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825B1 - 로봇, 및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및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825B1
KR101947825B1 KR1020120023489A KR20120023489A KR101947825B1 KR 101947825 B1 KR101947825 B1 KR 101947825B1 KR 1020120023489 A KR1020120023489 A KR 1020120023489A KR 20120023489 A KR20120023489 A KR 20120023489A KR 101947825 B1 KR101947825 B1 KR 10194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djustment
control function
robo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939A (ko
Inventor
베른트 핀케마이어
Original Assignee
쿠카 레보라토리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카 레보라토리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카 레보라토리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0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9Robotics, robotics to robotics hand
    • G05B2219/39233Adaptive switching of multiple models, same model but different initial estimates, different robot model for different are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9Robotics, robotics to robotics hand
    • G05B2219/39244Generic motion control operations, primitive skills each for special tas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9Robotics, robotics to robotics hand
    • G05B2219/39322Force and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0Robotics, robotics mapping to robotics vision
    • G05B2219/40395Compose movement with primitive movement segments from data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or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R) 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응하여 셋업된 로봇 (R) 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로봇 (R) 은 잇달아 있는 다수의 부재 (1) 와, 말단장치 (4, 46) 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3) 와, 부재 (1) 를 움직이기 위한 드라이브를 구비한 로봇팔 (M), 및 상기 드라이브와 연결된 제어장치 (S) 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장치 (S) 안에는, 서로 달리 우선순위화된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을 가진 위계적 조절/제어 전략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로봇팔 (M) 의 운동 동안,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해 상기 로봇팔 (M) 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자마자 그리고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자마자,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

Description

로봇, 및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A ROBOT}
본 발명은 로봇, 및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물체를 자동으로 핸들링하기 위해 목적에 부합하는 공구를 갖추고 있으며 그리고 다수의 운동축에 있어서 특히 방위 (orientation), 위치 및 작업진행과 관련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핸들링 기계이다. 로봇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부재를 가진 로봇팔 및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기 (제어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작동 동안 로봇팔의 운동 진행을 제어 또는 조절한다. 드라이브는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이다.
Kroeger T, et. al. 은 “Manipulation Primitives - A Universal Interface Between Sensor-Based Motion Control and Robot Programming”, Robot Systems for Handling and Assembly, Springer tracts in advanced robotics Vol. 67, Springer 출판사, 2010, 293-313 페이지에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공개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에 있어서 로봇팔의 자동적인 운동 동안 서로 다른 제어/조절 기능 또는 전략 간에 전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이에 상응하여 셋업된 (set up)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로봇은 잇달아 있는 다수의 부재와, 말단장치 (end effector) 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fastening device) 와, 상기 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드라이브를 구비한 로봇팔, 및 상기 드라이브와 연결된 제어장치 (control device)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 안에는, 서로 달리 우선순위화된 (prioritized)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을 가진 위계적 (hierarchical) 조절/제어 전략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단계: 상기 로봇팔의 운동 동안,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해 상기 로봇팔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자마자 그리고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자마자,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한,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양상은 로봇에 관한 것이며, 상기 로봇은
- 잇달아 있는 다수의 부재와, 말단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와, 상기 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드라이브를 구비한 로봇팔, 및
- 상기 드라이브와 연결된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 안에는, 서로 달리 우선순위화된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을 가진 위계적 조절/제어 전략이 저장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상기 로봇팔을 움직이기 위해 셋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에 따르면, 로봇팔의 자동적인 (automatic) 운동은 위계적으로 구조화된 조절/제어 전략을 근거로 실행되며, 이때,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이 로봇팔의 안정적인 운동을 허용하자마자,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이는 예컨대 문제의 (in question) 조절/제어 기능을 위해 예컨대 상기 고정장치의, 또는 로봇에 할당된 Tool Center Point 의 특정한 위치, 방위 또는 자세 (위치 및 방위) 부터 비로소 가용 가능한 (available) 센서 데이터 또는 센서 신호가 필요하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제어 또는 조절 기술적으로 가능하자마자, 로봇은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을 때에만,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된다. 이를 통해, 로봇의 조절/제어 전략을 보다 정확히 묘사하고, 그리고 동시에 전환과 관련된 로봇의 비교적 빠른 반응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추가적으로 다음의 방법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로봇팔의 운동 동안,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상기 실행조건이 더 이상 충족되어 있지 않자마자, 낮게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 이를 통해, 실행조건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조절/제어 기능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것이 달성되며, 상기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해 로봇팔의 자동적인 운동이 계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추가적으로 다음의 방법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로봇팔의 운동 동안,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한 상기 로봇팔의 안정적인 운동이 불가능하자마자, 낮게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 이를 통해, 로봇의 불안정적인 상태가 생기는 위험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로봇팔의 운동을 위해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자유도 (degree of freedom) 를 위해 서로 독립적인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서로 다른 조절/제어 기능 간의 전환이 자유도당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유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의 전환은, 상기 상응하는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해 상기 로봇팔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자마자 그리고 적어도 이 자유도를 위해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자마자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문제의 (in question) 자유도의 각각을 위해 자기 자신의 실행조건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실행조건은 상기 문제의 자유도에 할당된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독립적인 (independent) 실행조건은 상기 문제의 (in question) 조절/제어 기능의 자유도와는 다른 자유도에 할당되어 있다. 이를 통해, 경우에 따라서는 응용을 위해 유리한 조절/제어 전략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행조건은 상기 로봇의 안전조건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충돌 감시를 통해 실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컨대 특정한 조절/제어 기능은, 충돌 감시가 로봇팔을 이용해 움직여진 물체의 충돌을 인식하지 않을 때에만 실행된다. 상기 안전조건은 안전 제어기를 통해 검사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제어기는 특히 외부 안전 제어기, 예컨대 SPS 이며, 상기 안전 제어기는 상기 로봇의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로봇팔의 자동적인 운동 동안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 간의 비교적 융통성 있는 및/또는 동적 (dynamic) 전환을 제공한다.
주변조건에서, 예컨대 실행조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에게 가용 가능한 모든 신호가 처리된다. 신호 소스는 모듈 안에 캡슐화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련된 알고리즘 (그들 간에 전환된다) 은 모듈 안에 캡슐화되어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조절/제어 기능이 여러 가지 자유도를 위해 특히 독립적으로 사용되면, 발생된 제어 및/또는 조절 변수가 이전의 사이클 (cycle) 에서 사용되었는 지의 여부가, 경우에 따라서는 존재하는 대안적인 (alternative) 모듈에게 통지될 수 있다. 즉, 그의 제어 또는 조절 행동이 성공적이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근거로 경우에 따라서는, 대안적인 조절 또는 제어가 시스템을 항상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의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에게 경우에 따라서는 문법 (grammar) 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문법과 함께 전환 조건 및 관련된 모듈이 분명히 정의될 수 있다), 제어 및 조절 대안의 조합 가능성은 바람직하게는 분명히 명령 (command) 안에서 정의된다.
작동 명령에서의, 즉 운동 레코드 안의 로봇팔의 자동적인 운동 동안의 각각의 직각 자유도에게는, 바람직하게는 컨트롤 (control) 을 떠맡기 위한, 목표값 및 매개변수화 (parametrization) 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책임지고 있는 (responsible) 모듈이 할당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대안적인 모듈은 상응하는 목표값 및 파라미터 세트를 갖고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대안적인 모듈은 서로 다른 조절/제어 기능에 할당되어 있다. 대안은 일련 번호가 매겨질 수 있다. 이때, 수여된 번호는 대안의, 즉 문제의 조절/제어 기능의 우선순위에 상응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오리지널 모듈 또는 조절/제어 기능은 번호 0 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이 실행될 수 없으면, 첫 번째 대안이 선택된다. 그는 번호 1 을 가진다. 이것이 또한 컨트롤을 떠맡을 수 없는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번호 2 를 가진 두 번째 대안이 시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임의로 계속될 수 있다.
각각의 선택 대안에게 실행조건이 넘겨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불 연산식 (Boolean expression) 이다. 그 안에서, 예컨대 시스템 또는 제어장치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값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값은 시스템 안에 가용 가능한 모든 모듈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예컨대, 직교 (Cartesian) 좌표계의 x 방향으로 접촉력 (상기 접촉력을 갖고 로봇팔은 예컨대 물체를 내려놓아야 한다), 그리고 예컨대 카메라 시스템의 도움으로 직교 좌표계의 y 방향으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x 방향을 위해, 비교적 정밀한 제 1 힘조절 모듈 (힘조절 기능) 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비교적 정확히 접촉력을 설정하기 위해 또는 의도된 접촉력이 로봇을 이용해 움직여진 물체에 비교적 정확히 작용하도록 로봇팔을 움직이기 위해 셋업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물체와 그의 환경과의 접촉이 이미 발생되는 것이 조건이다. 제곱 조절오차가 일정 (constant)ε 환경의 내에 있어야 하는 것이 실행조건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그러하지 않은 동안은, 제 2 힘조절 모듈 (힘조절 기능) 이 로봇팔의 운동의 컨트롤을 떠맡을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예컨대 상기 물체와 표면과의 접촉 발생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다. 하지만 그는 접촉력이 이미 측정 가능할 때에만 활성화된다. 이는 예컨대 실행조건 “힘 > 100N”과 함께 보장된다. 상기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속도제어가 로봇팔의 운동의 컨트롤을 떠맡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컨대 충돌 저지 모듈이 충돌 위험을 보고하지 않는다는 주변조건 (실행조건) 하에만 발생한다.
이 예를 위해, y 방향을 위해 카메라 시스템이 선택되고 그리고 상응하는 주변조건 (실행조건) 이 작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주변조건 안에서, x 방향으로 이미 물체와 그의 환경과의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졌으면 그리고 카메라 시스템이 예컨대 배치되어야 하는 영상 특징을 이미 인식했으면 카메라 시스템이 단지 로봇팔의 운동의 컨트롤을 떠맡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장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영상 특징이 인식될 때까지, 사전 정의된 속도를 갖고 로봇팔이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관련된 조절/제어 모듈 또는 각각의 조절/제어 기능은 예컨대 특히 주기적으로 플래그 (flag) 를 함께 공급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할당된 조절/제어 기능이 원칙적으로 로봇팔의 운동의 컨트롤을 떠맡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지의 여부를 신호로 알린다. 이는 예컨대 그것이“true”로 설정되어 있으면 그러하다. 이 플래그는 의무적으로 항상 실행조건“AND”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안정적인 제어변수만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정성 책임은 상응하는 모듈에 또는 상응하는 조절/제어 기능에 있다.
제어 사이클당 모든 관련된 모듈 신호가 내부에, 즉 제어장치 안에 수집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응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될 수 있다. 결과로서 특히 각각의 자유도를 위해 제어변수가 생긴다. 이것은 그 후 하부 조절/제어층에게 전달된다.
제시되어 있는 대안적인 모듈 중 어느 것도 컨트롤을 떠맡을 수 없는 경우에는, Default-Backup 제어로 전환될 수 있다. 이 Backup 제어는 로봇팔의 운동을 안정화시키는 과제만 갖고 있다. 그는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과제를 이행하는데 기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에게 오류보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응하여 이에 반응할 수 있다.
각각의 조절/제어 모듈 또는 각각의 조절/제어 기능은 다음 사이클에서 (다음의 제어 사이클에서), 그에 의해 발생된 제어변수가 이용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해 알려줄 수 있다. 현재의 사이클을 위한 안정적인 제어변수를 발생시킬 수 있기 위해, 상응하는 조절/제어 모듈은 경우에 따라서는 이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로써, 로봇이 실제로 뒤따르지 않으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된 적분기가 오버런하고 그리고 보간기가 계속 작동되는 것이 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에 일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로봇팔과 제어장치를 가진 로봇,
도 2 는 로봇팔의 고정장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물체를 붙잡는 그립퍼로서 설계된 말단장치,
도 3 은 로봇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는 표,
도 4 는 로봇팔의 고정장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물체를 붙잡는 그립퍼로서 설계된 그 밖의 말단장치,
도 5 는 그 밖의 표이다.
도 1 은 로봇 (R) 을 보이고 있으며, 상기 로봇은 로봇팔 (M) 과 제어장치 (S) 를 구비한다. 로봇팔 (M) 은 본질적으로 로봇 (R) 의 이동식 부품이며, 잇달아 있는 다수의 부재 (1) 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관절 (2) 을 이용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의 단부 중 하나에, 로봇팔 (M) 은 예컨대 플랜지 형태의 고정장치 (3) 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에는 예컨대 그립퍼 (gripper, 4) 형태의 말단장치 (end effector) 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립퍼 (4) 는 예컨대 그립핑 조 (gripping jaw, 5) 를 구비하며, 상기 그립핑 조를 이용해 그립퍼 (4) 는 물체 (6) 를 붙잡을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물체는 로봇 (R) 을 이용해 움직여질 수 있다. 붙잡힌 물체 (6) 를 가진 그립퍼 (4) 와, 고정장치 (3) 와, 로봇팔 (M) 의 부품은 도 2 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 이외에, 로봇팔 (M) 은 제어장치 (S) 와 연결된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은 드라이브를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브를 이용해 부재 (1) 는 관절 (2) 에 할당된 축과 관련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에는 축 (A) 중 단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축과 관련하여 고정장치 (4) 는 직접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고, 특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는 예컨대 전기 드라이브 (electric drive) 이며, 그리고 특히 로봇 (R) 의 자동운전 (automatic operation) 중 제어장치 (S) 에 의해 제어되고, 따라서 고정장치 (3) 또는 로봇 (R) 의 이른바 Tool Center Point 는 사전 결정된 운동을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제어장치 (S) 에는 상응하는 사용자 프로그램 (user program) 이 진행된다. 특히, 제어장치 (S) 는 자동운전 중 상기 드라이브를 조절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립퍼 (4) 도 제어장치 (S) 와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는 물체 (6) 의 붙잡음 및 풀어놓음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그립퍼 (4) 는 힘/토크 센서 (7), 카메라 (8), 및 거리 센서 (9) 를 구비하며, 상기 힘/토크 센서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거리 센서는 마찬가지로 제어장치 (S) 와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에게는 상기 힘/토크 센서 (7) 에 의해, 상기 카메라 (8) 에 의해, 그리고 상기 거리 센서 (9) 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제공된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카메라 (8) 는 특히 그립퍼 (4) 의 충격 방향 (direction of impact) 으로부터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셋업되어 있으며, 그리고 거리 센서 (9) 는 마찬가지로 그립퍼 (4) 의 충격 방향으로의 거리 (d) 를 검출하기 위해 셋업되어 있다. 예컨대 그립퍼 (4) 가, 그의 충격 방향이 직교 (Cartesian) 세계 좌표계 (10) 의 x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게 정렬되어 있다면, 본 실시예의 경우 카메라 (8) 와 거리 센서 (9) 는 마찬가지로 좌표계 (10) 의 x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그립퍼 (4) 의 충격 방향은 특히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축 (A) 의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 로봇 (R) 은 그립퍼 (4) 를 이용해 붙잡힌 물체 (6) 를 스톱 (stop, 12) 에 접한 바닥 (11) 위에 내려놓아야 한다. 이 목표위치에 내려놓여 있을 때의 물체 (6) 가 도 2 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체 (6) 를 그의 목표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그리고 그곳에 내려놓기 위해, 제어장치 (S) 안에는 조절 및/또는 제어 전략이 특히 사용자 프로그램의 부분으로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조절 및/또는 제어 전략은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표에 요약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목표위치에서 물체 (6) 는 바닥 (11) 의 표면과, 그리고 스톱 (12) 의 표면과 접촉해 있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 (S) 는, 힘/토크 센서 (7)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한 힘조절, 카메라 (8)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한 위치조절, 및 거리 센서 (9)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한 거리조절을 실현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어장치 (S) 는, 여러 가지 방향 및/또는 방위 또는 그립퍼 (4) 의 자유도에 있어서 여러 가지 조절 및/또는 제어 전략을 서로 독립적으로 실현하도록 셋업되어 있다. 이 이외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목표위치를 향한 경로에서, 미리 알려져 있지 않은 방해물 또는 장애물 (13) 과의 충돌이 저지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장치 (S) 에게는 카메라 (8), 거리 센서 (9) 및 힘/토크 센서 (7) 를 근거로 다음의 정보 또는 신호가 제공된다:
- 측정된 힘 (F), 상기 힘으로부터, 예컨대 목표힘과 관련하여 y 방향으로의 제곱오차 Fy - error 2 가 산출될 수 있다,
- 카메라 (8) 로부터 유래하는 신호를 근거로, 제어장치 (S) 는 장애물 (13), 그리고 그러므로 물체 (6) 의 운동 동안의 충돌 위험, 및 스톱 (12) 을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y 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음의 제어/조절 기능이 제공된다:
- 미리 정해져 있는 목표힘 (Fsoll) 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목표힘을 갖고 물체 (6) 는 바닥 (11) 및 스톱 (12) 을 터치해야 한다), 힘/토크 센서 (7) 를 기초로 한 힘조절, 특히 직교 (Cartesian) 힘조절,
- 속도제어, 특히 직교 (Cartesian) 속도제어 (경로 계획장치 및 보간기), 상기 속도제어와 함께 물체 (6) 는 - 이 모드에서 작동되면 - 움직여야 한다,
- 거리 센서 (9) 를 기초로 한 거리조절.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장치 (S) 는 도 3 의 표를 이용해 요약되어 있는 위계적 조절/제어 구조, 그리고 그러므로 한 조절 및/또는 제어 기능으로부터 다른 조절 및/또는 제어 기능으로의 상태전이 (state transition) 를 실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장치 (S) 는 로봇팔 (M) 을 경로 계획 (path planning) 을 이용해 움직이며, 따라서 물체 (6) 는 적어도 상기 목표위치 근처로 움직여진다. 장애물 (13) 은 카메라 (8)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인식된다.
물체 (6) 가 거의 상기 목표위치 안에 도달하면, 제어장치 (S) 는 힘/토크 센서 (7)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x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y 방향으로 예컨대 10 N 의 접촉력을 설정한다. 그러므로, x 및 y 방향을 위해 힘조절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prioriy) 를 갖고 활성화된다. 하지만 이것은 힘조절이 조절준비 완료를 보고했을 때에만 (필요기준 (necessary criterion)) 그리고 실행조건 (충분기준 (sufficient criterion)) 이 충족되어 있을 때에만 활성적이다. 이는 x 방향을 위해 예컨대, 물체 (6) 가 이미 스톱 (12) 에 도달했고, 따라서 y 방향으로의 접촉력은 미리 정해져 있는 허용오차 범위 내에 이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y 방향으로는, 힘조절은 물체 (6) 가 이미 스톱 (12) 의 근처에 있어야만 활성화된다.
필요 또는 충분 기준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다음 대안 (alternative) 이 검사된다: 여기에서는, 정의된 (defined) 속도를 갖고 상기 접촉부를 향해 이동하기 위해, 두 자유도에서, 즉 x 방향에서 및 y 방향에서, 속도제어로 전환하는 것이 시도된다. 이미 물체 (6) 가 스톱 (12) 에 접해 있으면, 즉 y 방향으로의 접촉력이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으면, 비교적 낮은 속도를 갖고 x 방향으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카메라 (8)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스톱 (12) 이 인식되었으면, 비교적 낮은 속도를 갖고 y 방향으로 이동된다.
스톱 (12) 이 아직 인식되지 않은 동안은, x 방향으로 거리조절이 활성화되며, 또는 그의 필요기준이 충족되어 있지 않으면 (거리 측정은 거리 센서 (9) 를 이용해 가능하지 않다) 속도제어가 활성화된다. 거리조절과 함께, 스톱 (12) 을 향한 주행시 바닥 (11) 에 대한 거리 (d) 가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에 반해, y 방향으로, 충돌 위험이 인식되지 않는 동안은 비교적 높은 속도를 갖고 스톱 (12) 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충돌 위험이 인식되고, 그리고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어 또는 조절 대안이 상응하는 필요 및 충분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속도는 영 (zero) 으로 감소한다.
그러므로, 제어장치 (S) 는, 한 제어/조절 기능으로부터 다른 제어/조절 기능으로의 비교적 복합적인 상태전이 (state transition) 를 실현하기 위해 셋업되어 있다.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제어/조절 기능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특정한 제어/조절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필요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상응하는 제어/조절 기능의 안정성이 보장되며, 즉 상기 기능은 로봇 (R) 이 이 제어/조절 기능과 함께 안정적으로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추가적으로, 특히 자유로이 정의될 수 있는 충분기준이 충족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예컨대, 제어/조절 기능이 응용의 정확한 컨텍스트 (context) 안에서 이용되는 것이 달성된다.
한 제어/조절 기능으로부터 다른 제어/조절 기능으로의 전환은 두 방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속도제어로부터 힘조절로, 그리고 정반대로). 상기 전환은 특히 제어장치 (S) 의 한 제어 사이클 내에서 수행되며, 이를 통해 사전 처리 대기 시간 또는 그 밖의 활성화 지연이 저지될 수 있다. 결정은 특히“반사 작용으로” 상기 제어 사이클 내에서 수행되며, 이로 인해, 보다 느린 애플리케이션/진행 제어가 필요해지지 않는다.
전환은 자유도당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충분 실행조건 또는 충분기준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된 불 연산식 (Boolean expresssion) 을 위해, 임의의 신호가 동원될 수 있다. 이것은 미처리된 또는 처리된 센서 신호, 제어/조절 기능의 중간 결과 및/또는 감시, 계획 및 추정 알고리즘의 결과일 수 있다.
도 4 는 대안적인 그립퍼 (44) 를 보이고 있으며, 이 그립퍼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그립퍼 (4) 대신 로봇팔 (M) 의 고정장치 (3) 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그립퍼 (44) 는 마찬가지로 힘/토크 센서 (7), 카메라 (8), 및 거리 센서 (9) 를 구비하며, 상기 힘/토크 센서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거리 센서는 마찬가지로 제어장치 (S) 와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에게는 상기 힘/토크 센서 (7) 에 의해, 상기 카메라 (8) 에 의해, 그리고 상기 거리 센서 (9) 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제공된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카메라 (8) 는 특히 그립퍼 (44) 의 충격 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부터의 2차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셋업되어 있다. 거리 센서 (9) 는 그립퍼 (44) 의 충격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d) 를 검출하기 위해 셋업되어 있다. 예컨대 그립퍼 (44) 가, 그의 충격 방향이 직교 (Cartesian) 세계 좌표계 (40) 의 z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게 정렬되어 있으면, 본 실시예의 경우 카메라 (8) 는 좌표계 (40) 의 x-y 평면에서의 2차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셋업되어 있으며, 그리고 거리 센서 (9) 는 좌표계 (40) 의 y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는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 (8) 는 특히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위치 측정 시스템은 x 및 y 방향으로의 목표위치의 비교적 대략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이 정보는 x 및 y 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을 위해 동원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 로봇 (R) 은 그립퍼 (44) 를 이용해 붙잡힌 물체 (46) 를 바닥 (11) 위에, 측벽 (14) 으로부터 미리 정해져 있는 거리 (dsoll) 을 두고 내려놓아야 한다. 물체 (46) 를 그의 목표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그리고 그곳에 내려놓기 위해, 제어장치 (S) 안에는 조절 및/또는 제어 전략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및/또는 제어 전략은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표에 요약되어 있다.
우선 제어장치 (S) 는, 물체 (46) 를 미리 정해져 있는 경로를 따라 적어도 거의 물체 (46) 의 목표위치를 향해 움직이도록 로봇팔 (M) 의 드라이브를 제어한다.
좌표계 (40) 의 x 방향으로의 자유도를 위해,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위치조절을 이용한 x 방향으로의 운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자마자, 이 자유도를 위해 자동적으로 제어장치 (S) 는 위치조절로 전환된다. 제어장치 (S) 는 카메라 (8)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한 x 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의 가능성을 인식한다.
좌표계 (40) 의 y 방향으로의 자유도를 위해, 위치조절을 이용한 y 방향으로의 운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자마자, 이 자유도를 위해 자동적으로 제어장치 (S) 는 마찬가지로 위치조절로 전환된다. 제어장치 (S) 는 마찬가지로 카메라 (8)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한 y 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의 가능성을 인식한다. 물체 (46) 가 측벽 (14) 에 충분히 가까이 데려와지고, 따라서 거리 센서 (9) 가 신뢰성 있게 거리 (d) 를 검출할 수 있으면, 자동적으로 제어장치 (S) 는 y 방향을 위한 거리조절로 전환된다.
좌표계 (40) 의 z 방향으로의 자유도를 위해, 힘조절을 이용한 z 방향으로의 운동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자마자, 이 자유도를 위해 자동적으로 제어장치 (S) 는 힘조절로 전환된다. 제어장치 (S) 는 예컨대 힘/토크 센서 (7) 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근거로 한 z 방향으로의 힘조절의 가능성을 인식하며, 상기 신호는 그립퍼 (44) 또는 물체 (46) 상에서 힘/토크 센서 (7) 를 이용해 검출된 최소힘에 할당되어 있다.
그립퍼 (46) 의 나머지 3 자유도 (방위 또는 회전) 와 관련된 자유도를 위해, 가능하자마자 본 실시예의 경우 마찬가지로 경로 계획으로부터 힘조절로 전환된다.
따라서, 특정한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어/조절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또는 활성화되도록, 한 조절 및/또는 제어 전략으로부터 다음으로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 및/또는 제어 전략으로의 상기 기술된 전환을 위해 각각 필요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상응하는 제어/조절 기능의 안정성이 보장되며, 즉 상기 기능은 로봇 (R) 이 이 제어/조절 기능과 함께 안정적으로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추가적으로,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어/조절 기능으로의 전환을 위해, 특히 자유로이 정의될 수 있는 충분기준이 또한 충족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예컨대 환경의 감각적 (sensory) 검출을 통해 충족된다. 필요기준은 예컨대 다른 자유도의 현재 상태를 근거로 발생할 수 있거나 또는 안전기준 (safety criterion) 일 수도 있으며, 예컨대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어/조절 기능으로의 전환은 특정한 미리 정해져 있는 또는 미리 정해질 수 있는 안전 규정이 충족되어 있을 때에만 수행된다. 이렇게 하여 예컨대, 로봇 (R) 이 위치조절을 위해, 드문 위치에 너무 가까이 있으면 (왜냐하면 그러면 축속도를 초과하는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로봇 (R) 의 제어장치 (S) 와 연결되어 있는 외부 안전 제어기 (15) 가 예컨대 “거부하는 것이”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안전 제어기 (15) 는, 안전 기술적인 이유로 인해 로봇 (R) 이 외부 센서에 기초를 둔 특정한 제어회로가 금지되어 있는 작동모드 (예컨대 가동 개시 모드) 에 있으면 제어회로의 활성화를 저지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안전 제어기 (15) 는, 로봇 (R) 이 작업공간의 가장자리에 너무 가까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위험할 수 있는 작업공간 안에 심지어 사람이 위치해 있으면 조절 및 제어 기능으로 전환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동운전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로봇팔 (M) 이 자동적으로 제어장치 (S) 의 도움으로 움직여지는 다른 로봇 작동모드 (예컨대 가동 개시 또는 수동 방법 (manual method)) 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로봇 (R) 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로봇은 잇달아 있는 다수의 부재 (1) 와, 말단장치 (4, 44) 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3) 와, 부재 (1) 를 움직이기 위한 드라이브를 구비한 로봇팔 (M), 및 상기 드라이브와 연결된 제어장치 (S)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 안에는, 서로 달리 우선순위화된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을 가진 위계적 조절/제어 전략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방법단계:
    상기 로봇팔 (M) 이 제 1 조절/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제 1 조절/제어 기능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제 1 조절/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로봇팔 (M) 의 운동 동안,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해 상기 로봇팔 (M) 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자마자 그리고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자마자,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으로부터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은 적어도 2 개의 자유도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자유도 중 하나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은 상기 적어도 2 개의 자유도 중 나머지 자유도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과 독립적이고,
    상기 방법단계는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2 개의 자유도 중 하나에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 간의 전환이 나머지 자유도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 간의 전환과 독립적으로 일어나는 단계; 및
    a) 상기 실행조건이 더 이상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것 및/또는 b)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한 상기 로봇팔 (M) 의 안정적인 운동이 불가능한 것이 발생되는지 판단하고,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되면,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에서 낮게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한, 로봇 (R) 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의 전환은, 상응하는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해 상기 로봇팔 (M) 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자마자 그리고 적어도 이 자유도를 위해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자마자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독립적인 (independent) 상기 실행조건은 문제의 (in question) 조절/제어 기능의 자유도와는 다른 자유도에 할당되어 있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조건은 상기 로봇 (R) 의 안전조건에 할당되어 있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안전 제어기 (15) 를 통한 상기 안전조건의 검사를 구비한 방법.
  6. 로봇으로서, 상기 로봇은
    - 잇달아 있는 다수의 부재 (1) 와, 말단장치 (4, 46) 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3) 와, 부재 (1) 를 움직이기 위한 드라이브를 구비한 로봇팔 (M), 및
    - 상기 드라이브와 연결된 제어장치 (S)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 안에는, 서로 달리 우선순위화된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을 가진 위계적 조절/제어 전략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조절/제어 기능은 적어도 2 개의 자유도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자유도 중 하나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은 상기 적어도 2 개의 자유도 중 나머지 자유도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과 독립적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로봇팔 (M) 의 운동 동안,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해 상기 로봇팔 (M) 의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자마자 그리고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과 무관한 실행조건이 충족되어 있자마자, 제 1 조절/제어 기능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이 아닌 제 1 조절/제어 기능으로부터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자유도 중 하나에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 간의 전환이 상기 적어도 2 개의 자유도 중 나머지 자유도로 상기 로봇팔 (M) 을 움직이기 위한 조절/제어 기능 간의 전환과 독립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추가적으로, a) 상기 실행조건이 더 이상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것 및/또는 b) 상기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을 이용한 상기 로봇팔 (M) 의 안정적인 운동이 불가능한 것이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a) 및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제 1 조절/제어 기능 보다 높이 우선순위화된 제 2 조절/제어 기능에서 낮게 우선순위화된 조절/제어 기능으로 전환하는 로봇.
  7. 삭제
  8. 삭제
KR1020120023489A 2011-03-14 2012-03-07 로봇, 및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1947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5513A DE102011005513A1 (de) 2011-03-14 2011-03-14 Robot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oboters
DE102011005513.4 2011-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939A KR20120104939A (ko) 2012-09-24
KR101947825B1 true KR101947825B1 (ko) 2019-02-13

Family

ID=4593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489A KR101947825B1 (ko) 2011-03-14 2012-03-07 로봇, 및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17032B2 (ko)
EP (1) EP2500789B1 (ko)
KR (1) KR101947825B1 (ko)
CN (1) CN102672711B (ko)
DE (1) DE102011005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3831B (en) * 2014-03-07 2020-09-30 Cmr Surgical Ltd Surgical arm
JP6443837B2 (ja) * 2014-09-29 2018-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DE102014226239A1 (de) * 2014-12-17 2016-06-23 Kuka Roboter Gmbh Verfahren zum sicheren Einkoppeln eines Eingabegerätes
GB2538497B (en) * 2015-05-14 2020-10-28 Cmr Surgical Ltd Torque sensing in a surgical robotic wrist
CN106405368A (zh) * 2015-07-31 2017-02-1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子部件搬送装置以及电子部件检查装置
DE102015011910A1 (de) * 2015-09-11 2017-03-16 Kuka Roboter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Steuern einer Roboteranordnung
DE102017202195A1 (de) * 2016-03-09 2017-09-14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Mehrachs-Roboter mit Antrieben, einem Werkzeugkopf und einer Schleppkette zum Führen von flexiblen Leitungen
CN106020024B (zh) * 2016-05-23 2019-02-15 广东工业大学 一种机械臂末端运动补偿装置及其补偿方法
JP6444942B2 (ja) * 2016-05-26 2018-12-2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衝撃緩和部材を有するツールを備えたロボット
CN106372552B (zh) * 2016-08-29 2019-03-26 北京理工大学 人体目标识别定位方法
FR3076239B1 (fr) * 2017-12-29 2020-01-10 Safran Nacelles Dispositif pour la depose d'un cordon d'une substance plastique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KR102137615B1 (ko) * 2018-11-07 2020-07-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검사용 로봇 그리퍼 및 그 제어 방법
DE102020214231A1 (de) 2020-11-12 2022-05-1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robotervorrichtung und robotersteuereinrichtung
DE102022208769B3 (de) 2022-08-24 2023-11-09 Kuka Deutschland Gmbh Roboterbahnplanung und -steuerung
WO2024177839A1 (en) * 2023-02-11 2024-08-29 Ghost Robotics Corporation Decoupled wrist-agnostic control for modular robotic a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3828A (ja) 2005-06-07 2006-12-21 Fanuc Ltd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WO2011001569A1 (ja) * 2009-07-02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3168B (sv) * 1982-04-19 1988-01-18 Lennart Palmer Anordning for att utbytbart anordna verktyg pa en industrirobot
DD242588A1 (de) * 1985-11-14 1987-02-04 Robotron Rationalisierung Anordnung zur sensorsignalverarbeitung fuer industrieroboter
US4999553A (en) * 1989-12-28 1991-03-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control of redundant robots
US5430643A (en) * 1992-03-11 1995-07-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Configuration control of seven degree of freedom arms
US5737500A (en) * 1992-03-11 1998-04-0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obile dexterous siren degree of freedom robot arm with real-time control system
JP2925072B2 (ja) * 1996-08-07 1999-07-2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の位置教示のための移動制御方式
US8467904B2 (en) * 2005-12-22 2013-06-18 Honda Motor Co., Ltd. Reconstruction, retargetting, tracking, and estimation of pose of articulated systems
US8924021B2 (en) * 2006-04-27 2014-12-30 Honda Motor Co., Ltd. Control of robots from human motion descriptors
JP4235214B2 (ja) * 2006-07-04 2009-03-1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プログラムを作成するための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方法
EP1914044A1 (de) * 2006-10-20 2008-04-23 Abb Research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eweg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3828A (ja) 2005-06-07 2006-12-21 Fanuc Ltd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WO2011001569A1 (ja) * 2009-07-02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0789A2 (de) 2012-09-19
DE102011005513A1 (de) 2012-09-20
US20120239190A1 (en) 2012-09-20
CN102672711B (zh) 2015-11-25
KR20120104939A (ko) 2012-09-24
US9317032B2 (en) 2016-04-19
EP2500789B1 (de) 2020-04-22
EP2500789A3 (de) 2017-08-30
CN102672711A (zh)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825B1 (ko) 로봇, 및 로봇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US11241796B2 (en) Robo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system
US11090814B2 (en) Robot control method
CN108495738B (zh) 用于提供动态机器人控制系统的系统和方法
US10759051B2 (en)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robotic mobile manipulation system
US8498745B2 (en) Robot apparatus and gripping method for use in robot apparatus
Cherubini et al. Multimodal control for human-robot cooperation
JP2008302496A (ja) 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プログラム
JP5849451B2 (ja) ロボットの故障検出方法、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
KR102400668B1 (ko) 매니퓰레이터와 입력 툴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핸들링하는 방법
JP6696341B2 (ja) 制御方法
WO2017175340A1 (ja) 最適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垂直型多関節ロボット
Leeper et al. Methods for collision-free arm teleoperation in clutter using constraints from 3d sensor data
JP2015186834A (ja) ロボット制御装置、把持部制御装置、ロボット、把持部、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07010A (ja)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Sarić et al. Robotic surface assembly via contact state transitions
US10317201B2 (en) Safety monitoring for a serial kinematic system
WO2018153474A1 (en) Robot system, method for programming a robot manipulator and control system
JP6668629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CN113771026A (zh) 一种提升安全控制性能的工业机器人及其控制方法
Shi et al. Mobile robotic assembly on a moving vehicle
US11833666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 operating member and an adapting member by a robot, robot, and controller
WO2024105779A1 (ja) 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7259487B2 (ja) 制御方法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Leeper et al. Arm teleoperation in clutter using virtual constraints from real sensor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