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938B1 -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938B1
KR101946938B1 KR1020180136930A KR20180136930A KR101946938B1 KR 101946938 B1 KR101946938 B1 KR 101946938B1 KR 1020180136930 A KR1020180136930 A KR 1020180136930A KR 20180136930 A KR20180136930 A KR 20180136930A KR 101946938 B1 KR101946938 B1 KR 101946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ff
error
hard case
data
surve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형택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지티아이
Priority to KR102018013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9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odetic survey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onfirming presence of an error and error displacement of a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 geographic feature, wherein the geodetic surveying device comprises: a staff (100) having an identifiable luminous scale; a staff bag (200) capable of holding the staff (100); a leveler (300) for reading a barcode of the staff (100) to obtain a height; and a portable terminal (400) for checking presence of an error and error displacement of a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ce of a mistake and an error in obtained data of a measurement point can be immediately checked, and thus data reliability for measuremen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The power of discrimination is improved in the scale of the staff, and thus the geodetic surveying device can be used at night or in a place where the periphery is dark. The staff can be easily adjusted in a vertical state through a leveler provided on the staff, and thus it is possible to perform precise measurement. Since the staff can be easily carried in a state of being held in the staff bag, convenience of work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leveling at night,

본 발명은 스타프의 바코드에 식별력을 높여 야간 및 어두운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한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for checking the error of a surveying value and an error displacement confirmation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 feature item that can be used even at night or in a dark place by increasing discrimination power on a bar code of a staff.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Generally, geodetic surveying should be done first for various civil engineering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며,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스타프(표척)와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측량을 말한다.Geodetic surveying refers to the activities of measuring the horizontal distance, elevation difference and directio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each measuring point, displaying it in figures or numerical values, and staking out in the field. Among these geodetic surveying, (Surface) and a leveler to measur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한편, 험지와 같은 지역을 측지측량하는 경우 표척수는 무거운 스타프(표척)를 들고 각 지점으로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표척수의 작업피로도가 극심하게 되고,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eodetic survey was performed on the same area as the rugged area, the spinal column had to move to each point with a heavy staff, so that the work of the spinal column became extreme and the work was delayed.

특히,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곳에서는 레벨기가 스타프에 표시된 바코드의 눈금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함에 따라 표척수가 스타프에 손전등을 비춰주어야 했던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at night or in a dark environment, the level gigas could not clearly recognize the scale of the bar code displayed on the staff, so the table spinal cord had to light the flashlight on the staff.

1. 등록특허 제10-1813562호(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장치/2017.12.22)1. Registered Patent No. 10-1813562 (Ground fixing device of the chuck for the geodetic surveying / Dec. 22, 2017)

본 발명은 측량지점의 획득 데이터에 오류 및 오차 여부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측량에 대한 데이터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스타프의 눈금에 식별력을 높여 야간 및 어두운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스타프를 스타프백에 거치한 상태에서 손쉽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킨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data reliability of the surveying by allowing the user to immediately confirm the error and error on the data acquired at the surveying point, and can be used at night or in the dark by raising the discrimination power on the scale of the staff, In order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work because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in the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the star back bag, it is aimed to provide a geodetic surveying device for checking the error of the surveying value and the error displacement,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입출 가능한 다단구조를 이루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야광기능의 눈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측량지점에 세워지는 스타프;A vertical scal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cale. On both sides, a scale is formed at the measurement point where the projections are formed. Staf;

일면이 작업자의 등에 위치되고, 타면에는 스타프가 끼워져 수용될 수 있게 안착홈과 돌기홈이 마련되며, 일 측면으로 개구된 내부에는 수용공간부이 마련된 합성수지재질의 하드케이스와, A hard cas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seating surface and a projection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worker and having a seating surface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하드케이스에 설치되어 안착홈과 돌기홈에 끼워진 스타프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타프고정부와, A star fixture installed in the hard case for restricting departure of the seat fitted in the seat groove and the projection groove,

하드케이스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등에 밀착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등받이와,A back of a soft material which is installed in the hard cas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operator,

등받이의 전방에 위치되게 하드케이스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양쪽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된 어깨끈과,A shoulder strap mounted on the hard case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ckrest so that the worker can hang on both shoulders,

어깨끈에 각각 설치되어 어깨끈이 벌어지는 것을 잡아 하드케이스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어깨끈 고정부와,A shoulder strap fastening part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houlder strap and which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hard case by gripping the shoulder strap,

어깨끈의 하부에 배치되게 하드케이스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 하드케이스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허리고정부와,A waist fix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strap so as to surround the waist of the worker to catch the movement of the hard case,

수용공간부에 인입출가능하게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각종 측량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수납함과,A housing which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pace to be able to be drawn in and out,

하드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함의 인입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된 잠금쇠로 구성된 스타프백;A staple bag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ard case and is composed of a lock which is capable of interrupting the insertion / removal of the storage box;

관측점에 설치되어 측량지점에 세워진 스타프의 눈금을 읽어 높이에 대한 측량데이터를 구하는 레벨기;A level meter installed at the observation point and reading the scale of the staff established at the surveying point to obtain measurement data of the height;

레벨기를 통해 획득한 측량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모듈과, 측량지점에 대한 기존 측량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모듈과, 측량지점에 대한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준 값을 벗어나면 신규 측량데이터를 오류 데이터로 분류하는 데이터분석모듈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put module for inputting the survey data acquired through the leveling device,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existing survey data on the survey poin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new survey data with the existing survey data, And a data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classify the new survey data as error data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survey data and the existing survey dat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휴대용단말기를 구성하는 입력모듈과, 송수신모듈, 데이터분석모듈 및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기존의 측량데이터와 신규 측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측량데이터의 오류 및 오차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밀수준측량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측량에 대한 데이터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an error or an error exists in survey data by comparing existing survey data with new survey data using an input module,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 data analysis module and a display, which constitute a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liability of data about surveying can be greatly improved in that accurate leveling can be performed.

또한, 스타프의 눈금에 야광기능을 부여하여 눈금의 식별력을 높여 줌으로서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스타프에 마련된 수평기를 통해 스타프를 쉽게 연직상태로 맞춰줄 수 있어 정밀한 측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스타프를 스타프백에 거치한 상태에서 손쉽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at night or in dark places by giving luminous function to the scale of the staff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scale,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taff to the vertical position easily by the level machine provided at the staff,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maximized because the staff can be easily transported while being stationed on the staple ba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의 분해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rror of a surveying value and an error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for checking an error of a surveying value and an error displacement che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for checking the error of the measurement value and the error displacement confirm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for checking the error of th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eature item and the error displacement che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for checking the error of a surveying value and an error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error of a surveying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for checking the error of the measurement value and the error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fe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of the verification function,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eodetic surveying instrument of the error displacement confirmation function.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지측량장치는, 스타프(100)와 스타프백(200), 레벨기(300) 및 휴대용 단말기(4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스타프(100)를 스타프백(200)에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스타프백(200)을 메고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고, 특히 스타프의 바코드에 야광기능을 부여하여 스타프의 식별력을 높여 줌으로서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나아가 측량지점의 획득 데이터에 오류(오차) 여부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측량에 대한 데이터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1 to 2C, a geodetic sur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tar, a staple bag 200, a leveler 300, and a portable terminal 400, 100 is fixed to the staple back 200, the operator can carry the staple bag 200, and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the movement can be greatly enhanced. In particular, the stapler's bar code is given a luminous function, It is possible to use it at night or in the dark plac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the error (error) on the acquired data of the surveying poin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data reliability of the surveying.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스타프(100)는 사각바가 다단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측량지점에 세워지는 것으로서, 일면에는 레벨기(300)가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눈금(숫자, 바코드 등이 더 표시될 수 있음)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120)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돌기(110)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2C, the staple 100 is constructed such that a square bar can be folded in and out in multiple stages to be extended and reduced, A horizontal scale 1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confirm the vertical state, and protrusions 1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cale 120, Respectively.

특히, 상기 스타프(100)의 눈금은 식별력을 높여주기 위하여 야광기능을 부여하였으며, 이에 따라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graduations of the staff 100 are provided with a luminous fun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and thus it is advantageous that they can be used at night or in a dark place.

여기서, 상기 수평기(120)는 내부에 있는 수포를 이용해 스타프(100)를 연직으로 맞춰주기 위한 정밀보조기구로서, 표척수가 스타프(100)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수포를 중앙에 위치한 원에 넣어 스타프(100)를 연직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leveling device 120 is a precision ancillary device for vertically aligning the staff 100 using the internal bubble, and when the table spinal cord is holding the staff 100,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aple 100 into a vertical state,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in measurement.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스타프백(200)은 하드케이스(210)와 스타프 고정부(220), 등받이(230), 어깨끈(240), 어깨끈 고정부(250), 허리 고정부(260), 수납함(270) 및 잠금쇠(280)로 구성된 것으로서, 거치된 스타프(100)를 쉽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운반수단이다.1 to 2C, the star back 200 includes a hard case 210, a staple fixing part 220, a backrest 230, a shoulder strap 240, a shoulder straps fixing part 250, And is constituted by a fixing part 260, a housing box 270, and a catch 280, and is a conveying device that can easily and easily move the stationary staff 100.

상기 하드케이스(210)는 성형이 쉽고 외부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으며 단단한 합성수지재질을 이용해 제작한 부재로서, 수직한 일면이 작업자의 등에 위치되고, 타면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The hard case 210 is a member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easy to mold and is not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The hard case 210 has a vertical one surface positioned on the back of the operator and a reverse surface inclined downward.

상기 하드케이스(210)의 경사진 타면에는 스타프(10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수용될 수 있도록 안착홈(212)과 돌기홈(213)이 마련된다.A seating groove 212 and a protrusion groove 213 are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ard case 210 so that the staple 100 can be detachably inserted and accommodated.

또한, 하드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공간부(211)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내부가 하드케이스(210)의 일 측면으로 개구되고, 수용공간부(211)의 내부는 분할판(도 2c 참조)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The interior of the hard case 210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hard case 210 so that the housing space 211 can be provided inside the hard case 210.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pace 211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plate And the space is partitioned.

여기서, 상기 안착홈(212)은 수직축을 중심으로 틀어져 있어 스타프(100)가 인입되더라도 작업자의 머리와 간섭되지 않아 이동과정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groove 212 is centered on the vertical axis, so that even if the staple 100 is inserted, the seating groove 212 is not interfered with the head of the worker,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moving process can be solved.

상기 돌기홈(213)에는 스타프(100)의 돌기(110)가 삽탈가능하게 인입되어 사타프(100)가 안착홈(212)으로부터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jections 110 of the staff 100 can be removably inserted into the protrusions 213 to prevent the protrusions 100 from falling down from the seating recesses 212.

상기 스타프고정부(220)는 하드케이스(210)에 설치되어 안착홈(212)과 돌기홈(213)에 끼워진 스타프(100)의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star fixing part 220 is provided in the hard case 210 and serves to limit the detachment of the staff 100 fitted in the seating groove 212 and the projection groove 213.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타프 고정부(220)는 일단부가 하드케이스(2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하드케이스(210)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를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tar stabilizer 220 is fixed to the hard case 210,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ard case 210 via a Velcro tape.

상기와 같이 안착홈(212)에 인입된 스타프(100)를 스타프고정부(220)를 매개로 고정해 줌에 따라 이동과정에 스타프(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다.As the staple 100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12 is fixed via the staple fixing unit 220 as described above, the departure of the stapler 100 can be prevented in the moving process, Can be transported.

상기 등받이(230)는 하드케이스(210)의 일면에 설치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부재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하드케이스(210)와 작업자의 등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완충해주는 기능을 한다.The backrest 230 is a soft materi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rd case 210. More specifically, the backrest 230 is disposed between the hard case 210 and the back of the worker to function as a shock absorber.

상기 어깨끈(240)은 등받이(230)의 전방에 위치되게 하드케이스(210)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양쪽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어깨에 가중되는 힘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탄성력을 갖춘 부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The shoulder strap 240 is installed in the hard case 210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ckrest 230 so that the worker can hang the shoulder straps on both shoulders. Member.

상기 어깨끈 고정부(250)는 어깨끈(240)에 각각 설치되어 어깨끈(240)이 벌어지는 것을 잡아 하드케이스(2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shoulder strap securing portions 25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houlder straps 240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hard case 210 by gripping the shoulder straps 240.

상기 어깨끈 고정부(250)는 벨크로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The shoulder strap securing portions 25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 Velcro tape or the like.

상기 허리고정부(260)는 어깨끈(240)의 하부에 배치되게 하드케이스(210)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 하드케이스(210)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e waist fixing part 260 is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shoulder strap 240 and is installed on the hard case 210 to wrap the waist of the worker to catch the movement of the hard case 210.

상기 허리고정부(260)는 벨크로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The waist fixing portions 26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 Velcro tape or the like.

일 예로서, 상기와 같이 어깨끈 고정부(250)와 허리고정부(260)를 통해 작업자의 몸에 밀착되도록 해 줌에 따라 이동과정에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어 운반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oulder strap fastening portion 250 and the waist fastening portion 26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worker, the swinging movement can be performed during the movement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상기 수납함(270)은 수용공간부(211)에 인입출가능하게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각종 측량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부재이다.The storage box 270 is a member which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211 so as to be able to be drawn in and out, and which can store tools necessary for various measurements.

상기 수납함(270)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어 수용공간부(211)로부터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torage box 270 is formed with a handle so that it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211.

상기 수납함(270)에는 각 지점에 대한 높이정보를 수집하여 기록한 도면 및 각종 측량에 필요한 도구가 수납된다.In the storage box 270, a height information for each point is collected and recorded, and tools necessary for various measurements are stored.

상기 잠금쇠(280)는 하드케이스(210)의 일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함(270)의 인입출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The pawl 28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rd case 210 and serves to intercept the insertion / removal of the receptacle 270.

즉,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쇠(280)를 수평상태로 놓게 되면 수납함(270)을 수용공간부(211)로부터 인출할 수 있고, 도 2a과 같이 잠금쇠(280)를 수직상태로 놓게 되면 수납함(270)의 인출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2C, when the catch 280 is placed in a horizontal position, the receptacle 270 can be pulled out of the receiving space 211 and the catch 280 can be pulled upright as shown in FIG. 2A The withdrawal of the storage box 270 can be restrict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잠금쇠(280)에 의해 수납함(270)의 인입출을 단속함으로서 이동과정에 수납함(270)이 무단으로 인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controlling the pull-out of the receptacle 270 by the pawl 28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limit the unloading of the receptacle 270 during the movement.

상기 레벨기(300)는 스타프(100)의 눈금을 읽어 높이를 구하기 위한 수준측량, 기준점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측량기이다. 이러한 레벨기(300)의 경우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leveler 300 is a conventional leveling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staff 100 by reading the scale scale. Since the leveling device 300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단말기(400)는 관측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테블릿피씨(Tablet PC)로서, 입력모듈(410)와, 송수신모듈(420), 데이터분석모듈(430) 및 디스플레이(440)로 구성된다.1, the portable terminal 400 is a Tablet PC carried by an observer and includes an input module 410,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20, a data analysis module 430, and a display 440 ).

상기 입력모듈(410)를 통해 측량지점의 측량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And input measurement data of the surveying point through the input module 410.

상기 송수신모듈(420)를 통해 측량지점에 대한 기존 측량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M)로부터 수신받고, 신규 측량데이터 중 오류 없는 정상 측량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M)에 무선 송출한다.Receives the existing survey data on the survey poin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2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error-free normal survey data among the new survey data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

상기 데이터분석모듈(430)는 측량지점에 대한 신규 측량데이터와 송수신모듈(420)를 통해 수신받은 기존 측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 간의 측량 값에 차이가 기준 값(설정범위)을 벗어나면 신규 측량데이터를 오류 측량데이터로 분류하고,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 간의 측량 값 차이가 기준 값(설정범위)에 들어오면 신규 측량데이터를 정상 측량데이터로 분류한다.The data analysis module 430 compares the new survey data with respect to the survey point and the existing survey data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20 to determine a difference between the survey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setting range) The new survey data is classified into the error survey data, and when the difference of the measurement value between the new survey data and the existing survey data falls with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range), the new survey data is classified as the normal survey data.

상기 디스플레이(440)는 휴대용단말기(4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The display 440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단말기(400)를 이용해 기존의 측량데이터와 신규 측량데이터를 비교하여 측량데이터의 오류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밀수준측량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측량에 대한 데이터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xisting measurement data and the new survey data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using the portable terminal 400,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the error of the survey data.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data on the data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표척수는 스타프(100)를 길게 뺀 다음 측량지점에 세워준다.First, the spinal cord pulls the staple (100) long and stands at the measurement point.

이때 표척수는 수평기(120)의 수포를 이용해 스타프(100)가 연직상태에 세워지도록 함으로서 보다 정밀한 측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pinal cord can be more precisely measured by making the staff 100 stand upright by using the blisters of the leveler 120.

상기와 같이 측량지점에 스타프(100)가 세워지면, 기계수는 레벨기(300)를 이용하여 스타프(100)의 눈금을 읽고, 이를 해당지점이 표시된 지도상에 기록해 수집한다.When the staff 100 is set up at the measurement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machines reads the scale of the staff 100 using the level machine 300, and records it by recording it on the map on which the corresponding point is displayed.

특히, 상기 스타프(100)의 바코드는 식별력을 높여주기 위하여 야광기능을 부여하였으며, 이에 따라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곳에서도 레벨기(300)를 이용한 측량이 가능하다Particularly, the barcode of the staff 100 provides a luminous function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easurement using the leveler 300 even at night or in a dark place

한편, 상기 측량지점의 측량이 완료되면, 표척수는 다단으로 인출된 스타프(100)를 인입하여 짧게 만든 다음, 이를 스타프백(200)의 안착홈(212)에 끼워준다.When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ement point is completed, the table spinal cord pulls the staple 100 drawn in a multi-stage to shorten it, and then inserts it into the seating groove 212 of the staple bag 200.

상기와 같이 안착홈(212)에 스타프(100)가 끼워질 때에 스타프(100)의 돌기(110)는 돌기홈(213)에 함께 삽입되어 스타프(100)가 안착홈(212)를 따라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protrusion 110 of the stud 10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groove 213 when the stud 1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recess 212 as described above, Thereby preventing it from falling down.

또한, 상기 안착홈(212)이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타프(100)를 안착홈(212)에 삽입하더라도 표척수의 머리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운반작업이 편리해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ating recess 212 is formed in a slanting line, it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head of the spinal column even if the staple 10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recess 212, thereby facilitating the carrying operation.

상기 안착홈(212)에 스타프(100)가 끼워지면, 표척수는 스타프 고정부(220)를 이용하여 스타프(1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감싸준다.When the staple 10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212, the table spinal cord is wrapped around the staple 100 to prevent the staple 100 from falling out.

그리고 각 지점에 대한 높이정보를 수집하여 기록한 도면 및 각종 측량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함(270)에 인입해주고, 잠금쇠(280)를 이용해 수납함(270)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다.Then, height information of each point is collected, and the figure and the tool necessary for various measurements are drawn into the receptacle 270, and the detachment of the receptacle 270 is prevented by using the catch 280.

그리고 표척수는 어깨끈(240)을 이용해 스타프백(200)을 멘 다음, 어깨끈(240)이 벌어지지 않게 어깨끈 고정부(25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고, 허리에는 허리 고정부(260)를 이용하여 몸과 스타프백(20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Then, the table spinal cord is stably fixed to the staple bag 200 using the shoulder strap 240 by using the shoulder strap fixing unit 250 so that the shoulder strap 240 is not opened, 260) to firmly fix the body and the staple bag (200).

상기와 같이 스타프(100)가 거치된 스타프백(200)을 메고 다음 측량지점으로 이동한 다음 측량작업을 실시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aple bag 200 on which the staple 100 is mounted is moved to the next measurement point, and then the measurement operation is performed.

한편, 측량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 기준점 또는 수준점에 대한 측량데이터가 확보되면, 측량데이터를 휴대용단말기(400)에 입력하고, 해당 측량지점에 대한 기존 측량데이터는 통합관리센터(M)로부터 수신받는다.Meanwhile, when the measurement data for the reference point or the level point is obtained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surveying operation, the surveying data is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400 and the existing surveying data for the surveying point is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 .

또한, 상기 휴대용단말기(400)의 데이터분석모듈(430)은 측량지점에서 측량한 신규 측량데이터와 측량지점에 대한 기존 측량데이터를 비교하게 되는데,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 간의 측량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면 신규 측량데이터를 오류 데이터를 분류하고, 측량작업을 재실시한다.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module 430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compares the new survey data measured at the survey point with the existing survey data of the survey point. If the survey value between the new survey data and the existing survey data is preset If the range of the reference value is out of range, the error data is classified into the new survey data and the surveying operation is resumed.

만약, 상기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 간의 측량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신규 측량데이터를 정상 데이터로 분류하여 송수신모듈(420)를 통해 통합관리센터(M)로 송신한다.If the measurement value between the new survey data and the existing survey data does not exceed the preset reference value range, the new survey data is classified as normal data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20.

상기와 같이 휴대용단말기(400)를 이용해 기존의 측량데이터와 신규 측량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정상 데이터와 오류 데이터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측량 값의 오차 여부 및 오차 변위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정밀수준측량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측량에 대한 데이터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comparing the existing survey data with the new survey data using the portable terminal 40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mptly check the normal data and the error data, and also the information on the error of the survey value and the error displacemen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liability of data about surveying can be greatly improved in that precision leveling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스타프 110: 돌기 120: 수평기
200: 스타프백 210: 하드케이스 211: 수용공간부
212: 안착홈 213: 돌기홈 220: 스타프 고정부
230: 등받이 240: 어깨끈 250: 어깨끈 고정부
260: 허리 고정부 270: 수납함 280: 잠금쇠
300: 레벨기 400: 휴대용 단말기 410: 입력모듈
420: 송수신모듈 430: 데이터분석모듈
100: Staff 110: Projection 120: Level
200: Star bag 210: Hard case 211:
212: seat groove 213: projection groove 220:
230: backrest 240: shoulder strap 250: shoulder strap fixing portion
260: waist fixing portion 270: storage box 280:
300: leveler 400: portable terminal 410: input module
420: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 430: Data analysis module

Claims (1)

인입출 가능한 다단구조를 이루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야광기능의 눈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120)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돌기(110)가 형성된 측량지점에 세워지는 스타프(100);
일면이 작업자의 등에 위치되고, 타면에는 스타프(100)가 끼워져 수용될 수 있게 안착홈(212)과 돌기홈(213)이 마련되며, 일 측면으로 개구된 내부에는 수용공간부(211)이 마련된 합성수지재질의 하드케이스(210)와,
하드케이스(210)에 설치되어 안착홈(212)과 돌기홈(213)에 끼워진 스타프(100)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타프고정부(220)와,
하드케이스(210)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등에 밀착되는 소프트한 재질의 등받이(230)와,
등받이(230)의 전방에 위치되게 하드케이스(210)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양쪽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된 어깨끈(240)과,
어깨끈(240)에 각각 설치되어 어깨끈(240)이 벌어지는 것을 잡아 하드케이스(2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어깨끈 고정부(250)와,
어깨끈(240)의 하부에 배치되게 하드케이스(210)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 하드케이스(210)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허리고정부(260)와,
수용공간부(211)에 인입출가능하게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각종 측량에 필요한 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수납함(270)과,
하드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함(270)의 인입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된 잠금쇠(280)로 구성된 스타프백(200);
관측점에 설치되어 측량지점에 세워진 스타프(100)의 눈금을 읽어 높이에 대한 측량데이터를 구하는 레벨기(300);
레벨기(300)를 통해 획득한 측량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모듈(410)과, 측량지점에 대한 기존 측량데이터를 통합관리센터(M)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모듈(420)과, 측량지점에 대한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신규 측량데이터와 기존 측량데이터 간의 차이가 기준 값을 벗어나면 신규 측량데이터를 오류 데이터로 분류하는 데이터분석모듈(430)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에 따른 측량값의 오차여부와 오차변위 확인기능의 측지측량장치.
A vertical scale 12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cale 120 and protrusions 1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cale 120, A staple 100 which is erected at a surveying point formed by the staple 100;
A seating groove 212 and a projection groove 213 are provided so that one surface of the worker is placed on the back and the staple 100 is received on the other surface. A hard case 210 made of synthetic resin,
A star fixing unit 220 installed in the hard case 210 to limit the departure of the seat 100 fitted into the seating groove 212 and the projection groove 213,
A soft back (230) installed in the hard case (210)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operator,
A shoulder strap 240 installed on the hard case 210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ckrest 230 so that the worker can hang them on both shoulders,
A shoulder strap securing portion 250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houlder strap 240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strap 240 and the movement of the hard case 210,
A waist fixing part 26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houlder strap 240 and installed in the hard case 210 to cover the waist of the worker to catch the movement of the hard case 210,
A storage box 270 which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211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loaded and unloaded and which can store tools necessary for various measurements,
A staple bag 20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ard case 210 and is composed of a catch 280 which can control the withdrawal of the receptacle 270;
A leveler 300 installed at the observation point and reading the scale of the staff 100 erected at the surveying point to obtain surveying data on the height;
An input module 410 for inputting the survey data acquired through the leveler 300,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420 for receiving the existing survey data on the survey poin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center M, And a data analysis module 430 for comparing the survey data and the existing survey data to classify the new survey data as error data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survey data and the existing survey dat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a function of confirming an error displacement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n error of th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eature item.
KR1020180136930A 2018-11-08 2018-11-08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KR101946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30A KR101946938B1 (en) 2018-11-08 2018-11-08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930A KR101946938B1 (en) 2018-11-08 2018-11-08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938B1 true KR101946938B1 (en) 2019-02-11

Family

ID=6537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930A KR101946938B1 (en) 2018-11-08 2018-11-08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9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27971U (en) 2011-07-14 2012-02-01 赵鹏 Special tool box for auditing officers
KR101165000B1 (en) 2011-09-09 2012-07-13 한진정보통신(주) Shoulder guard for leveling
CN207506134U (en) 2017-11-22 2018-06-19 苏州工业园区测绘地理信息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movable measures knaps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27971U (en) 2011-07-14 2012-02-01 赵鹏 Special tool box for auditing officers
KR101165000B1 (en) 2011-09-09 2012-07-13 한진정보통신(주) Shoulder guard for leveling
CN207506134U (en) 2017-11-22 2018-06-19 苏州工业园区测绘地理信息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movable measures knaps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9450B (en) Survey bar
KR101351070B1 (en) Leveling system using the national bench mark
KR100938937B1 (en) Topography object of position setting image expression space mapping system
KR101494855B1 (en) Bench mark surveying system
CN101571582A (en) Position measurement results by a surveying device using a tilt sensor
KR101347859B1 (en) Leveling system being able to survey the level and curvature of the earth
CN106512373B (en) A kind of long-jump test device and long jump result assess device
US20210293540A1 (en) Sensor rod assembly for measuring elevations
KR101223125B1 (en) Altitude data update system
KR101946938B1 (en)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KR101709679B1 (en) Equipment for leveling
KR101950967B1 (en) Staff equipment for leveling
KR101227189B1 (en) Altitude data confirmation system
KR101470917B1 (en) Apparatus for dual fixing staff in geodetic surveying
KR101940801B1 (en) Equipment for leveling
KR101951718B1 (en) Equipment for leveling at night
KR101940803B1 (en)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KR102519452B1 (en) 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precisely observing survey data based on gis
CN107153183B (en) Vehicle-mounted laser range finder
KR101949725B1 (en) Staff device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y
CN10225734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 measurement structure
KR101492214B1 (en) Device identifying the accuracy of reference point
JP3213860U (en) Building risk assessment and survey jig
CN106645230A (en) Pipe differentiating device, pipe differentiating method and pipe positioning system
KR101682514B1 (en) Multi-function portable geological survey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