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07B1 -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407B1
KR101945407B1 KR1020130077290A KR20130077290A KR101945407B1 KR 101945407 B1 KR101945407 B1 KR 101945407B1 KR 1020130077290 A KR1020130077290 A KR 1020130077290A KR 20130077290 A KR20130077290 A KR 20130077290A KR 101945407 B1 KR101945407 B1 KR 10194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gas
turbine
unit
turb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165A (ko
Inventor
박희호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407B1/ko
Priority to PCT/KR2014/000372 priority patent/WO2015002370A1/ko
Publication of KR2015000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24Heating fuel before feeding to the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3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with recycling of part of the working fluid, i.e. semi-closed cycles with combustion products in the closed part of th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60Application making use of surplus or waste energy
    • F05D2220/62Application making use of surplus or waste energy with energy recovery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발생하는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과, 상기 제 1 터빈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사용하여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1 폐열회수 유닛과,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상기 연료와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을 통과한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Liquid fuel evaporating system}
본 발명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한 후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켜 터빈에 공급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은 연료를 기체 형태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은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연료를 기화시키는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히터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연료를 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의 전체 효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료 자체를 기화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가열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11341호(발명의 명칭 : 가스터빈의 연료공급장치 및 그 제어장치, 특허권자 :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1134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원에서 공급되는 연소가스와 전기로 발전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발생하는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과, 상기 제 1 터빈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사용하여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1 폐열회수 유닛과,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상기 연료와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을 통과한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를 포함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은,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 2 터빈과, 상기 제 2 터빈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터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발전기와, 상기 제 2 터빈과 상기 제 2 발전기를 연결하는 제 2 동력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 1 연소가스의 유로 상에서 상기 제 1 연소가스와 열교환하여 기화된 제 2 유체를 통하여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폐열회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폐열회수 유닛은, 상기 제 1 연소가스와 상기 제 2 유체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상기 제 2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3 터빈 유닛과, 상기 제 3 터빈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 2 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은, 상기 제 1 연소가스와 열교환하여 제 1 유체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상기 제 1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터빈 유닛과, 상기 제 2 터빈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제 1 유체를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은, 상기 제 1 연소가스와 순환하는 제 3 유체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기 제 3 유체와 순환하는 제 1 유체가 열교환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상기 제 1 유체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터빈 유닛와, 상기 제 2 터빈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제 1 유체를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외부로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과, 외부 공기 및 연료를 공급받아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제 2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2 터빈 유닛과,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상기 연료와 상기 제 2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를 포함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연료를 기화시켜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함으로써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발생하는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1 터빈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터빈 유닛(110)은 상기 연료를 연소한 후 생성되는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할 수 있다.
제 1 터빈 유닛(110)은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터빈 유닛(110)은 압축기(111)와 연결되며, 압축기(111)를 회전시키는 제 1 터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빈 유닛(110)은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고 후술할 연료공급기(13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소기(112)는 연료가 연소된 후 발생하는 제 1 연소가스를 제 1 터빈(11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1 터빈(113)은 제 1 연소가스가 생성될 때의 발생하는 에너지와 제 1 연소가스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할 수 있다. 제 1 터빈 유닛(110)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제 1 터빈(113)에 연결되어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1 발전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발전기(114)는 생성된 전기를 외부의 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외부의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111), 연소기(112) 및 제 1 터빈(113)이 별개로 형성되어 조립됨으로써 제 1 터빈 유닛(1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1), 연소기(112) 및 제 1 터빈(113)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일렬로 연결됨으로써 제 1 터빈 유닛(1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압축기(111), 연소기(112) 및 제 1 터빈(113)이 별개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제 1 터빈 유닛(110)과 연결되어 제 1 터빈 유닛(110)으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연소가스를 사용하여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은 제 1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 2 터빈(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은 제 2 터빈(121)과 연결되어 제 2 터빈(121)의 작동에 따라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발전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터빈(121)과 제 2 발전기(123)는 서로 제 2 동력전달부(12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2 동력전달부(122)는 복수개의 연결샤프트(122a), 복수개의 연결샤프트(122a)를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122b), 제 2 터빈(121)의 회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프트(122a)에 전달하는 기어유닛(12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동력전달부(122)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터빈(121)의 회전력을 제 2 발전기(123)에 전달하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연결샤프트(122a), 커플링(122b) 및 기어유닛(122c)은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에서 생성되는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제 1 터빈 유닛(110)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기화시키는 연료공급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료공급기(130)는 기화된 연료와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을 통과한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제 1 터빈 유닛(1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연료공급기(130)는 연소기(112)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공급기(130)는 액체 상태의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기(130)는 연료저장기(131)로부터 액체 상태의 연료를 공급받아 기화시키는 연료기화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료기화기(13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히터(132a) 등이 설치되어 열을 공급함으로써 연료를 기화시킬 수 있다.
연료공급기(130)는 연료저장기(131)와 연료기화기(132)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저장기(131)로부터 연료기화기(132)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펌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기(130)는 연료공급펌프(133)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의 양을 제어하는 연료제어밸브(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료공급기(130)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체 연료를 저정하였다가 기화시킨 후 제 1 터빈 유닛(110)으로 기화된 연료를 공급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제 1 터빈 유닛(110)으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연소가스를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으로 안내하는 제 1 유로(1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으로부터 연료공급기(130)로 제 1 연소가스를 안내하는 제 2 유로(192) 및 연료공급기(130)로부터 제 1 터빈 유닛(110)으로 제 1 연소가스가 홉합된 연료를 안내하는 제 3 유로(193)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제 1 유로(191) 내지 제 3 유로(19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제 1 연소가스의 양 또는 제 1 연소가스가 혼합된 연료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량제어밸브(140)가 제 2 유로(192) 상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의 작동에 대해서 살펴보면, 우선 제 1 터빈 유닛(110)이 작동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고, 연료공급기(130)는 기화된 연료를 연소기(11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초기의 구동 시 연료기화기(132)에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어 액체 연료를 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터빈 유닛(110)이 작동하면, 압축기(111)를 통하여 압축된 공기는 연소기(112)로 공급되며, 제 3 유로(193)를 통하여 기화된 연료가 연료기화기(132)로부터 연소기(11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소기(112)에서는 압축된 공기와 기화된 연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점화시킴으로써 기화된 연료를 연소시켜 제 1 연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연소가스는 연소기(112)로부터 제 1 터빈(113)으로 이동하면서 제 1 터빈(11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 1 터빈(113)의 작동에 따라 제 1 발전기(114)를 작동시키고 제 1 발전기(114)는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터빈 유닛(110)이 작동하는 동안, 제 1 연소가스는 제 1 유로(191)를 통하여 제 1 폐열회수 유닛(1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연소가스는 제 1 유로(191)를 따라 제 1 터빈(113)으로부터 제 2 터빈(12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연소가스가 공급되면, 제 2 터빈(121)은 작동하여 제 2 발전기(12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동력전달부(122)는 제 2 터빈(121)의 회전력을 제 2 발전기(123)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 2 발전기(123)로 제 2 터빈(121)의 회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제 2 발전기(123)가 작동하며, 제 2 발전기(123)는 작동에 따라서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 2 전기에너지는 연료기화기(132)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연료기화기(132)의 히터(132a)에 공급되어 히터(132a)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터빈(121)을 작동시킨 제 1 연소가스는 제 2 유로(192)를 통하여 연료기화기(13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료공급펌프(133)가 작동하여 연료를 연료기화기(13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연소가스와 기화된 연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제 3 유로(193)를 통하여 제 1 터빈 유닛(1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연소가스와 혼합된 연료는 연소기(11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유량제어밸브(140)는 제 2 유로(192)를 유동하는 제 1 연소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량제어밸브(140)는 제 1 터빈 유닛(110)의 작동, 즉 제 1 발전기(114)에서 생성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제 2 유로(192)를 유동하는 제 1 연소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량제어밸브(140)는 제 1 터빈 유닛(110)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제어밸브(140)는 제 1 터빈 유닛(110)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탄소 또는 수소의 함량에 따라서 제 1 연소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료의 탄소 또는 수소의 함량이 큰 경우 제 1 연소가스의 양이 많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연료의 탄소 또는 수소의 함량이 작은 경우 제 1 연소가스의 양이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량제어밸브(140)의 개도는 기 설정될 수 있으며 유량제어밸브(140)의 개도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량제어밸브(140)는 제 2 유로(192)를 이동하는 제 1 연소가스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른 외부 장치로 공급함으로써 제 1 연소가스의 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유량제어밸브(140)는 제 2 유로(192)에 설치되는 삼방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연료의 기화 시 필요한 열을 제 1 터빈 유닛(110)의 작동 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함으로써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의 전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은 기화된 연료와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함으로써 제 1 연소가스에 포함된 불활성 기체를 통하여 웨버지수(Wobber Index)를 조절하여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은 제 1 터빈 유닛(210), 연료공급기(230), 제 1 유로(291), 제 2 유로(292), 제 3 유로(293) 및 유량제어밸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터빈 유닛(210)은 압축기(211), 연소기(212), 제 1 터빈(213) 및 제 1 발전기(214)을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211), 연소기(212), 제 1 터빈(213) 및 제 1 발전기(214)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압축기(211), 연소기(212) 및 제 1 터빈(213)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연료공급기(230)는 연료저장기(231), 연료기화기(232), 연료공급펌프(233) 및 연료조절밸브(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료공급기(23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유로(291), 제 2 유로(292), 제 3 유로(293) 및 유량제어밸브(240)도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유량제어밸브(240)의 경우 제 2 유로(292) 상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은 제 1 터빈 유닛(210)에서 토출되는 제 1 연소가스와 열교환하여 폐열을 회수하는 제 1 폐열회수 유닛(220) 및 제 2 폐열회수 유닛(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은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은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이 제 2 폐열회수 유닛(250)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3 전기에너지는 연료기화기(232)로 공급되어 연료를 기화시킬 때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이 제 1 폐열회수 유닛(220)과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 3 전기에너지는 외부 장치에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이 제 1 폐열회수 유닛(220)과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은 제 1 연소가스와 열교환하여 제 1 유체를 증발시키는 증발기(2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은 증발기(221)에서 증발된 제 1 유체를 공급받아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터빈 유닛(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터빈 유닛(222)은 제 1 유체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제 2 터빈(222a)과, 제 2 터빈(222a)과 연결되어 제 2 터빈(222a)의 작동 시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발전기(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은 제 2 터빈 유닛(222)으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유체를 응축시켜 액화시키는 응축기(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은 응축기(223)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유체를 다시 증발기(221)로 공급하는 펌프(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은 제 1 유체가 이동하는 제 1 순환유로(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순환유로(225)는 제 1 유로(291)와 연결되지 않으며, 제 1 유체가 제 1 연소가스와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 1 순환유로(225)는 제 1 유로(291)와 함께 증발기(221) 내부로 진입하여 제 1 유체와 제 1 연소가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은 응축기(223)에 연결되며, 제 1 냉각제가 순환하는 제 1 냉각순환유로(2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1 냉각순환유로(226) 상에 배치되는 냉각유닛(22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냉각유닛(227)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냉각팬, 냉각탑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각유닛(227)이 냉각팬을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터빈 유닛(210)으로부터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으로 이동하는 제 1 연소가스의 유로 상에서 제 1 연소가스와 열교환하여 기화된 제 2 유체를 통하여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은 제 1 유로(291) 상에 배치되어 제 1 연소가스와 제 2 유체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은 열교환부(251)에서 열교환된 제 2 유체를 공급받아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3 터빈 유닛(2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 터빈 유닛(252)은 제 2 유체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 3 터빈(252a)과, 제 3 터빈(252a)과 연결되어 제 3 터빈(252a)의 작동에 따라서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3 발전기(252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은 제 3 터빈(252a)으로부터 토출되는 제 2 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축기부(253)는 외부의 제 1 냉각제와 제 2 유체를 열교환함으로써 제 2 유체를 응축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은 열교환부(251), 제 3 터빈 유닛(252) 및 응축기부(253)가 설치되어 제 2 유체가 순환하는 제 2 순환유로(2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은 응축기부(253)와 연결되며, 외부의 제 2 냉각제가 순환하는 제 2 냉각순환유로(25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압축기(211) 및 연료기화기(232)가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연료기화기(232)에서는 제 3 유로(293)를 통하여 연소기(212)로 기화된 연료를 공급하고, 압축기(211)에서는 외부의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기(212)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와 연료가 공급되면, 연소기(212)는 공기와 연료가 혼합된 후 연소할 수 있다. 이때, 연소기(212)는 제 1 연소가스가 생성되며, 제 1 연소가스는 연소기(212)에서 제 1 터빈(213)으로 공급되어 제 1 터빈(21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터빈(213)이 작동하면, 제 1 발전기(214)가 작동하고 제 1 발전기(214)는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터빈(213)에서는 제 1 연소가스가 토출되어 제 1 유로(291)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연소가스는 증발기(221)로 공급되고, 증발기(221)에서는 제 1 연소가스와 제 1 유체 사이에 열교환됨으로써 제 1 유체를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증발된 제 1 유체는 제 1 순환유로(225)를 따라 제 2 터빈(222a)으로 공급되어 제 2 터빈(222a)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발전기(222b)는 제 2 터빈(222a)의 작동에 따라서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연료기화기(232)로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제 2 전기에너지는 연료기화기(232)에서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체는 제 1 순환유로(225)를 따라 제 2 터빈(222a)로부터 응축기(223)로 공급될 수 있다. 응축기(223)에서는 제 1 유체와 제 1 냉각제 사이에 열교환을 통하여 제 1 유체를 응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응축된 제 1 유체는 펌프(224)를 통하여 다시 증발기(221)로 공급되어 상기의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냉각순환유로(226)에서는 제 1 냉각제가 계속해서 순환하면서 응축기(223)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올라간 제 1 냉각제는 제 1 냉각유닛(227)에 의하여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이 지속되는 동안, 제 2 터빈(222a)에서 토출되는 제 1 유체는 응축기(223)에서 제 1 냉각제와 열교환됨으로써 응축될 수 있다. 이때, 응축기(223)에서 응축되어 토출된 제 1 유체는 펌프(224)를 통하여 다시 증발기(221)로 공급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작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에서는 제 1 연소가스로부터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 1 터빈 유닛(210)이 작동하여 제 1 연소가스가 토출되는 경우 제 1 유로(291) 상의 열교환부(251)에서 제 2 유체와 제 1 연소가스 사이에 열교환될 수 있다.
이때, 열교환된 제 2 유체는 제 3 터빈(252a)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 3 터빈(252a)은 제 2 유체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고, 제 3 터빈(252a)에 의하여 제 3 발전기(252b)는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3 전기에너지는 외부 장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3 터빈(252a)을 통하여 토출되는 제 2 유체는 제 2 순환유로(254)를 통하여 응축기부(253)로 공급되며, 응축기부(253)는 제 2 냉각순환유로(255)를 통하여 유입되는 제 2 냉각제와 제 2 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제 2 유체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응축된 제 2 유체는 다시 열교환부(251)로 공급되어 상기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연소가스는 제 1 폐열회수 유닛(220)으로부터 제 2 유로(29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은 제 1 연소가스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제 2 유로(292) 상에 배치되는 버퍼탱크(2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버퍼탱크(280)는 제 1 연소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제 1 연소가스가 제 2 유로(292) 상에서 역류하거나 불균일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연소가스는 버퍼탱크(280)를 통과하여 제 2 유로(292)를 통하여 연료기화기(23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유량제어밸브(240)는 제 2 유로(292)의 개도를 조절하여 제 1 연소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유량제어밸브(240)의 제어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연료기화기(232)로 제 1 연소가스가 공급되면, 연료기화기(232)는 제 1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기화된 연료와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할 수 있다. 이때, 혼합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확산에 의한 혼합이 사용될 수 있다. 연료기화기(232)는 제 1 연소가스와 연료가 혼합되면 제 1 연소가스와 연료를 연소기(212)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은 연료의 기화 시 필요한 열을 제 1 터빈 유닛(210)의 작동 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함으로써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의 전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은 기화된 연료와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함으로써 제 1 연소가스에 포함된 불활성 기체를 통하여 웨버지수(Wobber Index)를 조절하여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은 제 1 폐열회수 유닛(220)과 제 2 폐열회수 유닛(250)을 통하여 제 1 연소가스에 포함된 에너지를 축출함으로써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200)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3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300)은 제 1 터빈 유닛(310), 제 1 폐열회수 유닛(320), 제 1 유로(391), 제 2 유로(392), 제 3 유로(393), 연료공급기(330) 및 유량제어밸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유로(391), 제 2 유로(392), 제 3 유로(393), 연료공급기(330) 및 유량제어밸브(34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터빈 유닛(310)은 압축기(311), 연소기(312), 제 1 터빈(313) 및 제 1 발전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축기(311), 연소기(312), 제 1 터빈(313) 및 제 1 발전기(314)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압축기(311), 연소기(312) 및 제 1 터빈(313)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압축기(311), 연소기(312) 및 제 1 터빈(313)이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폐열회수 유닛(320)은 제 1 연소가스와 순환하는 제 3 유체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교환기(321)는 제 3 유체가 순환하는 제 3 순환유로(399)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 3 순환유로(399)에는 제 3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체펌프(39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321)는 제 1 유로(391)와 연결되며, 제 2 유로(392)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 2 유로(392)는 제 3 유체와 열교환된 제 1 연소가스가 이동할 수 있다.
열교환기(321)는 제 4 유로(394)를 통하여 후술할 증발기(3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폐열회수 유닛(320)은 열교환기(321)를 통과하는 제 3 유체와 순환하는 제 1 유체가 열교환하는 증발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322)는 제 1 순환유로(326)를 이동하는 제 1 유체와 제 3 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담당할 수 있다.
제 1 폐열회수 유닛(320)은 제 1 순환유로(326) 상에 설치되는 제 2 터빈 유닛(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터빈 유닛(323)은 제 1 유체의 공급에 따라 작동하는 제 2 터빈(323a)과 제 2 터빈(323a)과 연결되어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발전기(32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폐열회수 유닛(320)은 제 2 터빈(323a)으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축기(324)는 외부의 냉각유닛(미도시)에 연결되는 제 1 냉각순환유로(327)를 이동하는 제 2 냉각제와 제 1 유체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제 1 폐열회수 유닛(320)은 응축기(324)로부터 토출되는 제 1 유체를 증발기(322)로 공급하는 펌프(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펌프(325)는 제 1 유체의 이동 시 압력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 1 터빈 유닛(310)이 작동하는 경우 연료기화기(332)에서 기화된 연료는 연소기(31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압축기(311)는 외부의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기(312)로 공급할 수 있다.
연소기(312)는 압축된 공기와 기화된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여 제 1 연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연소가스는 제 1 유로(391)를 통하여 열교환기(321)로 공급될 수 있다.
열교환기(32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제 3 유체와 제 1 연소가스 사이에 열교환을 통하여 제 3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온도가 상승한 제 3 유체는 제 4 유로(394)를 통하여 증발기(32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증발기(322)는 제 1 순환유로(326)를 이동하는 제 1 유체와 제 3 유체 사이에 열교환을 통하여 제 1 유체를 증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증발된 제 1 유체는 제 2 터빈(323a)으로 공급되어 제 2 터빈(323a)을 작동시키고, 제 2 터빈(323a)의 작동에 따라서 제 2 발전기(323b)는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연료기화기(332)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유체는 제 2 터빈(323a)으로부터 응축기(324)로 이동하고, 응축기(324)에서 제 2 유체와 열교환을 통하여 응축된 후 펌프(325)를 통하여 증발기(322)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 1 연소가스는 열교환기(321)를 통과하여 제 2 유로(392)를 통하여 연료기화기(33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료기화기(332)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연료공급기(331)에서 공급된 연료를 기화시킴과 동시에 유입되는 제 1 연소가스와 기화된 연료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동안 유량제어밸브(340)는 제 2 유로(392)를 이동하는 제 1 연소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량제어밸브(340)의 작동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기화된 연료와 제 1 연소가스는 혼합된 상태에서 제 3 유로(393)를 따라 연료기화기(332)로부터 연소기(312)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300)은 연료의 기화 시 필요한 열을 제 1 터빈 유닛(310)의 작동 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함으로써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300)의 전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300)은 기화된 연료와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함으로써 제 1 연소가스에 포함된 불활성 기체를 통하여 웨버지수(Wobber Index)를 조절하여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3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4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400)은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외부로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터빈 유닛(410)은 제 1 압축기(411), 제 1 연소기(412), 제 1 터빈(413) 및 제 1 발전기(414)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제 1 압축기(411), 제 1 연소기(412), 제 1 터빈(413) 및 제 1 발전기(414)는 상기 도 1의 압축기(111), 연소기(112), 제 1 터빈(113) 및 제 1 발전기(114)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400)은 외부로부터 공기 및 연료를 공급받아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제 2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2 터빈 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터빈 유닛(420)은 마이크로 형태의 터빈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제 2 터빈 유닛(420)은 일반적인 터빈 유닛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터빈 유닛(420)이 마이크로 형태의 터빈 유닛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터빈 유닛(420)은 제 2 압축기(421), 제 2 연소기(422), 제 2 터빈(423) 및 제 2 발전기(4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압축기(421), 제 2 연소기(422), 제 2 터빈(423) 및 제 2 발전기(424)는 제 1 압축기(411), 제 1 연소기(412), 제 1 터빈(413) 및 제 1 발전기(414)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 2 터빈 유닛(420)은 액체 연료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터빈 유닛(420)은 제 1 터빈 유닛(410)과 유사하게 기화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터빈 유닛(420)이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400)은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제 1 터빈 유닛(410)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연료와 제 2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제 1 터빈 유닛(410)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료공급기(430)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기(431)와, 연료저장기(431)와 연결되며, 연료저장기(431)에서 공급된 연료를 기화시키는 연료기화기(4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기(430)는 연료저장기(431)과 연료기화기(432) 사이에 설치되는 연료공급펌프(433) 및 연료조절밸브(4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료저장기(431)는 액체 상태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 2 터빈 유닛(420)으로 액체 상태의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료기화기(432)는 연료저장기(431)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연료를 공급받아 기회시키며, 제 2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기화된 연료와 혼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4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 1 터빈 유닛(410)과 제 2 터빈 유닛(420)이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연료저장기(431)는 제 2 터빈 유닛(420)으로 연료를 공급하고, 연료기화기(432)는 제 1 터빈 유닛(410)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연소기(422)는 연료저장기(431)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와 제 2 압축기(421)를 통하여 압축된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제 2 연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2 연소가스는 제 2 터빈(42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 2 터빈(423)의 작동에 따라 제 2 발전기(424)도 작동하고, 제 2 발전기(424)는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제 2 전기에너지는 연료기화기(432)로 제공되어 연료를 기화시키는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터빈(423)으로 공급된 제 2 연소가스는 제 2 터빈(423)으로부터 토출되어 연료기화기(43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터빈 유닛(420)이 작동하는 동안, 연료기화기(432)는 기화된 연료와 제 2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제 1 연소기(41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연소기(412)는 제 1 압축기(411)에서 압축된 공기 및 기화된 연료, 제 2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제 1 연소기(412)는 기화된 연료를 점화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제 1 연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제 1 연소가스는 제 1 터빈(413)으로 공급되며, 제 1 터빈(41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터빈(413)의 작동에 따라서 제 1 발전기(414)가 작동하여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400)은 제 2 연소가스를 기화된 연료와 혼합함으로써 제 1 터빈 유닛(4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400)은 상기와 같이 기화된 연료에 비활성 기체를 포함하는 제 2 연소가스를 혼합함으로써 제 1 연소기(412)에서의 연소에 적합한 웨버지수를 맞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외부로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터빈 유닛(5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511), 연소기(512), 제 1 터빈(513) 및 제 1 발전기(514)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압축기(511), 연소기(512), 제 1 터빈(513) 및 제 1 발전기(514)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제 1 터빈 유닛(510)에서 토출되는 제 1 연소가스의 일부를 공급받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질소 가스와 혼합하는 혼합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연소가스는 제 1 터빈(513)으로부터 토출되어 혼합기(5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제 1 터빈 유닛(510)과 혼합기(520) 사이에 설치되는 연소가스공급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연소가스공급부(530)는 혼합기(520)와 제 1 터빈 유닛(510) 사이에는 제 1 연소가스를 유동시키는 제 1 펌프(531)와, 제 1 펌프(531)에서 혼합기(520)로 유동하는 제 1 연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제 1 밸브(5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질소 가스를 분리하여 혼합기(520)로 공급하는 질소공급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질소공급부(540)는 공기로부터 질소 가스를 분리하는 질소분리기(541)와, 질소분리기(541)로부터 혼합기(520)로 공급되는 질소 가스를 조절하는 제 2 밸브(54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물을 기화시켜 혼합기(520)로 공급하는 증기공급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증기공급부(55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유동시키는 제 2 펌프(5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기공급부(550)는 제 2 펌프(55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키는 제 1 가열부(552)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증기공급부(550)는 제 1 가열부(552)와 혼합기(52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가열부(552)에서 혼합기(520)로 유동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 3 밸브(553)를 구비할 수 있다.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혼합기(520)로부터 질소 가스, 수증기가 혼합된 제 1 연소가스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는 연료공급기(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료공급기(560)는 질소 가스, 수증기, 제 1 연소가스 및 기화된 연료를 혼합하여 제 1 터빈 유닛(5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료공급기(560)는 액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기(56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기(560)는 연료저장기(561)로부터 액체 연료를 공급받아 기화시키는 연료기화기(56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연료기화기(562)는 히터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히터에 공급하여 액체 연료를 기화시킬 수 있다. 이때, 연료저장기(561)와 연료기화기(562) 사이에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공급펌프(미도시) 및 연료제어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연료저장기(561)에서 연료기화기(562)로 공급되는 액체 연료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제 1 터빈 유닛(510)에서 토출되는 제 1 연고가스의 폐열을 회수하여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폐열회수 유닛(5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폐열회수 유닛(570)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제 1 폐열회수 유닛(120,220,320) 내지 제 2 폐열회수 유닛(25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폐열회수 유닛(570)은 제 1 연소가스의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히터에 공급함으로써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는 열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폐열회수 유닛(570)에서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상기의 방법 이외에도 제 1 연소가스의 일부를 연료공급기(560)로 순환시킴으로써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폐열회수 유닛(570)은 연료저장기(561) 및 연료기화기(562) 중 적어도 하나를 순환하는 열교환배관(미표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연료저장기(561) 및 연료기화기(56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 1 연소가스는 연료저장기(561) 및 연료기화기(562) 중 적어도 하나를 순환함으로써 연료저장기(561)의 내부 및 연료기화기(562)의 내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연소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제 1 연소가스의 폐열을 통하여 액체 연료를 기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폐열회수 유닛(570)이 연료기화기(562)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상기 열교환배관을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연료공급기(560)와 제 1 터빈 유닛(510) 사이에 설치되어 연료공급기(560)에서 제 1 터빈 유닛(510)으로 공급되는 질소 가스, 수증기 및 기화된 연료의 양을 제어하는 제 4 밸브(59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연료공급기(560)로부터 제 1 터빈 유닛(510)으로 공급되는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로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천연가스공급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천연가스공급부(580)는 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천연가스저장부(581), 천연가스저장부(581)에 저장된 천연가스를 유동시키는 제 3 펌프(582) 및 제 3 펌프(582)에서 연소기(512)로 공급되는 천연가스의 양을 제어하는 제 5 밸브(58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5 밸브(583)는 천연가스를 선택적으로 연소기(512)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5 밸브(583)은 액체연료의 성분에 따라서 천연가스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제 5 밸브(583)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5 밸브(583)이 개방되어 천연가스가 혼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제 4 밸브(591)에서 토출되는 질소 가스, 수증기 및 기화된 연료와 제 5 밸브(583)에서 토출되는 천연가스가 혼합되는 라인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 6 밸브(5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의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작동이 시작되는 경우 연료공급기(560)에서 기화된 연료 및 천연가스공급부(580)에서 공급되는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연소기(51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연소기(512)는 압축기(511)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기화된 연료, 천연가스를 연소시켜 제 1 터빈(51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연소가스가 생성되어 제 1 터빈(513)을 작동시키고, 제 1 터빈(513)은 제 1 발전기(514)를 작동시켜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제 1 전기에너지는 외부장치(미도시)에 공급되어 상기 외부장치를 작동시키는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터빈 유닛(510)이 작동하면, 제 1 터빈(513)으로부터 제 1 연소가스가 토출될 수 있다. 제 1 연소가스는 제 1 펌프(531)를 통하여 제 1 밸브(532)를 거친 후 혼합기(52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질소공급부(540)가 작동하여 질소 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질소 가스는 질소공급부(540)로부터 제 2 밸브(542)를 통하여 혼합기(52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 2 펌프(551)는 외부의 물을 제 1 가열부(552)로 공급하고, 제 1 가열부(552)는 수증기를 생성하여 제 3 밸브(553)를 통하여 혼합기(520)로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연소가스, 질소 가스 및 수증기가 공급되면, 혼합기(520)는 제 1 연소가스, 질소 가스 및 수증기를 혼합하여 연료기화기(56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연료저장기(561)는 액체 연료를 연료기화기(562)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연료저장기(561)는 액체 연료를 연료기화기(562)에 분무하거나 분사하여 작은 입자의 액체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연소가스, 질소 가스, 수증기 및 액체 연료가 공급된 경우 폐열회수 유닛(570)을 유동하는 제 1 연소가스에 의하여 연료기화기(562)의 내부에 열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연료기화기(562)의 히터에 별도의 전기에너지가 인가되어 연료기화기(562)의 내부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연료기화기(562) 내부에 열에너지가 공급되면, 열에너지에 의하여 액체 연료가 기화될 수 있다. 이때, 기화된 연료는 제 1 연소가스, 질소 가스, 수증기와 혼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연료, 제 1 연소가스, 질소 가스, 수증기 등이 혼합되는 비율은 제 1 밸브(532) 내지 제 3 밸브(553), 제 1 펌프(531) 및 제 2 펌프(551)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연소가스, 질소 가스, 수증기가 혼합된 연료는 연료기화기(562)로부터 배출되어 제 5 밸브(583) 및 제 6 밸브(592)를 거쳐 연소기(51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천연가스공급부(580)는 제 4 밸브(591)를 거쳐 제 6 밸브(592)가 배치되는 유로로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가스가 공급되면, 제 1 연소가스, 질소 가스, 수증기가 혼합된 연료는 천연가스와 혼합되어 제 6 밸브(592)로 진입하고, 제 6 밸브(592)를 거쳐 연소기(51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소기(512)는 상기와 같이 압축기(511)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와 기화된 연료,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이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상기와 같이 천연가스와 기화된 연료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연료의 종류가 재생에너지 또는 바이오 연료, 메탄올 등과 같이 친환경적인 연료를 천연가스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500)은 액체 연료와 제 1 연소가스, 수증기, 질소 가스를 혼합하여 제 1 터빈 유닛(510)에 공급하므로 일반적인 연료(예를 들면, 디젤, 휘발유 등)의 높은 열량을 조절할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200,300,400,500 :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110,210,310,410,510 : 제 1 터빈 유닛
120,220,320 : 제 1 폐열회수 유닛
191,291,391,491 : 제 1 유로
192,292,392,492 : 제 2 유로
193,293,393,493 : 제 3 유로

Claims (16)

  1.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발생하는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
    상기 제 1 터빈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사용하여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1 폐열회수 유닛; 및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상기 연료와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을 통과한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를 포함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은,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 2 터빈;
    상기 제 2 터빈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터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발전기; 및
    상기 제 2 터빈과 상기 제 2 발전기를 연결하는 제 2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폐열회수 유닛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 1 연소가스의 유로 상에서 상기 제 1 연소가스와 열교환하여 기화된 제 2 유체를 통하여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2 폐열회수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폐열회수 유닛은,
    상기 제 1 연소가스와 상기 제 2 유체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상기 제 2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제 3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제 3 터빈 유닛; 및
    상기 제 3 터빈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 2 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부;를 구비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외부로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
    외부 공기 및 연료를 공급받아 제 2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제 2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2 터빈 유닛; 및
    상기 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기화시키고, 기화된 상기 연료와 상기 제 2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를 포함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8.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한 후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제 1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며, 외부로 제 1 연소가스를 토출하는 제 1 터빈 유닛;
    상기 제 1 터빈 유닛에서 토출되는 상기 제 1 연소가스의 일부를 공급받고, 외부로부 공급되는 질소 가스와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로부터 상기 질소 가스가 혼합된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연료를 기화시켜 상기 질소 가스 및 상기 제 1 연소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제 1 터빈 유닛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기;를 포함하는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77290A 2013-07-02 2013-07-02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KR10194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90A KR101945407B1 (ko) 2013-07-02 2013-07-02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PCT/KR2014/000372 WO2015002370A1 (ko) 2013-07-02 2014-01-14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290A KR101945407B1 (ko) 2013-07-02 2013-07-02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165A KR20150004165A (ko) 2015-01-12
KR101945407B1 true KR101945407B1 (ko) 2019-02-07

Family

ID=5214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290A KR101945407B1 (ko) 2013-07-02 2013-07-02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5407B1 (ko)
WO (1) WO20150023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55B1 (ko) 2002-10-10 2007-12-14 엘피피 컴버션, 엘엘씨 연소용 액체 연료의 기화 기구 및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123B2 (ja) * 1993-01-13 2001-10-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Lpg混合水用蒸発器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装置
US5934062A (en) * 1997-08-08 1999-08-10 J.O. Bernt & Associates Limited Link shape and chain link assembly method
DE19846225C2 (de) * 1998-10-07 2002-05-29 Siemens Ag Gas- und Dampfturbinenanlage
KR101302104B1 (ko) * 2011-09-27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순산소 디젤기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55B1 (ko) 2002-10-10 2007-12-14 엘피피 컴버션, 엘엘씨 연소용 액체 연료의 기화 기구 및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2370A1 (ko) 2015-01-08
KR20150004165A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5095B2 (en) Gas turbine system with cooling fluid generator
US6745574B1 (en) Microturbine direct fired absorption chiller
EP1016775B1 (en) Waste heat recovery in an organic energy converter using an intermediate liquid cycle
CN203892027U (zh) 使用热能储存的燃料气体加热系统
CA2514073C (en) Thermodynamic cycles using thermal diluent
US11268439B2 (en) Cold-heat power generation device
RU254462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в механическую энергию
CN110171553B (zh) 一种氢燃料电池动力船余热综合利用系统
WO2020111114A1 (ja) 発電装置及び燃焼装置
CN103842741A (zh) 冷却装置的控制方法
US9909791B2 (en) Combined vapor absorption and mechanical compression cycle design
US8640465B2 (en) Combined heat, ice, power, and steam system
JP2006266610A (ja) 木質バイオマスを熱源とした吸収冷温水機
Wei et al. Proposed combined cold and power system integrated SOFC, sSCO2 power cycle and compression-absorption refrigeration with [Na (Tx-7)] SCN/NH3 as working fluid
JP2005315127A (ja) ガスタービン
KR101945407B1 (ko) 액체연료 기화 시스템
JP2011256413A (ja) 水素酸素ガス発生燃焼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EP3834244B1 (en) Sofc system with anode off-gas recirculation
CN101629735A (zh) 热水供给系统
KR101880975B1 (ko) 연료전지, 랭킨 사이클 및 흡수식 냉방기를 결합한 복합사이클
KR101961170B1 (ko) 공기열원 축냉운전 또는 축열운전과 수열원 축냉축열 동시운전 또는 축열축냉 동시운전을 갖는 다중열원 멀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어방법
DE102020205166B3 (de) Wärmetauschvorrichtung mit Sorptionseinrichtung
US20130061600A1 (en) Method of controlling temperature of gas turbine components using a compressed moisurized coolant
KR101487287B1 (ko) 발전장치
JP201909639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