면서 피봇볼(14)의 상측과 수회 번갈아가면서 맞닿는다. 이때 피봇볼(14)과 밀착기구(24)의 접촉면(24b) 사이에는 윤활유가 묻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제1,2가압기구(16,16')에 의해 이동하는 밀착기구(24)가 피봇볼(14)을 충분한 강도로 가압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밀착기구(24)에 의해 피봇볼(14)이 고정되면, 카메라(15)는 연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밀착기구(24)가 피봇볼(14)을 가압할 시 충분한 접촉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와 같이 항공기(11) 급감속 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5)가 회전한다.
이때, 회전하는 카메라(15)는 제1충격완화부재(19)에 충돌하면서 완충되고, 이와 같은 충격력에 의해 제1충격완화부재(19)의 윤활유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장치본체(13)의 제1윤활유통과로(13d)를 따라 이동하여 제1마개(17)의 개폐체(17b)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 후 촬영장치본체(13)의 제1윤활유배출홀(13e)로 배출된다.
계속해서, 제1윤활유배출홀(13e)에서 배출된 윤활유는 항공기(11)의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과 촬영장치본체(13) 간의 기계적 공차에 의해 발생하는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장치본체(13)의 제1수용홈(13f)에 수용된다. 이때 제1수용홈(13f)에 구비된 다수의 돌기(13g)는 윤활유와 접촉하여 윤활유가 제1수용홈(13f)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촬영장치본체(13)의 제1수용홈(13f)에 많은 량 윤활유가 유입되면, 상기 윤활유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화살표 방향 참조) 촬영장치본체(13)의 윤활유저장로(13h)를 통과하여 제1윤활유저장홈(13i)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윤활유가 배출되면, 상기와 같이 피봇볼(14)과 밀착기구(24)에 문제가 발생하여 촬영장치본체(13)를 항공기(11)에서 분리해야할 경우, 편리하게 촬영장치분체(13)를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항공 촬영 시 GPS모듈(25)을 통해 지면 기준의항공촬영 고도를 확인(식별)하여, 촬영 항공영상에 항공촬영 시의 고도를 입력함으로써, 추후 항공영상 편집 작업에서 항공영상을 이을 시 동일 고도 촬영 항공영상만을 선별하여 동일 고도에서 촬영되고 서로 인접한 항공영상을 쉽게 이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11)의 급감속 또는 급가속이 발생하지 않은 평시 상황에서 카메라(15)가 안정적으로 연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11)가 기류에 의해 급감속 또는 급가속 될 시 제1,2가압기구(16,16') 및 밀착기구(24)를 매개로 순간적으로 피봇볼(14)의 회전을 잠궈 카메라(15)가 연직방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촬영된 항공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가압기구(16,16') 및 밀착기구(24)는 피봇볼(14)을 수회 번갈아 잠금으로써, 밀착기구(24)와 피봇볼(14)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피봇볼(14)의 회전을 잠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본체(13)가 항공기(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촬영장치본체(13) 및 촬영장치본체(13)와 연결되는 구성을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밀착기구(24)와 피봇볼(14)의 접촉에 문제가 발생하여 카메라(15)가 기준 이상 회전할 경우, 제1,2충격완화부재(19,19')를 매개로 카메라(15)를 완충하면서, 제1,2충격완화부재(19,19')의 윤활유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로 즉각적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카메라(15)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 항공기(11) 착륙 후 작업자가 보수 점검을 할 시, 촬영장치본체(13)를 항공기(11)에서 신속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로 배출된 윤활유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수용홈(13f,13f')에 수용되어, 촬영장치본체(13)을 항공기(11)에서 분리하기 위해 촬영장치본체(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킬 시 제1,2수용홈(13f, 13f')에 수용된 윤활유가 방출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윤활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수용홈(13f,13f')에 많은 량의 윤활유가 유입될 시, 일부 윤활유를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로 유도하여 저장함으로써, 윤활유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에 저장된 윤활유를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마개(17,17')를 통해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수용된 윤활유를 안정적으로 저장하면서, 제1,2충격완화부재(19,19')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시에는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로 윤활유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마개(17,17')를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나사산 체결할 시, 제1,2마개(17,17')의 마개체(17a)가 회전하더라도 제1,2마개(17,17')의 개폐체(17b)는 안정적으로 상하이동하여, 제1,2마개(17,17')의 설치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GPS모듈(25)을 통해 항공촬영 시 지면 기준의 고도를 식별하여, 항공영상에 촬영시의 고도를 입력할 수 있고, 다양한(멀티) 기능을 갖추고서, 항공촬영을 수행(처리)하는 발명에, 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구성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항을 '항공 촬영 처리장치'로 정의한다.
11; 항공기 12; 충격감지센서
13; 촬영장치본체 14; 피봇볼
15; 카메라 16,16'; 제1,2가압기구
17,17'; 제1,2마개 18,18'; 제3,4마개
19,19'; 제1,2충격완화부재 20; 개폐마개
21; 인장스프링 22; 제어유닛
23; 커버 24; 밀착기구
25; GPS모둘

Claims (1)

  1. 하방으로 개구된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을 구비한 항공기(11)와;
    항공기(11)에 설치되어 항공기(11)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며, 일정 기준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2)와;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피봇볼설치홈(13a)과, 피봇볼설치홈(13a)과 각각 연통되어 측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연통홀(13b,13b')과, 제1,2연통홀(13b,13b')과 각각 연통되고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내부설치홈(13c,13c')과, 하측이 하방으로 개구되고 상측이 상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와,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와 각각 연통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과, 촬영장치본체(13)의 외측면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수용홈(13f,13f')과, 제1,2수용홈(13f,13f')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돌기(13g)와, 제1,2수용홈(13f,13f')의 상측에 각각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 및, 제1,2윤활유저장로(13h,13h')와 각각 연통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을 갖추고서, 항공기(11)의 촬영장치본체설치홈(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촬영장치본체(13)와;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설치홈(13a)의 상측을 개폐하는 커버(23)와;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볼설치홈(13a)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볼(14)과;
    피봇볼(14)에 설치되는 카메라(15)와;
    밀착기구(24)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4a)과, 밀착기구(24)의 하측에 형성되어 피봇볼(14)과 접촉가능하도록 하면이 라운드 진 접촉면(24b)과, 밀착기구(24)의 내부에 형성되어 윤활유가 수용되는 윤활유수용홈(24c)과, 윤활유수용홈(24c)과 연통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주입구(24d) 및, 윤활유수용홈(24d)과 연통되고 하방으로 개구된 배출구(24e)를 갖추고서, 피봇설치홈(13a)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밀착기구(24)와;
    밀착기구(24)의 주입구(24d)를 개폐하는 개폐마개(20)와;
    일단이 촬영장치본체(13)의 피봇설치홈(13a)의 상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밀착기구(24)의 상측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21)과;
    일측이 경사져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각각 맞대어지고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연통홀(13b,13b')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체(16a)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내부설치홈(13c,13c')에 설치되어 고정체(16a)를 각각 구동하는 구동기구(16b)를 갖춘 제1,2가압기구(16,16')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 상측을 각각 개폐하는 마개체(17a)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2윤활유배출홀(13e,13e')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체(17b) 및, 일측이 마개체(17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개폐체(17b)에 설치되어 개폐체(17b)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17c)을 갖춘 제1,2마개(17,17')와;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저장홈(13i,13i')을 각각 개폐하는 제3,4마개(18,18')와;
    내부에 윤활유를 수용하여, 촬영장치본체(13)의 제1,2윤활유통과로(13d,13d')의 하측에 착탈가능하면서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제1,2충격완화부재(19,19')와;
    촬영장치본체(13)에 설치되는 GPS모듈(25) 및;
    항공기(11)에 설치되어, 충격감지센서(12)로부터 충격신호를 수신하면 제1,2가압기구(16,16')의 구동기구(16b)를 구동하여 제1,2가압기구(16,16')의 고정체(16a)가 밀착기구(24)의 경사면(24a)과 수회 번갈아가면서 맞닿도록 하고, 촬영된 항공영상에 촬영시점의 고도를 입력하는 제어유닛(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촬영 처리장치.
KR1020180129637A 2018-10-29 2018-10-29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 KR10194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37A KR101948117B1 (ko) 2018-10-29 2018-10-29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37A KR101948117B1 (ko) 2018-10-29 2018-10-29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117B1 true KR101948117B1 (ko) 2019-02-14

Family

ID=6536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637A KR101948117B1 (ko) 2018-10-29 2018-10-29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747A (zh) * 2019-12-06 2020-03-13 湖南浩天翼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无人机用全面保护装置
CN112340044A (zh) * 2020-12-18 2021-02-09 蒋廷梅 一种用于航拍的无人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90B1 (ko) * 2011-11-25 2012-03-14 서광항업 주식회사 고정밀 항공촬영을 기반으로 한 지상이미지의 정밀 영상도화시스템
KR101348799B1 (ko) * 2013-07-16 2014-01-09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위한 고정밀 항공촬영 편집 시스템
KR101450702B1 (ko) * 2014-07-22 2014-10-16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통한 고정밀 항공촬영 편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739776B1 (ko) * 2016-12-06 2017-05-26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영상물 교체시 촬영대상을 기준으로 영상합성을 진행하는 영상물 편집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90B1 (ko) * 2011-11-25 2012-03-14 서광항업 주식회사 고정밀 항공촬영을 기반으로 한 지상이미지의 정밀 영상도화시스템
KR101348799B1 (ko) * 2013-07-16 2014-01-09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위한 고정밀 항공촬영 편집 시스템
KR101450702B1 (ko) * 2014-07-22 2014-10-16 삼부기술 주식회사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통한 고정밀 항공촬영 편집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739776B1 (ko) * 2016-12-06 2017-05-26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영상물 교체시 촬영대상을 기준으로 영상합성을 진행하는 영상물 편집처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747A (zh) * 2019-12-06 2020-03-13 湖南浩天翼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无人机用全面保护装置
CN110877747B (zh) * 2019-12-06 2022-04-22 湖南浩天翼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无人机用全面保护装置
CN112340044A (zh) * 2020-12-18 2021-02-09 蒋廷梅 一种用于航拍的无人机
CN112340044B (zh) * 2020-12-18 2021-05-18 陕西瑞海土地规划评估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航拍的无人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117B1 (ko) 지면 기준의 항공촬영 고도 식별이 가능한 멀티 촬영용 항공 촬영 처리장치
KR101551380B1 (ko) 지형정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의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948116B1 (ko) 지상지형 및 지물의 3d 형상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항공촬영 시스템
US10015481B2 (en) Multi-axis center of mass balancing system for an optical gimbal assembly guided by inertial measurement
KR101929846B1 (ko)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CN103636190A (zh) 用于获取图像的摄像系统及相关方法
KR101944724B1 (ko) 항공촬영이미지를 이용한 고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A3027268C (fr) Systeme d'emport de charge pour drone et drone
KR101547910B1 (ko)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통한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949776B1 (ko) 지상면의 연직촬영 유지를 통한 고정밀 항공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시스템
KR101959843B1 (ko) 항공촬영 고도 확인과 gps위치 확인이 가능한 멀티 촬영 기능의 항공촬영기
KR101949788B1 (ko) 지상 사각지대 항공촬영을 통한 고정밀 이미지 중복영상 수집시스템
KR20190032945A (ko) 저장탱크 모니터링 장치
JP2019200116A (ja) 無人航空機用測定ユニットおよび無人航空機
Krzysztofik The dynamics of the controlled observation and tracking head located on a moving vehicle
KR102081623B1 (ko) 지상피사체에 대한 고도별 동시 촬영식 항공촬영시스템
KR101933520B1 (ko) 다방향 항공촬영을 통해 지형지물의 정밀한 입체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949789B1 (ko) 라이다의 지상 간 측정 거리를 기반으로 항공촬영 초점을 자동 조정하는 세팅시스템
KR102067432B1 (ko) 연속된 항공촬영 이미지의 구간별 파노라마 연출이 가능한 실시간 항공촬영장치
KR101942717B1 (ko) 지형의 기복 상태를 항공시점에 따라 자동 감지해서 항공촬영 방향과 위치를 제어하는 3d 형식의 항공촬영 이미지 수집시스템
KR102066432B1 (ko) 은폐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EP0561968B1 (fr) Penetrometre dynamique pyrotechnique
KR102081625B1 (ko) 항공영상 촬영의 카메라 광각 자동 설정시스템
KR20200027265A (ko) 드론 장착용 촬영장치
CN111901508B (zh) 故障识别装置及移动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