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322B1 -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 Google Patents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322B1
KR101944322B1 KR1020130129632A KR20130129632A KR101944322B1 KR 101944322 B1 KR101944322 B1 KR 101944322B1 KR 1020130129632 A KR1020130129632 A KR 1020130129632A KR 20130129632 A KR20130129632 A KR 20130129632A KR 101944322 B1 KR101944322 B1 KR 10194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uring agent
methylimidizole
diisocyanate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294A (ko
Inventor
홍승권
박재영
김혜림
최지연
정광진
옥명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22B1/ko
Priority to PCT/KR2014/010231 priority patent/WO2015065035A1/ko
Priority to TW103137383A priority patent/TW201522647A/zh
Publication of KR2015004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 C08G64/34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and cyclic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7/00Special leathers and their manufacture
    • C14B7/02Composite lea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59Organic ingredients with special effects, e.g. oil- or water-repellent, antimicrobial, flame-resistant, magnetic, bactericidal, odour-influencing agents; perfum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esters, polycarbonates, alky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70/00Compositions for creating interpenetrating networ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과 중합, 가교되거나 반응될 수 있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Artificial leather comprising aliph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와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공중합에 의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aliphatic polycarbonate)를 함유한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에 관한 것이다.
신발, 가방 또는 의류 등의 인조피혁으로 사용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환경 문제로 인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인조피혁은 화학 구조상 재활용이 어렵고, 장기간 자외선에 노출 시 변색이 되거나 환경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시 발암 물질인 다이옥신을 배출할 수 있다. 이에 환경 친화적인 인조피혁에 대한 소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서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산업화의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성질상 부드러운 고무상의 플라스틱으로 가공성이 우수하고 분해 특성의 조절이 용이하여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고, 200℃ 부근에서 쉽게 분해되어 내열성이 취약한 특성이 있다. 또한, 기계적 물성으로 탄성률이 작고, 박막 제품의 경우 쉽게 깨지는 특성 때문에 다양한 분야로의 사용이 제약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수지와의 블랜드를 통하여 유리전이온도 또는 내열성을 높이거나 기계적 강도를 개선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등록특허 제4,946,884 호(특허문헌 2)에는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용융 혼련시키거나 세라믹스나 금속 분말의 성형 가공용 바인더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등록특허 제4,912,149호(특허문헌 2)에는 폴리염화비닐아세테이트를 용융 혼련 시키는 것에 의해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발명은 이종 수지와 블랜드만으로는 기계적 물성 향상에 한계가 있어 구조상의 개선이 필요하다.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은 적어도 한 성분 이상이 가교구조를 갖고, 다른 성분 존재 하에서 적어도 한 성분 이상이 중합 내지 가교 되어 고분자 사슬사이에 상호침투가 일어난 다성분계 고분자로서, 가교구조로 인하여 고분자 사슬정도가 크기 때문에 고분자 블랜드에서 흔히 발생하는 상분리(phase separation)가 억제되고 두 성분이 연속상을 이루는 2중 연속상(dual phase continuity)구조를 갖음으로써 다양한 물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자체의 물성적 한계를 극복하여 응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IPN 구조를 적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등록특허 제4,946,884호(1990.08.07) 미국등록특허 제4,912,149호(1990.03.27)
본 발명은 환경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인조피혁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수지를 IPN 구조에 적용함으로써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내화학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동시에 균일한 분자 구조로 인하여 투명성, 내열성, 성형가공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과 중합, 가교되거나 반응될 수 있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혁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 화합물 5 내지 950 중량부 및 폴리올 화합물의 수산기 당량에 대해 0.9내지 1.2배 당량의 경화제를 함유하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피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50,000(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지수(Melt Index, 150℃/5kg)가 0.01 내지 3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이때, 폴리올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30,000인 저분자량의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폭시 화합물은 글리시딜 에테르(Glycidyl Ether)계, 글리시딜 에스테르(Glycidyl Ester)계, 글리시딜 아민(Glycidyl Amine)계, 선형 지방족 (Linear Aliphatic) 화합물, 지환족(Cyclo Aliphatic)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 때 관능기가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 화합물은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헵틸아크릴레이트(heptyl acrylate), 2-에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 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크릴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반응의 개시를 위하여 과산화물(peroxide)류의 개시제(initiator)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경화제로 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아민계, 산무수물계, 이미다졸계 및 멀캡탄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IPN의 경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및 멜라민계 화합물을 순차적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클로헥산, 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어덕트 타입(Adduct type), 뷰렛 타입(Biuret type) 또는 트라이머(Trime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멜라민계 화합물은 헥사 메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에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프로폭시 메틸 멜라민, 헥사 부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펜틸 옥시메틸멜라민 및 헥사 헥실 옥시 메틸 멜라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민계 화합물은 선형 아민, 지방족 아민, 변형된 지방족 아민, 방향족 아민, 제2급 아민 및 제3급 아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벤질디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트리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무수물계 화합물은 프탈릭 무수물, 말레익 무수물, 트리멜리틱 무수물, 파이로멜리틱 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릭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무수물, 메틸나딕 무수물, 나딕 무수물 및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 무수물 등이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미다졸계 화합물은 이미디졸, 이소이미디졸, 2-메틸 이미디졸, 2-에틸-4-메틸이미디졸, 2,4-디메틸이미디졸, 부틸이미디졸, 2-헵타데센일-4-메틸이미디졸, 2-메틸이미디졸, 2-운데센일이미디졸, 1-비닐-2-메틸이미디졸, 2-n-헵타데실이미디졸, 2-운데실이미디졸, 2-헵타데실이미디졸, 2-페닐이미디졸, 1-벤질-2-메틸이미디졸, 1-프로필-2-메틸이미디졸, 1-시아노에틸-2-메틸이미디졸, 1-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디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디졸, 1-시아노에틸 -2-페닐이미디졸, 1-구아나미노에틸-2-메틸이미디졸, 이미디졸과 메틸이미디졸의 부가생성물,이미디졸과 트리멜리트산의 부가생성물, 2-n-헵타데실-4-메틸이미디졸, 페닐이미디졸, 벤질이미디졸, 2-메틸-4,5-디페닐이미디졸, 2,3,5-트리페닐이미디졸, 2-스티릴이미디졸, 1-(도데실 벤질)-2-메틸이미디졸, 2-(2-히드록실-4-t-부틸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2-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3-히드록시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p-디메틸-아미노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2-히드록시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디(4,5-디페닐-2-이미디졸)-벤젠-1,4, 2-나프틸-4,5-디페닐이미디졸, 1-벤질-2-메틸이미디졸 및 2-p-메톡시스티릴이미디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머캡탄계 화합물은 폴리메르캅탄이라고도 하며,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테트라시오글리콜(tetrathioglycol),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트리옥산트리메틸렌메르캅탄(trioxyantrimethylenemercaptan)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안료, 염료, 충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차단제, 대전방지제, 블록킹 방지제, 슬립제, 무기 충전제, 혼련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 수지, 레벨링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및 윤활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혁은 환경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투명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격강도, 탄성변형률, 압축변형률 및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극대화시킨 인조피혁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여 시트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수지에 IPN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균일한 분자 구조를 통해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내열성, 내화학성 및 인장강도, 신율, 내충격성, 탄성률 등의 기계적 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화합물 및 폴리올 화합물의 수산기 당량에 대해 0.9내지 1.2배 당량의 경화제를 넣고 MEK와 같은 용제에 녹인 뒤 80℃에서 일정 기간 반응을 시키거나, 120 내지 200℃에서 반응 압출(reactive extrusion)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폭시 화합물을 용제에 녹인 뒤 당량에 맞게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가교구조를 만들어내거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화합물 및 경화제를 넣고, 120 내지 220℃에서 반응 압출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코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아크릴 화합물을 용제에 녹인 뒤 당량에 맞게 반응 개시제, 또는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가교구조를 만들어내거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화합물 및 개시제, 또는 촉매를 넣고, 120 내지 200℃에서 반응 압출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에스케이 이노베이션에서 기출원(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15454호, 제2009-0090154호, 제2010-067593호 및 제2010-0013255)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의 공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텐 옥사이드, 펜텐 옥사이드, 헥센 옥사이드, 옥텐 옥사이드, 데센 옥사이드, 도데센 옥사이드, 테트라데센 옥사이드, 헥사데센 옥사이드, 옥타데센 옥사이드, 부타디엔 모녹사이드, 1,2-에폭사이드-7-옥텐, 에피플루오로하이드린,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글리시릴 메틸 에테르, 글리시딜 에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프로필 에테르, 글리시딜 2차부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또는 이소펜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헥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헵틸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옥틸 또는 2-에틸-헥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 또는 이소노닐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도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테트라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헥사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옥타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노말아이코실 에테르, 아이소프로필 글리시딜 에테르,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t-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사이클로펜텐 옥사이드,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 사이클로옥텐 옥사이드, 사이클로도데센 옥사이드, 알파-파이넨 옥사이드, 2,3-에폭사이드노보넨, 리모넨 옥사이드, 디엘드린, 2,3-에폭사이드프로필벤젠, 스타이렌 옥사이드, 페닐프로필렌 옥사이드, 스틸벤 옥사이드, 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디클로로스틸벤 옥사이드, 1,2-에폭시-3-페녹시프로판, 벤질옥시메틸 옥시란, 글리시딜-메틸페닐 에테르, 클로로페닐-2,3-에폭사이드프로필 에테르, 에폭시프로필 메톡시페닐 에테르 바이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나프틸 에테르, 글리시돌 초산 에스테르, 글리시딜 프로피오네이트, 글리시딜 부탄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펜타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헥사노에이트, 글리시딜 헵타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옥타노에이트, 글리시딜 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노나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 도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테트라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헥사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노말옥타데카노에이트, 글리시딜 아이코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또는 2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
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이때,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에서 알킬렌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틸렌, 사이클로헥센옥사이드, 알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및 n-옥틸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하기 화학식 2의 착화합물을 촉매를 이용하여, 히드록실 또는 카복시 산기를 단말기 또는 측쇄에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존재 하에,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0)알킬렌옥사이드;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또는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C1-C20)알킬옥시, (C6-C20)아릴옥시, (C6-C20)아르(C1-C20)알킬(aralkyl)옥시 또는 (C1-C20)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스타이렌옥사이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 및 이산화탄소를 교대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코발트 3가 또는 크롬 3가이고;
A는 산소 또는 황 원자이고;
Q는 두 질소 원자를 연결하여 주는 다이라디칼이고;
R1 내지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C1-C20)알콕시; (C6-C30)아릴옥시; 포밀; (C1-C20)알킬카보닐; (C6-C20)아릴카보닐;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상기 R1 내지 R10 2개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1 내지 R10 및 Q가 포함하는 수소들 중 적어도 1 개 이상은 하기 화학식 a, 화학식 b 및 화학식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성자단이고;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4
X-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음이온; HCO3 -; BF4 -; ClO4 -; NO3 -; PF6 -; (C6-C20)아릴옥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옥시 음이온; (C1-C20)알킬카르복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르복시 음이온; (C6-C20)아릴카르복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르복시 음이온; (C1-C20)알콕시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콕시 음이온; (C1-C20)알킬카보네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보네이트 음이온; (C6-C20)아릴카보네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보네이트 음이온; (C1-C20)알킬설포네이토(alkylsulfonate)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설포네이토(alkylsulfonate) 음이온; (C1-C20)알킬아미도(amido)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아미도(amido) 음이온; (C6-C20)아릴아미도(amido)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아미도(amido) 음이온; (C1-C20)알킬카바메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카바메이트 음이온; (C6-C20)아릴카바메이트 음이온; 할로겐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규소 원자, 황 원자 및 인 원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카바메이트 음이온이고;
Z는 질소 또는 인 원자이고;
R21, R22, R23, R31, R32, R33, R34 및 R3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R21, R22 및 R23 중 2개 또는 R31, R32, R33, R34 및 R35 중 2개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41, R42 및 R43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 (C2-C20)알케닐;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2-C20)알케닐; (C1-C20)알킬(C6-C20)아릴;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1-C20)알킬(C6-C20)아릴; (C6-C20)아릴(C1-C20)알킬; 할로겐, 질소, 산소, 규소, 황 및 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C6-C20)아릴(C1-C20)알킬; 또는 하이드로카빌로 치환된 1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며; R41, R42 및 R43 중 2개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X'는 산소원자, 황원자 또는 N-R (여기서 R은 (C1-C20)알킬)이고;
n은 R1 내지 R10 및 Q가 포함하는 양성자단의 총 수에 1을 합한 정수이고;
X-는 M에 배위할 수도 있고;
이민의 질소 원자는 M에 탈배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는 바람직하게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로 공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250,000 이 좋다. 또한,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20 내지 105℃ 이며, 용융지수(Melt Index, 150℃/5kg)가 0.01 내지 35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펠렛상으로 가공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는 비중이 1.15 내지 1.35 g/cm3 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 화합물 5 내지 950 중량부 및 폴리올의 수산기 당량에 대해 0.9 내지 1.2 당량 배의 경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미반응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잔류하거나 경화에 의한 가교도가 부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경화제로 이소시아네이트계 및 멜라민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경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멜라민계 화합물을 순차적으로 반응시킬 수 있다.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경화제를 투입해 경화 가교반응을 시키면 두 경화제의 반응 속도에 따라 IPN 구조체의 구조가 달라지게 되므로 원하는 구조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한 가지의 경화제를 사용하여 반응을 시키고, 순차적으로 다른 경화제를 넣어 반응시킴으로써 균일한 구조의 IPN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클로헥산, 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멜라민계 화합물은 헥사 메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에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프로폭시 메틸 멜라민, 헥사 부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펜틸 옥시메틸멜라민 및 헥사 헥실 옥시 메틸 멜라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폴리올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30,000인 저분자량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경화반응에 의한 가교가 용이하지 않다. 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경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고분자의 분자량이 5만을 넘기 어렵고 3만 이상의 폴리올을 사용하면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 분자 사이로 효과적인 침투가 일어나기 어려워 경화반응 후에 효과적인 IPN 구조를 갖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글리시딜 에테르계, 글리시딜 에스테르계, 글리시딜 아민계, 선형 지방족 또는 지환족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에폭시 화합물 및 이들과 중합 또는 가교되거나 반응될 수 있는 경화제를 포함하여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10,000인 저분자량인 것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분자 사이로 침투가 효율적으로 일어나 경화반응 후 우수한 IPN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헵틸아크릴레이트(heptyl acrylate), 2-에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 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크릴 화합물 및 이들과 중합 또는 가교되거나 반응될 수 있는 경화제를 포함하여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10,000인 저분자량인 것이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분자 사이로 침투가 효율적으로 일어나 경화반응 후 우수한 IPN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상기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및 아크릴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이들과 중합, 가교되거나 반응될 수 있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반응 압출에 의해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액 반응(solution reaction)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안료, 염료, 충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차단제, 대전방지제, 블록킹 방지제, 슬립제, 무기 충전제, 혼련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 수지, 레벨링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및 윤활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8]
중량평균분자량이 89,000이고 ether linkage가 0.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PC), 폴리에스터디올(U1420, 유니온화성, MW: 2,000) 및 폴리카보네이트디올(PCDL, G3452, 아사히카세이, MW: 2,000)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으로 본 발명에 따른 IPN 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경화는 H12MDI(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하여, Tg, Tm, 시편의 파단시 응력(strain at break) 및 파단시 신장률(%strain at break)을 UTM (Universal Test Machine)에 의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PU-IPN 배합 비율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5
표 2. UTM 측정 결과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6
[실시예9~12]
중량평균분자량이 89,000이고 ether linkage가 0.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PC), 에폭시 화합물 (국도화학 YD-128) 및 폴리아미드계 경화제 (국도화학 G-640)를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으로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IPN 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에 대하여 접착 강도를 UTM기기를 이용하여 lap shear strength를 측정하였다. 피착재로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편은 ASTM D 5868-01 규격에 근거하여 일정한 크기 (1 inch x 4 inch x 0.5 mm = 가로 x 세로 x 두께)의 피착재 2개를 1 inch x 1 inch 면적만큼 겹치게 한 후 겹쳐진 면 사이에 접착소재를 도포한 뒤 일 주일이 지난 후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접착력은 상온과 70℃에서 측정하였으며, 접착력 측정 전 온도 조절이 가능한 챔버가 달린 UTM을 이용하여 70℃에서 2시간 동안 놓아둔 후 70도에서 측정하였다. 시편은 5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 전단강도(shear strength)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Epoxy-IPN 배합 비율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7
표 4. 접착력 측정 결과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8
[실시예13~16]
중량평균분자량이 89,000이고 ether linkage가 0.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PC), 아크릴 화합물 (MMA, 대정화금)과 반응 개시제로서 2,2-azobis-isoburyronityronitrile(AIBN, 대정화금)를 첨가하고, 반응억제제로 4-methoxyphenol(MPh, Junsei Chemical)을 사용하였다. 위 용액을 PET 필름 위에 5~100mm/sec 속도로 5~7㎛의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필름을 상온에서 30분 방치시킨 후 70℃ 조건에서 건조시킨 후 표면경도를 측정하였다. 표면경도는 연필경도측정기 (COAD606, 오션과학)로 측정하였다.
표 5. Acryl-IPN 배합 비율
Figure 112013098330269-pat00009
표 6. Hardness 측정 결과
Figure 112013098330269-pat00010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IPN 구조를 가짐으로써 Tg 이외에 Tm이 생겨 분자구조가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IPN 구조의 형성은 비결정질 고분자에 결정질 부분을 도입하게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의 개선뿐만 아니라 폼(Foam)을 형성시켰을 때 셀(Cell)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IPN 이후에도 100% 비결정질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의 투명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인조피혁은 투명성뿐만 아니라 내열성, 성형가공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이는 도료, 잉크 등의 바인더에 적용 시, 색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폴리올의 조성 변화와 경화방법의 변화를 통하여 원하는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N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열성 및 접착 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통해 도료나 접착제로 응용이 가능하다.
표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N 구조를 가짐으로써 경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러한 물성 상승 효과를 갖는 인조피혁뿐만 아니라 고성능 필름, 시트 또는 케이스 등의 사출 분야로의 응용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9)

  1. 이산화탄소와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킬렌 옥사이드;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20)사이클로알킬렌옥사이드; 및 할로겐, 알콕시, 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C8-C20)스타이렌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에폭사이드 화합물을 반응시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30,000인 폴리올 폴리머;에폭시 화합물; 및 아크릴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350,000인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인조피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지수(Melt Index, 150℃/5kg)가 0.01 내지 350인 인조피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카보네이트인 인조피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인조피혁.
    [화학식1]
    Figure 112013098330269-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w는 2 내지 10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100의 정수이며, y는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CH2-O-R'(R'는 (C1~C8)알킬)이다.]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글리시딜 에테르계, 글리시딜 에스테르계, 글리시딜 아민계, 선형 지방족 화합물 및 지환족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화합물은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아민계, 산무수물계, 이미다졸계 및 멀캡탄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인조피혁.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 시클로헥산, 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경화제는 헥사 메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에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프로폭시 메틸 멜라민, 헥사 부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펜틸 옥시메틸멜라민 및 헥사 헥실 옥시 메틸 멜라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벤질디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트리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계 경화제는, 프탈릭 무수물, 말레익 무수물, 트리멜리틱 무수물, 파이로멜리틱 무수물, 헥사하이드로프탈릭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무수물, 메틸나딕 무수물, 나딕 무수물 및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제는 이미디졸, 이소이미디졸, 2-메틸 이미디졸, 2-에틸-4-메틸이미디졸, 2,4-디메틸이미디졸, 부틸이미디졸, 2-헵타데센일-4-메틸이미디졸, 2-메틸이미디졸, 2-운데센일이미디졸, 1-비닐-2-메틸이미디졸, 2-n-헵타데실이미디졸, 2-운데실이미디졸, 2-헵타데실이미디졸, 2-페닐이미디졸, 1-벤질-2-메틸이미디졸, 1-프로필-2-메틸이미디졸, 1-시아노에틸-2-메틸이미디졸, 1-시아노에틸-2-에틸-4-메틸이미디졸, 1-시아노에틸-2-운데실이미디졸, 1-시아노에틸 -2-페닐이미디졸, 1-구아나미노에틸-2-메틸이미디졸, 이미디졸과 메틸이미디졸의 부가생성물,이미디졸과 트리멜리트산의 부가생성물, 2-n-헵타데실-4-메틸이미디졸, 페닐이미디졸, 벤질이미디졸, 2-메틸-4,5-디페닐이미디졸, 2,3,5-트리페닐이미디졸, 2-스티릴이미디졸, 1-(도데실 벤질)-2-메틸이미디졸, 2-(2-히드록실-4-t-부틸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2-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3-히드록시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p-디메틸-아미노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2-(2-히드록시페닐)-4,5-디페닐이미디졸, 디(4,5-디페닐-2-이미디졸)-벤젠-1,4, 2-나프틸-4,5-디페닐이미디졸, 1-벤질-2-메틸이미디졸 및 2-p-메톡시스티릴이미디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멀캡탄계 경화제는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시오글리콜, 폴리설파이드, 트리옥산트리메틸렌메르캅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인조피혁.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 화합물 5 내지 950 중량부 및 폴리올의 수산기 당량에 대해 0.9 내지 1.2 당량 배의 경화제를 함유하는 인조피혁.
  17. 삭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멜라민계 화합물을 순차적으로 반응시키는 것인 인조피혁.
  19. 제 1항에 있어서,
    안료, 염료, 충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차단제, 대전방지제, 블록킹 방지제, 슬립제, 무기 충전제, 혼련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 수지, 레벨링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및 윤활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인조피혁.
KR1020130129632A 2013-10-29 2013-10-29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KR10194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32A KR101944322B1 (ko) 2013-10-29 2013-10-29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PCT/KR2014/010231 WO2015065035A1 (ko) 2013-10-29 2014-10-29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TW103137383A TW201522647A (zh) 2013-10-29 2014-10-29 包含脂族聚碳酸酯樹脂合成物之人造皮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32A KR101944322B1 (ko) 2013-10-29 2013-10-29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94A KR20150049294A (ko) 2015-05-08
KR101944322B1 true KR101944322B1 (ko) 2019-02-01

Family

ID=5300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632A KR101944322B1 (ko) 2013-10-29 2013-10-29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44322B1 (ko)
TW (1) TW201522647A (ko)
WO (1) WO2015065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273B (zh) * 2022-06-13 2024-04-05 苏州凯恩碳中和科技有限公司 一种自阻燃合成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8791A1 (en) 1985-01-02 1986-07-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of a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a polyalkylene terephthalate resin and/or an amorphous copolyester resin and a modifier
WO2011005664A2 (en) 2009-07-05 2011-01-13 Novomer, Inc. Structurally precise poly(propylene carbonate) compositions
US20110281048A1 (en) * 2009-05-22 2011-11-17 Sung-Cheol Yoon Resin composition for disposal resin molded product, and disposal resin molde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2149A (en) 1989-02-22 1990-03-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lends of poly(vinyl acetate) and poly(propylene carbonate)
US4946884A (en) 1989-03-22 1990-08-0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lends of poly(propylene carbon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and their use in decomposition molding
DE10219028A1 (de) * 2002-04-29 2003-11-06 Bayer Ag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hochmolekularen aliphatischen Polycarbonaten
KR101505448B1 (ko) * 2010-09-03 2015-03-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시트용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8791A1 (en) 1985-01-02 1986-07-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of a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a polyalkylene terephthalate resin and/or an amorphous copolyester resin and a modifier
US20110281048A1 (en) * 2009-05-22 2011-11-17 Sung-Cheol Yoon Resin composition for disposal resin molded product, and disposal resin molded product
WO2011005664A2 (en) 2009-07-05 2011-01-13 Novomer, Inc. Structurally precise poly(propylene carbonat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294A (ko) 2015-05-08
TW201522647A (zh) 2015-06-16
WO2015065035A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736B1 (ko) 상호침투형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2066459B (zh) 制备聚碳酸酯的方法
CN108884363A (zh) 具有暗反应的可辐射活化的压敏胶带及其用途
JPWO2012096111A1 (ja) ラジカル硬化性ホットメルト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光学用成形体
CN103476889A (zh) 粘着片
KR101949979B1 (ko) 투명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이용
US9718959B2 (en) Aliphatic polycarbonate-polyurethane composition and aliphatic polycarbonate-polyurethane resin
CN103052681A (zh) 用于环氧树脂的固化剂
US9505956B2 (en) Composition of the hot-melt adhesive improved cold resistance
CN104903382A (zh) 包含苯并噁嗪和成酸过氧化物催化剂的可聚合组合物、制品和方法
KR101944322B1 (ko)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피혁
KR102118431B1 (ko) 고내열성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15113468A (ja) 脂肪族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脂肪族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ウレタン重合体
EP2845889A1 (en)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having low viscosity
JP2017122163A (ja) 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7122165A (ja) 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