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52B1 -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52B1
KR101947952B1 KR1020180037958A KR20180037958A KR101947952B1 KR 101947952 B1 KR101947952 B1 KR 101947952B1 KR 1020180037958 A KR1020180037958 A KR 1020180037958A KR 20180037958 A KR20180037958 A KR 20180037958A KR 101947952 B1 KR101947952 B1 KR 101947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nection
circuit
main body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277A (ko
Inventor
고영상
Original Assignee
고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상 filed Critical 고영상
Priority to KR102018003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5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5Mounting of expansion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통신기기의 외관을 이루며, 일면에 접속 커넥터가 구성되고, 내부에 확장형 기능을 제공받는 본체 회로부가 구성된 본체부; 상기 접속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수단과, 상기 본체 회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확장형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 회로부가 구성된 기능 모듈부; 및 상기 본체부 및 기능 모듈부 사이에 구성되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통신기기의 성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믈론, 사용자의 욕구와 용도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 오작동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module}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 부여된 기능 모듈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통신기기의 성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믈론, 사용자의 욕구와 용도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기기의 휴대성이 강조되면서 소형화를 추구하는 현재의 추세는 모든 기능의 모듈이 하나로 종합된 만능 제품의 개발을 어렵게 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 와치는, 전력 사용량에 비하여 배터리 용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걸림돌이 지속되고 있고, 이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다양한 방법의 자가충전 장치를 부착하거나 시계줄을 배터리 기능으로 활용하는 방안까지 강구되고 있다.
그런데 배터리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 전원공급의 한계는 크게 줄어들고 그만큼 고성능의 스마트와치 개발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만능의 휴대용 통신기기에 들어 있는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것도 아니며, 그 중 일부 특정 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여, 하나의 휴대용 통신기기에 고도의 모든 기능이 구비된 상태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됨에 따라 소비자는 잘 사용하지 않은 기능들임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구매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결국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1262호에는, 모듈 커넥터와 결합되는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본체; 및 각 기능 모듈에 상응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모듈 커넥터를 통해 결합된 기능 모듈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서버로부터 또는 상기 모듈 커넥터를 통해 상기 기능 모듈로부터 상응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기능 모듈의 결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게재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1116호에는, 제1의 상면과, 상기 제1 상면에 대향하는 제1의 하면과, 상기 제1 상면과 제1 하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제2의 상면과, 상기 제2 상면에 대향하는 제2의 하면과, 상기 제2 상면과 제2 하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부는, 상기 제2 상면, 제2 하면 및 제2 측면 중 하나가 상기 제1 상면, 제1 하면 및 제1 측면 중 하나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본체부와 또는 다른 모듈부와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듈부는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은 각각의 제품들 마다 정해진 기능들에 대한 모듈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제품들의 모델이 변경되게 되면 이에 대한 모듈들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듈부가 연결되는 연결부 상으로 외부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침투하여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면서 제품의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12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111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기능 모듈부를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와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확장된 성능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욕구와 용도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화된 기능 모듈부를 공개하여, 다른 제작자가 새로운 기능, 디자인 및 향상된 성능의 기능 모듈부에 대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진보된 기술의 창출 및 시장 지배력을 넓힐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가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기능들에 대한 기능 모듈부만을 구입함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루는 본체부와 휴대용 통신기기의 확장형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모듈부 사이에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수분 침투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기기의 외관을 이루며, 일면에 접속 커넥터가 구성되고, 내부에 확장형 기능을 제공받는 본체 회로부가 구성된 본체부; 상기 접속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수단과, 상기 본체 회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확장형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 회로부가 구성된 기능 모듈부; 및 상기 본체부 및 기능 모듈부 사이에 구성되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은 반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육각형, 팔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의 끝단부 및 상기 접속수단의 바닥측 단부면에는 상기 본체부와 기능 모듈부의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본체측 접점부와 모듈측 접점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은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또는 나선형의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는 하단부가 개방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 회로부가 상기 모듈 회로부에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속수단에는 상기 접속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 회로부와 모듈 회로부를 연결하는 회로 연결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에는 하측 단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모듈 회로부가 수용되는 접속 단턱부와, 상기 접속 단턱부의 일면으로 상기 본체 회로부의 노출부가 관통하는 회로 노출공이 더 구성되고, 상기 접속수단에는 상기 접속 단턱부에 삽입되고, 상기 노출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회로 접속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 회로부와 모듈 회로부의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로커버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노출공 및 회로 접속홀은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의 측면부에 구성되되, 나사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의 끝단부는 접속 커넥터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중앙으로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수단의 단부면은 상기 끝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에는 상기 본체 회로부 및 모듈 회로부의 최초 접합 지점을 설정하고 체결시 상기 각각의 회로부들이 서로 접속/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드부 및 리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드부 및 리드홈은 문자, 또는 도형을 포함하는 이미지로 구성된 표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모듈부에는 하부 일면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된 배터리 수납부와, 외면으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와, USB 포트로 이루어지는 연결포트가 더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는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배터리 커버와, 상기 모듈 회로부와 연결되는 SD 카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접속 커넥터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을 작동시키는 축 작동스위치가 더 구성되고, 상기 접속수단에는 상기 결합축이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상기 접속수단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결합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능 모듈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기능 모듈부를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준화된 기능 모듈부를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와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확장된 성능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욕구와 용도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준화된 기능 모듈부를 공개하여, 다른 제작자가 새로운 기능, 디자인 및 향상된 성능의 기능 모듈부에 대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진보된 기술의 창출 및 시장 지배력을 넓힐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비자가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필요한 기능들에 대한 기능 모듈부만을 구입함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루는 본체부와 휴대용 통신기기의 확장형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모듈부 사이에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수분 침투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듈부가 결합된 상태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능 모듈부가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능 모듈부(200)는 독립적인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와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들과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들에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100)라 함은 기기의 작동을 통제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고, 기능 모듈부(200)는 카메라 등의 각종 단위 기능을 수행하는 부속뭉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100)는 단지 통신 또는 카메라 기능에 한정하여 설계된 것이 아니고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미처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능 가령, 동영상재생, TV, 라디오, 인터넷검색, 스냅핏 등에 의한 스위치 기능 등을 함께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통신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스마트안경 등의 각종 휴대용통신기기, 스마트자동차를 포함한 탈 것(vehicle)의 전자 유닛, 청소기나 장난감을 포함한 로봇(robot), 게임기, 노트북컴퓨터, 태블릿컴퓨터, PMP(personal Medial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랩탑컴퓨터 등을 포괄한다. 이들 휴대용 통신기기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장치와 통신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이들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100)와 기능모듈부(200)는 내부적으로 물리적 접속 또는 근거리무선통신(가령, 블루투스 등)을 사용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대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능 모듈부가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부(200)와, 상기 본체부(100) 및 기능 모듈부(200) 사이에 구성되어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방수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통상의 휴대용 통신기기들의 외부 하우징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형 기능을 제공받으며, 일면으로 기능 모듈부(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 커넥터(110)가 구성된다.
또한, 기능 모듈부(200)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로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체부(100)의 접속 커넥터(110)와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속수단(210)이 구성된다.
즉,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10)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외주면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기능 모듈부(200)에는 접속 커넥터(1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접속수단(210)이 기능 모듈부(200)의 내부로 함몰되는 요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요홈의 내주면으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통신기기의 종류, 특성 등에 따라 접속 커넥터(110)가 함몰되는 요홈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접속수단(210)이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능 모듈부(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일면으로 기능 모듈부(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납부(282)가 구성될 수 있으며, 외면으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284) 및 외장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USB 포트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연결포트(286)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282)에는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배터리 커버가 더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 수납부(282)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배터리 수납부(282)에는 후술할 모듈 회로부(230)와 연결되는 SD 카드 수용부가 더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장된 기능을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100)로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은 외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육각형, 팔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부(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10)의 끝단부(111)에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는 본체측 접점부(12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부(200)에는 접속수단(210)의 바닥면을 이루는 단부면(211)으로 상기 본체측 접점부(120)와 접하는 모듈측 접점부(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들(120, 220)은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가 체결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만 상호 접점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패드, 씨클립, 포고핀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본체부(100) 및 기능 모듈부(200)에 구성되는 본체 회로부(13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 회로부(23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접점부들(120, 220)은 각각 본체부(100) 및 기능 모듈부(200)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휴대용 통신기기의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가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전기적, 또는 전자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접점부들(120, 220)의 구성을 누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점부들(120, 220)이 각각 접속 커넥터(110)의 끝단부(111)와, 접속수단(210)의 단부면(211)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패드(300)는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 사이, 즉 본체부(100)의 하부면과 가능 모듈부(2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가 체결될 때,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기밀성을 극대화시켜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방수패드(300)는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 사이에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접속 커넥터(110)와 기능 모듈부(200)의 접속수단(210) 만으로도 충분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방수패드(300)를 더 부가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수패드(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하부면과 가능 모듈부(200)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나사산, 또는 후술할 가이드 돌기(150)에 구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방수패드(300)는 본체부(100)의 하부면과 가능 모듈부(200)의 상부면, 나사산, 또는 가이드 돌기(150) 및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의 사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120)은 내부에 휴대용 통신기기의 확장형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회로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회로의 연결을 위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접속 커넥터(110)는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측 내부에는 본체 회로부(130)가 장착되는 회로 장착홈(112)이 형성되고, 이 회로 장착홈(112)의 하부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회로 연결부(214)가 삽입되는 회로 관통홀(114)이 형성된다.
또한, 기능 모듈부(200)에는 접속수단(210)의 하측 단부에 휴대용 통신기기의 확장된 기능들에 대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모듈 회로부(230)가 수용되는 회로 수용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회로부(130)와 모듈 회로부(230)를 연결하여 확장된 휴대용 통신기기의 기능을 본체 회로부(130)측으로 제공하는 회로 연결부(214)가 구성된다.
이는,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의 접속시 본체 회로부(130) 및 모듈 회로부(230)가 연결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회로부들(130, 230)의 연결을 위한 설계의 복잡성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회로 연결부(214)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회로부(130)가 모듈 회로부(230)에 직접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로부들(130, 230)의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속 커넥터(110)의 하측 단부에는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모듈 회로부(230)가 수용되는 접속 단턱부(140)가 형성되고, 이 접속 단턱부(140)의 일면으로 본체 회로부(130)의 일부가 접속 커넥터(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본체 회로부(130)와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로 노출공(1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접속 단턱부(140)는 본체 회로부(130)의 노출부 보다 더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어 접속 단턱부(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 모듈 회로부(230)와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접속 커넥터(110)와 접속수단(210)의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진 이후에 각각의 회로부들(130, 230)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 단턱부(140)에는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패드(300)가 결합되거나, 상기 접속 단턱부(140)의 외면, 또는 내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모듈 회로부(230)에는 접속 단턱부(140)의 내부로 삽입이 이루어질 때, 모듈 회로부(230)를 보호하는 회로커버(232)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회로커버(232)에는 본체 회로부(130)의 노출부가 삽입되어 연결이 이루어지는 회로 접속홀(232a)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속 커넥터(110)의 끝단부(111)는 평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관통홀(114)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함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중앙으로 향할수록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접속수단(210)의 단부면(211) 역시 상기 끝단부(11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촉면을 넓힐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물을 포함하는 외부 이물질이 계류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접속 커넥터(110)는 그 하측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회로부들(130, 230)의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향, 또는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속 단턱부(140)가 구성될 수 있으며, 끝단부(111)의 형상 역시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내측이나 외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형태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로 노출공(142)은 접속 커넥터(110)의 끝단부(11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모듈부(200)의 모듈 회로부(230)의 설계에 따라 측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로 노출공(142)은 접속 커넥터(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나사산의 피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체 회로부(130)의 노출부는 나사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속 커넥터(110)와 접속수단(210) 간의 체결과 함께 모듈 회로부(23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기능 모듈부(200)에는 회로 접속홀(232a)을 상기 회로 노출공(142)의 중심과 동축선상에 위치시켜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의 체결시 회로 접속홀(232a)과 회로 노출공(142)이 서로 연통되게 구성하여 상기 본체 회로부(130)의 노출부와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모듈 회로부(230)에는 상기 노출부와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로 접속홀(232a) 상에 접속 회로부(234)를 더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은 외주면으로 통상의 나사산 구조를 형성하되, 2줄의 나사산을 한 쌍으로 형성하여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가이드 돌기(150) 및 상기 가이드 돌기(15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50)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150) 및 가이드홈(2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가이드 돌기(150)를 하나의 쌍으로 구성하고, 이 한 쌍의 가이드 돌기(150) 사이에 일정 거리의 피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로 노출공(142)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접합 지점을 설정하고,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접점부들(120, 220), 또는 회로부들(130, 230)이 서로 접속/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드부(160) 및 리드홈(260)이 각각 형성된다.
리드부(160)는 나선형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리드홈(260)은 상기 리드부(160)가 삽입되어 접속 커넥터(110) 및 접속수단(210)의 체결시 리드홈(260)의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리드돌기(160) 및 리드홈(260)은 도 1과 같이 본체부(100)의 하부 일면, 및 기능 모듈부(200)의 상부 일면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문자, 도형 등의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표식부(160, 260)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 간의 보다 긴밀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본체부(100)에 구성되며, 접속 커넥터(110)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결합축(170)과, 접속수단(210)에 구성되며, 상기 결합축(170)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는 결합홈(27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170)이 본체부(100)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면서 선택적으로 접속수단(210)으로부터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을 해제시키는 축 작동스위치(172)가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축(170)은 축 작동스위치(172)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인가 받으면서 자력에 의해 결합홈(270)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성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본체부(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부(200)를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 커넥터(110)는 본체부(100)에 함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능 모듈부(200)의 접속수단(210)은 돌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결합된 기능 모듈부(200)를 간편하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29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90)는 기능 모듈부(200)측으로 결합, 또는 결합해제를 위한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기능 모듈부(200)가 본체부(100)에 보다 쉽고 간편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배터리 기능과 같은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모듈부(200, 200a, 200b)를 꼬리를 무는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그 일 예로서, 본체부(100)가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본체부(100)와 최종 기능 모듈부(200)를 매개하는 기능모듈부(300)는 측면에 본체부(100)와 기능 모듈부(200)에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속부재를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재는 기능 모듈부(200)의 접속수단(210)일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접속 커넥터
120: 본체측 접점부 130: 본체 회로부
140: 접속 단턱부 150: 가이드 돌기
160: 리드돌기 170: 결합축
200: 기능 모듈부 210: 접속수단
220: 모듈측 접점부 230: 모듈 회로부
240: 단턱 고정부 250: 가이드홈
260: 리드홈 270: 결합홈
282: 배터리 수납부 284: 충전포트
286: 연결포트 290: 손잡이부

Claims (13)

  1. 휴대용 통신기기의 외관을 이루며, 일면에 접속 커넥터가 구성되고, 내부에 하나 이상의 확장형 기능을 제공받는 본체 회로부가 구성된 본체부;
    상기 접속 커넥터에 결합되는 접속수단과, 상기 본체 회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확장형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회로부가 구성된 기능 모듈부; 및
    상기 본체부 및 기능 모듈부 사이에 구성되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 거리의 피치를 형성하는 나선형의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패드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 사이에 모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은 반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육각형, 팔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의 끝단부 및 상기 접속수단의 바닥측 단부면에는 상기 본체부와 기능 모듈부의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본체측 접점부와 모듈측 접점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는 하단부가 개방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 회로부가 상기 모듈 회로부에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속수단에는 상기 접속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 회로부와 모듈 회로부를 연결하는 회로 연결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에는 하측 단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모듈 회로부가 수용되는 접속 단턱부와, 상기 접속 단턱부의 일면으로 상기 본체 회로부의 노출부가 관통하는 회로 노출공이 더 구성되고,
    상기 접속수단에는 상기 접속 단턱부에 삽입되고, 상기 노출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회로 접속홀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 회로부와 모듈 회로부의 직접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로커버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노출공 및 회로 접속홀은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의 측면부에 구성되되, 나사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의 끝단부는 접속 커넥터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함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중앙으로 향할수록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수단의 단부면은 상기 끝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이 계류하는 공간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 및 접속수단에는 상기 본체 회로부 및 모듈 회로부의 최초 접합 지점을 설정하고 체결시 상기 각각의 회로부들이 서로 접속/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드부 및 리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 및 리드홈은 문자, 또는 도형을 포함하는 이미지로 구성된 표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부에는 하부 일면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된 배터리 수납부와, 외면으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와, USB 포트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연결포트가 더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는 배터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배터리 커버와, 상기 모듈 회로부와 연결되는 SD 카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접속 커넥터의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을 작동시키는 축 작동스위치가 더 구성되고,
    상기 접속수단에는 상기 결합축이 선택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상기 접속수단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결합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기능 모듈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기능 모듈부를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KR1020180037958A 2018-04-02 2018-04-02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KR101947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58A KR101947952B1 (ko) 2018-04-02 2018-04-02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58A KR101947952B1 (ko) 2018-04-02 2018-04-02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269A Division KR101847338B1 (ko) 2017-03-02 2017-03-02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277A KR20180101277A (ko) 2018-09-12
KR101947952B1 true KR101947952B1 (ko) 2019-02-13

Family

ID=6359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58A KR101947952B1 (ko) 2018-04-02 2018-04-02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5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97A (ja) 1998-07-09 2000-01-2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3091669B2 (ja) 1995-06-14 2000-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
JP2006147474A (ja) 2004-11-24 2006-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2010186562A (ja) 2009-02-10 2010-08-2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コネクタ蓋の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US20110309071A1 (en) 2010-06-22 2011-12-22 Chih-Hsin Lin Water-proof junction box and water-proof connector assembly
JP2012009357A (ja) 2010-06-25 2012-01-12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US20140038456A1 (en) 2012-08-03 2014-02-06 Beijing Boe Energy Technology Co., Ltd. Photovoltaic Connector
US20150055917A1 (en) 2013-08-23 2015-02-26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housing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adapter for accessory device
JP2015225712A (ja)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防水接続器具及び電子機器
JP2016122524A (ja) 2014-12-24 2016-07-07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62B1 (ko) 2006-01-03 2006-11-3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다양한 기능 모듈의 결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기능 모듈 제어 방법
KR102367586B1 (ko) 2015-04-10 202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669B2 (ja) 1995-06-14 2000-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
JP2000030797A (ja) 1998-07-09 2000-01-2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2006147474A (ja) 2004-11-24 2006-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2010186562A (ja) 2009-02-10 2010-08-2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コネクタ蓋の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US20110309071A1 (en) 2010-06-22 2011-12-22 Chih-Hsin Lin Water-proof junction box and water-proof connector assembly
JP2012009357A (ja) 2010-06-25 2012-01-12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US20140038456A1 (en) 2012-08-03 2014-02-06 Beijing Boe Energy Technology Co., Ltd. Photovoltaic Connector
US20150055917A1 (en) 2013-08-23 2015-02-26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housing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adapter for accessory device
JP2015225712A (ja)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防水接続器具及び電子機器
JP2016122524A (ja) 2014-12-24 2016-07-07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277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07689B (zh) 连接模块
US9189023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5918201B2 (ja) 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腕時計
JP3176413U (ja) スマート型多機能転送及び充電器
US20150130666A1 (en) Assemble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182368A1 (en) Multifunctional travel charger
CN101529671B (zh) 用于对便携式电子设备进行充电的适配器装置
CN1881713B (zh) 用于将移动电话连接到外围装置的连接器组件
KR20130097954A (k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1847338B1 (ko)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전자기기
CN104363316A (zh) 移动终端
KR101947952B1 (ko) 착탈 가능한 확장형 기능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통신기기
CN105743154A (zh) 具备转接头保管槽的便携式充电器
CN208316360U (zh) 移动终端充电装置
JP3204464U (ja) 拡張装置、その保護ケース及びスマートフォン保護ケース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040183502A1 (en) Rechargeable receiver
CN107637927B (zh) 具有内置充电结构的智能穿戴设备
US10067479B2 (en) Wearable device and functional module thereof
CN207264378U (zh) 一种一体成型的usb数据简易接口
US7198518B1 (en) Satellite signal receiver used with blue tooth transmission and electronic maps
CN204167616U (zh) 可穿戴式数据线
CN200941190Y (zh) 具有卷线器的无线键盘
KR102292680B1 (ko) 모듈형 배터리
CN114188753B (zh) 电源适配器及电子设备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