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03B1 -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03B1
KR101947703B1 KR1020170083180A KR20170083180A KR101947703B1 KR 101947703 B1 KR101947703 B1 KR 101947703B1 KR 1020170083180 A KR1020170083180 A KR 1020170083180A KR 20170083180 A KR20170083180 A KR 20170083180A KR 101947703 B1 KR101947703 B1 KR 10194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baby
unit
buoyancy
ba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899A (ko
Inventor
이보경
Original Assignee
이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경 filed Critical 이보경
Priority to KR102017008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7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와, 상기 등지지부와 연결되되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끈을 구비하며,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 아기띠 유닛; 및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연결되되 상기 아기가 앉을 수 있게끔 일정한 부피를 형성하고 내부에 부력체가 탑재되는 힙시트와, 상기 힙시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힙시트를 허리에 고정하는 한 쌍의 시트밴드를 구비하며,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BABY HIP SEAT CARRIER}
본 발명은,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띠가 필요한 개월 수의 아기가 보호자와 함께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아기를 안을 때는 보통 두 팔로 유아의 체중을 지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자세로는 장시간 아기를 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팔에 무리가 갈 수 있다.
특히 아기를 안으면 두 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어 상당히 불편하다. 때문에 아기를 등에 업거나 가슴에 안기 위해 소위, 포대기라 하는 아기 용품을 사용한다. 하지만, 포대기는 아기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에 집중되기 때문에 어깨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아기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또는 골반으로 분산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고 또한 편안한 자세에서 장시간 아기를 안을 수 있게끔 하는 힙시트 캐리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힙시트 캐리어는 아기가 앉은 상태에서 포대기처럼 아기를 감싸는 마치 앞으로 매는 배낭 형태라서 아빠들도 착용하는 데에 전혀 무리가 없기 때문에 아기띠가 필요한 개월 수의 아기를 데리고 있는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힙시트 캐리어의 경우, 그 대부분이 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이러한 힙시트 캐리어를 착용하고 아기와 함께 물놀이를 즐길 수는 없다.
따라서 물놀이를 즐기고자 하면 별도의 방수 캐리어를 더 휴대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다소 불편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083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3225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546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3-00107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띠가 필요한 개월 수의 아기가 보호자와 함께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와, 상기 등지지부와 연결되되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끈을 구비하며,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 아기띠 유닛; 및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연결되되 상기 아기가 앉을 수 있게끔 일정한 부피를 형성하고 내부에 부력체가 탑재되는 힙시트와, 상기 힙시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힙시트를 허리에 고정하는 한 쌍의 시트밴드를 구비하며,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상기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상기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이 접하는 영역에 착탈식 유닛 지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은 구명조끼용으로 사용되는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일 수 있다.
상기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아기가 독립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끔 하는 아기용 구명조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상기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기띠가 필요한 개월 수의 아기가 보호자와 함께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방수 아기띠 유닛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의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수납부에 대한 변형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의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방수 아기띠 유닛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의 분리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는 아기띠가 필요한 개월 수의 아기가 보호자와 함께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는 아기를 안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물놀이 기능을 겸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는 구명조끼가 필요치 않은 물놀이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이러한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는 방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는 물놀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방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의 각 부분이 합성고무와 같은 방수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아니면 천 재질로 외형을 제작한 후에 비닐 표피를 덧씌워 제작할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라도 방수 기능을 보유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방수 아기띠 유닛(110)은 통상의 포대기 혹은 아기띠처럼 아기를 감싸는 부분이다. 이러한 방수 아기띠 유닛(110)은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111)와, 등지지부(111)와 연결되되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끈(112)을 포함한다.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를 착용했을 때, 등지지부(111)가 아기의 등을 후방에서 받쳐준다. 따라서 아기는 편안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물론, 등지지부(111)에 아기를 앞쪽으로 배치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앞 보기도 가능해진다.
어깨걸이끈(112)은 양 어깨에 거는 용도이다. 다만, 어깨걸이끈(112)만을 사용해서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를 착용하면 사용 중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에는 어깨걸이끈(112)이 임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후크 타입의 제1 및 제2 메인 버클(113,115)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메인 버클(113,115)은 제1 및 제2 버클끈(114,116)으로 어깨걸이끈(112)에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 메인 버클(113,115)은 제1 및 제2 버클끈(114,116) 상에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은 방수 아기띠 유닛(110)의 하부 영역에서 방수 아기띠 유닛(110)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아기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은 아기가 앉을 수 있게끔 일정한 부피를 형성하는 힙시트(121)와, 힙시트(121)의 양측에 배치되고 힙시트(121)를 허리에 고정하는 한 쌍의 시트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힙시트(121)의 상면(121a)은 아기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게끔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다. 물론, 힙시트(121)의 상면(121a)에 일정한 쿠션이 개재되면 더욱 효과가 좋을 수 있다.
이러한 힙시트(121)는 일정한 부피를 형성하는데, 힙시트(121)의 내부에는 도시 않은 부력체가 탑재된다. 따라서 물놀이를 할 때, 마치 아기가 튜브에 올라 앉은 것처럼 아기가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한 쌍의 시트밴드(122) 중 하나에는 다른 하나에 부착되기 위한 벨크로 고정부(123)가 마련된다.
다만, 벨크로 고정부(123)만으로는 시트밴드(122)의 고정력이 다소 약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제1 및 제2 서브 버클(124,126)이 마련된다. 즉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이 임의로 풀리면 곤란하기 때문에 완전한 결속을 위해 제1 및 제2 서브 버클(124,126)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서브 버클(124,126)은 제1 및 제2 서브 탄성밴드(125,126)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서브 탄성밴드(125,126)를 팽팽히 당겨서 제1 및 제2 서브 버클(124,126)을 결합시킴으로써 벨크로 고정부(123)와 더불어 한 쌍의 시트밴드(122)를 허리에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에서 방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방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이 접하는 영역에는 착탈식 유닛 지퍼(130)가 마련된다.
착탈식 유닛 지퍼(130)를 열면 방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이 도 3처럼 분리될 수 있고 닫으면 방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이 도 1 및 도 2처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방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이 분리될 수 있으면 청소가 편리하거나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구명조끼를 착용할 수 있는 아이의 경우에는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만을 허리에 차고 가볍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에는 곳곳에 수납부(14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부(140)는 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 모두에 마련된다.
물론,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수납부(140)는 수 아기띠 유닛(1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120)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든 수납부(140)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수납부(140)는 개폐가 가능해야 함은 물론 방수 기능을 보유해야 할 것이며, 그래야만 휴대폰이나 지갑을 넣고 물놀이를 할 때, 물에 젖지 않는다. 수납부(140)에는 락커룸 키를 비롯해서 아기의 기저귀 및 가벼운 물티슈까지도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수납부(14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수납부(14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다만,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등지지부(111)에 형성되는 수납부(140)에는 줄 걸이대(141)가 구비되어 핸드폰 방수팩 줄이 통과하여 엮이도록, 즉 걸리도록 함으로써 핸드폰 방수팩을 분실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띠가 필요한 개월 수의 아기가 보호자와 함께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 좀 더 부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띠를 사용해야 하는 아기, 즉 영아들을 동반한 보호자가 아기와 평상시에 아기띠를 하고 돌아 다니 듯 워터파크에서 양손이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부연하면, 걷지 못하는 어린 아기와 워터파크에 동반할 경우, 아기띠를 필요로 하나 워터파크인 경우 보호자의 몸이 젖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럴 때 기존의 아기띠가 젖을 까봐 몸을 닦고 아기띠를 매고 돌아다니나 이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아기를 안고 있으면 미끄러운 바닥에서 넘어질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손이 자유롭지 않아 위험하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를 사용할 경우, 아기를 편안하게 안을 수 있으면서도 물에 젖어도 무관하며, 특히 양 손이 자유롭기 때문에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는 방수 기능 외에도 일정한 부력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이 깊지 않은 물 속에 아이와 같이 들어가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안전하게 아기와 사진 찍기 등을 하며 물놀이를 마음껏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는 물놀이용이라서 물놀이를 하다가 졸려서 칭얼거리는 아기를 안고 재우는 수단으로도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다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200) 역시, 방수 아기띠 유닛(2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 아기띠 유닛(210)과,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220)은 착탈식 유닛 지퍼(230)에 의해 상호간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구명조끼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물놀이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200)는 구명조끼를 착용해야만 입장이 가능한 워터파크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200)에서 방수 아기띠 유닛(210)은 구명조끼용으로 사용되는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로 적용되며, 모양 역시 통상의 구명조끼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은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211)와, 등지지부(211)와 연결되되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홀(212)을 포함한다.
편의상 등지지부(211)라 하여 설명하나 이곳에 보호자의 배 또는 아기용 구명조끼(250)의 등 부분이 닿을 수 있다.
어깨걸이홀(212)을 어깨에 끼운 후,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을 몸에 고정하기 위해 후크 타입으로 된 다수의 제1 및 제2 메인 버클(213,215)이 마련된다.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220)은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즉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과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220)의 내부에는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220)을 이루는 힙시트(221) 내에는 부력체가 마련된다. 이때, 힙시트(221)의 일측에는 더미 포켓(221a)이 더 갖춰질 수 있다. 물론, 더미 포켓(221a) 역시 방수 기능을 갖는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의 일측에는 아기가 독립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끔 하는 아기용 구명조끼(250)가 더 연결된다.
아기용 구명조끼(250)는 포대기로 아기를 단순히 감싸는 형태가 아니라 아기가 착용할 수 있게끔 조끼 혹은 재킷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아기용 구명조끼(250)는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의 등지지부(211)에 연결되어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에 아기용 구명조끼(250)가 일체로 마련될 경우, 도 5와 같은 사용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보호자는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을 착용하고,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220)에 앉은 아기는 아기용 구명조끼(250)를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명조끼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물놀이 장소에서 보호자와 아기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띠가 필요한 개월 수의 아기가 보호자와 함께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특히, 돌 전의 아기들은 보통 몸이 작아 구명조끼 착용이 불가능하고 튜브 사용을 겁내하거나 보호자와 떨어지기를 겁내기 쉬운데 보호자가 도 5처럼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210)을 착용하고,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220)에 앉은 아기는 아기용 구명조끼(25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부감 없이 함께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200)는 아기용 구명조끼(250)가 연결되는 제품이라서 워터파크마다 구비되어 구명조끼 착용이 어려운 아기들을 동반하는 사람들이 대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수납부에 대한 변형 실시예들이다.
도 7의 수납부(340)는 외관 베이스(341)와, 외관 베이스(341) 상에 마련되고 휴대폰 등의 물품이 수납되는 방수 포켓부(342)와, 방수 포켓부(342)를 개폐하는 방수 개폐기(343)와, 방수 개폐기(343)를 2중으로 덮어서 방수 기능을 배가시키는 방수 날개(344)와, 방수 날개(344)의 고정을 위한 벨크로(345,346)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날개(344)는 방수 비닐의 일종인 PVC로 제작될 수 있다.
외관 베이스(341)는 비닐지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외관 베이스(341)는 원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8의 수납부(440) 역시, 외관 베이스(441)와, 외관 베이스(441) 상에 마련되고 휴대폰 등의 물품이 수납되는 방수 포켓부(442)와, 방수 포켓부(442)를 개폐하는 방수 덮개 날개부(443)와, 방수 덮개 날개부(443)의 고정을 위한 고정 단추(44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 포켓부(442)를 이중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벨크로는 방수 덮개 날개부(44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포켓부(442) 역시, 방수 비닐의 일종인 PVC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방수 덮개 날개부(443)에는 방수 덮개 날개부(443)에 결합되는 베이스 판(446)과, 베이스 판(446)에 손잡이 형태로 돌출되는 줄 걸이대(447)가 마련될 수 있다. 줄 걸이대(447)에 핸드폰 방수팩 줄(W)이 통과하여 엮이도록, 즉 걸리도록 함으로써 핸드폰 방수팩을 분실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은 수납부(340,440)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수납부(140,240)에 별도로 수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제1 및 제2 실시예의 수납부(140,240)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제1 및 제2 실시예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수납부(140,240)들의 형태가 도 7의 수납부(340) 또는 도 8의 수납부(440)로 대체되거나 도 7 및 도 8의 수납부(340,440) 중 적절하게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의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100)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아이의 등 또는 배가 오는 부분을 단순 방수재질이 아닌 구명조끼처럼 즉 조끼 형태는 아니지만 부력이 들어간 지지대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제2 실시예의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200)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왼쪽, 오른쪽의 버클 길이를 달리 구현함으로써 버클이 채워지는 위치가 사용자의 옆구리 영역이 될 수도 있고, 등 뒤의 영역의 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110 : 방수 아기띠 유닛
111 : 등지지부 112 : 어깨걸이끈
113 : 제1 메인 버클 114 : 제1 버클끈
115 : 제2 메인 버클 116 : 제2 버클끈
120 :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 121 : 힙시트
122 : 시트밴드 123 : 벨크로 고정부
124 : 제1 서브 버클 125 : 제1 서브 탄성밴드
126 : 제2 서브 버클 126 : 제2 서브 탄성밴드
130 : 착탈식 유닛 지퍼 140 : 수납부

Claims (6)

  1. 아기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와, 상기 등지지부와 연결되되 어깨에 거는 한 쌍의 어깨걸이끈을 구비하며,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 아기띠 유닛; 및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연결되되 상기 아기가 앉을 수 있게끔 일정한 부피를 형성하고 내부에 부력체가 탑재되는 힙시트와, 상기 힙시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힙시트를 허리에 고정하는 한 쌍의 시트밴드를 구비하며, 방수 재질로 제작되는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은 구명조끼용으로 사용되는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상기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상기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이 접하는 영역에 착탈식 유닛 지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조끼용 방수 아기띠 유닛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아기가 독립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끔 하는 아기용 구명조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아기띠 유닛과 상기 방수 부력 힙시트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KR1020170083180A 2017-06-30 2017-06-30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KR10194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80A KR101947703B1 (ko) 2017-06-30 2017-06-30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80A KR101947703B1 (ko) 2017-06-30 2017-06-30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99A KR20190002899A (ko) 2019-01-09
KR101947703B1 true KR101947703B1 (ko) 2019-02-13

Family

ID=6501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80A KR101947703B1 (ko) 2017-06-30 2017-06-30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7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494B1 (ko) * 2013-07-12 2014-06-03 이준기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494B1 (ko) * 2013-07-12 2014-06-03 이준기 유아용 다용도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99A (ko)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13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US20050263102A1 (en) Wearable horizontally oriented multi-positional pet carrier
KR200459539Y1 (ko)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200450651Y1 (ko) 유아용 힙시트
KR101359888B1 (ko) 힙시트캐리어
US7255620B1 (en) Child carrier and swimming aid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81152Y1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US4458834A (en) Infant carrier
KR102022808B1 (ko) 구조구난용 배낭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200482010Y1 (ko) 멀티 백 겸용 아기띠
KR200312695Y1 (ko) 조끼형 아기포대기
CN111700318A (zh) 一种可携带婴儿的羽绒服
GB2422547A (en) Crutch support strap
KR101947703B1 (ko) 기능성 힙시트 캐리어
KR200480794Y1 (ko) 휴대용 백이 구비된 힙시트
KR101086542B1 (ko) 아기 띠
KR20090010149U (ko)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JPWO2014073025A1 (ja) 抱きかかえ補助具
KR200473837Y1 (ko) 허리 보호용 아기 포대기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20090012560U (ko) 유아용 포대기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