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375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375B1
KR101946375B1 KR1020177003857A KR20177003857A KR101946375B1 KR 101946375 B1 KR101946375 B1 KR 101946375B1 KR 1020177003857 A KR1020177003857 A KR 1020177003857A KR 20177003857 A KR20177003857 A KR 20177003857A KR 101946375 B1 KR101946375 B1 KR 101946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andwidth
sig
field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516A (ko
Inventor
김정기
류기선
박기원
김서욱
조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6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유연하게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과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 STA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그널링(SIG) 필드, 및 불연속적 채널 또는 레거시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대역폭 크기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STA이 상기 구성된 무선 프레임을 제 2 STA에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SIG 필드는 상기 데이터 필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전체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전체 대역폭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채널 영역을 나타내는 널(null)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전체 대역폭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영역을 나타내는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SUPPORTING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불연속적 채널 또는 기존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대역폭 크기의 채널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하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양한 무선 통신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의 일례로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및 b는 2.4. GHz 또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고, IEEE 802.11b는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IEEE 802.11a는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는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상술한 무선랜 표준은 최대 160MHz 대역폭을 사용하고, 8개의 공간 스트림을 지원하여 최대 1Gbit/s의 속도를 지원하는 IEEE 802.11ac 표준을 거쳐, IEEE 802.11ax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 효율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 차세대 무선랜 시스템인 IEEE 802.11ax 표준에서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 Access) 또는 다중 사용자 MIMO (MU-MIMO)가 적용되는 경우의 자원 할당 방식을 효율적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이외에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다양한 효과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STA)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STA이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그널링(SIG) 필드, 및 불연속적 채널 또는 레거시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대역폭 크기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STA이 상기 구성된 무선 프레임을 제 2 STA에 전송하되, 상기 SIG 필드는 상기 데이터 필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전체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전체 대역폭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채널 영역을 나타내는 널(null)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전체 대역폭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영역을 나타내는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STA) 장치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그널링(SIG) 필드, 및 불연속적 채널 또는 레거시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대역폭 크기의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구성된 무선 프레임을 제 2 STA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G 필드가 상기 데이터 필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전체 대역폭 정보 및 상기 전체 대역폭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채널 영역을 나타내는 널(null)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전체 대역폭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영역을 나타내는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스테이션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널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는 비트맵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전체 대역폭 내 소정 크기의 단위 채널 영역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체 대역폭은 주 채널(primary channel) 및 보조 채널(secondary chann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널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주 채널 이외의 채널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널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는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불연속적 채널 또는 레거시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대역폭 크기의 채널을 구성하는 미리 결정된 채널 조합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널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는 상기 전체 대역폭이 80MHz 이상의 대역폭인 경우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거시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않는 대역폭 크기 채널은, 상기 전체 대역폭이 80MHz인 경우, 40 MHz 채널 및 60MHz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체 대역폭이 160 MHz인 경우, 40 MHz 채널, 80MHz 채널, 100 MHz 채널 및 140 MHz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IG 필드는 제 1 SIG 필드(SIG A) 및 제 2 SIG 필드(SIG 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체 대역폭 정보는 상기 제 1 SIG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널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는 상기 제 1 SIG 필드 또는 상기 제 2 SIG 필드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SIG 필드 또는 상기 제 2 SIG 필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널 지시자 정보 또는 상기 사용 채널 지시자 정보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널 지시자 유무 정보 필드 또는 사용 채널 지시자 유무 정보 필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이 효율적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 차세대 무선랜 시스템인 IEEE 802.11ax 표준에서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 Access) 또는 다중 사용자 MIMO (MU-MIMO)가 적용되는 경우의 자원 할당 방식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무선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IEEE 802.1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PPDU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전송의 개념 중 상향링크의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종래 채널 할당 방식의 비효율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불연속적 채널을 지원하거나 60x MHz 채널을 지원하는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불연속 대역 또는 60x MHz 대역을 활용하기 위한 자원할당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널 지시자를 비트맵 방식으로 구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 및 22는 전체 대역폭이 160 MHz 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널 지시자 정보 존재 지시자 필드를 설명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 및 스테이션 장치 (또는 단말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또는 스테이션 장치의 프로세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 STA)의 집합이다.
스테이션은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논리 개체로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을 포함한다. 스테이션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휴대용 단말은 Non-AP 스테이션으로써, 단순히 스테이션이라고 할 때는 Non-AP 스테이션을 가리키기도 한다. Non-AP 스테이션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의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다.
그리고, AP는 자신에게 결합된 스테이션(Associated Station)에게 무선 매체를 통해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개체이다. 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BSS와 독립적인(Independent) BSS(IBSS)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BBS는 IBSS이다. IBSS는 AP를 포함하지 않는 BSS를 의미하고, AP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DS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아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도 2는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BSS는 인프라스트럭처 BSS이다. 인프라스트럭처 BSS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및 AP를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처 BSS에서 비AP 스테이션들 사이의 통신은 AP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나, 비AP 스테이션 간에 직접 링크(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AP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직접 통신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BSS는 D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S를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비AP 스테이션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DS는 복수의 AP들을 연결하는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DS는 메쉬(mesh)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AP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도 3은 무선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서는 DS를 포함하는 기반 구조 BSS 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3 의 예시에서 BSS1 및 BSS2가 ESS를 구성한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은 IEEE 802.11 의 MAC/PHY 규정에 따라 동작하는 기기이다. 스테이션은 AP 스테이션 및 비-AP(non-AP)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Non-AP 스테이션은 랩탑 컴퓨터, 이동 전화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다루는 기기에 해당한다. 도 3의 예시에서 스테이션1, 스테이션3, 스테이션4 는 non-AP 스테이션에 해당하고, 스테이션2 및 스테이션5 는 AP 스테이션에 해당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non-AP 스테이션은 단말(terminal),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단말(Mobile Terminal), 이동 가입자국(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등으로 칭할 수도 있다. 또한, AP는 다른 무선 통신 분야에서의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발전된 노드-B(evolved Node-B; eNB), 기저 송수신 시스템(Base Transceiver System; BTS), 펨토 기지국(Femto BS) 등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도 4 내지 도 8은 IEEE 802.11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테이션(STA)는 PPDU(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PLCP) Packet Data Unit)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PPDU 프레임 포맷은, STF(Short Training Field), LTF(Long Training Field), SIG(SIGNAL) 필드, 및 데이터(Data)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PPDU 프레임 포맷의 종류에 기초하여 PPDU 프레임 포맷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non-HT(High Throughput) PPDU 프레임 포맷은 L-STF(Legacy-STF), L-LTF(Legacy-LTF), SIG 필드 및 데이터 필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PDU 프레임 포맷의 종류는 HT-mixed 포맷 PPDU 및 HT-greenfield 포맷 PPDU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PPDU 포맷에서는 SIG 필드와 데이터 필드 사이에 추가적인(또는 다른 종류의) STF, LTF, SIG 필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VHT(Very High Throughput) PPDU 포맷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VHT PPDU 포맷에서도 SIG 필드와 데이터 필드 사이에 추가적인 (또는 다른 종류의) STF, LTF, SIG 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VHT PPDU 포맷에서는 L-SIG 필드 및 데이터 필드 사이에 VHT-SIG-A 필드, VHT-STF 필드 VHT-LTF 및 VHT SIG-B 필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STF는 신호 검출, AGC(Automatic Gain Control), 다이버시티 선택, 정밀한 시간 동기 등을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LTF는 채널 추정, 주파수 오차 추정 등을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이때, STF와 LTF를 합쳐서 PCLP 프리앰블(preamble)이라고 칭할 수 있고, PLCP 프리앰블은 OFDM 물리계층의 동기화 및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SIG 필드는 RATE 필드 및 LENGTH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ATE 필드는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레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ENGTH 필드는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IG 필드는 패리티(parity) 비트, SIG TAIL 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필드는 SERVICE 필드, PSDU(PLCP Service Data Unit), PPDU TAIL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패딩 비트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7를 참조하면, SERVICE 필드의 일부 비트는 수신단에서의 디스크램블러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부 비트는 유보된(Reserved)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PSDU는 MAC 계층에서 정의되는 MAC PDU(Protocol Data Unit)에 대응하며, 상위 계층에서 생성/이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PPDU TAIL 비트는 인코더를 0 상태로 리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패딩 비트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소정의 단위로 맞추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VHT PPDU 포맷은 추가적인 (또는 다른 종류의) STF, LTF, SIG 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VHT PPDU에서 L-STF, L-LTF, L-SIG는 VHT PPDU 중 Non-VHT에 대한 부분일 수 있다. 이때, VHT PPDU에서 VHT-SIG A, VHT-STF, VHT-LTF 및 VHT-SIG B는 VHT에 대한 부분일 수 있다. 즉, VHT PPDU는 Non-VHT에 대한 필드 및 VHT 필드에 대한 영역이 각각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VHT-SIG A는 VHT PPDU를 해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VHT-SIGA는 VHT SIG-A1(도 8의 (a)) 및 VHT SIG-A2(도 8의 (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VHT SIG-A1 및 VHT SIG-A2는 각각 24 데이터 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VHT SIG-A1이 VHT SIG-A2보다 먼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VHT SIG-A1에는 BW, STBC, Group ID, NSTS/Partial AID, TXOP_PS_NOT_ALLOWED 필드 및 Reserved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VHT SIG-A2는 Short GI, Short GI NSYM Disambiguation, SU/MU[0] Coding, LDPC Extra OFDM Symbol, SU VHT-MCS/MU[1-3] Coding, Beamformed, CRC, Tail 및 Reserved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HT PPDU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PPDU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PPDU 포맷의 종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새로운 형태의 PPDU 포맷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PPDU는 L-STF, L-LTF, L-SIG 및 DATA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PPDU 프레임은 HE(High Efficiency) SIG-A 필드, HE-STF 필드, HE-LTF 필드, HE-SIG B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HE SIG-A 필드는 공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공통 정보는 Bandwidth, GI(Guard Interval), length, BSS color fie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L 파트(L-STF, L-LTF, L-SIG)는 주파수 영역에서 20Mhz 단위로 SFN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E SIG A도 L 파트와 동일하게 20Mhz 단위로 SFN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이 20Mhz보다 큰 경우, L 파트 및 HE SIG A는 20Mhz 단위로 duplication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HE SIG-B는 User Specific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User Specific 정보는 스테이션 AID,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e.g., allocation size), MCS, Nsts, Coding, STBC, TXB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HE SIG-B는 전체 밴드위드에 걸쳐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의 (b)를 참조하면 PPDU는 80Mhz 대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L 파트 및 HE SIG A 파트는 20Mhz 단위로 반복(duplication)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HE SIG-B는 80Mhz 전체 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송 방법은 일 예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전송의 개념 중 상향링크의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AP는 매체에 접속할 수 있는 TXOP를 획득하고 경쟁을 통해 매체를 점유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10를 참조하면, AP 스테이션은 UL MU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을 복수의 스테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트리거 프레임은 UL MU 할당 정보로서 자원 할당 위치 및 크기, 스테이션의 ID들, MCS, MU type (= MIMO, OFDMA)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향 링크 멀티 유저(UL MU) 전송은 멀티 유저로서 복수의 스테이션들이 AP 스테이션으로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AP 스테이션은 트리거 프레임을 복수의 스테이션에게 전송하여 복수의 스테이션들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션들은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지시된 포맷에 기초하여 SIFS 경과 후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AP는 ACK/NACK 정보를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UL MU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종래 채널 할당 방식의 비효율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VHT STA들은 Primary을 포함한 contiguous 한 채널이 idle할 경우에만 채널을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Primary 채널이 일정 기간 idle할 경우 20 MHz의 Primary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는 Primary 채널과 이에 연속하는 20 MHz의 Secondary 채널 (secondary 20)이 소정 기간 idle할 경우, Primary 채널과 20 MHz의 Secondary 채널을 합친 40 MHz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채널을 활용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condary 40 채널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도 12의 경우에도 Secondary 40 채널 중 간섭이 없는 채널을 활용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불연속적 채널을 지원하거나 60x MHz 채널을 지원하는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x MHz (x는 자연수)를 지원하거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적인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도 11과 같은 상황에서 채널이 busy한 부분만 제외하고, Primary 채널과 Secondary 40 채널을 모두 활용하여 60 MHz 채널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만일 전체 대역폭이 160 MHz인 경우 종래와 달리 120 (60*2) MHz의 채널까지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도 14는 도 12의 하단에 도시된 상황에서 간섭이 존재하는 채널을 제외하고 불연속적인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즉, 기존과 달리 전체 대역폭 내 연속적인 채널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간섭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채널만을 제외하고 유연하게 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정리하면, 기존 시스템에서는 contiguous 대역폭 중 20, 40, 80, 160(or 80+80) MHz 단위의 정보만 SIG 필드 (BW 필드)에서 간략히 알려주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와 같이 60x MHz contiguous 대역폭 사용할 때나 non-contiguous 대역 알려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불연속 대역 또는 60x MHz 대역을 활용하기 위한 자원할당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A은 도 15와 같이 프레임을 전송할 때, 사용되지 않는 대역폭 정보, 널 지시자 정보(예를 들어, Null bandwidth/channel/sub-channel 정보 또는 non-contiguous 대역폭/채널/서브채널 information)를 HE-SIG 필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해당 정보는 BW가 80MHz 또는 160(or 80+ 80) MHz일 때만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HE-SIG 필드는 전체 대역폭이 20, 40, 80, 160(or 80+80) MHz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대역폭 정보와 전체 대역폭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채널 영역을 나타내는 널 지시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널 서브 채널 지시자 대신에 사용되고 있는 연속 또는 불연속(Non-contiguous) 대역폭 정보가 HE-SIG 필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연속 또는 불연속 대역폭 정보는 실제로 사용되는 대역폭 또는 서브 채널 정보를 가리킬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는 20MHz 또는 그에 대한 배수 (e.g., 40MHz, 80MHz, …)가 될 수 있다.
HE-SIG필드는 바람직하게 HE-SIG A가 바람직하며, HE-SIG B의 common part나 HE-SIG A이전 부분인 L-SIG 또는 phase rotation등으로 가리켜 질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11ax 무선 프레임은 SIG 필드로서 HE-SIG A 및 HE-SIG 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HE-SIG A는 복수의 채널(사용자)에 공통적인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HE-SIG B는 복수의 채널(사용자) 각각의 특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E-SIG B 내에서도 일정 부분은 채널(사용자) 공통 정보를 포함하고, 나머지 부분은 채널(사용자) 특정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 따라 전체 대역폭 정보 및 널 지시자 정보를 전송할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대역폭 정보 및 널 지시자 정보가 모두 HE-SIG A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대역폭 정보는 HE-SIG A에 포함되고, 널 지시자 정보는 HE-SIG B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예로서 널 지시자가 비트맵 형식을 가지는 경우 및 채널 조합에 대한 지시자 형식을 가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비트맵 방식 널 지시자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널 지시자를 비트맵 방식으로 구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널 지시자는 bitmap 형태 또는 index형태를 가질 수 있고, 위에서 언급된 HE-SIG-A 또는 HE-SIG-B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만약 비트맵 형태를 가진다면, 도 18의 예에서 비트맵의 각 비트는 각각의 20MHz 대역폭에 맵핑되고, 1로 설정된 비트는 할당되지 않은 subband를 가리키고, 0은 할당된 subband를 가리킬 수 있다. 즉, 도 18의 경우 비트맵 0100은 20MHz 단위 채널에서 두번째 20MHz 채널만 데이터 전송에 활용되지 않고, 나머지 1, 3, 4번째 채널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Null bandwidth 정보 대신에 실제 사용되는 정보로 가리켜질 수 있다. 그럴 경우, 비트 맵은 실제 사용되는 채널에서 1로 설정되고, 사용되지 않는 채널에 대해서 0으로 설정될 것이다. 즉, 널 지시자 비트맵은 null bandwidth 정보를 가리키는데, non-contiguous bandwidth information 형태로 가리켜질 수 있다. 즉, 도 18과 달리 도 19와 같이 데이터 전송에 할당되는 bandwidth정보로 가리켜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예에서 non-contiguous bandwidth information은 1011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는 이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고, 구분을 위해 Null bandwidth indication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널 지시자의 일종으로 생각할 수 있다.
80MHz에서는 4비트크기로 160 or 80+80MHz에서는 8비트의 비트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0 및 22는 전체 대역폭이 160 MHz 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160(or 80+80)MHz에서는 도 20과 같이 40MHz 단위로 null bandwidth를 indication 할 수 있다. 이 경우, 80MHz와 마찬가지로, 160MHz에서도 4비트 크기의 비트맵이 구성될 것이다.
다만, 위와 같은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condary 40의 일부 밴드가 사용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1은 160(or 80+80)MHz에서 20MHz 단위로 null bandwidth를 indication 하는 예를 나타낸다.
위 예에서, Secondary 40의 일부 또는 전부에 Interference가 있으면, Secondary 40 전부를 사용하지 않는 예를 나타낸다.
도 22에서는 도 21의 예와 달리, 만약, Secondary 40의 일부 밴드가 사용될 때, Null bandwidth bitmap은 00000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11ac와 같이 Primary channel 컨셉이 사용된다면, 비트맵은 primary channels을 제외한 나머지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80MHz에서 3비트로 구성되고, 3비트의 각 비트는 대응하는 secondary channel의 포함 여부를 나타낸다. 아래 표 1은 이와 같이 Primary 채널을 제외한 Secondary 채널을 대상으로 비트맵이 구성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1
160MHz (또는 80+80 MHz)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7비트 비트맵이 각 secondary channels (secondary 20, secondary 40, secondary 80)에 대응하고, 어떤 채널이 primary channel들과 함께 사용되는 지를 다음과 같이 가리질 수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2
3비트는 bandwidth index로 사용될 수 있고, 기존의 bandwidth 정보 (20/40/80/160MHz)를 포함해, 추가적인 contiguous/Non-contiguous channels들의 정보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3
위 예에서는 60MHz non-contiguous 는 생략되는 예를 나타낸다. 대신에, 기존의 160MHz or 80 + 80MHz가 포함된다.
만약, 생략되지 않으면, 아래의 표와 같을 것이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4
표 1의 Secondary channel에 대한 의미를 아래와 같이 바꿀 수도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5
표 3의 Secondary channel에 대한 의미를 아래와 같이 바꿀 수도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6
표 3의 Secondary channel에 대한 의미를 아래와 같이 바꿀 수도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7
한편, 80MHz 또는 160MHz에서 Null bandwidth가 포함되지 않으면, null bandwidth information은 불필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Null bandwidth정보가 포함되는지에 대한 indication을 통해서, null bandwidth information을 선택적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즉, null bandwidth presence 가 1 로 설정될 경우에만 null bandwidth information(e.g., bitmap)이 HE-SIG필드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널 지시자 정보 존재 지시자 필드를 설명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W 필드가 HE-SIG-A에 포함된다면, null bandwidth information은 BW 가 80MHz 또는 160MHz일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SIG-B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ull bandwidth presence가 포함되면, presence값에 따라서 null bandwidth information이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인덱스 방식 널 지시자
상술한 설명에서 Null bandwidth Bitmap은 null subband information의 일례를 나타내며, Bitmap외 다른 형태로 indication 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index형태로 80MHz에서의 null subband information을 나타내는 일례를 보여준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8
상기 표 8의 예에서 o는 해당 밴드가 할당된다는 것을 가리키고, x는 해당 밴드가 할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가리킨다.
Index 1은 Primary CH을 포함한 Contiguous 60MHz 채널을 나타내고, Index 2, 3은 non-contiguous 60MHz bandwidth를 나타낸다. Index 4, 5는 Non-contiguous 40MHz bandwidth를 나타낸다.
아래의 표는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Primary channel 위치를 Secondary 20과 Secondary 40사이에 위치 시켰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09
Primary CH을 포함하지 않고도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고, 아래의 표는 이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0
160MHz에서도, 위와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160MHz에서 40MHz단위로 Null bandwidth를 가리키는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1
Primary CH을 포함하지 않고도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고, 아래의 표는 이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2
아래의 표는 160MHz에서 20MHz단위로 bandwidth의 할당 정보를 가리키는 예를 나타낸다.
Null subband information(non-contiguous BW information)은 기존의 BW index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4
위 예는 Primary channel이 Bandwidth정보에 항상 포함되는 예를 나타낸다. 160MHz에서 subband 단위는 40MHz 단위 이다. 이러한 인덱스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Primary channel 포함 & 160MHz의 기본 subband단위가 40MHz → 상기 표 10과 같이 구성
Primary channel 포함 & 160MHz의 기본 subband단위가 20MHz
Primary channel 미포함 & 160MHz의 기본 subband단위가 40MHz
Primary channel 미포함 & 160MHz의 기본 subband단위가 20MHz
위에서 subband 사용 여부 정보 (e.g., null bandwidth information/non-contiguous subband information, 어느 서브 밴드가 할당되지 않는지에 대한 정보)는 80MHz에서 20MHz 단위로 가리켜지고, 160MHz에서 40MHz 또는 20MHz 단위로 가리켜진다. 이 단위는 같은 크기의 다른 명칭이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래 표 15는 11ax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5
위와 같은 11ax 프레임 구조에서, 20MHz에서는 242 tone으로 구성된 기본 resource unit이 하나, 40MHz에서는 두 개, 80MHz에서는 4개로 구성 될 수 있고, 이 경우, 20MHz대신에, 242 tone으로 구성된 resource unit으로 대체되어 가리켜질 수 있고, 40MHz는 242 tone으로 구성된 resource unit의 연속된 2개(242 tone resource unit x 2 == 40MHz)로 대체되어 표시 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마찬가지로, 위에서 정의했던 subband 사용 여부 정보와 같게 나타낸다. 예를 들어, bitmap으로 표시된다면, 80MHz에서는 4비트크기의 비트맵으로 구성되고, 140MHz는 기본 null resource unit이 40 MHz크기(242 tone resource unit x 2)이면 4비트 크기의 비트맵으로 기본 null resource unit이 20 MHz크기(242 tone resource unit)이면 16비트크기의 비트맵으로 구성된다. Index의 경우에도 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정의된다.
아래는 Non-contiguous bandwidth 정보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6
아래는 남은 reserved bits를 이용해, 160MHz에서 일부 contiguous or non-contiguous channel bonding을 지원하는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7
Non-contiguous bandwidth 정보는 L-SIG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HE-SIG A부터 combining gain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7014135501-pct00018
80MHz 이상의 대역폭 대한 조합은 위의 조합 이외에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 및 스테이션 장치 (또는 단말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AP(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송수신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150)는 프로세서(160), 메모리(170), 송수신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0 및 180)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및 160)는 송수신기(130 및 180)와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 및/또는 MAC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 및 160)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AP 및 스테이션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120 및 17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 및 16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170)는 프로세서(110 및 16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0 및 160)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0 및 160)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AP 장치(100) 및 스테이션 장치(150)에 대한 설명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LTE-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에 대해서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AP 및 스테이션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 장치 또는 스테이션 장치의 프로세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AP 또는 스테이션의 프로세서는 복수개의 계층(layer)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도 23은 이들 계층들 중에서 특히 DLL(Data Link Layer) 상의 MAC 서브계층(sublayer) (3810) 및 물리 계층(3820)을 집중적으로 나타낸다. 도 1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PHY(3820)은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개체(3821), 및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개체(3822)를 포함할 수 있다. MAC 서브계층(3810) 및 PHY(3820) 모두 개념적으로 MLME(MAC sublayer Management Entity) (3811)라고 칭하여지는 관리 개체들을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개체들(3811, 3821)은 계층 관리 기능이 작동하는 계층 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정확한 MAC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서, SME(Station Management Entity) (3830)가 각각의 스테이션 내에 존재한다. SME(3830)는, 별도의 관리 플레인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따로 떨어져(off to the side)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계층 독립적인 개체이다. SME(3830)의 정확한 기능들은 본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개체(3830)는, 다양한 계층 관리 개체(LME)들로부터 계층-종속적인 상태를 수집하고, 계층-특정 파라미터들의 값을 유사하게 설정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SME(3830)는 일반적으로 일반 시스템 관리 개체를 대표하여(on behalf of)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표준 관리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5에서 도시하는 개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도 25에서는 GET/SET 프리머티브(primitive)들을 교환하는 몇가지 예시를 나타내다. XX-GET.request 프리머티브는 주어진 MIB attribute(관리 정보 기반 속성 정보)의 값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XX-GET.confirm 프리머티브는, Status가 "성공"인 경우에는 적절한 MIB 속성 정보 값을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Status 필드에서 에러 지시를 리턴하기 위해 사용된다. XX-SET.request 프리머티브는 지시된 MIB 속성이 주어진 값으로 설정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MIB 속성이 특정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 이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XX-SET.confirm 프리머티브는 status가 "성공"인 경우에 지시된 MIB 속성이 요청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하여 주고, 그렇지 않으면 status 필드에 에러 조건을 리턴하기 위해 사용된다. MIB 속성이 특정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 이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여 준다.
도 2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MLME (3811) 및 SME (3830) 는 다양한 MLME_GET/SET 프리머티브들을 MLME_SAP(3850)을 통하여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PLCM_GET/SET 프리머티브들이, PLME_SAP (3860)을 통해서 PLME(3821)와 SME(383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고, MLME-PLME_SAP(3870)을 통해서 MLME(3811)와 PLME(387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스테이션(STA)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위한 시그널링(SIG) 필드,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을 다른 STA에 전송하되,
    상기 SIG 필드의 상기 제어 정보는 2n 단위 채널에 대응하는 전체 대역폭 및 상기 2n 단위 채널 중 하나 이상의 널(null) 채널을 나타내고,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며,
    상기 SIG 필드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전체 대역폭 및 상기 널 채널을 모두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로서 포함되고,
    상기 대역폭 필드는 2 비트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대역폭 필드의 첫번째 내지 4번째 값들은 각각 상기 전체 대역폭을 20 MHz, 40 MHz, 80 MHz, 그리고 160 MHz로 나타내고,
    상기 대역폭 필드의 5번째 값부터, 상기 대역폭 필드는 상기 널 채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데이터 필드는 하나의 단위 채널의 2n 배에 해당하는 대역폭 이외의 대역폭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폭으로서 지원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IG 필드의 상기 제어 정보는 비트 시퀀스 형태를 가지며,
    상기 SIG 필드의 특정 비트 시퀀스 값은 특정 단위 채널이 널 채널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IG 필드는 제 1 SIG 필드(SIG A) 및 제 2 SIG 필드(SIG B)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대역폭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는 상기 SIG A에 포함되며,
    상기 널 채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는 상기 SIG B에 포함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n 단위 채널의 하나의 단위 채널은 20 MHz 대역폭을 가지며,
    상기 전체 대역폭이 80 MGz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널 채널을 나타내는, 신호 전송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대역폭이 40 MHz 이상인 경우, 상기 2n 단위 채널은 주(primary) 20 MHz 채널 및 보조(secondary) 20 MHz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 20 MHz 채널은 널 채널로 설정되지 않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중 사용자 프레임인, 신호 전송 방법.
  10. 무선랜(WLAN)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션(STA)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위한 시그널링(SIG) 필드,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레임을 다른 STA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G 필드의 상기 제어 정보가 2n 단위 채널에 대응하는 전체 대역폭 및 상기 2n 단위 채널 중 하나 이상의 널(null) 채널을 나타내도록 구성하며,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IG 필드의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전체 대역폭 및 상기 널 채널을 모두 나타내는 대역폭 필드로서 포함시키고,
    상기 대역폭 필드는 2 비트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대역폭 필드의 첫번째 내지 4번째 값들은 각각 상기 전체 대역폭을 20 MHz, 40 MHz, 80 MHz, 그리고 160 MHz로 나타내고,
    상기 대역폭 필드의 5번째 값부터, 상기 대역폭 필드는 상기 널 채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테이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의 단위 채널의 2n 배에 해당하는 대역폭 이외의 대역폭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필드를 구성하는, 스테이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IG 필드의 상기 제어 정보는 비트 시퀀스 형태를 가지며,
    상기 SIG 필드의 특정 비트 시퀀스 값은 특정 단위 채널이 널 채널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IG 필드는 제 1 SIG 필드(SIG A) 및 제 2 SIG 필드(SIG B)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체 대역폭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상기 SIG A에 포함시키고,
    상기 널 채널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상기 SIG B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션.
  14. 삭제
  15. 삭제
KR1020177003857A 2014-09-28 2015-09-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46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56597P 2014-09-28 2014-09-28
US62/056,597 2014-09-28
US201562106736P 2015-01-23 2015-01-23
US62/106,736 2015-01-23
US201562126710P 2015-03-01 2015-03-01
US62/126,710 2015-03-01
US201562200123P 2015-08-03 2015-08-03
US62/200,123 2015-08-03
PCT/KR2015/010223 WO2016048098A1 (ko) 2014-09-28 2015-09-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516A KR20170063516A (ko) 2017-06-08
KR101946375B1 true KR101946375B1 (ko) 2019-02-11

Family

ID=5558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857A KR101946375B1 (ko) 2014-09-28 2015-09-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327250B2 (ko)
EP (3) EP3550762B1 (ko)
JP (1) JP6408691B2 (ko)
KR (1) KR101946375B1 (ko)
CN (1) CN106716900B (ko)
ES (1) ES2900543T3 (ko)
MX (1) MX366078B (ko)
WO (1) WO20160480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762B1 (en) 2014-09-28 2021-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56626B2 (en) * 2014-11-13 2017-09-05 Intel IP Corporation High-efficiency Wi-Fi (HEW) station and access point (AP) and method for signaling of channel resource allocations
JP6389320B2 (ja) * 2015-03-06 2018-09-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lan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lan端末装置
US10129873B2 (en) * 2015-04-08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Non-contiguous channel allocation and bon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0560240B2 (en) 2015-12-16 2020-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220086707A (ko) * 2016-04-02 2022-06-2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수신된 프레임의 베이직 서비스 세트 식별 정보 판단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15379458A (zh) 2016-04-02 2022-11-22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重叠的基本服务集的空间重用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WO2018235363A1 (ja) * 2017-06-20 2018-12-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10742374B2 (en) 2018-01-12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 data throughput in 6 GHz Wi-Fi network
US11452098B2 (en) 2018-04-20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Dual band channel bonding and puncturing
CN113170442A (zh) * 2018-05-08 2021-07-23 马维尔亚洲私人有限公司 Wlan中的打孔操作信道
CN110557843B (zh) * 2018-05-31 2023-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0768757A (zh) * 2018-07-25 2020-02-07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单元指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10212035A1 (en) * 2019-12-05 2021-07-08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Signalling method through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P4118785A1 (en) * 2020-03-13 2023-0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rchitectures, apparatuses and systems directed to physical layer signal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US11611992B2 (en) * 2020-06-18 2023-03-21 Mediatek Singapore Pte. Ltd. Bandwidth extension indication and negoti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943643B2 (en) 2020-07-24 2024-03-26 Mediatek Singapore Pte. Ltd. Wide bandwidth transmission schem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3611B2 (en) * 2009-01-07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resource release with DRX command
KR101331674B1 (ko) * 2010-02-12 201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417253B2 (en) * 2010-02-23 2013-04-09 Intel Corporation Bandwidth and channel notification for wide-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US9794032B2 (en) 2010-03-05 2017-10-17 Lg Electronics Inc. PPDU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the MIMO technique in a WLAN system
US9204337B2 (en) * 2010-03-09 2015-12-01 Broadcom Corporation Bandwidth mechanisms and successive channel reservation access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CA2784993C (en) 2010-04-13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lan system
US9025428B2 (en) * 2010-04-14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Allocating and receiving tones for a frame
US8257889B2 (en) * 2010-07-28 2012-09-04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s comprising capped structured organic film compositions
US9078245B2 (en) * 2010-08-26 2015-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multi-channel
TWI521919B (zh) * 2010-10-11 2016-02-1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認知無線電網路頻寬配置方法及裝置
WO2012057546A2 (ko) * 2010-10-28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638656B1 (en) * 2010-11-12 2016-12-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for performing channel aggregation
US9160503B2 (en) 2011-03-04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improved wide bandwidth transmissions
US8824441B2 (en) * 2011-05-12 2014-09-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15018684A (ja) * 2013-07-10 2015-01-2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スロットアンテナ及び半導体装置
KR20150012690A (ko) * 2013-07-26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 및 그 제조 방법
US9252999B1 (en) * 2013-10-08 2016-02-02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hannel estimation and equalization based on a signal field of a received packet
US9544914B2 (en) * 2013-11-19 2017-01-10 Intel IP Corporation Master station and method for HEW communication using a transmission signaling structure for a HEW signal field
US20150163028A1 (en) * 2013-12-10 2015-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tilizing efficient signal field design in high efficiency wireless packets
US20150296454A1 (en) * 2014-04-15 2015-10-15 Newracom, Inc. Method for low-power communicat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60004955A (ko) * 2014-07-04 2016-01-13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의 물리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포맷
US9803695B2 (en) * 2014-07-14 2017-10-31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Drive shaft locking cap and related mix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08971A (ko) * 2014-07-15 2016-01-25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하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응답하는 상향링크 확인응답
EP3198817B8 (en) * 2014-09-23 2020-04-01 NXP USA, Inc. Short training field for wifi
EP3550762B1 (en) 2014-09-28 2021-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0381B1 (en) 2019-07-10
ES2900543T3 (es) 2022-03-17
US20170223693A1 (en) 2017-08-03
EP3200381A1 (en) 2017-08-02
EP3937417B1 (en) 2022-08-24
MX366078B (es) 2019-06-27
US10932272B2 (en) 2021-02-23
US20190261350A1 (en) 2019-08-22
CN106716900B (zh) 2020-09-08
JP6408691B2 (ja) 2018-10-17
MX2017002064A (es) 2017-05-04
US10327250B2 (en) 2019-06-18
EP3200381A4 (en) 2018-05-30
EP3937417A1 (en) 2022-01-12
EP3550762A1 (en) 2019-10-09
JP2017529757A (ja) 2017-10-05
CN106716900A (zh) 2017-05-24
EP3550762B1 (en) 2021-11-10
KR20170063516A (ko) 2017-06-08
WO2016048098A1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3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한 자원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4707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통한 시그널링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1404275B1 (ko)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 ppdu의 채널 할당 방법 및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US11012218B2 (en) Method for supporting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909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ignaling for reserved sub-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45338B2 (en)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of wideband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U20143620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data from wireless LAN to plurality of STAs
JP641703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柔軟なリソース割り当てを支援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2023035427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