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750B1 -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750B1
KR101946750B1 KR1020180029175A KR20180029175A KR101946750B1 KR 101946750 B1 KR101946750 B1 KR 101946750B1 KR 1020180029175 A KR1020180029175 A KR 1020180029175A KR 20180029175 A KR20180029175 A KR 20180029175A KR 101946750 B1 KR101946750 B1 KR 10194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anvil
climber
termin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봉
이요훈
Original Assignee
이지봉
이요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봉, 이요훈 filed Critical 이지봉
Priority to KR102018002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펀치 가동부를 이루는 앤빌 및/또는 클림퍼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부재를 통해 앤빌 및/또는 클림퍼 어셈블리가 뒤집혀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전선고정부에서 단자를 과도하게 누르면서 전선을 단락시키는 문제를 개선하여, 단자와 전선의 결속이 편차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A device for setting the assembling position of the movable portion of the punch for punching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차압착기의 펀치 가동부를 이루는 앤빌 및/또는 클림퍼 어셈블리의 조립이 뒤집힘없이 정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단차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전원선 및 신호선은 회로구성이 용이하도록 전선의 일단에 단자가 물린 형태로 제품화 되는 바, 이와 같은 형태의 제품은 전선공급기, 단자공급기, 단자압착기, 클램핑머신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장치를 통하여 완성된다.
상기 단자압착기는 프레스성형에 의해 전선의 끝머리에 압착단자를 부착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자압착기는 압착단자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것에 사용되는 엔드타입과 압착단자의 연결부가 측면으로 위치하는 사이드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
이러한, 단자압착기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90903호(등록일 2016.12.22)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특허는 벨마우스 형상을 가지기 위해 앤빌과 클림퍼에 각각 단자접촉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단자접촉부는 전면과 후면의 경사 길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지만, 상기와 같은 경사 길이는 시각적으로 구별이 어렵다.
이는, 상기 앤빌과 클림퍼가 구조적으로 좌우 축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주의를 게을리하여 상기와 같은 경사 길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앤빌과 클림퍼에 대한 조립 작업시 정위치에서 조립되지 못하고 뒤집혀 조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이 상기 앤빌과 클림퍼가 뒤집혀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벨마우스 형상을 만들때 전선고정부에서 단자를 과도하게 누르면서 전선이 단락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0903호(등록일 2016.12.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펀치 가동부를 이루는 앤빌 및/또는 클림퍼 어셈블리에 조립 가이드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벨마우스 형상을 만들기 위해 단자접촉부를 가지는 앤빌 및/또는 클림퍼 어셈블리가 뒤집혀 조립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이를 통해 전선고정부에서 단자를 과도하게 누르면서 전선이 단락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단차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단자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는, 램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면에 수용홈을 형성한 클림퍼 고정블록;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의 수용홈에 고정되는 펀치 가동부로서, 공급되는 단자와 전선을 결착하기 위한 벨마우스 형상의 제 1 단자접촉부를 형성한 클림퍼 어셈블리;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의 하면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펀치 가동부로서,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에 의한 단자와 전선의 결착을 위해 벨마우스 형상의 제 2 단자접촉부를 형성한 앤빌 어셈블리;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하강시 전선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의 전면에 스트립퍼 고정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스트립퍼;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하강시 상기 스트립퍼와 함께 전선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앤빌 어셈블리의 전면에 커터블록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커터;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홈의 상단부 일측에는 제 1 가이드핀을 편심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1 핀결합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뒤집혀 조립되는 경우 조립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는,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의 수용홈에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적층 고정되는 것으로, 체결공을 가지는 와이어 클림퍼와, 장공을 가지는 피복 클림퍼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클림퍼의 일측 상단에 제 1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앤빌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앤빌 고정블록과, 상기 앤빌 고정블록의 전면에 고정나사를 통해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제 1,2 앤빌을 포함하되, 상기 앤빌 고정블록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2 앤빌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가이드핀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1 앤빌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핀이 결합되기 위한 제 2 핀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핀이 최초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제 1 핀결합부의 일면에는 일정경사각을 가진 제 1 안내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가이드핀이 최초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제 2 핀결합부의 일면에는 일정경사각을 가진 제 2 안내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핀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된 U자형의 핀결합홀인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는 펀치 가동부를 이루는 앤빌 및/또는 클림퍼 어셈블리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부재를 통해 앤빌 및/또는 클림퍼 어셈블리가 뒤집혀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전선고정부에서 단자를 과도하게 누르면서 전선을 단락시키는 문제를 개선하여, 단자와 전선의 결속이 편차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펀치 가동부(클림퍼 어셈블리)의 조립 위치 설정 상태를 보인 단자압착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와이어 클림퍼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와이어 클림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펀치 가동부(앤빌 어셈블리)의 조립 위치 설정 상태를 보인 단자압착기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앤빌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앤빌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클림퍼 어셈블리와 앤빌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단자를 압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펀치 가동부(클림퍼 어셈블리)의 조립 위치 설정 상태를 보인 단자압착기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와이어 클림퍼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와이어 클림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펀치 가동부(앤빌 어셈블리)의 조립 위치 설정 상태를 보인 단자압착기의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앤빌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U자형의 핀결합부가 형성되는 앤빌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는, 클림퍼 고정블록(10), 클림퍼 어셈블리(20), 앤빌 어셈블리(30), 스트립퍼(40), 커터(50), 그리고 제 1 가이드핀(70)과 제 1 핀결합부(8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제 2 가이드핀(700)과 제 2 핀결합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은 램하우징(1)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그 전면에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는 상금형으로서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의 수용홈(11)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펀치 가동부로, 이는 공급되는 단자와 전선을 결착하기 위한 벨마우스 형상의 제 1 단자접촉부(211)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는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의 수용홈(11)에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고정나사(3)에 의해 적층 고정되는 와이어 클림퍼(21)와 피복 클림퍼(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 클림퍼(21)는 상기 고정나사(3)가 통과되는 체결공(21a)을 가지며, 상기 피복 클림퍼(22)는 상기 고정나사(3)가 통과되는 장공(22a)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클림퍼(21)와 상기 피복 클림퍼(22)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제 1 단자접촉부(211)는, 단자(400)의 코어 코킹부(401)를 접어 성형하는 한 쌍의 벨마우스 만곡면(211a)(211b)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만곡면(211a)(211b)은 상기 단자(400)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코어 코킹부(401)의 양쪽 단부 벨 마우스(402)를 압착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앤빌 어셈블리(30)는 하금형으로서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의 하면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2)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펀치 가동부로, 이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에 의한 단자(400)와 전선(500)의 결착을 위해 벨마우스 형상의 제 2 단자접촉부(311)를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앤빌 어셈블리(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고정되는 앤빌 고정블록(31)과,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의 전면에 고정나사(3)를 통해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제 1,2 앤빌(32,33)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앤빌(32,3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단자접촉부(311)는 벨마우스 형상을 가지는 오목홈(3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앤빌(32)에 형성되는 상기 오목홈(311a)의 가장자리 양측에는 직선에 대하여 비경사진 꼭대기면을 가지는 한 쌍의 비경사 가장자리면(311b)이 형성되며, 상기 홈(311a)의 전방측에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진 꼭대기면을 가지는 경사 가장자리면(311c)을 형성하게 되면서, 상금형을 이루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와 함께 단자를 압착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립퍼(40)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가 하강시 전선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의 전면에 스트립퍼 고정편(41)을 통해 결합 구성한 것이다.
상기 커터(50)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가 하강시 상기 스트립퍼(40)와 함께 전선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앤빌 어셈블리(30)의 전면에 커터블록(51)을 통해 결합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1 가이드핀(70)은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홈(11)의 일측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에 포함되는 와이어 클림퍼(21)와 피복 클림퍼(22)의 조립위치를 설정하기 위함인 것이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핀(70)은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의 수용홈(11)으로 와이어 클림퍼(21)와 피복 클림퍼(22)가 적층 조립이 이루어질 때, 그 적층 조립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기준핀인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와이어 클림퍼(21)에는 상기 제 1 핀결합부(8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핀결합부(80)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U자형의 핀결합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핀결합부(80)의 일면 즉, 상기 제 1 가이드핀(70)이 최초 접촉하게 되는 일면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내경사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의 수용홈(11)으로 와이어 클림퍼(21)가 뒤집힌 상태에서 조립 수용되면서, 상기 안내경사부가 피복 클림퍼(22)를 향하는 경우, 상기 제 1 핀결합부(80)에 상기 제 1 가이드핀(70)의 삽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지만,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의 수용홈(11)으로 와이어 클림퍼(21)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조립 수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경사부에 상기 제 1 가이드핀(70)이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핀결합부(80)로 그 삽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제 2 가이드핀(700)은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의 일측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에 상기 제 1,2 앤빌(32)(33)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앤빌(32)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제 2 가이드핀(700)이 결합되기 위한 제 2 핀결합부(80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 2 핀결합부(800)는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U자형의 핀결합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핀결합부(800)의 일면 즉, 상기 제 2 가이드핀(700)이 최초 접촉하게 되는 일면에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정경사각을 가진 안내경사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의 전면으로 제 1 앤빌(32)이 뒤집힌 상태에서 조립되면서, 안내경사부가 제 2 앤빌(33)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핀결합부(800)에 상기 제 2 가이드핀(700)의 삽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지만,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의 전면으로 제 1 앤빌(32)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조립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경사부에 상기 제 2 가이드핀(700)이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핀결합부(800')으로 그 삽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2 가이드핀(70)(700)을 각각 클림퍼 고정블록(10)의 수용홈(11)과 앤빌 고정블록(31)의 일면에 돌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1)에 클림퍼 어셈블리(20)에 포함되는 와이어 클림퍼(21)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클림퍼(2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핀결합부(80)에 상기 수용홈(11)의 상단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 1 가이드핀(70)을 삽입시키면, 상기 수용홈(11)에서 상기 와이어 클림퍼(21)의 조립 위치가 정렬되고, 이후 상기 와이어 클림퍼(21)에 피복 클림퍼(22)를 밀착시키는 한편, 상기 피복 클림퍼(22)에 스트립퍼 고정편(41)을 이용하여 스트립퍼(40)를 결합 고정한다.
다음으로,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면에 앤빌 어셈블리(30)에 포함되는 앤빌 고정블록(31)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의 전면에 제 1 앤빌(32)을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앤빌(32)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핀결합부(800)에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의 전면에서 하단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 2 가이드핀(700)이 삽입되면서, 상기 앤빌 고정블록(31)의 전면에서 상기 제 1 앤빌(32)의 조립 위치가 정렬되고, 이후 상기 제 1 앤빌(32)에 제 2 앤빌(33)을 밀착시키는 한편, 상기 제 2 앤빌(33)에 커터블록(51)을 이용하여 커터(50)를 결합 고정한다.
그러면,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를 이루는 와이어 클림퍼(21)와 피복 클림퍼(22)에 각각 형성되는 벨마우스 형상의 제 1 단자접촉부(211), 그리고 제 1,2 앤빌(32,33)에 각각 형성되는 벨마우스 형상의 제 2 단자접촉부(311)는 단자에 전선을 결속시키도록 상기 단자를 누를 때 그 누름 압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지 않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단자에 상기 전선의 결속이 편차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핑거(4)에 의해 단자가 클림퍼 고정블록(10)의 하부로 연속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의 하부로 공급되는 상기 단자 위에 전선을 공급한다.
이후, 생크(5)에 연결되는 클램핑머신의 램이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을 하강시키면,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10)에 결합 고정되는 스트립퍼(5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스트립퍼(50)의 하단에 형성되는 클림퍼 어셈블리(20)인 와이어 클림퍼(21)와 피복 클림퍼(22)에 각각 벨마우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단자접촉부(211)와 앤빌 어셈블리(30)인 제 1,2 앤빌(32,33)에 각각 벨마우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단자접촉부(311)가 단자를 정상적인 압력으로 압착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단자에 와이어의 압착 고정은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단자접촉부(211)는 단자(400)의 코어 코킹부(401)를 접어 성형하는 한 쌍의 벨마우스 만곡면(211a)(211b)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단자접촉부(311)는 상단부에 벨마우스 형성을 가지는 오목홈(311a)을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앤빌(32)에 형성되는 상기 오목홈(311a)의 가장자리 양측에는 직선에 대하여 비경사진 꼭대기면을 가지는 한 쌍의 비경사 가장자리면(311b), 그리고 상기 홈(311a)의 전방측에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진 꼭대기면을 가지는 경사 가장자리면(311c)을 형성한 것이므로,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와 상기 앤빌 어셈블리(30)가 정상적으로 조립된 경우,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가 하강하여,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와 상기 앤빌 어셈블리(30) 사이에 단자(400)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자접촉부(211)의 만곡면(211a)(211b)은 단자(400)에 구성되는 한 쌍의 코어 코킹부(401) 양쪽 단부의 벨 마우스(402)를 정상적으로 압착 성형하게 되면서, 상기 코어 코킹부(401)는 전선(500)의 코어(501) 단부를 끼워 넣고 연신 방향을 따르는 능선을 이루면서 상기 코어 코킹부(401)를 접힌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코어 코킹부(401) 선단부가 상기 코어(501)의 단부에 코킹되며, 접힘 성형이 이루어진 한 쌍의 상기 코어 코킹부(401)가 형성하는 능선은 연신 방향에 평행하게 되면서, 상금형을 이루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와 하금형을 이루는 상기 앤빌 어셈블리(30)에 의한 단자에 대한 압착 성형은 단락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 또는 상기 앤빌 어셈블리(30)가 뒤집혀 그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의 제 1 단자접촉부(211)에 포함되는 한 쌍의 만곡면(211a)(211b)이 한 쌍을 이루는 코어 코킹부(401)의 양쪽 단부 벨 마우스(402)를 정상적으로 누름 성형하지 못하고 그 누름 압력이 과도하게 작용하거나,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가 하강할 때 상기 앤빌 어셈블리(30)의 제 2 단자접촉부(311)에 포함되는 오목홈(311a)이 단자(400)의 저면 융기부(403)를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거나, 또는 한 쌍의 비경사 가장자리(311b)이 단자(400)의 저면 경사부(404), 그리고 한 쌍의 비경사 가장자리(311c)이 단자(400)의 저면 평행부(405)를 제대로 성형할 수 없게 되면서, 하강하는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20)가 단자(400)를 과도하게 눌러 상기 전선(500)을 단락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함께, 청구범위에서 요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역시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램하우징 2 ; 베이스플레이트
3 ; 고정나사 4 ; 핑거
5 ; 생크 10; 클림퍼 고정블록
11; 수용홈 20; 클림퍼 어셈블리
211; 제 1 단자접촉부 21; 와이어 클림퍼
22; 피복 클림퍼 30; 앤빌 어셈블리
311; 제 2 단자접촉부 31; 앤빌 고정블록
32; 제 1 앤빌 33; 제 2 앤빌
40; 스트립퍼 41; 스트립퍼 고정편
50; 커터 51; 커터블록
70; 제 1 가이드핀 80; 제 1 핀결합부
700; 제 2 가이드핀 800; 제 2 핀결합부

Claims (7)

  1. 램하우징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면에 수용홈을 형성한 클림퍼 고정블록;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의 수용홈에 고정되는 펀치 가동부로서, 공급되는 단자와 전선을 결착하기 위한 벨마우스 형상의 제 1 단자접촉부를 형성한 클림퍼 어셈블리;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의 하면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펀치 가동부로서,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에 의한 단자와 전선의 결착을 위해 벨마우스 형상의 제 2 단자접촉부를 형성한 앤빌 어셈블리;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하강시 전선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의 전면에 스트립퍼 고정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스트립퍼;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하강시 상기 스트립퍼와 함께 전선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앤빌 어셈블리의 전면에 커터블록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커터; 를 포함하며,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홈의 상단부 일측에는 제 1 가이드핀을 편심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핀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1 핀결합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가 뒤집혀 조립되는 경우 조립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림퍼 어셈블리는,
    상기 클림퍼 고정블록의 수용홈에 순차적으로 수용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적층 고정되는 것으로, 체결공을 가지는 와이어 클림퍼와, 장공을 가지는 피복 클림퍼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클림퍼의 일측 상단에 제 1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앤빌 고정블록과, 상기 앤빌 고정블록의 전면에 고정나사를 통해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제 1,2 앤빌을 포함하되,
    상기 앤빌 고정블록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2 앤빌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가이드핀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1 앤빌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핀이 결합되기 위한 제 2 핀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된 U자형의 핀결합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핀결합부는 일측이 개구된 U자형의 핀결합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KR1020180029175A 2018-03-13 2018-03-13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KR10194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75A KR101946750B1 (ko) 2018-03-13 2018-03-13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75A KR101946750B1 (ko) 2018-03-13 2018-03-13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750B1 true KR101946750B1 (ko) 2019-02-12

Family

ID=6536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175A KR101946750B1 (ko) 2018-03-13 2018-03-13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7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543Y2 (ja) * 1988-02-16 1997-10-15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ワイヤポジショナ
KR101690903B1 (ko) 2013-05-17 2016-12-2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부착 전선
CN107026380A (zh) * 2015-09-28 2017-08-08 戴尔菲技术公司 用于压接模具的可更换的压接模具插入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543Y2 (ja) * 1988-02-16 1997-10-15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ワイヤポジショナ
KR101690903B1 (ko) 2013-05-17 2016-12-2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부착 전선
CN107026380A (zh) * 2015-09-28 2017-08-08 戴尔菲技术公司 用于压接模具的可更换的压接模具插入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523B2 (en) Pressing terminal and terminal pressing device
JP2747160B2 (ja) シールドケース
US10381794B2 (en)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terminal crimp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CN111684661B (zh) 端子及带端子电线
US5671528A (en) Apparatus for crimping electrical terminals
EP2151891A1 (en) A terminal fitting and a method of forming it
JP2000243531A (ja) 圧接型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234286A1 (en) Terminal
US5924887A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fitting
JP2929416B2 (ja) 接続端子の切断・圧着装置
KR101946750B1 (ko) 단자 압착기의 펀치 가동부 조립 위치 설정장치
US4884984A (en) Crimp connector and method of attaching wire to it
JPH10261476A (ja) 防水栓付き電線の端子圧着方法および端子圧着装置
US11848527B2 (en) Terminal
US6953372B2 (en) Connector with press-in terminal fittings and recessed bulges surrounding the terminal fittings
CN114128055B (zh) 端子及带端子的电线
JP3976523B2 (ja) ピアッシング端子
JPH08124612A (ja) 多段コネクタ
JP4403256B2 (ja) 圧着端子圧着装置及び圧着金型
KR200294601Y1 (ko)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JP2002025673A (ja) 接続端子
CN220636031U (zh) 一种电连接端子收口模具
JPH07335361A (ja) 圧着金型構造
US6260262B1 (en) Wire press-connecting apparatus
CN217507827U (zh) 一种线对板rf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