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241B1 -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241B1
KR101947241B1 KR1020160160382A KR20160160382A KR101947241B1 KR 101947241 B1 KR101947241 B1 KR 101947241B1 KR 1020160160382 A KR1020160160382 A KR 1020160160382A KR 20160160382 A KR20160160382 A KR 20160160382A KR 101947241 B1 KR101947241 B1 KR 10194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support frame
support
bas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0649A (en
Inventor
박순재
서정국
Original Assignee
박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재 filed Critical 박순재
Priority to KR102016016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241B1/en
Publication of KR2018006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6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벌통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틀의 하단에 벌통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이 돌출된 본체부; 상기 받침틀의 상단에 벌통과 맞물려 정 위치에 고정하는 받침대가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틀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다리가 체결된 지지부; 및 상기 받침틀의 일측에 벌통을 승·하강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벌통을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거치시켜 각종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물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거치된 벌통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beehive from a floor,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frame for holding at least one beehiv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illar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A main body portion; A pedestal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for fixing the pedal in a predetermined position by engaging with the beehive, and a leg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to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and angle of the support frame; And at least one stacker for moving the beehive to an arbitrary position by raising and lowering the beeher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beehive is mounted in a state spaced from the floor to protect it from various kinds of harmful insects, and the beehive can be swiftly and safely replaced or controlled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Description

벌통 받침용 구조물{Structure of prop for beehive}{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본 발명은 벌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켜 토양에 서식하는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저렴하면서도 설치가 간편한 것은 물론, 다단으로 적층된 벌통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벌통 받침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protecting beehives from a harmful insect inhabiting the soil by separating the beehiv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comparatively thin and simp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a beehive supporting structure which is improved so that a beehive can be swiftly and safely replaced or controlled even with a small force.

통상 양봉이란 사람에게 유익한 식품인 벌꿀을 양산하는 산업으로써 벌꿀은 꿀벌들이 꽃의 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후 꿀벌의 몸 안에 있는 전화효소의 작용으로 자당이 과당과 포도당으로 변하여 숙성된 것을 의미한다.Honey is an industry that produces honey, which is a beneficial food for people. It means honey bees gather flowers honey and store them in a honeycomb, and then it turns into sucrose and glucose by the action of the enzyme in the bee's body. do.

이러한 양봉은 꿀벌의 습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꿀벌의 서식지인 벌통을 제공하며, 소비에 저장되는 꿀을 채밀기를 사용하여 채취하게 된다. 벌통은 주로 송판이나 나왕판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나무상자를 만들고, 그 안에 벌집이 형성되는 소비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Such beekeeping makes use of the habit of bees to artificially provide beehive, which is the habitat of bees, and harvests the honey that is consumed by harvesting. The beehives are mainly made of rectangular wood boxes using the pine wood or the naeheung plate, and artificially make the honeycomb in which the beehives are formed to provide bees habitat.

이러한 벌통은 지면에 설치하게 되면, 토양에 서식하는 유해곤충이 내부로 침입하여 전반적인 채집을 방해한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벌통을 이격시키는 받침대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벌통은 소비의 설치 양에 따라 폭 방향의 길이가 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벌통의 높이 또한 각기 다르게 제작되고 있다.When such a beehive is installed on the ground, harmful insects inhabit the soil and interfere with the overall collection. Therefore, the use of a pedestal that separates the beehives from the ground is essential. Here, the beehives are not only different in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mount of consumption but also have different heights of beehives.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1561호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벌통지지 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벌통"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벌통의 규격에 따라 길이 가변부재 및 높이 가변부재를 교체, 조립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벌통지지 장치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의 벌통을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1561 "A beehive holding device free of size adjustment and a beehive applied thereto"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According to the proposed document, the size of the beehive supporting device can be freely adjusted by a simple method of replacing and assembling the variable member and the height changeable member according to the beehive standard, so that the beehives of various sizes can be accommodated comprehensively.

한편, 벌통이 하나 있는 것을 단상이라고 하고 두 개를 겹쳐서 만드는 것을 계상이라고 하며, 벌통의 밑판은 벌통의 원 몸체 보다 3 내지 5cm 정도 앞으로 나오게 하여 벌들이 드나드는 작은 출입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벌통 가운데 근래에는 더욱 많은 양의 꿀을 채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후자의 계상벌통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e having a beehive is called a single-phase, and the two are overlaid. The base of the beehive is 3 to 5 cm longer than the beehive's main body, forming a small entrance for bees. Among these beehives, the latter is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more honey.

그런데, 계상벌통 내 산란상태의 확인이나 여왕봉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벌통 내부를 확인하는 내검(內檢)작업을 실시할 경우, 중량이 상당한 상부벌통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려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모되는 인력의 낭비가 상당한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checking the inside of the beehive for checking the scattering state of the beehive or checking the inside of the beehive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f the queen bee, it is necessary to lift the beehive having a large weight repeatedly so that the operation is very troublesome There is a considerable waste of manpower consumed in the work.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5900호 "벌통 리프트 장치"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432호 "벌통용 리프트"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모터나 드럼의 힘으로 벌통을 들어 올려줌으로서 전반적인 공수를 절감할 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15900 "Beehive Lift Device"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0432 "Beehive Lift"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proposed litera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overall airflow by lifting the beehive by the force of a motor or a drum.

그러나 비교적 중량이 크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을 위해 벌통의 위치까지 이동하기가 불편할뿐더러 단순히 벌통을 들어 올리는 작동에 그침에 따라 벌통의 내부를 점검하는데 필요한 작업공간이 적어 작업성의 저하와 위험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However, it is relatively inconvenient to move to the beehive position because it is made of a relatively large and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re is little space required for checking the inside of the beehive by the simple operation of lifting the beehive.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1561호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벌통지지 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벌통"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1561 "A beehive holding device free from size control and a beehive applied thereto"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5900호 "벌통 리프트 장치"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15900 "beehive lift device"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0432호 "벌통용 리프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0432 "Beehive Lif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시켜 토양에 서식하는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벌통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기능을 하나로 융합시킨 벌통 받침용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tecting a beehive from harmful insects inhabiting the soil by spacing the beehiv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rovide a structure for a beehive support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unctions are combined into one fun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벌통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틀의 하단에 벌통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이 돌출된 본체부; 상기 받침틀의 상단에 벌통과 맞물려 정 위치에 고정하는 받침대가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틀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다리가 체결된 지지부; 및 상기 받침틀의 일측에 벌통을 승·하강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태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beehive from a floor,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receiving at least one beehive, wherein a plurality of pillar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A main body portion; A pedestal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for fixing the pedal in a predetermined position by engaging with the beehive, and a leg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to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and angle of the support frame; And at least one stacker for moving the beeher to an arbitrary position by raising and lowering the beeher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받침틀은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구역과, 벌통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장착을 유도하는 확장구역을 가지는 너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 is formed to have a width having a receiving area for receiving the beehive and an extension area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beehiv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기둥은 상단에 받침틀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일측선상과 타측선상이 서로 상이한 길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lumn are protruded with different lengths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태커는 받침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유동대와, 상기 유동대 상에 벌통의 측면으로 진입되어 승·하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치하는 포크와, 상기 유동대 상에 승강대와 연동하여 승하강력을 부여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a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er comprises a support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 flow base which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 base, And an operating unit for applying a lifting and lowering force in cooperation with a platform on the floo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작유닛은 지지대 상에 힌지를 기점으로 승·하강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유동대에 연결되어 승하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대 상에 레버와 유동대의 승·하강 자세를 상호 전환하고, 유동대로부터 전달되는 레버의 작용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lev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hinge from the hinge on the support, a wire connected to the lever and the cradle for transmit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force, And a roller for switching the posture thereof and switching the acting direction of the lever transmitted from the flow pass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작유닛은 유동대가 승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레버 상에 유동대와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 또는 유동대와 선택적으로 결착되는 고리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Further, the op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unit further comprises any one of a magnet for selectively inducing the adsorption of the fluidized bed on the lever or a loop selectively bonded to the fluidized bed to maintain the fluidized bed in the raised and lowered stat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경박 단소한 구조로 설치의 편의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받침대와, 다단으로 적층된 벌통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할 수 스태커를 하나로 융합시켜 전반적인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al capable of satisfying the needs of the consumer with a relatively light and thin structure and convenient installation and low price, and a multi-stage beehive that can be quickly and safely replaced Or stacker that can be managed by a single unit,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oper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과 구조물을 나타내는 설치 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6은 도 5의 분리된 구조물 중 스태커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사용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and Fig. 2 are installation states showing a beehive and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and 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various angles.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cker among the separated structures of FIG. 5; FIG.
7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sta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ta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views of the us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벌통(BH)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관련되며, 도 1 및 도 2처럼 본체부(10)와 지지부(20) 및 스태커(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벌통(BH)을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로 거치시켜 각종 유해곤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물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거치된 벌통(BH)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체하거나 관리가 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beehive (BH) from the bottom, and is a structure for a beehive structure having a main body portion (10), a support portion (20) and a stacker (30) as main components as shown in Fig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otect the beehive (BH) from various harmful insects by mounting the beehive (BH) apart from the floor, and to quickly and safely replace the beehive (BH) The main point is to do.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복수의 금속편들이 볼트로 체결되거나 용접되어진 박스형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본체부(10)는 도 3처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BH)을 거치하는 사각형의 받침틀(11)이 형성되고, 받침틀(11)의 모서리 측 하단마다 벌통(BH)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15)이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The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shape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metal pieces are fastened or welded with bolts.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receiving frame 11 for receiving at least one beehive BH. The beehive BH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lurality of columns 15 projecting from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받침틀(11)은 도 4처럼 벌통(BH)을 거치하는 받침구역(S1)과, 벌통(BH)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D)의 장착을 유도하는 확장구역(S2)을 가지는 너비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틀(11)의 상단에는 도 5처럼 지지부(20)의 받침대(21)가 장착되는데, 복수의 벌통(BH)을 거치하는 너비로 형성될 경우엔 거치될 벌통(BH)의 사이마다 이격시키는 격판(11a)이 장착된다. 그리고 받침틀(11)의 측면에는 스태커(30)의 탈·장착을 유도하는 연결대(11b)가 기립된 상태로 장착된다.4, the support frame 11 has a width S1 having a support section S1 for receiving the beehive BH and an extension section S2 for guiding the attachment of the door 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beehive BH . 5, a pedestal 21 of the support part 2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When the pedestal 21 is formed to have a width for mounting a plurality of beehives BH, The diaphragm 11a is mounted. A connecting rod (11b) for guiding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stacker (3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 in an upright position.

이때, 기둥(15)은 상단에 받침틀(11)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일측선상과 타측선상이 서로 상이한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좋다. 즉, 받침틀(11)에 거치된 벌통(BH)이 경사에 따라 일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여 벌통(BH)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umn 15 protrude in a length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the support frame 1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ther words, since the beehive BH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the drainage of the rainwater can be smooth and the life of the beehold BH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20)는 다양한 규격을 가진 벌통(BH)과, 설치될 장소의 바닥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 가능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도 3처럼 받침대(21)와 다리(25)로 이루어진다. 받침대(21)는 복수의 금속편들이 벌통(BH)에 대응하는 크기로 용접된 프레임으로, 도 5처럼 받침틀(11)의 상단에 장착되어 벌통(BH)을 정 위치에 고정해준다. 다리(25)는 기둥(15)의 하단에 체결되어 받침틀(11)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해준다.The supporting par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base 21 and the leg 25 as shown in FIG. 3 by applying the beehive BH having various sizes and the floor condition of the place to be installed, . The pedestal 21 is a frame weld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eehive BH of a plurality of pieces of metal and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11 as shown in Fig. 5 to fix the beehive BH in place. The legs 25 are fastened to the lower ends of the posts 15 to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and angle of the support frame 11. [

예컨대 거치될 벌통(BH)의 크기가 작은 경우, 해당하는 규격에 적합한 받침대(21)를 받침틀(11)의 상단에 장착 또는 교체하면 된다. 여기서 벌통(BH)이 설치될 장소의 바닥이 고르지 못할 경우, 기둥(15)으로부터 다리(25)를 죄거나 풀어 바닥과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바닥이 경사져 받침틀(11)이 수평하거나 경사가 급격한 경우에도 다리(2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벌통(BH)을 적절한 각도로 기울도록 하면 된다.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beehive BH to be mounted is small, it suffices to mount or replace the pedestal 21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standar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1. If the bottom of the place where the beehive BH is to be installed is uneven, the legs 25 are tightened or loosened from the pillars 15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The height of the legs 25 may be adjusted so that the beehive BH is inclined at an appropriate angle even when the base is inclined or horizontal or inclined sudden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스태커(30)는 적은 힘으로도 벌통(BH)을 교체하거나 내부를 개방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스태커(30)는 도 3 및 도 5처럼 받침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벌통(BH)을 승·하강하고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스태커(30)는 도 6처럼 지지대(31)와 유동대(32) 및 포크(33) 그리고 조작유닛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tack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 role of replacing the beehive BH or opening the inside quickly and safely with a small force. That is, the stacker 3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11 as shown in Figs. 3 and 5, and moves the beehive BH up, down, and rotates to an arbitrary position. The stacker 30 includes a support 31, a caster 32, a fork 33 and an operation unit as shown in Fig.

먼저, 지지대(31)는 유동대(32)와 조작유닛을 구성하면서 벌통(BH)을 지탱하는 소정 길이를 가진 바형의 몸통으로, 하단에는 연결대(11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31a)이 돌출된다. 그리고 유동대(32)는 지지대(3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관으로, 중앙에 벌통(BH)의 너비에 대응하는 아암(32a)이 수평하게 돌출된다.First, the support base 31 is a bar-shap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supporting the beehive BH while constituting the flow base 32 and the operation unit, and a rotary shaft 31a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ase 11b at the lower end Respectively. An arm 32a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beehive BH is horizontally protruded at the center of the hollow tube 32. The hollow tube 32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31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또한, 포크(33)는 아암(32a)의 양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ㄱ형의 핑거로, 벌통(BH)의 측면으로 진입되어 유동대(32)의 승·하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치한다. 마지막으로 조작유닛은 유동대(31)상에 승강대(32)와 연동하게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벌통(BH)의 승하강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ork 33 is a type of finger which is slidably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arm 32a and enters the side of the beehive BH and selectively stays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flow base 32. [ Finally, the operation unit is mounted on the float 31 in cooperation with the platform 32 to perform the function of impart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force of the beehive B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여기서 조작유닛은 지지대(31)상에 힌지(H)를 기점으로 승·하강하는 레버(35)와, 레버(35)와 유동대(32)에 연결되어 승하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36)와, 지지대(31)상에 레버(35)와 유동대(32)의 승·하강 자세를 상호 전환하고, 유동대(32)로부터 전달되는 레버(35)의 작용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37)로 구성된다.The operating unit includes a lever 35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hinge H from the hinge H on the support 31, a wire 36 connected to the lever 35 and the cradle 32 to transmit the lifting force, And a roller 37 for switch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lever 35 transmitted from the cradle 32 by switching the lever 35 and the cradle 32 up and down on the support 31.

즉, 작업자가 레버(35)를 하강(회전)시키면, 와이어(36)가 당겨지면서 유동대(32)를 승강시킨다. 여기서 완전히 하강된 레버(35)는 롤러(37)에 의한 작용방향이 전환되어 매미고리와 같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operator lowers (rotates) the lever 35, the wire 36 is pulled to lift and move the flow base 32. In this case, the fully lowered lever 35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action by the roller 37 and maintained in a lowered state like a cicada ring.

물론, 작업도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도 8처럼 레버(35)상에 유동대(32)와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38) 또는 유동대(32)와 선택적으로 결착되는 고리(39)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지지대(31)상에 롤러(37)를 경유하는 와이어(36)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핀(31b)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a shock or a mistake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the cantilever 32 on the lever 35 as well as the magnet 38 or the ring 39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cantilever 32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y one of the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pin 31b is provided on the support base 31 to prevent the wire 36 from coming off via the roller 37.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설치과정과 함께 양봉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ee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작업자는 구조물을 양봉 장소에 이동한 후 도 5처럼 다리(25)를 죄거나 풀어 받침틀(11)이 바닥에 적합한 높이와 각도로 조절한다. 그리고 준비된 벌통(BH)에 적합한 규격을 가진 받침대(21)를 받침틀(11)의 상단에 장착한 다음, 도 1 및 도 2처럼 받침대(21)에 벌통(BH)을 거치하면 설치가 완성된다.First, the operator moves the structure to the beekeeping position, and then tightens or loosens the legs 25 as shown in FIG. 5 to adjust the support frame 11 to an appropriate height and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or. A pedestal 21 having a size suitable for the prepared beehive BH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11 and the beehive BH is mounted on the pedestal 21 as shown in FIGS.

이어서 벌들이 벌통(BH)에 꿀을 채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벌통(BH)의 내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이를 위해 작업자가 레버(35)를 하강시키면, 도 9처럼 포크(33)가 2단의 벌통(BH)을 승강시켜 준다. 그리고 승강된 벌통(BH)을 도 10처럼 여타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1단의 벌통(BH)의 내부가 완전히 개방된다.The bees are then beeing honey in the beehive (BH), and it is necessary to look inside the beehive (BH) during this process. That is, when the operator lowers the lever 35 for this purpose, the fork 33 lifts the two-stage beehive BH as shown in FIG. When the elevated beehive BH is rotated to another position as shown in Fig. 10, the inside of the first beehive BH is completely opened.

한편, 벌통(BH)을 교체하거나 앞서 받침대(21)에 벌통(BH)을 거치하는 과정에서도 이와 같은 스태커(30)를 이용하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beehive BH or mounting the beehive BH on the pedestal 21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beehive BH safely, conveniently and quickly by using such a stacker 30.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BH: 벌통 D: 도어
H: 힌지 S1: 받침구역
S2: 확장구역 10: 본체부
11: 받침틀 11a: 격판
11b: 연결대 15: 기둥
20: 지지부 21: 받침대
25: 다리 30: 스태커
31: 지지대 31a: 회전축
31b: 가이드핀 32: 유동대
32a: 아암 33: 포크
35: 레버 36: 와이어
37: 롤러 38: 자석
39: 고리
BH: Beehive D: Door
H: Hinge S1: Supporting area
S2: Extension zone 10:
11: support frame 11a: diaphragm
11b: connecting rod 15: pillar
20: support part 21: pedestal
25: leg 30: stacker
31: Support base 31a:
31b: guide pin 32:
32a: arm 33: fork
35: lever 36: wire
37: roller 38: magnet
39: Ring

Claims (6)

바닥으로부터 벌통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통을 거치하도록 벌통을 거치하는 받침구역과, 벌통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장착을 유도하는 확장구역을 가지는 너비로 이루어진 받침틀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틀의 하단에 벌통을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하는 복수의 기둥이 돌출되되, 상기 기둥은 상단에 받침틀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일측선상과 타측선상이 서로 상이한 길이로 돌출된 본체부;
상기 받침틀의 상단에 벌통의 규격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벌통을 정 위치에 고정하는 받침대와, 벌통이 장착되는 상기 받침대의 사이를 이격하는 격판,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틀의 높이와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다리가 체결된 지지부; 및
상기 받침틀의 일측에 벌통을 승·하강 회전시켜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태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커는 받침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에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유동대와, 상기 유동대 상에 벌통의 측면으로 진입되어 승·하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치하는 포크와, 상기 유동대 상에 승강대와 연동하여 승하강력을 부여하도록 지지대 상에 힌지를 기점으로 승·하강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유동대에 연결되어 승하강력을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대 상에 레버와 유동대의 승·하강 자세를 상호 전환하고, 유동대로부터 전달되는 레버의 작용방향을 전환시키는 롤러와, 상기 지지대 상에 롤러를 경유하는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핀과, 유동대가 승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레버 상에 유동대와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 또는 유동대와 선택적으로 결착되는 고리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조작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 받침용 구조물.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beehive from a floor, comprising:
Wherein a support frame is formed of a width having a support area for receiving the beehive to receive at least one beehive and an expansion area for guiding the mounting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of the beehive, And the column is protruded at a top thereof with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pedestal which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to fix the beehol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diaphragm which separates the pedestal from the pedestal to which the beehold is mounted; A support to which a leg to be adjusted is fastened; And
And at least one stacker for moving the beehive to an arbitrary position by raising and lowering the beehive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The stacker includes a support base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 flow base that is lifted and low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 base, a fork that enters the side of the beehive on the flow base and selectively mounts on the side of the beehive, A lever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hinge from the hinge on the support base so as to provide a lifting force in cooperation with the platform, and a wire connected to the lever and the lifting base for transmit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force, A guide pin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wire via the roller on the support base, and a guide pin for supporting the movable base so as to maintain the lifting state A manipulating fluid having either a fluidized bed on the lever or a magnet for inducing adsorption or a ring selectively bound to the fluidized bed Wherein the honeycomb structure comprises a honeycomb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60382A 2016-11-29 2016-11-29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KR1019472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82A KR101947241B1 (en) 2016-11-29 2016-11-29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82A KR101947241B1 (en) 2016-11-29 2016-11-29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649A KR20180060649A (en) 2018-06-07
KR101947241B1 true KR101947241B1 (en) 2019-02-12

Family

ID=6262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382A KR101947241B1 (en) 2016-11-29 2016-11-29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2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916B (en) * 2019-07-17 2024-03-15 成都大农科技有限公司 Bee-keeping device stacked in modularized mode
CN111011263A (en) * 2019-11-28 2020-04-17 云南本季生物技术有限公司 Intensive digital bee-keeping tow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432Y1 (en) * 2003-11-01 2004-02-05 박중인 Lift of a wooden beehive
CN105519456A (en) * 2016-01-21 2016-04-27 昆明理工大学 Automobile comb-moving type honeycomb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00B1 (en) 2004-11-17 2006-08-28 정영옥 The device for lifting beehives
KR100801561B1 (en) 2007-06-28 2008-02-05 주식회사 디엠디 Beehive support with size regulation and beehive used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432Y1 (en) * 2003-11-01 2004-02-05 박중인 Lift of a wooden beehive
CN105519456A (en) * 2016-01-21 2016-04-27 昆明理工大学 Automobile comb-moving type honeycom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649A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606B1 (en) Bird feeding assembly
KR101947241B1 (en)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US8240947B2 (en) Vehicle barrier with release mechanism
CN108049704B (en) Municipal works rail that can height-adjusting
CN102859099B (en) Frame structure for an umbrella-type automatic tent
KR101616611B1 (en) A movable prefab bee house)
CN102524215A (en) Duckweed pot type insect trapper
CN208387693U (en) A kind of insect-killing device for farm-forestry crop insect pest operation
US11877562B2 (en) Vertical displacement access beehive
CN211322592U (en) Pedal type poultry trapping and caging device
KR101513706B1 (en) Apparatus for lifting pillar of greenhouse
CN209135198U (en) A kind of bamboo grove prevention and control induction insect-killing device
US3278164A (en) Fence raising means
CN209965028U (en) Landscape lamp with deinsectization function
JP5130089B2 (en) Interlocking lifting parallel bar
JP2004121059A (en) Cage for trapped beast
CN219939341U (en) Multifunctional beehive frame
CN204862221U (en) Mattress with mosquito net support frame
CN107736318A (en) It is a kind of easily to change the deinsectization device for luring bait
CN220875673U (en) Mosquito repellent lamp for livestock breeding
CN214853114U (en) Insect-proof seedling raising greenhouse for citrus base
JP2004242621A (en) Strut-pulling out apparatus
CN202095422U (en) Double-basin solar insect killer
CN209572927U (en) A kind of agricultural pest trap device
KR200333819Y1 (en) Duplex beehive opening and shutting of beehive is eas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