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162B1 -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 Google Patents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162B1
KR101947162B1 KR1020170116876A KR20170116876A KR101947162B1 KR 101947162 B1 KR101947162 B1 KR 101947162B1 KR 1020170116876 A KR1020170116876 A KR 1020170116876A KR 20170116876 A KR20170116876 A KR 20170116876A KR 101947162 B1 KR101947162 B1 KR 10194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ship
height
blocks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식
이현민
Original Assignee
이유식
이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식, 이현민 filed Critical 이유식
Priority to KR102017011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63B273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형급 선박의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70,000DWT 이하 중형급 선박에 있어 기존의 슬립웨이 도크의 도킹문제를 해결하고, 드라이도크 건설공법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세미-드라이도크와 그 해상건설공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는 육상과 인접한 해상의 해저지면 위에 중형급 선박의 도킹을 위하여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하여 산출한 도크바닥의 경사비율에 따라서 다수개의 철근콘크리트 도크블록들을 제작하여 해상연결공법으로 건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미-드라이도크는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하여 산출한 도크바닥의 경사비율이 선박의 트림과 유사하므로 조수 만조 시 대차의 견인 없이 선체부력원리를 이용하여 중형급 선박을 용이하게 도킹할 수 있고, 철근콘크리트 도크블록들을 해상연결공법에 의하여 건설하므로 도크의 건설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The Marine Construction Method of Semi-drydock for Docking Medium Sized Ships}
본 발명은 70,000DWT 이하의 중형급 선박을 도킹(docking)하여 수리(repairing) 할 수 있는 세미-드라이도크와 그 해상건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70,000DWT 이하 중형급 선박의 도킹 가능한 흘수(이하, 간략히 “선박의 도킹흘수”로 기재한다)를 기준으로 도크의 경사바닥면과 양쪽 측면벽을 이루는 철근콘크리트 도크블록들을 제작하여 해상에서 연결하는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건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된 선박은 5년마다 정기적으로 선급에 의한 검사를 받거나 고장난 부분을 수리하기 위하여, 도크에 상가(上架)되어 보수 및 수리 후 하가(下架)된다. 이러한 선박의 검진 및 수리 작업을 위하여 지금까지는 주로 슬립웨이 도크, 드라이도크, 그리고 플로팅 도크를 이용하여 왔다.
1. 슬립웨이 도크 (Slipway dock)
국내 조선소 100여곳 중에서 중형조선소 6곳을 제외한 94개의 대부분 조선소들이 슬립웨이 도크를 시설하여 주로 7,000DWT 이하의 소형급 선박을 상가 및 수리하고 있다.
슬립웨이 도크는 상가선박의 길이와 해상부 해저형상에 따라 1/10 ~ 1/25 (즉, 길이 10m ~ 25m에 높이 1m)의 경사비율을 이루고, 선대 길이의 3/5는 육상부에, 그리고 나머지 2/5는 해상부에 횡침목과 종침목을 설치하여 시설된다.
시설된 슬립웨이 도크를 이용하여 선박을 도킹할 경우, 대차를 해상으로 내려놓고 대차 위에 선박을 얹은 상태에서 윈치 작동과 대차와 브록 등 부속물을 사용하여 선박을 육상선대 위로 끌어올린다. 이 과정에서 해상부 선대(전체 선대길이의 40%)에서는 선박이 부력을 받아 견인이 쉬우나 육상부 선대(전체 선대길이의 60%)로 견인할 때에는 부력이 점차 줄어들고, 마찰력 증가로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슬립웨이 도크를 이용하여 10,000DWT 이상의 중형급 선박을 상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하다.
2. 드라이도크 (Dry dock)
드라이도크는 기본적으로 중대형 선박을 신건조하기 위하여 막대한 건설비용이 투자되어 건설되며, 신조 업무가 없는 도크에서 중대형 선박을 수리하고 있다.
드라이도크 건설 과정은, 먼저 충분한 수심을 갖는 바다와 인접한 곳에서 해수차단벽 설치 공사를 하고, 육지를 계획된 도크의 길이/너비/깊이로 맞추어 파서 바다와 연결시킨 후, 전면/측면/바닥의 직사면체를 일체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건설하고, 도크의 끝단부에 수문(dock gate)을 설치는 과정으로 완성된다.
이때 방수를 위한 해수차단벽 설치 공사와 계획된 도크의 규격에 맞추어 땅을 파는 공사과정에서 건설비용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중대형 선박의 수리 및 보수를 위한 도크로 건설하기에는 부적합하며, 신조선 건조를 위해 건설된 드라이도크의 수는 중, 대형 선박의 수리에 대한 수요(demands)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3. 플로팅 도크 (Floating dock)
플로팅 도크는 해상에 떠 있는(floating) 도크로서, 그 원리는 도크 내부에 여러개의 바라스트 탱크로 구성되어 있어, 해수를 바라스트 탱크에 주수(filling) 하면 도크가 물속으로 가라앉고, 바라스트 탱크의 해수를 배출하면 도크가 물 위로 부상하므로 이를 선박의 도킹 목적으로 사용한다.
플로팅 도크의 건조는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건조방법은 플로팅 도크를 길이방향으로 여러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육상에서 제작하여, 드라이 도크 안에서 블록을 탑재, 연결을 완성하면 드라이도크 내 해수를 주수하여 도크를 진수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육상에서 제작을 하여 해상에서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해상에서 블록을 연결하는 방법은 A블록, B블록 각각 암형, 숫형 금물을 만들어 여러개의 유압 실린다에 의한 압축으로 방수를 한다. 그리고 블록 내부의 해수를 퍼내고 용접에 의한 블록 연결 방법으로 플로팅 도크를 완성한다.
플로팅 도크 역시 강재류에 의한 도크제작, 기기류 및 설비비용, 그리고 드라이도크나 해상에서 건조하는 방법으로 인하여 많은 건조비용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 대비 약 2배), 중대형 선박의 수리 및 보수를 위한 도크로 건설할 경우 선박의 수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70,000DWT 이하 중형급 선박의 도킹 및 수리에 적합한 도크를 개발함에 있어, 기존 슬립웨이 도크의 선박 도킹이 육상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선박크기 10,000DWT 이하로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도크 건설의 경제성과 효율성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슬립웨이 도크에서 도킹이 불가한 중형급 선박(10,000~70,000DWT)을 부양상태에서 도킹할 수 있는 세미-드라이도크를 제공하고, 플로팅 도크 및 드라이 도크 대비 도크 건설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건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는 중형급 선박의 도킹문제를 해결하고 도크 건설비용을 절감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6,500DWT~70,000DWT의 중형급 선박을 용이하게 도킹할 수 있도록 하는 세미-드라이도크에 관한 것으로,
육상지면(30)과 접하여 만조 시 해수면(19)으로부터 2~4m 높게 설치된 전면벽(10);
상기 전면벽(1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와 간격을 유지하고, 선박의 수리를 위한 기기류와 장비류를 설치하기 위하여 좌우 각각 폭 4~6m의 상면을 가지는 양쪽 측면벽(11, 12);
상기 양쪽 측면벽(11, 12) 사이 바닥에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경사비율(14)로 구비되는 경사바닥면(13);
상기 경사바닥면(13)의 윗부분에 선박의 기본 선수흘수가 2m 이상인 특수선박을 도킹하기 위해 전면벽(10)으로부터 끝단부 수문(20) 방향으로 길이 50m까지 설치된 대차레일(17)과 로라대차(18);
상기 전면벽(10)과 대응되는 양쪽 측면벽(11, 12) 끝단부에 해수출입을 위해 설치된 수문(20);으로 구성된 세미-드라이도크에 있어서,
도크의 경사바닥면(13)과 양쪽 측면벽(11,12)을 가지는
Figure 112018128706311-pat00016
자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되고, 바닥면과 측면벽은 해상연결공정을 위하여 전·후면에 H형강(51)을 배치하고, 양쪽 측면벽(11,12)의 규격은 좌우각각 폭 4~6m, 높이는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고, 내부공간(37)을 비운 상태로 측면벽의 콘크리트 벽면만 제작하여 완성되는 다수의 도크블록(41, 42);
상기 다수의 도크블록(41, 42)의 연결부분(50)에 해수 유입이 차단되고, 다수의 블록(41, 4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접착되는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
상기 도크 블록(41, 42)의 뒤틀림(Tor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된 도크블록들(41, 42)의 양쪽 측면벽 내부공간(37)에 삽입되는 돌과 자갈(36);
상기 도크블록(41, 42)의 각 연결부분(50)에 해수차단과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H형강(51)과 용접되는 강판(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중형급 선박을 부양상태에서 도킹할 수 있도록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하여 도크의 경사비율(14)을 산출하는 계산식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6,500DWT~70,000DWT 중형급 선박(1)의 기본흘수(즉, 선박의 F.P 지점인 선수 1.5m, 선박의 A.P 지점인 선미 4.5m, 트림 3.0m)에, 환경적 요건(즉, 도크의 길이/도크가 건설되는 지점의 지리적인 여건/해상의 파랑/선내 바라스트량)을 고려하여, 선체하부와 반목 사이에 50,000DWT 미만의 선박은 선수 및 선미 각각 1m의 여유를 주고, 50,000DWT 이상의 선박의 경우 선수 1m와 선미 1.5m의 여유를 더 줌으로써 선박이 도킹 가능한 흘수(즉, 선박의 도킹흘수)를 계산한다. 따라서 50,000DWT 미만 선박의 도킹흘수는 선수 2.5m, 선미 5.5m, 트림 3.0m이고, 50,000DWT 이상 선박의 도킹흘수는 선수 2.5m, 선미 6.0m, 트림 3.5m이다. 계산된 선박의 도킹흘수에 반목의 높이 1.3m(50,000DWT 미만 선박) 혹은 1.5m(50,000DWT 이상 선박)를 더하면, 선박이 도크 내 부양되기 위한 최소의 높이를 의미하는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도크의 경사바닥면(13)' 까지의 높이(H1)가 계산된다(즉, H1 = 선박의 기본흘수 + 환경적 요건 + 반목의 높이).
그리고 육상지면(30)에서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H3)에서 육상지면(30)에서부터 만조시 해상수면(19)까지의 높이(H4)를 차감하여 만조시 해상수면(19)에서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H2)를 산출한다(즉, H2 = H3-H4).
다음으로 계산된 만조시 해상수면(19)에서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H2)에서 계산된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도크의 경사바닥면(13)까지의 높이(H1)를 차감하면 (도크의 경사비율 산출에 해당되는) 도크의 경사높이(H)인 도크의 경사바닥면(13)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수직거리의 높이(H)가 계산된다(즉, H=H2-H1).
그리고 6,500DWT~70,000DWT 중형급 선박의 길이에 선수와 선미의 작업장 구역을 더하여 도크의 길이(L)를 산출한다.
최종적으로, 계산된 도크의 경사높이(H)를 도크 길이(L)로 나누면 도크의 경사비율(14)이 산출된다.
상기에서 제시한 도크의 경사비율 계산식을 중형급 선박 크기 6,500DWT~70,000DWT에 적용한 예시는 하기의 표1과 같다.
먼저 상기의 식으로 계산한 선박의 도킹흘수는 50,000DWT 미만 선박의 경우 선수 2.5m, 선미 5.5m, 트림 3.0m이고, 50,000DWT 이상 선박의 경우 선수 2.5m, 선미 6.0m, 트림 3.5m가 된다.
계산된 도킹흘수에 반목의 높이 1.3m(50,000DWT 미만 선박) 혹은 1.5m(50,000DWT 이상 선박)를 각각 더하여 선박이 도크내 부양될 수 있는 최소 높이인 H1을 계산하면, 50,000DWT 미만 선박의 H1은 선수 3.8m, 선미 6.8m, 트림 3.0m가 되고, 50,000DWT 이상 선박의 H1은 선수 4.0m, 선미 7.5m, 트림 3.5m가 된다.
다음으로 H3에서 H4를 차감한 H2를 산출하며, 이때 H3은 선박규격 크기에 따라서 10,000DWT은 9.5m, 50,000DWT는 10m, 70,000DWT는 10.5m가 표준규격이며, 표준규격보다 적으면 선박진수가 불투명하고 표준규격보다 크면 건설공기 및 비용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4는 일반적인 조선소의 평균수치로 50,000DWT 기준은 2m, 100,000DWT이상 3m가 된다. 각 해당 선박 규격에 맞추어 H2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계산된 H2에서 H1을 차감하여 도크의 경사높이인 H를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계산된 도크의 경사높이(H)를 도크의 길이(L)로 나누어 도크의 경사비율(14)을 계산하며, 이때 도크의 길이(L)는 선박의 길이에 선수와 선미의 작업장 구역에 필요한 10,000DWT 기준 30m, 70,000DWT 기준 40m을 더하여 산출한다. 각 해당 선박 규격에 따른 각각의 도크의 경사비율(14) 산출 결과는 하기의 표1과 같다.
하기 표 1과 같이, 도크의 경사비율은 6,500DWT에서 최대 1/35이고, 70,000DWT에서 최저 1/55로서, 임계치의 범위는 Max. 1/35 ~ Min. 1/55가 되고, 이때 선박의 도킹흘수 차이에 따라 경사높이가 다소 차이가 있어도 결과적으로 도크의 경사비율은 상기 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크의 경사비율이 임계치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즉, Max. 1/35보다 크거나 Min. 1/55보다 작을 경우)에는 도크의 건설비용이 증대하고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
세미-드라이도크의 경사비율 적용 예시
중형급 선박 크기 경사 바닥면의 최대높이(H) 도크길이(L) 도크의 경사비율
6,500DWT Max. 4M 140M Max. 1/35
13,000DWT 4M 160M 1/40
35,000DWT 4M 200M 1/50
50,000DWT 4.4M 220M 1/50
70,000DWT Min. 4.4M 242M Min. 1/55
따라서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는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으로 산출된 도크의 경사비율이 선박의 트림과 유사하므로, 조수 만조 시 대차의 견인 없이 선체부양원리를 이용하여 중형급 선박을 용이하게 도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박의 기본 선수 흘수가 2m 이상의 특수선박을 상가하는 경우를 위하여, 도크 내부의 전면벽으로부터 끝단부의 수문방향으로 길이 50m까지 대차레일(17)과 로라대차(18)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세미-드라이도크의 건설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해상블록연결식 해상건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육상과 인접하여 만조 시 해수면보다 2~4m가 높게 전면벽(10)을 건설하는 단계; 중형급 선박이 상가될 수 있도록 해상의 해저지면을 선박의 흘수(선수 1.5m, 선미 4.5m, 트림 3m)를 기준하여 산출한 도크의 바닥면 경사비율 1/35~1/55에 준하여 고르는 단계; 다수개의 도크블록들을(41,42,....)을 도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의 경사비율(14)을 적용한 경사바닥면(13)과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도록 양쪽 측면벽(11,12)을
Figure 112018128706311-pat00031
자 단면 형상의 다수개 도크블록들(41,42..)로 제작하는 단계(즉, 도크블록 각각은 양쪽 측면벽(11,12)이 좌우각각 폭 4~6m와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높이로 내부공간(37)이 비워진 상태의 콘크리트 측면벽으로 제작되고, 해상연결공정을 위하여 도크 길이방향의 전후면 끝단부 바닥면(13)과 측면벽(11,12)에 도크블록들 간 용접연결용 H형강(51)을 배치하여
Figure 112018128706311-pat00020
자 단면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제작); 제작된 다수의 도크블록(41, 42)을 해상크레인으로 전면벽(10) 위치에서부터 해상의 해저지면 위에 안착시키는 단계; 수중에 안착된 도크블록들(41,42)의 연결부분(50)에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를 접착하여 해수유입을 차단하고 블록을 연결한 후, 도크 블록(41, 42)의 뒤틀림(Tor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크블록들(41,42)의 양쪽 측면벽(11,12) 각각 내부공간(37)에 돌과 자갈(36)을 채우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폭 4~6m의 상면을 제작하여 1차 블록연결공정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도크블록(41, 42) 이후의 블록(43)들을 순차적으로 안착, 해수차단, 그리고 측면벽 상면제작의 블록연결공정을 진행하여 세미-드라이도크의 골격을 완성하는 단계; 도크의 내부공간(15) 전체에 해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벽(10)과 대응되는 양쪽 측면벽(11, 12) 끝단부에 수문(20)을 설치하는 단계; 도크블록(41, 42)의 블록연결부분(50)의 해수차단 및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가 시공된 블록연결부분(50) 각각에 강판(52)을 올려 도크블록(41, 42)의 H형강(51)과 용접하는 단계; 2차적으로 도크 전체의 영구적인 해수차단 및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도크의 경사바닥면(13) 전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한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블록연결식 건설공법에 있어 부분적 특징을 설명하면,
삭제
첫째, 도크블록들(41,42..)의 제작에 관하여, 도크 블록들은 길이방향으로 도크의 경사비율(14)을 적용하여 제작한 바닥면(13)과 양쪽측면벽(11,12)으로 구성하고, 양쪽 측면벽(11,12)는 좌우 각각 폭 4~6m의 내부공간을 비운 상태로 철근콘크리트 벽면을 가진
Figure 112017088709475-pat00002
자 단면 형상의 블록길이 길이 20~30m 철근콘크리트 도크블록으로 제작한다. 특히 해상에서 철근콘크리트 도크블록들을 용접에 의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크블록 길이방향의 전후위치에 H형강(51)을 배치하고, 조립 철근과 상호 용접한 후, 전후/좌우 블록레벨을 ±15m/m 범위 이내로 조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의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블록연결식 건설공법에 있어, 제작된 제1블록(41)과 제2블록(42)을 전면벽(10)에서부터 해상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도크블록 연결부분(50)에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를 시공하여 도크 내부의 해수유입을 차단하고, 안착된 도크블록의 해수 파랑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쪽 측면벽(11,12) 좌우 각각 폭 4~6m의 내부공간(37)에 돌과 자갈(36)을 채우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쪽 측면벽 각각 폭 4~6m의 상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단계를 제3블록에서부터 마지막 블록을 연결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도크블록 연결부위(43)의 해수차단 및 측면벽 완성의 블록연결공정을 진행한 후, 도크의 내부공간(15) 전체에 해수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크의 끝단부에 수문(2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해상에서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수차단 및 강도 보장공정에 관하여, 1차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도크블록들의 연결부분(50)에 대한 해수차단 및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도크블록의 길이방향 전후위치에 내착되어 있는 용접연결용 H형강 (51) 연결부위에 300 x 15t 강판(52)을 올려 용접한 다음, 2차적으로 도크전체의 영구적인 해수차단과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도크내부 바닥면(13) 전체에 콘크리트 100 m/m를 타설함으로써, 도크블록 연결부위 및 도크내부 전체 바닥면(13)과 양쪽 측면벽(11,12)의 해수차단 및 강도를 보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내용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를 도크의 경사비율(14)에 따라서 다수개의 철근 콘크리트 도크블록으로 제작하여 해상의 해저지면 위에 해상연결공법으로 건설함으로써, 건설비용을 절감하고 양쪽 측면벽을 선박계류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미-드라이도크는 육상과 인접한 해상의 해저지면 위에 철근콘크리트 도크블록들의 해상연결공법으로 건설되어,
첫째, 기존의 슬립웨이 도크의 선박의 길이에 따라 슬립웨이 선대의 바닥 경사면을 설계하는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는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하여 산출한 도크의 경사비율에 맞추어 도크의 바닥면을 선박의 트림과 유사하게 건설함으로써, 조수의 만조 시에 6,500DWT ~ 70,000DWT의 중형급 선박을 대차의 견인 없이 선체가 부양된 상태로 윈치와 로프로서 용이하게 도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기존의 드라이도크(해수차단벽 설치비용) 및 플로팅 도크(주자재 강재류 비용, 도크사용료 혹은 해상작업비용) 대비 건설비용을 절약함으로써, 최근 5년(2011년~2015년)동안 한국에 입항한 국내·외항선 전체 302,940척 중 90%(274,515척)를 차지하는 70,000DWT이하 중형급 선박 전용의 수리 및 보수를 위한 도크로 건설 및 운영함에 있어 사업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해상에 건설되는 세미-드라이도크는 4~6m 양쪽 측면벽을 구성하고 있어 선박계류장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드라이도크와 같이 별도의 선박계류장 건설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산업적 측면에서 본 발명은 국내 기존 소형조선소들이 중형급 선박수리시설을 저비용으로 건설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국의 선박수리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대표산업인 조선업에서 신건조선박의 선가하락과 수주량이 미미하여 선박건조산업이 약화되고 있으나, 선사들의 기존선박 수리를 통한 선박수명연장과 최근 선박의 의무적 정기검사 및 환경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선박수리산업이 부각되고 있다. 2016년 현재 국내에 100여곳의 수리조선소가 있으나, 대부분 6,000톤급 이하의 소규모 수리조선소들이고, 1만~2만톤급 중형선박을 수리할 수 있는 조선소들은 여수의 여수해양조선, 목포지역의 대불조선, CC조선, 목포조선, 광성조선의 5곳이 있고 5만톤급 규모의 중형선박을 수리하는 조선소는 부산/광양의 오리엔트조선 1곳에 불과하다. 이렇듯 국내조선소 100여곳 중에서 위 중형 수리조선소 6곳을 제외한 94개 조선소들이 주로 슬립웨이 도크의 방식에 의해 6,000톤급 이하의 소형선을 수리하고 있으며, 국내에 중형급 선박의 수리조선소가 부족하여 1만톤 이상의 중형급 선박들이 대부분 중국조선소에서 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형급 선박 전용 수리용 세미-드라이도크를 통해 국내 중소형조선소들이 중형급 선박 수리 능력을 개선시켜 한국에 입항하는 국내항선 및 국외항선들의 선박 수리 및 보수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약화되는 신건조 위주의 조선업을 수리 서비스 사업으로 활성화하고, 인적 자원에 의존하는 조선업의 고용효과를 확대하고, 각종 선박수리비용과 수리업무로 인한 부대경비 등으로 인한 외화유출을 국내 외화수입 창출로 전환시킴으로써 한국 조선산업의 안정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요약하면 하기의 표2와 같다.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 블록연결식 건설공법의 효과
비교내용 본발명의 세미- 드라이도크 기존 드라이도크
설치장소 육상과 인접한 해상 해저지면 조선소 부지 내 육상
건설방법 해상 블록연결식 건설공법 육상 일체식 건설공법
건설기간 14개월 24개월
(해수차단벽 설치기간 18개월)
건설비용
(50,000DWT 기준)
약 85~90억원 약 350~400억원
선박계류장 양쪽 측면벽을
선박계류장으로 사용
선박계류장 별도 건설 필요
도 1은 도크 블록 연결에 따른 세미-드라이도크의 길이방향 측면도.
도 2는 세미-드라이도크의 경사비율 계산식에 적용되는 높이 및 길이 예시도.
도 3은 50,000DWT 선박상가를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주요치수 설계도면.
도 4는 세미-드라이도크의 평면도.
도 5는 도크 블록의 횡방향 연결부분 단면도.
도 6은 제작된 도크 블록들의 해상연결을 위한 구성요소 확대도.
도 7은 세미-드라이도크 안에 상가된 선박, 윈치와 로프 배치 평면도.
도 8은 세미-드라이도크 반목 위에 선박을 상가한 횡방향 중앙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와 종래 드라이도크의 비교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인 세미-드라이도크의 건설과정과 선박을 도킹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를 도시한 도크 블록 연결에 따른 세미-드라이도크의 길이방향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크의 형상을 설명하면, 세미-드라이도크는 전면벽(10),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와 간격을 유지하는 양쪽 측면벽(11,12), 도크의 경사바닥면(13), 도크 끝단부에 설치된 수문(20)을 포함한다.
도 2는 세미-드라이도크의 경사비율 계산식에 적용되는 높이 및 길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하여 세미-드라이도크의 경사비율(14)을 산출하는 계산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의 기본흘수(즉, 선박의 F.P 지점인 선수 1.5m, 선박의 A.P 지점인 선미 4.5m, 트림 3.0m)에, 환경적 요건(즉, 도크의 길이/도크가 건설되는 지점의 지리적인 여건/해상의 파랑/선내 바라스트량)을 고려하여 선체하부와 반목 사이에 50,000DWT 미만의 선박은 선수 및 선미에 각각 1m의 여유를 주고, 50,000DWT 이상 선박의 경우 선수 1m와 선미 1.5m 여유를 더 줌으로써 선박이 도킹 가능한 흘수(즉, 선박의 도킹흘수)를 계산한다. 계산된 선박의 도킹흘수에서 반목의 높이 1.3m(50,000DWT 미만 선박) 혹은 1.5m(50,000DWT 이상 선박 )를 더하면 선박이 도크 내 부양되기 위한 최소 높이를 의미하는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도크의 경사바닥면(13)' 까지의 높이(H1)가 계산된다(즉, H1=선박의 기본흘수+환경적 요건+반목의 높이).
다음으로, ‘육상지면(30)에서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인 H3에서,‘육상지면(30)에서부터 만조시 해상수면(19)까지의 높이’인 H4를 차감하여, ‘만조시 해상수면(19)에서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인 H2를 산출한다 (즉, H2 = H3 - H4). 다음으로, 계산된 H2에서 상기에서 계산된 H1을 차감하면 도크의 경사비율 산출에 해당되는 도크의 경사높이 H인 ‘도크의 경사바닥면(13)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수직거리의 높이’가 계산된다 (즉, H = H2 - H1). 다음으로, 6,500DWT~70,000DWT 중형급 선박의 길이에 선수와 선미의 작업장 구역을 더하여 도크의 길이(L)를 산출한다. 최종적으로, 계산된 도크의 경사높이(H)를 도크 길이(L)로 나누면 도크의 경사비율(14)이 산출된다.
즉 계산된 도크의 경사높이(H)를 도킹하려는 선박크기의 범위(6,500DWT ~ 70,000DWT)에 준한 도크의 길이(L)로 나누면, 도크의 경사비율 1/35~1/55가 산출된다.
도 3은 50,000DWT 선박상가를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주요치수 설계도면이다. 상기의 도 2에서 제시한 경사비율 계산식을 50,000DWT 선박상가를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설계에 적용한 예시이다.
도 4는 세미-드라이도크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세미-드라이도크(2)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벽(10)은 육상과 인접하여 만조 시 해수면보다 2~4m가 높게 건설된다. 양쪽 측면벽(11,12)은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와 간격을 유지하고, 선박 수리를 위한 각종 기기류 및 장비들을 설치하는 장소로서 좌우각각 폭 4~6m의 상면으로 형성된다. 바닥면(13)의 윗부분에는 선박 선수의 기본흘수가 2m 이상을 가지는 특수선박을 도킹하기 위해 전면벽(10)으로부터 끝단부의 수문 방향으로 길이 50m까지 대차레일(17)과 로라대차(18)가 설치된다. 끝단부에는 수문(20)이 설치되고, 도크의 수문 앞에 횡방향으로 빌지 및 잔수 통로(21)가 시설된다.
삭제
삭제
삭제
위 내용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의 경사비율 1/35~1/55 범위를 기준하여 도크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도크블록들을 제작하여 해상연결공법으로 건설함으로써 조수만조 시 대차의 견인 없이 선박의 부양상태에서 윈치와 로프를 이용하여 중형급 선박을 용이하게 도킹할 수 있다.
이후부터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블록연결식 건설공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육상과 인접한 해상의 해저지면을 세미-드라이도크의 길이폭경사비율(14)을 반영하여 지름 30cm 미만의 돌(36)을 먼저 투하하고 그 위에 도크 바닥면의 하부 깊이 1m 정도까지 자갈(36)을 깔아 포크레인으로 지면을 다지는 다짐작업을 한다. 이와 동시에 육상에서 세미-드라이도크의 블록들을 길이 약 30m로 제작하는데, 50,000DWT 선박을 기준으로 도크길이 220m의 세미-드라이도크를 건설할 경우 8개의 도크블록을 제작한다. 제작한 도크블록들을 크레인으로 해상에 옮겨 도크의 전면벽부터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해상연결공법으로 건설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드라이도크 건설방법은 충분한 수심을 갖는 바다에 해수차단벽을 설치하고 바다와 인접한 육상에 계획된 도크의 전면/측면/바닥을 길이/너비/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킨 후 일체식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건설함으로써, 과도한 건설비용을 발생시킨다. 반면,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블록연결식 공법으로 건설함으로써 기존의 드라이도크 대비 건설비용을 75%까지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공정인 도크블록의 제작 및 해상블록연결식 건설공법을 하기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크블록의 횡방향 연결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미-드라이도크의 블록은 도크의 경사바닥면(13)과 양쪽 측면벽(11,12)을 가지는
Figure 112018128706311-pat00032
자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된다. 도크블록의 길이는 20m~30m로 하고, 다음 단계의 해상연결공정을 위하여 도크 길이방향으로 도크블록의 전·후면 끝단부의 바닥면과 측면벽에 H형강(51)을 배치하며(도 6 참조), 조립철근과 상호 용접을 한 후 전후/좌우 블록레벨을 ±15m/m 범위 이하로 확인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한다. 이때, 양쪽 측면벽(11,12)의 규격은 좌우각각 폭 4~6m, 높이는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고, 내부공간(37)을 비운 상태로 측면벽의 콘크리트 벽면만 제작하여 제1블록(41)을 완성한다. 제2블록(42), 제3블록(43),,제7블록(47) (50,000DWT 선박 기준) 역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다.
도 6은 제작된 도크블록들의 해상 연결을 위한 구성요소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작된 블록들의 해상블록연결 및 해수차단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작된 제1블록(41)과 제2블록(42)을 해상크레인으로 전면벽 위치에서부터 안착시키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잠수부가 진입하여 수중에 안착된 도크블록들(41,42)의 연결부분(50)에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를 시공하여 해수유입을 차단하고 블록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건설기간 동안 안착된 도크 블록의 뒤틀림(Tor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된 블록들(41,42)의 양쪽 측면벽 내부공간(37)에 돌과 자갈(36)을 채우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쪽 측면벽 각각 폭 4~6m의 상면을 제작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블록 이후의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안착, 해수차단, 그리고 측면벽 상면제작 공정을 완성한다. 그 다음, 도크의 끝단면에 수문(20)을 설치하여 도크 전체에 해수를 차단한다.
해상블록연결 및 해수차단 공정을 완성한 후에는 다음과 같이 도크의 강도보장공정을 진행한다. 도크블록 연결부분(50)의 영구적인 해수차단과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크 블록의 각 연결부분(50)에 300 x 15t 강판(52)을 올려 블록의 H형강(51)과 용접한다. 마지막으로 도크 전체의 영구적인 해수차단과 강도보장을 위하여 도크 내부의 전체 바닥면(13)에 콘크리트 100m/m(16)를 타설하면 세미-드라이도크의 형상이 완성된다. 세미-드라이도크의 사용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기기류/펌프, 윈치(33), 타워크레인, 기기류 운전실(31)과 장비류, 가이드로라(34), 무어링쵸크(32), 휀다, 보라드 및 이에 수반되는 부속물들을 설치 및 시운전하여 세미-드라이도크 설비를 완료한다.
도 7은 세미-드라이도크 안에 상가된 선박(1)과 윈치(33) 및 로프가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완성한 세미-드라이도크(2)에 선박을 도킹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수의 만조 시, 상가할 선박(1)을 예인선으로 도크 끝단부 위치까지 예인하여 트림조정 후 상가할 준비를 한다. 도크 내 해수를 채우기 위하여, 도크 내부공간(15)에 펌프로 해수를 채우고 수문(20)을 개방한다. 선박을 도크 내부(15)로 안전하게 도킹하기 위하여 도크 내 윈치(33), 무어링쵸크(32), 그리고 가이드로라(34) 및 로프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한 사람은 기기류 조정실(31)에서 각각의 윈치(33)를 필요에 따라서 작동하고, 다른 두 사람은 측면벽 양쪽(11,12) 위에서 상가선박(1)에 각각의 로프를 던져주면 선박(1)내의 무어링 쵸크(32)를 통하여 보라드에 묶은 다음, 기기류 조정실(31)에서 각 윈치(33)를 작동하여 로프를 감거나 푸는 방법으로 조정하면서 선박(1)의 도킹을 완료한다. 이때, 선수부분(선박의 F.P지점)의 흘수 2m까지 부력을 받기 때문에 선체부양원리로 용이하게 중형급 선박을 도킹할 수 있다. 특히 경우에 따라 선수의 흘수가 2m 이상의 높은 특수선박을 도킹할 때는, 전면벽으로부터 50m까지 설치된 대차레일(17)과 로라대차(18)를 이용하여 선수부분을 견인하는 작업으로 도킹을 완료한다. 세미-드라이도크는 선박의 흘수를 기준하여 제작한 도크의 경사바닥면(13)이 선박의 트림과 유사하므로, 상가완료 후 도크내 해수를 배출시키면 선박(1) 전체가 반목(35) 위에 안정적으로 안착이 된다. 반면에 기존의 드라이도크는 바닥면이 평평하므로 선박 도킹 완료 후 해수를 배출시키면 선박이 선미부터 반목 위에 안착되어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국부적으로 선박의 손상이 발생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8은 세미-드라이도크 반목 위에 선박을 상가한 횡방향 중앙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크 내 해수의 배출이 완료된 후 반목(35) 위에 선박(1)이 도킹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반목(35)의 하부는 콘크리트로, 상부는 유연성 있는 목재로 제작되고, 이동할 때 사용하는 와이어로프 고리를 갖춘다. 반목의 규격과 수량은 선박의 크기와 조선소 표준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50,000DWT 선박 기준으로 길이 1,200m/m x 폭 900m/m x 높이 1,500m/m의 규격으로 약 170개가 사용된다. 이러한 도크 내 반목(35)에 선박(1)이 상가된 상태에서 선박의 수리작업을 시작한다.
선박수리가 완료되면 선박을 하가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도 7을 참고로 하여, 선박의 수리완료 후 하가과정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선박의 하가를 위하여, 기기류 조정실(31)에서 펌프를 작동하여 도크내부(15)에 선박 하가가 충분할 정도로 해수를 채우고, 도크에 해수가 채워지면 수문(20)을 개방하여, 선박 하가를 위해 기기류 조정실(31)에서 윈치(33)를 작동하여 로프를 감거나 푸는 방법으로 조정하면서 선박을 하가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세미-드라이도크와 종래 드라이도크의 비교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효과와 같이, 세미-드라이도크의 양쪽 측면벽은 선박계류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 기존의 드라이도크와 같이 별도의 선박계류장 건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드라이도크 대비 건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선박 2: 세미-드라이도크
3: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 10: 도크의 전면벽
11: 도크의 측면벽(우현) 12: 도크의 측면벽(좌현)
13: 도크의 경사바닥면 14: 도크의 경사비율(H/L)
15: 도크의 내부공간 16: 철근콘크리트
17: 대차 레일 18: 로라 대차
19: 만조 시 해상수면 20: 수문(Dock gate)
21: 잔수통로 30: 육상지면
31: 기기류 조정실 32: 무어링 쵸크
33: 유압 윈치 34: 가이드로라
35: 반목 36: 돌, 자갈
37: 측면벽의 내부공간 40: 해양
41: 도크 제1블록 42: 도크 제2블록
50: 블록연결부분 51: H형강
52: 강판 53: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
L : 도크의 길이
H : 도크의 경사바닥면(13)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
H1: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도크의 경사바닥면(13)까지의 높이
H2: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
H3: 육상지면(30)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
H4: 육상지면(30)으로부터 만조시 해상수면(19)까지의 높이

Claims (5)

  1. 6,500DWT~70,000DWT 중형급 선박을 도킹할 수 있도록 하는 세미-드라이도크에 관한 것으로,
    육상지면(30)과 접하여 만조 시 해수면(19)으로부터 2~4m 높게 설치된 전면벽(10);
    상기 전면벽(1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와 간격을 유지하고, 선박의 수리를 위한 기기류와 장비류를 설치하기 위하여 좌우 각각 폭 4~6m의 상면을 가지는 양쪽 측면벽(11, 12);
    상기 양쪽 측면벽(11, 12) 사이 바닥에 선박의 도킹흘수를 기준하여 산출한 경사비율(14)로 구비되는 경사바닥면(13);
    상기 경사바닥면(13)의 윗부분에 선박의 선수흘수가 2m 이상인 특수선박을 도킹하기 위해 전면벽으로부터 끝단부 수문(20) 방향으로 길이 50m까지 설치된 대차레일(17)과 로라대차(18);
    상기 전면벽(10)과 대응되는 양쪽 측면벽(11, 12) 끝단부에 해수출입을 위해 설치된 수문(20);으로 구성된 세미-드라이도크에 있어서,
    도크의 경사바닥면(13)과 양쪽 측면벽(11,12)을 가지는
    Figure 112018128706311-pat00017
    자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제작되고, 바닥면과 측면벽은 다음 단계의 해상연결공정을 위하여 전·후면에 H형강(51)을 배치하고, 양쪽 측면벽(11,12)의 규격은 좌우각각 폭 4~6m, 높이는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고, 내부공간(37)을 비운 상태로 측면벽의 콘크리트 벽면만 제작하여 완성되는 다수의 도크블록(41, 42);
    상기 다수의 도크블록(41, 42)의 연결부분(50)에 해수 유입이 차단되고, 다수의 블록(41, 4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접착되는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
    상기 도크 블록(41, 42)의 뒤틀림(Tor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된 도크블록들(41,42)의 양쪽 측면벽 내부공간(37)에 삽입되는 돌과 자갈(36);
    상기 도크블록(41, 42)의 각 연결부분(50)에 해수차단과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H형강(51)과 용접되는 강판(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2.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의 경사바닥면 경사비율 계산식에 있어서,
    6,500DWT~70,000DWT 중형급 선박의 기본흘수(선박의 F.P 지점인 선수 1.5m, 선박의 A.P 지점인 선미 4.5m, 트림 3.0m)에 환경적 요건(도크의 길이/도크가 건설되는 지점의 지리적인 여건/해상의 파랑/선내 바라스트량)을 고려하여 선체하부와 반목(35) 사이에 선수 1m, 선미 1m~1.5m를 더하여 선박의 도킹흘수를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선박의 도킹흘수에 반목(35)의 높이 1.3m~1.5m를 더하여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도크의 경사바닥면(13)까지의 높이(H1)를 산출하는 단계(H1=선박의 기본흘수+환경적 요건+반목의 높이);
    육상지면(30)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H3)에서 육상지면(30)부터 만조시 해수수면(19)까지의 높이(H4)를 차감하여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H2)를 산출하는 단계(H2=H3-H4);
    계산된 만조시 해상수면(19)에서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높이(H2)에서 계산된 만조시 해상수면(19)부터 도크의 경사바닥면(13)까지의 높이(H1)를 차감하여 (도크의 경사비율 산출에 해당되는) 도크의 경사높이(H)인 도크의 경사바닥면(13)부터 해저지면의 수평바닥선(3)까지의 수직거리의 높이(H)를 계산하는 단계(H=H2-H1);
    6,500DWT~70,000DWT 중형급 선박의 길이에 선수와 선미의 작업장 구역을 더하여 도크의 길이(L)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도크의 경사높이(H)를 도크의 길이(L)로 나누어 도크의 경사비율(14) 1/35~1/55(H/L)을 산출하는 단계;로 산출된 도크의 경사비율(14)로 경사바닥면(13)이 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3.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건설공법에 있어서,
    육상과 인접하여 만조 시 해수면보다 2~4m가 높게 전면벽(10)을 건설하는 단계;
    중형급 선박이 상가될 수 있도록 해상의 해저지면을 선박의 흘수(선수 1.5m, 선미 4.5m, 트림 3m)를 기준하여 산출한 도크의 바닥면 경사비율 1/35~1/55에 준하여 고르는 단계;
    다수개의 도크블록들을(41,42,....)을 도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경사비율을 적용한 경사바닥면(13)과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도록 양쪽 측면벽(11,12)을 설계한
    Figure 112019501269298-pat00033
    자 단면 형상의 다수개 도크블록들(41, 42..)로 제작하고, 이때 도크블록 각각은 양쪽 측면벽(11,12)이 좌우각각 폭 4~6m와 전면벽으로부터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높이로 내부공간(37)이 비워진 상태의 콘크리트 측면벽으로 제작되고, 해상연결공정을 위하여 도크 길이방향의 전후면 끝단부 바닥면(13)과 측면벽(11,12)에 도크블록들 간 용접연결용 H형강(51)을 배치하여
    Figure 112019501269298-pat00021
    자 단면 형상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다수의 도크블록(41, 42)을 해상크레인으로 전면벽(10) 위치에서부터 해상의 해저지면 위에 안착시키는 단계;
    수중에 안착된 도크블록들(41,42)의 연결부분(50)에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를 접착하여 해수유입을 차단하고 블록을 연결한 후, 도크 블록(41, 42)의 뒤틀림(Tor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크블록들(41, 42)의 양쪽 측면벽(11, 12) 각각 내부공간(37)에 돌과 자갈(36)을 채우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폭 4~6m의 상면을 제작하여 1차 블록연결공정을 완성하는 단계;
    상기 도크블록(41, 42) 이후의 블록(43)들을 순차적으로 안착, 해수차단, 그리고 측면벽 상면제작의 블록연결공정을 진행하여 세미-드라이도크의 골격을 완성하는 단계;
    도크의 내부공간(15) 전체에 해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벽(10)과 대응되는 양쪽 측면벽(11, 12) 끝단부에 수문(20)을 설치하는 단계;
    도크블록(41, 42)의 블록연결부분(50)의 해수차단 및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해수차단용 방수접착제(53)가 시공된 블록연결부분(50) 각각에 강판(52)을 올려 도크블록(41, 42)의 H형강(51)과 용접하는 단계;
    2차적으로 도크 전체의 영구적인 해수차단 및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도크의 경사바닥면(13) 전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의 해상건설공법.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6876A 2017-09-12 2017-09-12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KR10194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76A KR101947162B1 (ko) 2017-09-12 2017-09-12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76A KR101947162B1 (ko) 2017-09-12 2017-09-12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162B1 true KR101947162B1 (ko) 2019-05-08

Family

ID=6658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876A KR101947162B1 (ko) 2017-09-12 2017-09-12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1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4060A (zh) * 2022-04-22 2022-05-24 南通中远海运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超大型fpso船合拢工艺
KR102672847B1 (ko) * 2023-01-04 2024-06-05 이유식 세미-드라이도크를 이용한 단일라인 선박건조공법 및 공정 레이아웃 설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851A (ko) * 2005-10-26 2007-05-02 조영식 선박 건조용 드라이도크 구조물
KR20140006399U (ko) * 2013-06-14 2014-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용 게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851A (ko) * 2005-10-26 2007-05-02 조영식 선박 건조용 드라이도크 구조물
KR20140006399U (ko) * 2013-06-14 2014-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용 게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4060A (zh) * 2022-04-22 2022-05-24 南通中远海运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超大型fpso船合拢工艺
KR102672847B1 (ko) * 2023-01-04 2024-06-05 이유식 세미-드라이도크를 이용한 단일라인 선박건조공법 및 공정 레이아웃 설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3959B1 (en) Use of prefabricated components in floating structures
US10919606B2 (en) Seabed bas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ame
KR100949891B1 (ko)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
CN101920771A (zh) 一种船舶建造中的出坞压载方法
CN101597896B (zh) 采用大型方体驳船建造外海人工岛抛石堤岛壁的方法
CN106677258A (zh) 一种电厂海上取水头沉箱的安装工艺
KR101947162B1 (ko) 중형급 선박 도킹을 위한 세미-드라이도크 및 그 해상건설공법
CN203866772U (zh) 一种适应潮位变化的多用途装卸码头
CN111980067A (zh) 采用上驳工艺长距离运送沉管的施工方法
CN107628208A (zh) 适用于组合构建大型水上浮平台的预铸浮筒
CN113668610A (zh) 一种钢壳混凝土沉管半浮态浇筑方法
CN104164885A (zh) 一种沉箱的拖航方法
CN104875859A (zh) 一种轻质混凝土人工漂浮岛建造方法
CN2687006Y (zh) 坐底式半潜驳
CN101648592A (zh) 通道式船坞
KR102631910B1 (ko)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CN112779967B (zh) 一种污水海域排放管海陆连接段的施工方法
CN216999812U (zh) 沉管寄存区防浪堵口装置
CN108059009B (zh) 用于船舶货物转运的转驳平台及其建造方法
CN201534610U (zh) 通道式船坞
Logan et al. Atlantic alliance: The next generation tension leg platform
Buring Flexible Quay Wall Structures for Container Vessels
CN104908884A (zh) 一种快速建造海面漂浮人工岛的方法
JP3926027B2 (ja) ケーソンの建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