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27B1 -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427B1
KR101945427B1 KR1020150180659A KR20150180659A KR101945427B1 KR 101945427 B1 KR101945427 B1 KR 101945427B1 KR 1020150180659 A KR1020150180659 A KR 1020150180659A KR 20150180659 A KR20150180659 A KR 20150180659A KR 101945427 B1 KR101945427 B1 KR 10194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voltage
module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473A (ko
Inventor
윤승규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8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427B1/ko
Priority to EP16875988.4A priority patent/EP3287802B1/en
Priority to JP2017561864A priority patent/JP6568955B2/ja
Priority to CN201680034750.8A priority patent/CN107710006B/zh
Priority to US15/577,959 priority patent/US10794957B2/en
Priority to PCT/KR2016/014542 priority patent/WO2017105046A1/ko
Publication of KR2017007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관리하는 BMS,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배터리 모듈 전체의 전압을 측정하는 모듈 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개수를 산출하는 셀 개수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UNTING SERIES CONNECTED 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을 기반으로 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배터리나 기타 용도의 전력저장장치에서는 고출력, 고용량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한 배터리 모듈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 구조에서 다수의 배터리 셀을 연결하여 구성한 배터리 모듈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모듈의 전압, 전류, 온도, 충전상태(State of Charge) 등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집하면서 수집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전자장치의 제어나 충전 제어 등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자장치의 타 제어기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소프트웨어는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각각의 셀 개수에 대응하는 BMS를 제작하거나 BMS 소프트웨어를 교체 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BMS에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개수를 확인하여, 배터리 셀 개수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을 기반으로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관리하는 BMS,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배터리 모듈 전체의 전압을 측정하는 모듈 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개수를 산출하는 셀 개수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단일 배터리 셀 전압 값이 기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단일 배터리 셀 전압 값은 상기 셀 개수 산출부에서 셀 개수를 산출하는 기준 값일 수 있다.
상기 모듈 전압 측정부는 상기 BMS와는 별도로 모듈 전압 측정부를 구비하여, 배터리 모듈 전체의 전압을 측정하거나, 상기 BMS 내에 전압 측정 블록으로 구비되어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셀 개수 산출부는 상기 모듈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배터리 모듈의 전압 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단일 배터리 셀 전압 값으로 나누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방법은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을 설정하는 셀 전압 값 설정 단계, 복수개의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의 전체 전압 값을 측정하는 모듈 전압 값 측정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체 전압 값 및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으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개수를 산출하는 셀 개수 산출 단계,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 된 배터리 셀 개수를 BMS에서 인식하는 BMS 인식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셀 전압 값 설정 단계는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에서 기준 값으로 사용될 단일 셀의 전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는 상기 모듈 전압 값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 모듈 전체의 전압을 상기 셀 전압 값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으로 나누어서 배터리 모듈에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BMS 인식 단계는 상기 샐 개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배터리 셀 개수를 BMS에서 인식하여, 상기 산출된 배터리 셀 개수에 대응되는 BMS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확인함으로써, 공용 BMS에서 자동으로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100), 상기 배터리 모듈(100)을 관리하는 BMS(500),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00), 상기 배터리 모듈(100) 전체의 전압을 측정하는 모듈 전압 측정부(300), 상기 배터리 모듈(100)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개수를 산출하는 셀 개수 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소정의 같은 전압 값을 출력하는 배터리 셀이 복수개 직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BMS(500)는 배터리를 모니터링 하는 BMIC(Battery Monitoring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200)는 상기 배터리 모듈(100)을 구성하는 단일 배터리 셀 전압 값이 기설정되어 저장되고, 이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일 배터리 셀 전압 값은 후술하게 되는 셀 개수 산출부(400)에서 셀 개수를 산출하는 기준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전압 측정부(300)는, 상기 BMS(500)와는 별도로 모듈 전압 측정부(200)를 따로 구비하여 배터리 모듈(100) 전체의 전압을 측정하거나, 상기 BMS(500)내에 전압 측정 블록으로 구비되어, 배터리 모듈(100)의 전체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 개수 산출부(400)는, 상기 모듈 전압 측정부(300)에서 측정된 배터리 모듈(100)의 전체 전압 값을 상기 메모리(200)에 저장되어 있는 단일 셀 전압 값으로 나누어, 배터리 모듈(100)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전압 값은, 각각의 배터리 셀 전압 값을 합한것과 같으므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이 모두 동일한 셀일 경우에, 전체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하나의 배터리 셀 전압으로 나누게 되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방법은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을 설정하는 셀 전압 값 설정 단계(S100), 복수개의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의 전체 전압 값을 측정하는 모듈 전압 값 측정 단계(S200),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체 전압 값 및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으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개수를 산출하는 셀 개수 산출 단계(S300),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 된 배터리 셀 개수를 BMS에서 인식하는 BMS 인식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 전압 값 설정 단계(S100)는,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에서 기준 값으로 사용될 단일 셀의 전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단일 셀의 전압 값은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을 실측하여 설정 되거나, 배터리 셀의 전압값을 외부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S300)는 상기 모듈 전압 값 측정 단계(S200)에서 측정된 배터리 모듈 전체의 전압을 상기 셀 전압 값 설정 단계(S100)에서 설정된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으로 나누어서 배터리 모듈에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전압 값은, 각각의 배터리 셀 전압 값을 합한 것과 같으므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이 모두 동일한 셀일 경우에, 전체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하나의 배터리 셀 전압으로 나누게 되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MS 인식 단계(S400)는 상기 샐 개수 산출 단계(S300)에서 산출된 배터리 셀 개수를 BMS에서 인식하여, 상기 산출된 배터리 셀 개수에 대응되는 BMS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터리 모듈
200 : 메모리
300 : 모듈 전압 측정부
400 : 셀 개수 산출부
500 : BMS

Claims (8)

  1.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관리하는 BMS;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배터리 모듈 전체의 전압을 측정하는 모듈 전압 측정부;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개수를 산출하는 셀 개수 산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셀 개수 산출부는,
    상기 모듈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모듈 전제의 전압을 상기 단일 셀 전압으로 나누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셀의 개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단일 배터리 셀 전압 값이 기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단일 배터리 셀 전압 값은 상기 셀 개수 산출부에서 셀 개수를 산출하는 기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전압 측정부는
    상기 BMS와는 별도로 모듈 전압 측정부를 구비하여, 배터리 모듈 전체의 전압을 측정하거나, 상기 BMS 내에 전압 측정 블록으로 구비되어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장치.
  4. 삭제
  5.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을 설정하는 셀 전압 값 설정 단계;
    복수개의 셀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모듈의 전체 전압 값을 측정하는 모듈 전압 값 측정 단계;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체 전압 값 및 단일 배터리 셀의 전압 값으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 개수를 산출하는 셀 개수 산출 단계;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 된 배터리 셀 개수를 BMS에서 인식하는 BMS 인식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는,
    상기 모듈 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 모듈 전체 전압을 상기 셀 전압 값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는 단일 배터리 셀 전압으로 나누어, 배터리 모듈에 직렬 연결될 배터리 셀의 개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셀 전압 값 설정 단계는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에서 기준 값으로 사용될 단일 셀의 전압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방법.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MS 인식 단계는
    상기 셀 개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배터리 셀 개수를 BMS에서 인식하여, 상기 산출된 배터리 셀 개수에 대응되는 BMS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 셀 개수 확인 방법.

KR1020150180659A 2015-12-17 2015-12-17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945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59A KR101945427B1 (ko) 2015-12-17 2015-12-17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
EP16875988.4A EP3287802B1 (en) 2015-12-17 2016-12-12 Battery module and cell configuration recognition system for id assignment
JP2017561864A JP6568955B2 (ja) 2015-12-17 2016-12-12 Idの割り当てのための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セル構成の認識システム
CN201680034750.8A CN107710006B (zh) 2015-12-17 2016-12-12 用于id分配的电池模块和单体电池配置识别系统
US15/577,959 US10794957B2 (en) 2015-12-17 2016-12-12 Battery module and cell configuration recognition system for ID assignment
PCT/KR2016/014542 WO2017105046A1 (ko) 2015-12-17 2016-12-12 Id 할당을 위한 배터리 모듈 및 셀 구성 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59A KR101945427B1 (ko) 2015-12-17 2015-12-17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473A KR20170072473A (ko) 2017-06-27
KR101945427B1 true KR101945427B1 (ko) 2019-04-17

Family

ID=5951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59A KR101945427B1 (ko) 2015-12-17 2015-12-17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122A (ko) * 2019-11-08 2021-05-1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센싱 시스템 및 방법
US11664513B2 (en) 2019-11-08 2023-05-30 Hyundai Mobi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fuel cell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43B1 (ko) * 2017-09-07 2020-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노 프레임의 구조해석 툴 및 모노 프레임 설계방법
CN113093035B (zh) * 2021-04-14 2024-04-1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数量的确定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808A (ja) 2006-12-25 2008-07-10 Toshiba Corp 組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54B1 (ko) * 2012-03-02 2019-11-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밸런싱 시스템
KR20140055065A (ko) *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18515B1 (ko) * 2014-05-30 201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팩 생산공정에서의 불량검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7808A (ja) 2006-12-25 2008-07-10 Toshiba Corp 組電池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122A (ko) * 2019-11-08 2021-05-1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센싱 시스템 및 방법
KR102308789B1 (ko) * 2019-11-08 2021-10-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센싱 시스템 및 방법
US11664513B2 (en) 2019-11-08 2023-05-30 Hyundai Mobi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fuel cell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473A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967B1 (ko) 배터리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45427B1 (ko)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 확인 장치 및 방법
JP7072607B2 (ja) デューティ制御を用いた効果的なバッテリセルのバランシ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US10060986B2 (en) Battery remaining power predicting device and battery pack
US20140055100A1 (en) Battery state estimation system, battery control system, battery system, and battery state estimation method
JP5342583B2 (ja) 電池セル制御装置及び電池セル
KR102025286B1 (ko) 배터리 셀 밸런싱의 방법 및 시스템
KR102426428B1 (ko)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Hu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US20160274193A1 (en) Battery remaining power predicting device and battery pack
CN102822690A (zh) 充电状态估计装置
US9651594B2 (en) Battery remaining power predicting device and battery pack
US10573936B2 (en) Remaining battery life predi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KR101980150B1 (ko) 배터리 팩의 soh 산출 장치 및 방법
US11585856B2 (en) Direct current converter capable of monitoring battery condition and battery condition monitoring method thereof
CN104330737A (zh) 蓄电池检测电路通道电阻补偿系统和方法
US20220373609A1 (en) State Value for Rechargeable Batteries
KR20200087494A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503091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tate of safety plug
CN211045641U (zh) 温度采集单元及电池管理系统
KR10262023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팩 및 전류 측정 회로의 고장 판정 방법
US20240175937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005395B1 (ko) 배터리 셀 병렬 개수 확인 장치 및 방법
US20190383879A1 (en) Precision battery energy measuring system
KR102331839B1 (ko) 배터리 사용 패턴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