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803B1 -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 Google Patents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803B1
KR101940803B1 KR1020180135776A KR20180135776A KR101940803B1 KR 101940803 B1 KR101940803 B1 KR 101940803B1 KR 1020180135776 A KR1020180135776 A KR 1020180135776A KR 20180135776 A KR20180135776 A KR 20180135776A KR 101940803 B1 KR101940803 B1 KR 10194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base
terrain
imag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형
유성종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to KR102018013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8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8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multipoint altitude surveying and topology analysis, compri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100) to photograph and transmit a topographic image; a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remotely control the UAV (100); an image checking device (300) receiving the topographic image from the UAV (100) to analyze topology; an invar staff (400) vertically install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and having a barcode formed on one surf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indicate a height; an electronic leveler (500) reading the barcode of the invar staff (400) to calculate the height; and a transfer cart (600) to move the invar staff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orker analyzes the topology while visually checking the topographic image photographing a corresponding area through the UAV,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image checking device, and checks whether a route of a surveying area includes a problem. In particular, when an unexpectable situation, such as a loss of a road, landslide, and the like, is found on the route for performing topological surveying through the topographic image, a working position is able to be selected by avoid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largely improving work convenience.

Description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capable of topographical analysis simultaneously with multi -

본 발명은 지면으로 색상을 갖는 액체를 분사하여 인바스타프가 설치될 위치 및 전자레벨기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해 줌에 따라 표고 측량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측량작업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pray a liquid having a color on the ground to indicate the position where the inverter is install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nic leveler is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at all times during the elevation measurement, And a terrain surveying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simultaneously with the multi-point elevation survey.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며, 이러한 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인바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측량을 말한다.Generally, for civil engineering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surveying should be done first. Surveying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measure horizontal distance, elevation difference and direction,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measuring point, display it in drawings or numerical values, and stake out in the field. And a level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using an electronic leveler.

상기 인바스타프(표척)와 전자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3562호의 종래 기술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A method of measuring the level using the above invasters and electronic levelers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ior art of Korean Patent No. 10-1813562.

한편,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표척수가 걸음걸이로 거리를 가늠해 각 지점까지 이동하였기 때문에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인바스타프(표척)를 세워야 할 지점에 정확하게 설치하지 못함에 따라 측정오차가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인바스타프가 세워졌던 지점을 기계수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keep the distance constant since the spinal cord of the spinal column is moved to each point by measuring the distance by the gait of the gait, so that the measurement error occurs naturally due to the inability to accurately install the inverto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work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point where the inverter is installed.

1. 등록특허 제10-1813562호(측지측량용 표척의 지면 고정장치/2017.12.22)1. Registered Patent No. 10-1813562 (Ground fixing device of the chuck for the geodetic surveying / Dec. 22, 2017)

본 발명은 지면으로 색상을 갖는 액체를 분사하여 인바스타프가 설치될 위치 및 전자레벨기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해 줌에 따라 표고 측량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측량작업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pray a liquid having a color on the ground to indicate the position where the inverter is install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nic leveler is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at all times during the elevation measure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terrain survey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at the same time as multi - point elevation surve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형의 영상을 촬영해 송출하는 영상촬영수단을 갖춘 무인항공기;A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 video image pickup means for captu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a terrain;

무인항공기를 제어하는 원격조정장치;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unmanned airplane;

영상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지형의 영상을 전송받아 지형확인 및 지형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확인장치;An image checking device for receiving the image of the terrain taken by the image photographing means and analyzing the terrain and analyzing the terrain;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수직바와, 수직바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무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어댑터와,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매개로 관통홀에 끼워져 수직바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하부고정대와, 수직바에 설치되어 수직바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수직바와 직교되게 수직바의 타면에 설치되어 수직바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로 구성된 인바스타프;A vertical bar having a hooking groov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ther surface thereof, an adapter formed of a rubber plastic material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pair of support bars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and supporting the vertical bar so as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and a vertical ba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orthogonal to the vertical bar, Invertast, consisting of a horizontal unit which can confirm the vertical state of the unit;

인바스타프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An electronic leveler for reading the barcode of the invasive and obtaining the height;

인바스타프가 얹혀져 지지되되, 상면 일측에는 하부고정대를 들어올릴 수 있게 요홈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지지대의 하단이 인입될 수 있게 지지대안착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수용부가 마련된 판상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베이스의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손잡이와, A support base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so as to allow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se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se,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a handl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ase and having a lower en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베이스와 손잡이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축과,A shaft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base and the handle,

요홈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하부고정대를 감싸는 호형상의 펜스부와, 손잡이에 인접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펜스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바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며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끼움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 끼움돌기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공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바의 걸림홈으로 인입되어 수직바를 탄성가압하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스타프 거치대와, Shaped fence portion which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groove and surrounds the lower fixing block and a fence portion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andle and which extends inward from the relatively higher fence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bar, A stiff cradle formed of rubber bands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and are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s of the vertical bars and elastically press the vertical bars,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원형의 휠과, 휠과 연결되어 휠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숫자표시부로 이루어져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와,A distance measuring device connected to the wheel and configured to count the rotation of the wheel,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circular wheel which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and rolls along the ground;

양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을 갖추고서 하부고정대가 얹혀지는 베이스의 하면에 설치되는 함체, 함체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 함체와 고정블록 사이에 배치되게 함체에 인입되어 고정블록에 부딪혀 하방으로 색상이 있는 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함체에 내설되어 스프레이를 고정블록를 향해 미는 스프링, 함체와 고정블록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홈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런지를 구비하는 이송대,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이송대를 잡아당기거나 원위치시켜 줄 수 있도록 일단이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플런지에 연결되는 줄을 갖춘 위치표시부와, 손잡이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쐐기로 구성된 운반용 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xing block detachably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housing, a fixing block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xing block, A sp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hits the fixed block and sprays the colored liquid downward, a spring inserted in the housing and pushing the spray toward the fixing block, a plunger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xing block and movably fitted in the guide groove A position display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nge so as to pull or retract the feed bar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And a transporting carriage composed of a wedge for restricting rotation.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무인항공기와 원격조정장치 및 영상촬영확인장치를 통해 해당지역을 촬영한 지형영상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지형을 분석하고, 측량지역의 경로 상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지형측량을 실시할 경로 상에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지형영상을 통해 발견한 경우 해당 지점을 회피하여 작업지점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terrain image photographed by the unmanned airplane,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image capturing confirmation device, analyze the terrain, and check whether there is a problem on the route of the survey area do. Especially, when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road loss, landslide, etc. is found on the route to be surveyed through the terrain imag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work point by avoiding the corresponding point, and the advantages .

또한, 지면으로 색상을 갖는 액체를 분사하여 인바스타프가 설치될 위치 및 전자레벨기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해 줌에 따라 표고 측량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측량작업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spraying a liquid having a color on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in the altitude measurement by displaying the position where the invasive is install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nic leveler is to be install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ing oper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 is an advantage.

게다가, 손잡이에 의해 베이스의 일단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운반용 대차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를 하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base is lifted by the handl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can be restricted, and accordingly, the inverter can be lowered in a more stable state,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is greatly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에서 인바스타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에서 운반용 대차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와 저면사시도, 배면사시도 및 요부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errain surveying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simultaneously with multi-point altime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and 2B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excerpted from Invasut in a terrain surveying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simultaneously with multi-point elev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D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 bottom perspective view,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rear view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ation bogie extracted separately from a transportation bogie in a terrain surveying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at the same time as a multi-point elev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4F illustrate the use of a terrain survey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simultaneously with multi-point elev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에서 인바스타프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에서 운반용 대차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와 저면사시도, 배면사시도 및 요부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errain surveying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simultaneously with a multi-point altitude surv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and Fig. 2b are views showing terrain- FIGS. 3A to 3D are front elevation and rear elevation views of a surveying system taken separately from the invasters. FIG. 3A to FIG. 3D are front elevation views showing a front elevation Perspective view, bottom perspective view, rear perspective view, and recessed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형측량시스템은, 무인항공기(100)와 원격조정장치(200), 영상확인장치(300), 인바스타프(400)와 전자레벨기(500) 및 운반용 대차(6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무인항공기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전반적인 지형 확인 및 지형을 분석하면서 인바스타프와 전자레벨기를 통해 각 지점의 표고를 쉽고 간편하게 측량할 수 있다.1 to 3D, a terrain sur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manned airplane 100, a remote control device 200, an image checking device 300, an inverter 400 and an electronic leveler 500 ) And a transportation truck 600.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measure the altitude of each point through the invasive and electronic leveler while analyzing the overall terrain and topography through the images taken by the UAV.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무인항공기(100)는 원격조정장치(2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지형측량지역의 상공을 비행하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공지의 비행체로서, 영상을 촬영해 송출하는 영상촬영수단(11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UAV 100 is a known air vehicle that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acquire images while flying over a terrain measurement area. And a photographing means (110).

또한, 상기 무인항공기(100)는 진행방향 및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비행정보센서를 구비하며, 영상송출시 무인항공기(100)의 진행방향 및 위치정보가 함께 송출된다.In addition, the UAV 100 includes a flight information sensor capable of confirming a traveling direction and a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AV 100 are transmitted together when the image is transmitted.

상기 원격조정장치(200)는 무인항공기(100)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공지의 컨트롤러로서 작업자가 휴대한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a known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UAV 100, and carried by the operator.

상기 영상확인장치(300)는 무인항공기(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지의 노트북으로서, 통신중계장치(LTE휴대전화)를 통해 무인항공기(100)으로부터의 정보(지형에 대한 영상)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영상정보는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어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작업자는 촬영한 영상을 통해 전반적인 지형 확인 및 지형을 분석할 수 있다. The image confirmation device 300 is a known notebook capable of visually confirm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AV 100. The image confirmation device 300 includes information from the UAV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device (LTE mobile phone) And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the imag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operator can analyze the overall topography and topography through the captured images.

또한, 지형측량지역의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이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견한 경우 해당지역을 회피하여 측량계획을 세울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road loss or landslides in the geographical survey area are found, the survey area can be avoided to plan the survey.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을 통해 지형 확인 및 지형을 분석할 수 있음은 물론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not only to analyze the terrain shape and the terrain through the image, but also to prepare for an unexpected situation, and thus it is possible to greatly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인바스타프(400)는 표척지점에 세워져 높이정보를 제공하는 기구로서, 수직바(410)와 어댑터(420), 하부고정대(430), 한 쌍의 지지대(440) 및 수평기(450)로 구성된다.1 to 2B, the invustor 400 is a mechanism for providing height information by standing up at a fulcrum point, and includes a vertical bar 410, an adapter 420, a lower fixing table 430, (440) and a horizontal unit (450).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바(410)는 길이가 길고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금속재질의 사각형상의 바(bar)로서, 일면(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숫자, 눈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후면)에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걸림홈(411)이 형성되어 있다.2A and 2B, the vertical bar 410 is a rectangular bar having a long length and a constant width and a thickness. On one side (front surface), a bar code (Which may further include numbers, scales, and the like), and a latching groove 41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rear surface).

상기 걸림홈(411)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고무밴드(653)가 인입되어 탄성적으로 수직바(410)를 가압하게 되며, 고무밴드(653)에 걸림홈(411)이 걸림에 따라 수직바(410)의 상하이동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A rubber band 653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411 to elastically press the vertical bar 410. When the latching groove 411 is engaged with the rubber band 653, 410 can be greatly suppressed.

상기 어댑터(420)는 고무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서, 수직바(410)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고정대(430)의 고정돌기(43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관통홀(421)을 구비한다.The adapter 420 is made of a rubber plastic material and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410. The adapter 420 has a through hole 421 through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31 of the lower fixing table 430 is removably inserted ).

상기 하부고정대(430)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반구형상의 부재로서, 상면에는 어댑터(420)의 관통홀(42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돌기(4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고정대(430)는 어댑터(420)의 하부에 끼워져 수직바(410)를 지지한다. 특히, 상기 고정돌기(431)의 상단부는 반구형으로 되어 있어 수직바(410)의 하면과 점 접촉하며, 이에 따라 수직바(410)는 위치설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The lower fixing table 430 is a semi-spherical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xing table 430, a fixing protrusion 431, which is removably fitted in the through hole 421 of the adapter 420, is integrally formed. The lower fixing table 430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dapter 420 to support the vertical bar 410. Particularly,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431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410, so that the vertical bar 410 can freely adjust the position.

상기 한 쌍의 지지대(440)는 수직바(410)에 설치되어 수직바(410)가 연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44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수직바(41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바(151)와, 제1바(15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바(152) 및 제1바(151)와 제2바(152) 사이에 형성되어 제2바(152)의 이동을 단속하는 고정구(153)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440)는 수직바(410)와 함께 삼각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pair of supports 440 are installed on the vertical bar 410 to support the vertical bar 410 so that the vertical bar 410 can maintain a vertical position. The support bar 440 is adjustable in length and includes a first bar 151 rotatably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410 and a second bar movably fitted to the first bar 151 152 and a fixture 153 formed between the first bar 151 and the second bar 152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econd bar 152. The pair of support rods 440 are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together with the vertical bar 410 to be stably supported.

상기 수평기(450)는 수직바(410)의 타면(후면)에 설치되어 수직바(410)와 직교를 이룬다. 상기 수평기(450)는 내부에 있는 수포를 이용해 수직바(410)를 연직으로 맞춰주기 위한 정밀보조기구로서, 수포를 중앙에 위치한 원에 넣은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대(440)로 수직바(410)를 지지해 주게 되면 수직바(410)를 연직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다.The horizontal unit 450 is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410 and orthogonal to the vertical bar 410. The horizontal unit 450 is a precision ancillary mechanism for vertically aligning the vertical bar 410 using the internal bubble. The horizontal bar 45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410 by a pair of supports 440, The vertical bar 410 can be made vertical.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레벨기(500)는 인바스타프(400)의 바코드(숫자, 눈금 등이 있는 경우에는 렌즈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로서,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leveler 500 may be a well-known electronic device that can read a barcode of the invastor 400 (which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a lens if there are numbers, scales, etc.) As a device, it is a well-known technology in the fiel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과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운반용 대차(600)는 인바스타프(400)를 표척지점까지 이동시켜주면서 인바스타프(400)가 세워져 있던 표척지점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며, 정확한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베이스(610)와 복수의 바퀴(620), 손잡이(630), 축(640), 스타프 거치대(650), 거리측정기(660) 및 위치표시부(67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d FIG. 3D, the transportation truck 600 visually displays the upright position where the invustor 400 is installed while moving the invustor 400 to the upright point, And includes a base 610 and a plurality of wheels 620, a handle 630, a shaft 640, a stiff stand 650, a distance measuring device 660, and a position display unit 670.

상기 베이스(610)는 얹혀진 인바스타프(400)를 지지해주는 판으로서, 상면 일측(전방)에는 요홈(61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후방)에는 지지대안착홈(612)이 형성되며, 일단(전방) 양측면에는 홈형태의 수용부(613)가 형성된다. The base 610 is a plate for supporting the inverstaff 400 placed thereon. The groove 611 is formed on one sid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upport table seating groove 6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groove-shaped receiving portion 613 is formed at one end (front) on both sides.

여기서, 상기 요홈(611)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으로, 베이스(6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430)를 펜스부(651)로부터 손쉽게 꺼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The recess 611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a finger can be inserted. The recess 611 is used for easily removing a heavy lower fixture 430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10 from the fence portion 651 do.

상기 지지대안착홈(612)은 지지대(150)의 하단부를 끼울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스타프 거치대(650)와 함께 인바스타프(4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er receiving groove 612 is formed to be able to engag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150 and functions to stably fix the inverstaff 400 together with the stapler rest 650.

상기 수용부(613)는 손잡이(630)의 하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게 형성한 홈으로서, 손잡이(630)가 회전되어 수직하게 세워지거나 경사지게 뉘어졌을 때, 이를 받칠 수 있도록 수용부(613)의 내면 일측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receiving portion 613 is a groove formed to allow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30 to be rotatably fitted. When the handle 630 is rotated and vertically erected or inclined, the receiving portion 613 Is vertically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obliquely.

참고로, 상기 수용부(613)에 끼워진 손잡이(630)의 하단부는 축(64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베이스(610)에 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handle 630 fitted to the receiving portion 613 is fixed to the base 610 so as to be rotatable via the shaft 640. [

상기 바퀴(620)는 베이스(610)의 하면에 4개가 설치되어 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바퀴(620)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어 주행 중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Four wheels 620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610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ovement. In particular, the wheel 620 is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so that the wheel 620 can freely change its direction during traveling.

상기 손잡이(630)는 표척자가 끌고 다닐 수 있게 베이스(610)의 수용부(613)에 삽입되어 축(64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The handle 6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613 of the base 610 so as to be able to be dragged by the pusher 640 and is rotatably fixed via the shaft 640.

특히, 상기 손잡이(630)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되어 있는데, 이는 손잡이(630)를 축(640)을 중심으로 회전시켰을 때 하단이 지면에 맞대어지면서 베이스(610)를 일정높이(H:도 4d 참조)로 들어올리도록 하면서 줄(676)을 잡아당기거나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Particularly,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3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front). When the handle 630 is rotated about the shaft 640,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H: see Fig. 4d) while pulling the string 676 up and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state.

상기와 같이 손잡이(63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610)가 들어 올려짐에 따라 운반용 대차(6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편리하게 하차시킬 수 있다.As the base 610 is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630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can be restricted, and the invustor 400 can be conveniently lowered in a more stable state.

상기 축(640)은 금속재질의 환봉으로서 베이스(610)와 손잡이(630)에 관통되게 끼워져 베이스(610)로부터 손잡이(6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haft 640 is a round bar made of a metal and penetrates the base 610 and the handle 630 to prevent the handle 63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se 610.

상기 스타프 거치대(650)는 베이스(610)에 안착된 인바스타프(400)가 쓰러지지 않게 지지해주는 것으로서, 펜스부(651)와 지지부(652)로 구성된다.The star stand 650 supports the inverstaff 400 mounted on the base 610 without collapsing and is composed of a fence portion 651 and a support portion 652.

상기 펜스부(651)는 호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요홈(61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대(430)를 감싸 하부고정대(4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펜스부(651) 중 손잡이(630)에 인접배치된 펜스부(651)는 맞은편의 펜스부(651)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있는데, 이는 하부고정대(430)를 펜스부(651)의 내측으로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ence unit 651 is an arc-shaped plate and is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groove 611 to enclose the lower fixing table 430 constituting the inverter 400 and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lower fixing table 430 It plays a role. Particularly, the fence portion 651 adjacent to the handle 630 of the fence portion 651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fence portion 651 at the opposite side of the fence portion 651, So that it can be taken out and taken out.

상기 지지부(652)는 평면에서 본 모양이‘ㄷ’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손잡이(630)에 인접배치된 펜스부(651)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구성하는 수직바(410)의 하단부를 감싸 수직바(410)가 손잡이(630) 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portion 652 is a member having a 'C' shape in plan view and protrudes inward from a fence portion 651 disposed adjacent to the handle 630 to constitute the inverter 400 Thereby preventing the vertical bar 410 from falling down toward the handle 630. [0052]

또한, 상기 지지부(652)의 외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원추형상의 끼움돌기(65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끼움돌기(652a)에는 고무밴드(653)가 끼움공(653a)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A conical fitting protrusion 652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652 so as to face each other. A rubber band 65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tting protrusion 652a via a fitting hole 653a .

상기 고무밴드(653)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갖는 부재로서, 양단부에 마련된 끼움공(653a)을 매개로 끼움돌기(652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수직바(410)의 결함홈(111)으로 인입되어 수직바(41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수직바(41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The rubber band 653 is a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frictional force a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fitting protrusion 652a via a fitting hole 653a provided at both ends and fixed to the defect groove 111 of the vertical bar 410 And serves to elastically press the vertical bar 410 to restrain the vertical bar 410 from moving up and down.

상기 거리측정기(660)는 공지의 워킹메타로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661)과 숫자표시부(662)로 구성된 것으로, 휠(661)의 회전수를 거리로 환산하여 정확한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3C,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660 includes a wheel 661 and a numeric display 662.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660 converts the rotation number of the wheel 661 into a distance, Can be calculated.

상기 휠(661)은 원형을 이루며 베이스(6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며, 숫자표시부(662)와 상호 연결된다.The wheel 661 has a circular shape and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610 and rolls along the ground, and is interconnected with the numeric display unit 662.

상기 숫자표시부(662)는 휠(661)과 연결되어 휠(661)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역할을 하며, 카운터된 숫자는 베이스(110)의 상면을 통해 노출된다.The numeric display unit 662 is connected to the wheel 661 and serves to count the rotation of the wheel 661 and the counter digits are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상기와 같은 거리측정기(660)는 이미 해당 분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4789호에 개시)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660 is well known in the related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14789),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위치표시부(670)는 함체(671)와 고정블록(672), 스프레이(673), 스프링(674), 이송대(675) 및 줄(676)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손잡이(630)에 의해 동작되어 인바스타프(400)가 세워지는 지점에 색을 갖는 액을 분사함으로서 식별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position display unit 670 includes a housing 671, a fixing block 672, a spray 673, a spring 674, a conveying table 675 and a row 676. In this embodiment, And displays the identification by injecting the liquid having the color at the position where the invasive person 400 is erected.

상기 함체(671)는 내부가 일단(후방)으로 개구되고, 일단부 양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671a)이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서, 베이스(6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housing 67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61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guide grooves 671a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t both ends of one end thereof.

상기 고정블록(672)는 함체(671)로부터 이격 배치되게 나사볼트를 매개로 베이스(61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함체(671)의 개구부에 인접되게 배치된다.The fixing block 672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610 via screw bolt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671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671.

상기 고정블록(672)은 스프링(674)에 의해 밀린 스프레이(673)가 눌려질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도 하면서 스프레이(673)가 함체(671)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겸한다.The fixed block 672 also serves to support the spray 673 pushed by the spring 674 so as to be depressed and to prevent the spray 67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enclosure 671 to the outside .

상기 스프레이(630)는 색상을 갖는 액체가 수용된 공지의 것으로서, 함체(671)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스프링(674)과 고정블록(672)에 의해 가압되어 내부에 액체를 외부로 분사함으로써 인바스타프(400)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spray 630 is a known one containing a liquid having a color and is movably received in the housing 671 and pressed by a spring 674 and a fixing block 672 to inject liquid into the inside, And serves to indicate the location where the staff 400 is to be installed.

상기 스프링(674)은 공지의 코일 스프링으로서 함체(671)에 수용되어 스프레이(673)에 의해 압축되고, 복원시 스프레이(673)를 고정블록(672)을 향해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The spring 674 is a known coil spring which is received in the housing 671 and compressed by the spray 673 and serves to push the spray 673 toward the fixed block 672 during the restoration.

상기 이송대(675)는 양단으로 돌출된 플런지(675a)를 매개로 가이드홈(67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로서, 각각의 플런지(675a)에는 줄(676)의 일단이 연결된다.The conveying table 675 is a member movably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671a through a plunge 675a projected to both ends and one end of the line 676 is connected to each plunger 675a .

상기 줄(676)은 일단이 손잡이(63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송대(675)의 플런지(675a)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string 676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lunge 675a of the transfer belt 675.

상기 쐐기(680)는 삼각형상의 블록으로서, 손잡이(630)의 일면에 설치된 자석(M)에 자성체(S)를 매개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쐐기(680)는 손잡이(630)에 삽입된 베이스(610)의 수용부(613)에 삽입되어 손잡이(63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쐐기가 수용부에 끼워지면 손잡이 회전을 방지하고, 수용부로부터 쐐기를 빼면 손잡이 회전이 가능해짐)하는 역할을 하며, 손잡이(63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해 줌으로서 이동과정에 위치표시부(670)가 동작되어 무분별하게 액체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edge 680 is a triangular block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a magnet 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630 via a magnetic body S. [ The wedge 68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613 of the base 610 inserted into the handle 630 to selectively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handle 630 (when the wedge is fit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rotation of the knob 630 is selectively restricted so that the position indicator 670 is operated during the movement process to prevent the liquid from being sprayed indiscriminately .

일 예로, 상기 손잡이(630)를 축(64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줄(676)에 의해 당겨져 있던 이송대(675)는 스프링(674)의 복원력에 의해 밀리는 스프레이(673)에 의해 밀리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 스프레이(673)는 고정블록(672)에 눌려 지면으로 색상을 갖는 액체를 분사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handle 630 is rotated about the shaft 640, the conveying belt 675 pulled by the line 676 is pushed by the spray 673, which is push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674, And the spray 673 is sprayed with the colored liquid as it is pressed by the fixed block 672 in this process.

또한, 상기 손잡이(630)의 하단이 지면에 입설되면서 베이스(610)의 일단을 들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운반용 대차(600)의 움직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30 is placed on the ground to raise one end of the base 610,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지면으로 색상을 갖는 액체를 분사하여 인바스타프(400)가 설치될 위치 및 전자레벨기(500)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해 줌에 따라 표고 측량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측량작업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where the invustaff 400 is to be install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nic leveler 500 is to be installed by spraying the liquid having the color to the ground, And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ing oper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손잡이(630)에 의해 베이스(610)의 일단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운반용 대차(6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하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one end of the base 610 is lifted by the handle 630,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can be restricted, so that the inverter 400 can be lowered in a more stable stat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s greatly enhanced.

또한,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를 운반용 대차(600)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400)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verter 400 can be mounted on the transporting carriage 60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 inverter 400 having the heavy spiral water,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workability is further improved.

게다가, 상기 스타프 거치대(650) 및 지지대안착홈(612)을 매개로 인바스타프(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 인바스타프(400)가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verstaff 400 can be stably supported via the stiff pedestal 650 and the support pedestal groove 612, the problem that the inverstaff 400 loses its center of gravity during the mov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bility can be maximized because it can be overcome to some extent.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에 마련되는 요홈(611)을 통해 베이스(6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430)를 펜스부(651)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heavy lower fixing table 430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10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fence unit 651 through the groove 611 provided in the base 6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maximized.

나아가, 상기 고무밴드(653)가 인바스타프(400)의 걸림홈(411)으로 인입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감싸면서 탄성 가압해 줌에 따라 수직바(410)의 상하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rubber band 653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411 of the invustor 400 to elastically pressurize the invustaff 400, thereby suppress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bar 410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verter 400 can be carri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re firmly fixed.

더욱이, 운반용 대차(60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660)를 이용해 각 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인바스타프(400)를 세울 수 있게 됨에 따라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660 provided on the transportation truck 600 can be used to accurately move to each point and the inverter 400 can be set up, the distance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measurement error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A to 4F are diagrams showing the use state of a terrain measurement system capable of terrain analysis concurrently with multi-point altime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작업자는 무인항공기(100)를 통해 해당지역의 지형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지형영상을 통해 해당지역에 지형을 분석한다.First, the operator acquires the terrain image of the corresponding region through the UAV 100, and analyzes the terrain in the corresponding region through the acquired terrain image.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작업자는 원격조정장치(200)를 이용해 무인항공기(100)를 상공으로 날려 해당지역을 비행하면서 지형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지형영상은 영상확인장치(300)로 송출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or first shoots the terrain image by flying the UAV 100 over the area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photographed terrain image is captured by the image checking device 300, .

상기 영상확인장치(300)에서는 해당지역을 촬영한 지형영상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지형을 분석하고, 측량지역의 경로 상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지형측량을 실시할 경로 상에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영상을 통해 발견한 경우 해당 지점을 회피하여 작업지점을 선정한다.In the image checking apparatus 300,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terrain image photographed in the area, analyzes the terrain, and confirms whether there is a problem on the route of the survey area. Especially, when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road loss, landslide, etc. is found through the image on the route to be surveyed, the work point is selected by avoiding the corresponding point.

상기와 같이 지형측량지역의 영상확인이 완료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척수는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인바스타프(400)를 세워준다.When the image confirmation of the terrain measurement area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table spinal cord establishes the invasive point 400 at the ground reference point a0 which knows the altitude, as shown in FIGS. 4A and 4B.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인바스타프(400)를 구성하는 하부고정대(430)를 지상기준점(a0)에 배치한 다음 하단에 결합된 어댑터(420)를 매개로 하부고정대(430)에 수직바(410)를 세워주고, 수직바(410)에 설치된 수평기(150:도 2b 참조)를 이용하여 수직바(410)의 연직상태를 확인하면서 지지대(440)를 고정해 인바스타프(400)의 설치를 완료한다.The lower fixing table 430 constituting the inverter 400 is disposed at the ground reference point a0 and then the lower fixing table 430 is disposed on the lower fixing table 430 via the adapter 420 coupled to the lower end The vertical bar 410 is raised and the support bar 440 is fixed while confirming the vertical state of the vertical bar 410 by using a horizontal machine 150 (see FIG. 2B) installed in the vertical bar 410, )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일정 거리 떨어진 관측점(b1)에서 전자레벨기(500)로 인바스타프(400)의 높이를 확인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inverter 40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machines confirms the height of the inverter 400 at the electronic leveler 500 at the observation point b1, which is a certain distance away.

상기 지상기준점(a0)에서의 높이 확인이 완료되면, 표척수는 인바스타프(400)를 운반용 대차(600)에 싣고 제1지점(a1)으로 이동한다.When the height verification at the ground reference point a0 is completed, the table spinal cord is moved to the first point a1 by loading the inverstaff 400 on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도 4c 및 도 4f를 참조하여 상기 운반용 대차(600)에 인바스타프(400)를 싣고 내리는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운반용 대차(600)의 스타프 거치대(650) 내측으로 하부고정대(430)와 어댑터(420) 및 수직바(41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지지대(440)의 하단부는 베이스(610)의 지지대 안착홈(312)에 삽입한다.The process of loading and unloading the inverter 400 on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C and 4F. In the loading bogie 600, 430 and the adapter 420 and the vertical bar 410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44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ount recess 312 of the base 610.

그리고 고무밴드(653)의 일단부를 끼움공(653a)을 매개로 일측 끼움돌기(652a)에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고무밴드(653)를 늘려 수직바(410)의 결합홈(111)이 고무밴드(653)가 인입되도록 하면서 고무밴드(653)의 타단부를 끼움공(653a)을 매개로 타측 끼움돌기(652a)에 끼워 고정한다.The rubber band 653 is stretched while one end of the rubber band 653 is fitted and fixed to the one fitting protrusion 652a via the fitting hole 653a so that the coupling groove 111 of the vertical bar 410 is inserted into the rubber band The other end of the rubber band 653 is fitted and fixed to the other fitting protrusion 652a through the fitting hole 653a.

상기와 같이 고무밴드(653)가 탄성적으로 수직바(410)를 가압하면서 수직바(410)의 결합홈(111)이 고무밴드(653)에 걸리게 됨에 따라 대차로 이동하는 과정에 충격으로 인한 수직바(410)의 상하로의 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the rubber band 653 elastically presses the vertical bar 410 while the engaging groove 111 of the vertical bar 410 is caught by the rubber band 653,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bar 410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and accordingly, the inverstaff 400 can be carri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re firmly fixed.

또한, 상기와 같이 스타프 거치대(650) 내측으로 삽입된 하부고정대(430)는 펜스부(651)에 의해 감싸져 움직임이 제한되고, 수직바(410)의 하단부는 지지부(652)에 의해 감싸져 움직임이 제한되며, 지지대(440)는 지지대 안착홈(312)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제한됨에 따라 안정적인 상태에서 운반용 대차(6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lower fixing table 430 inserted into the star stand 650 as described above is wrapped by the fence portion 651 to restrict movement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410 is wrapped by the support portion 652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is limited and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ogie 440 is limited by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in a stable state.

또한, 상기 베이스(610)의 수용부(613)에 쐐기(680)를 삽입하여 이동과정에 손잡이(63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The wedge 68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613 of the base 610 to prevent the knob 630 from rotating during the movement.

상기와 같이 운반용 대차(600)를 제1지점(a1)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거리측정기(660)에 의해 이동거리가 표시됨에 따라 표척수는 제1지점(a1)까지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the traveling distance is displayed by the distance measuring unit 66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transportation truck 600 to the first point a1 as described above, the table spinal cord can move accurately to the first point a1.

상기와 같이 제1지점(a1)에 도착하여 표척수는 삽입된 쐐기(680)를 이탈시켜 준 다음 손잡이(630)의 자석(M)에 자성체(S)를 매개로 부착시켜 주고, 손잡이(630)를 축(64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줄(676)에 의해 당겨져 있던 이송대(675)는 스프링(674)의 복원력에 의해 밀리는 스프레이(673)에 의해 밀리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 스프레이(673)는 고정블록(672)에 눌려 지면으로 색상을 갖는 액체를 분사하게 된다.After the first spinal cord a1 is reached, the spinal cord displaces the inserted wedge 680 and then attaches the magnetic body S to the magnet M of the knob 630 via the magnet S, The conveyor belt 675 pulled by the line 676 moves naturally while being pushed by the spray 673 push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674, In this process, the spray 673 ejects a liquid having a color when the fixed block 672 is pressed.

또한, 상기 손잡이(630)의 하단이 지면에 입설되면서 베이스(610)의 일단을 들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운반용 대차(600)의 움직을 제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30 is placed on the ground to raise one end of the base 610,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상기와 같이 운반용 대차(600)의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에서 표척수는 고무밴드(653)의 일측을 끼움돌기(652a)로부터 이탈시켜 준 다음 하부고정대(430)를 제외한 수직바(410)와 지지대(440)를 수직으로 들어올려 스타프 거치대(650)로부터 분리한다.In the state where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is restricted as described above, the spinal cord displaces one side of the rubber band 653 from the protrusion 652a, and then the vertical bar 410 and the support bar 440) is lifted vertically and separated from the stiff stand 650.

그 다음 운반용 대차(600)의 요홈(611)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하부고정대(430)를 들어올려 스타프 거치대(650)로부터 분리해주고, 하부고정대(430)에 어댑터(420)가 결합된 수직바(410)를 설치한 다음 수평기(450)와 지지대(440)를 이용해 수직바(410)를 연직상태로 맞춰준다.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611 of the transportation truck 600 to lift the lower fixing table 430 from the stiff mounting table 650 and the vertical bar The vertical bar 410 is vertically aligned using the horizontal unit 450 and the support unit 440.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계수는 전자레벨기(500)를 이용해 제1지점(a1)의 높이를 확인하며,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높이 차로부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inverter 40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machine number confirms the height of the first point a1 by using the electronic leveler 500 and the height of the first point a1 from the ground reference point a0 and the first point a1 The altitude of the first point a1 can be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in height read.

상기 제1지점(a1)의 고도를 구한 이후에는 표척수는 다시 운반용 대차(600)에 인바스타프(400)를 적재하고, 다음 제2지점(a2)으로 이동하며, 기계수는 인바스타프(400)가 세워져 있던 제1지점(a1)으로 이동한다.After obtaining the altitude of the first point a1, the table spinal cord again loads the inverstaff 400 on the transport bogie 600 and moves to the next second point a2, And moves to the first point (a1) where the first station (400) is erected.

이때, 기계수는 인바스타프(400)가 세워져 있던 지점이 색상으로 식별가능하게 표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전자레벨기(500)를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machines can be set at the correct position because the point at which the invustor 400 is erected can be discriminated by color.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지점(a2,a3,a4 등)으로 이동하면서 측량작업을 실시하면 된다.A surveying operation may be carried out while moving to each point (a2, a3, a4, etc.)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각 지점에서 측량한 값을 지형영상에 표기하게 되면 지형영상만으로 확인할 때보다 더욱더 확실하게 지형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And, if the measured value at each point is displayed on the terrain image, the terrain can be more reliably analyzed than when checking with the terrain image alon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무인항공기(100)와 원격조정장치(200) 및 영상촬영확인장치(300)를 통해 해당지역을 촬영한 지형영상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지형을 분석하고, 측량지역의 경로 상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지형측량을 실시할 경로 상에 도로 유실, 산사태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지형영상을 통해 발견한 경우 해당 지점을 회피하여 작업지점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rain image is visually checked by the operator while viewing the terrai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UAV 100,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mage capturing confirmation device 300, It is confirmed whether there is a problem on the route of the survey area. Especially, when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road loss, landslide, etc. is found on the route to be surveyed through the terrain imag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work point by avoiding the corresponding point, and the advantages .

또한, 상기와 같이 인바스타프(400)를 운반용 대차(600)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표척수가 무거운 인바스타프(400)를 짊어지고 이동해야 했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verter 400 can be mounted on the transporting carriage 60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 inverter 400 having the heavy spiral water,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workability is further improved.

게다가, 상기 스타프 거치대(650) 및 지지대안착홈(612)을 매개로 인바스타프(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과정에 인바스타프(400)가 무게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verstaff 400 can be stably supported via the stiff pedestal 650 and the support pedestal groove 612, the problem that the inverstaff 400 loses its center of gravity during the mov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bility can be maximized because it can be overcome to some extent.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에 마련되는 요홈(611)을 통해 베이스(610)의 상면에 밀착된 무거운 하부고정대(430)를 펜스부(651)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heavy lower fixing table 430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10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fence unit 651 through the groove 611 provided in the base 6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maximized.

나아가, 상기 고무밴드(653)가 인바스타프(400)의 걸림홈(411)으로 인입되어 인바스타프(400)를 감싸면서 탄성 가압해 줌에 따라 수직바(410)의 상하이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운반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 rubber band 653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411 of the invustor 400 to elastically pressurize the invustaff 400, thereby suppress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bar 410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verter 400 can be carri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re firmly fixed.

더욱이, 상기 운반용 대차(60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660)를 이용해 각 지점으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인바스타프(400)를 세울 수 있게 됨에 따라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660 installed on the transportation truck 600 can be used to accurately move to each point and the inverter 400 can be set up, the distance can be kept constant, There is an advantage.

게다가, 지면으로 색상을 갖는 액체를 분사하여 인바스타프(400)가 설치될 위치 및 전자레벨기(500)가 설치될 위치를 표시해 줌에 따라 표고 측량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측량작업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position where the invustaff 400 is installed and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nic leveler 500 is to be installed by spraying the liquid having the color to the ground can be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distance during the elevation surve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손잡이(630)에 의해 베이스(610)의 일단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운반용 대차(6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인바스타프(400)를 하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one end of the base 610 is lifted by the handle 630,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bogie 600 can be restricted, so that the inverter 400 can be lowered in a more stable stat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s greatly enhanced.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무인항공기 200: 원격조정장치 300: 영상확인장치
400: 인바스타프 410: 수직바 420: 어댑터
430: 하부고정체 440: 지지대 450: 수평기
500: 전자레벨기 600: 운반용 대차 610: 베이스
620: 바퀴 630: 손잡이 640: 축
650: 스타프 거치대 660: 거리측정기 670: 위차표시부
671: 함체 672: 고정블록 673: 스프레이
674: 스프링 675: 이송대 676: 줄
680: 쐐기
100: Unmanned aerial vehicle 200: Remote control device 300: Image confirmation device
400: Invasutor 410: Vertical bar 420: Adapter
430: lower fixture 440: support 450: leveler
500: Electronic leveler 600: Transport truck 610: Base
620: wheel 630: handle 640: shaft
650: Stiff stand 660: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670:
671: Housing 672: Fixing block 673: Spray
674: spring 675: transfer belt 676: line
680: Wedge

Claims (1)

지형의 영상을 촬영해 송출하는 영상촬영수단(110)을 갖춘 무인항공기(100);
무인항공기(100)를 제어하는 원격조정장치(200);
영상촬영수단(110)으로부터 촬영된 지형의 영상을 전송받아 지형확인 및 지형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확인장치(300);
일면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를 표시하는 바코드가 형성되고, 타면 하단부에 걸림홈(411)이 형성된 수직바(410)와, 수직바(410)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무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며 관통홀(421)이 형성된 어댑터(420)와,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431)를 매개로 관통홀(421)에 끼워져 수직바(410)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하부고정대(430)와, 수직바(410)에 설치되어 수직바(410)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440)와, 수직바(410)와 직교되게 수직바(4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수직바(410)의 수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평기(450)로 구성된 인바스타프(400);
인바스타프(400)의 바코드를 읽어들여 높이를 구하는 전자레벨기(500);
인바스타프(400)가 얹혀져 지지되되, 상면 일측에는 하부고정대(430)를 들어올릴 수 있게 요홈(611)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지지대(440)의 하단이 인입될 수 있게 지지대안착홈(61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수용부(613)가 마련된 판상의 베이스(610)와, 베이스(61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620)와, 베이스(610)의 수용부(6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손잡이(630)와,
베이스(610)와 손잡이(630)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축(640)과,
요홈(611)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하부고정대(430)를 감싸는 호형상의 펜스부(651)와, 손잡이(630)에 인접배치되며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펜스부(65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바(410)의 하단부를 감싸 지지하며 외면에 상호 대향되게 끼움돌기(652a)가 형성된 지지부(652)와, 끼움돌기(652a)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공(653a)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수직바(410)의 걸림홈(411)으로 인입되어 수직바(410)를 탄성가압하는 고무밴드(653)로 이루어진 스타프 거치대(650)와,
베이스(6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르는 원형의 휠(661)과, 휠(661)과 연결되어 휠(661)의 회전을 카운터하는 숫자표시부(662)로 이루어져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660)와,
양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홈(671a)을 갖추고서 하부고정대(430)가 얹혀지는 베이스(610)의 하면에 설치되는 함체(671), 함체(671)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671)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672), 함체(671)와 고정블록(672) 사이에 배치되게 함체(671)에 인입되어 고정블록(672)에 부딪혀 하방으로 색상이 있는 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673), 함체(671)에 내설되어 스프레이(673)를 고정블록(672)를 향해 미는 스프링(674), 함체(671)와 고정블록(672)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홈(671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플런지(675a)를 구비하는 이송대(675), 손잡이(6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대(675)를 잡아당기거나 원위치시켜 줄 수 있도록 일단이 손잡이(630)에 연결되고 타단이 플런지(675a)에 연결되는 줄(676)을 갖춘 위치표시부(670)와, 손잡이(630)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630)의 회전을 제한하는 쐐기(680)로 구성된 운반용 대차(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지점 표고측량과 동시에 지형분석이 가능한 지형측량시스템.
An unmanned air vehicle (100) having a video image pickup means (110) for captu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a terrain;
A remote control device 200 for controlling the UAV 100;
An image checking device 300 for receiving the image of the terrain taken by the image photographing means 110 and analyzing the terrain and analyzing the terrain;
A vertical bar 410 formed with a barcode for indicating a heigh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and a latching groove 411 formed at a lower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arrel 410 and a rubber plastic material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410, A lower fixing table 430 made of metal and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421 through a fixing protrusion 43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apter 420 to support the vertical bar 410, A vertical bar 410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vertical bar 410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bar 410 to support the vertical bar 410 in a vertical position, And a horizontal unit 450 for confirming a vertical state of the horizontal unit 450;
An electronic leveler 500 for reading the barcode of the invasive device 400 to determine the heigh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44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able 44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table 430 can be lifted up. A plurality of wheels 62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610 and a plurality of wheels 62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610. The base 6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613 on both sides thereof, A handle 630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613 and having a lower end inclined,
A shaft 640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base 610 and the handle 630,
Shaped fence portion 651 which is formed opposite to the groove 611 so as to face the lower fixing table 430 and which is located adjacent to the handle 630 and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fence portion 651, A supporting portion 652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410 and having a fitting protrusion 652a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bar 410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fitting hole 653a detachably fitted in the fitting protrusion 652a, A stiff cradle 650 formed of a rubber band 653 which is formed into a locking groove 411 of the vertical bar 410 and elastically presses the vertical bar 410,
A circular wheel 66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610 and rolling along the ground and a numeric display 662 connected to the wheel 661 to count the rotation of the wheel 661, A distance measurer 660,
A housing 67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610 on which the lower fixing table 430 is mounted and a guide groove 671a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ase 671, A fixing block 672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671 and a housing 671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671 and the fixing block 672 and hitting the fixing block 672 to spray a colored liquid downward A spring 673 which is placed in the housing 671 and pushes the spray 673 toward the fixing block 672; a spring 673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671 and the fixing block 672 and which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671a; A transfer table 675 having a plunger 675a that is movably fitted thereon is connected to the handle 630 at one end so that the transfer table 675 can be pulled or retrac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630 A position indicator 670 having a line 676 at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nge 675a, Multi-point measurement and the altitude at the same time the terrain analysis is possible topography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a; installed transport truck 600 consisting of a wedge (68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tab (630).
KR1020180135776A 2018-11-07 2018-11-07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KR101940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76A KR101940803B1 (en) 2018-11-07 2018-11-07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76A KR101940803B1 (en) 2018-11-07 2018-11-07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803B1 true KR101940803B1 (en) 2019-01-22

Family

ID=6528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776A KR101940803B1 (en) 2018-11-07 2018-11-07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8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6615A (en) * 2020-09-23 2020-12-29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Slope monitoring method based on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3467521A (en) * 2021-09-01 2021-10-01 北京远度互联科技有限公司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route inspection chart and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24B1 (en) * 2013-07-19 2014-01-08 대한항업(주) In-bar staff fixing appratus for leveling
KR101349214B1 (en)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In-bar staff height control appratus for leveling
KR101813562B1 (en)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Apparatus for fixing staff on ground in geodetic survey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24B1 (en) * 2013-07-19 2014-01-08 대한항업(주) In-bar staff fixing appratus for leveling
KR101349214B1 (en) * 2013-08-20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In-bar staff height control appratus for leveling
KR101813562B1 (en) 2017-07-10 2018-01-02 태양정보시스템(주) Apparatus for fixing staff on ground in geodetic survey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6615A (en) * 2020-09-23 2020-12-29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Slope monitoring method based on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2146615B (en) * 2020-09-23 2022-03-29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Slope monitoring method based on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3467521A (en) * 2021-09-01 2021-10-01 北京远度互联科技有限公司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route inspection chart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803B1 (en) Topographical surveying system
US9255798B2 (en) Survey device
KR101351070B1 (en) Leveling system using the national bench mark
US11590410B2 (en) Line marking device, a set with a line marking device and a method for depositing materi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KR101949784B1 (en) Geodetic surveying equipment for improvement accuracy
KR101227188B1 (en) Leveling system
CN103328926A (en) Measuring appliance comprising an automatic representation-changing functionality
CN103154770A (en) Device for optically scanning and measuring an environment
CN106959450A (en) Survey bar
CN105784742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screening machine
EP2788715B1 (en) Robotic leveling
CN101932906A (en) Localization of a surveying instrument in relation to a ground mark
US6209210B1 (en) Leveling rod
EP3347672B1 (en) An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eatures of at least a moving load
KR101391512B1 (en) pile motion sensing apparatus
KR101940801B1 (en) Equipment for leveling
KR101227189B1 (en) Altitude data confirmation system
KR101494855B1 (en) Bench mark surveying system
KR101349397B1 (en) Apparatus of staff installation with clean surface and adjusting hight for precise scaling
CN107917693B (en) Inclinat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optical ranging
JP2010078407A (en) Laser level-use staff
KR101346203B1 (en) Basic survey system
KR101949785B1 (en) 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measurement level of ground
US20200123718A1 (en) A holder for fixing a spray can, a surveying cart, a set including a surveying cart and a spray can and a method for surveying
KR102238712B1 (en) Geodetic surveying system using level and dr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