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018B1 -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018B1
KR101944018B1 KR1020180064390A KR20180064390A KR101944018B1 KR 101944018 B1 KR101944018 B1 KR 101944018B1 KR 1020180064390 A KR1020180064390 A KR 1020180064390A KR 20180064390 A KR20180064390 A KR 20180064390A KR 101944018 B1 KR101944018 B1 KR 10194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ilding management
air conditioning
voice data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천
장명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즐러
주식회사 레즐러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즐러, 주식회사 레즐러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즐러
Priority to KR102018006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성 인식 센서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공조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값에서 추출된 특정 데이터 값의 발생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공조 장치가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건물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특정 입력 값이 입력될 경우, 특정 입력 값이 입력된 횟수와 관계없이 즉시 공조 장치가 제어되기 때문에, 건물 내 사용자가 관리실에 찾아가거나 전화로 요청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building management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인식 센서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공조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성장으로,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저탄소 녹색 성장 정책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 성장 방법 중 하나인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 환경 및 에너지 사용 현황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으로부터 최적의 설비 제어를 통해,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BEMS란, 건물 내 설비에 센서와 계측 장치를 설치하고, 관리 서버와 연계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에너지 사용 정보를 분석하여 설비의 운영 최적화를 통해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으로, 선행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9823호 ("건물관리 자동화 시스템", 2018.02.09.)에 건물의 에너지 사용 정보를 검침하고, 이를 토대로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다만, 상기 선행문헌의 건물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으로 제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BEMS에 의해 적절한 냉방 온도 또는 난방 온도가 자동으로 설정되었을 때,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라고 느낄 수 있으나, 춥거나 덥다고 느낄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건물 관리실에 찾아가거나 전화를 통해 온도 제어를 요청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9823호 ("건물관리 자동화 시스템", 2018.02.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상주하는 공간에 음성 인식 센서를 하나 이상 설치하고, 음성 인식 센서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값을 수집하여 자동으로 사용자가 상주하는 공간에 설치된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사용자가 상주하는 공간에 설치된 공조부; 상기 공간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른 빈도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건물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카운팅한 발생 횟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카운팅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내 사용자가 상주하는 공간에 설치된 공조부; 상기 공간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른 빈도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건물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변환부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시벨 값과 미리 설정된 데시벨 값을 비교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물리적인 입력을 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 신호를 우선으로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상기 센서부가 설치된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조부는, 상기 공간의 냉방, 난방, 습도, 공기 청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장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내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 상기 변환부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변환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단계;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 및 발생 횟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운팅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1 분류 단어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카운팅 단계에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카운팅 값이 제 1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에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건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상기 건물 관리 방법은, 상기 식별부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운팅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 중 제 1 분류 단어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제 1 카운팅 단계,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음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수를 카운팅하는 제 2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 1 카운팅 단계에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카운팅 값이 제 1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 2 카운팅 단계에서 사용자 수의 카운팅 값이 제 2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변환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됐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장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내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 상기 변환부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변환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 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데시벨 비교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가 발생됐다고 판단되고, 상기 데시벨 비교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데시벨 값이 미리 설정된 데시벨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값에서 추출된 특정 데이터 값의 발생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공조 장치가 제어된다.
또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특정 입력 값이 입력될 경우, 입력 값이 입력된 횟수와 관계없이 즉시 공조 장치가 제어되기 때문에, 건물 내 사용자가 관리실에 찾아가거나 전화로 요청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개념도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불특정 다수의 음성 데이터의 발생 분포, 발생 빈도, 발생 위치,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 크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조 장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하여 만족도 높은 건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 사용자가 상주하는 공간(10)에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공간(10)의 냉방, 난방, 습도 및 공기 청정을 위해 구비된 공기 조화 장치인 공조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간(10)은 건물 내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10)에 설치되는 센서부(100) 및 공조부(200) 또한 상기 공간(10)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에 건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실(20)이 따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실(20)에는 건물의 에너지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건물 관리 서버(3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리실(20) 또한 건물 내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실(20)에 설치되는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310),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판단부(320) 및 상기 판단부(320)에서 카운팅한 발생 횟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분류 단어는 상기 공간(10)에 상주하는 사용자가 상기 공간(10)의 공조 상태를 판단하는 단어로 '춥다', '추운', '추워', '춥네' 등의 단어가 상기 제 1 분류 단어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덥다', '더운', '더워', '덥네', '습하다', '습하네', '건조하다', '건조하네' 등도 상기 제 1 분류 단어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공간(10) 내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S100)를 진행하고, 상기 수신 단계(S100)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S110)를 진행한다.
이후, 상기 판단부(320)가 변환 단계(S1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120)를 진행하고, 상기 판단 단계(S120)에서 발생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단계(S130)를 진행한다.
상기 카운팅 단계(S130)에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한 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S140)를 진행하고, 상기 카운팅 단계(S130)에서 카운팅한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미리 설정된 값과 같을 경우,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S150)를 진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공간(10) 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변환부(310)가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고, 상기 판단부(320)가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한다.
상기 관리 서버(300)에 미리 설정된 값이 10회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판단부(320)에서 카운팅한 값이 10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10)에 상주하는 사용자 간의 대화에서 사용자의 불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피드백을 불만이 접수되기 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건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부(320)에서 카운팅한 값은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가 미리 설정한 시간마다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초기화되는 시간 간격은 변경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310),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판단부(320) 및 상기 판단부(320)에서 카운팅한 발생 횟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부(3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분류 단어는 <제 1 실시예>에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10)에 상주하는 사용자가 상기 공간(10)의 공조 상태를 판단하는 단어로 '춥다', '추운', '추워', '춥네' 등의 단어가 상기 제 1 분류 단어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덥다', '더운', '더워', '덥네', '습하다', '습하네', '건조하다', '건조하네' 등도 상기 제 1 분류 단어에 해당한다.
상기 식별부(350)는 상기 공간(10)내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상기 제 1 분류 단어를 말한 사용자가 몇 명인지 알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Hz)를 통해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식별 수단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판단부(320)는 상기 식별부(350)에서 식별된 사용자 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판단부(320)에서 카운팅한 사용자 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10)을 10명의 사용자가 이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1명이 상기 제 1 분류 단어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말했다고 해서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 나머지 9명은 원하지 않는 상기 공간(10)의 공조 환경이 조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에 사용자의 목소리를 식별하는 식별부(35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분류 단어를 말한 사용자가 몇 명인지 식별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가 기준 횟수를 넘었더라도, 상기 식별부(35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인원이 기준 인원을 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공간(10) 내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S200)를 진행하고, 상기 수신 단계(S200)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식별부(350)가 식별하는 식별 단계(S210)를 진행한다.
상기 식별 단계(S210) 이후, 상기 수신 단계(S200)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S220)를 진행한다.
이후, 상기 판단부(320)가 변환 단계(S22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230)를 진행하고, 상기 판단 단계(S230)에서 발생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단계(S240)를 진행한다.
상기 카운팅 단계(S240) 이후, 상기 판단부(320)가 상기 식별 단계(S21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인원을 카운팅하는 제 2 카운팅 단계(S250)를 진행한다.
상기 제 2 카운팅 단계(S250) 이후, 상기 카운팅 단계(S240)에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한 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S260)를 진행하고, 상기 카운팅 단계(S240)에서 카운팅한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미리 설정된 값과 같을 경우, 상기 제 2 카운팅 단계(S25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수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S270)를 진행한다.
상기 제 2 카운팅 단계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미리 설정된 값과 같을 경우,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S280)를 진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공간(10) 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식별부(350)가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며, 상기 변환부(310)가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고, 상기 판단부(320)가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320)는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식별부(35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수를 카운팅한다.
상기 관리 서버(300)에 미리 설정된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값이 10회이며, 식별된 사용자의 수가 5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판단부(320)에서 카운팅한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값이 10 이상이며 식별된 사용자의 수가 5명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공간(10)에 상주하는 사용자 간의 대화에서 사용자의 불만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피드백을 불만이 접수되기 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건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부(320)에서 카운팅한 값은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가 미리 설정한 시간마다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초기화되는 시간 간격은 변경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310),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20) 및 상기 판단부(3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분류 단어는 '~해 주세요', '~해 줘' 등과 같은 명령어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공간(10) 내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S300)를 진행하고, 상기 수신 단계(S300)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S310)를 진행한다.
이후, 상기 판단부(320)가 변환 단계(S3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320)를 진행한다.
상기 판단 단계(S320)에서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했다고 판단될 경우(S330),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S340)를 진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화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했을 때, 발생 빈도와 관계없이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센서부(100)에 '에어컨을 켜 주세요.'라고 말했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변환부(310)가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고, 상기 판단부(320)가 문장화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 2 분류 단어에 해당하는 '켜 주세요.'가 발생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의 건물 관리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310),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건물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20) 및 상기 판단부(3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dB)를 측정하는 측정부(3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분류 단어는 <제 3 실시예>에 상기된 바와 같이 '~해 주세요', '~해 줘' 등과 같은 명령어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센서부(100)가 상기 공간(10) 내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S400)를 진행하고, 상기 수신 단계(S400)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S410)를 진행한다.
이후, 상기 판단부(320)가 변환 단계(S410)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420)를 진행한다.
상기 제 2 판단 단계(S420)에서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했다고 판단될 경우(S430), 상기 측정부(340)에서 측정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과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데시벨을 비교하는 데시벨 비교 단계(S440)를 진행한다.
상기 데시벨 비교 단계(S440)에서, 상기 측정부(340)에서 측정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이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데시벨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S450)를 진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변환부(310)에서 문장화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하고, 상기 측정부(340)에서 측정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이 기준 데시벨 이상일 때,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 상기 공간(10)에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는 하나의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건물이 복수 개의 층을 갖는 회사 건물이라고 가정했을 때, 각 층마다 사무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무실에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가 설치되며, 1층 사무실의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 2층 사무실의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 n층 사무실의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로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가 각 층의 사무실마다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공조부(200)는 하나의 상기 관리실(20)의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는, 어떤 층의 사무실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100)에서 음성 데이터가 수집되었는지 인지하고, 해당하는 상기 센서부(100)가 설치된 위치에 함께 위치한 상기 공조부(200)의 동작을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100)의 위치 정보 또한 함께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무실이 층마다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층에 복수 개의 사무실이 위치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사무실 내에서도 팀 별로 영역을 나눠 따로 공간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가 상기 센서부(100)의 위치를 수집하여, 해당 센서부(100)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공조부(200)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 높은 건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10) 내에 별도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조작부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는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물 관리 서버(3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보다 상기 조작부의 입력 신호를 우선으로 수신 받아 상기 제어부(330)가 상기 공조부(200)를 제어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는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공간
20 관리실
100 센서부
200 공조부
300 건물 관리 서버
310 변환부
320 판단부
330 제어부
340 측정부
350 식별부

Claims (15)

  1. 건물 내 사용자가 상주하는 공간에 설치된 공조부;
    상기 공간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른 빈도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건물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카운팅한 발생 횟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카운팅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7. 건물 내 사용자가 상주하는 공간에 설치된 공조부;
    상기 공간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른 빈도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건물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변환부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시벨 값과 미리 설정된 데시벨 값을 비교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8. 제 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 물리적인 입력을 받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 신호를 우선으로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9. 제 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상기 센서부가 설치된 상기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공간의 냉방, 난방, 습도, 공기 청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11.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장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내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
    상기 변환부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변환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 단계;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 및 발생 횟수에 따라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1 분류 단어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카운팅 단계에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카운팅 값이 제 1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건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상기 건물 관리 방법은,
    상기 식별부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운팅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 중 제 1 분류 단어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는 제 1 카운팅 단계,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음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수를 카운팅하는 제 2 카운팅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 1 카운팅 단계에서 상기 제 1 분류 단어의 카운팅 값이 제 1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 2 카운팅 단계에서 사용자 수의 카운팅 값이 제 2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변환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제 2 분류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 2 분류 단어가 발생됐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15.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장 중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건물 내 공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물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는 수신 단계;
    상기 변환부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 받은 음성 데이터를 문장화하는 변환 단계;
    상기 판단부가 상기 변환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 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데시벨 비교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문장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단어가 발생됐다고 판단되고, 상기 데시벨 비교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데시벨 값이 미리 설정된 데시벨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조부에 동작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KR1020180064390A 2018-06-04 2018-06-04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4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90A KR101944018B1 (ko) 2018-06-04 2018-06-04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90A KR101944018B1 (ko) 2018-06-04 2018-06-04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018B1 true KR101944018B1 (ko) 2019-01-30

Family

ID=6527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90A KR101944018B1 (ko) 2018-06-04 2018-06-04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352A (ko) 2021-09-10 2023-03-20 주식회사 서진아이앤씨 문제상황 방지 및 시설물 관리를 위한 IoT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191A (ja) * 1997-09-12 1999-03-30 Misawa Homes Co Ltd 音声認識遠隔操作装置
KR20130115466A (ko) * 2012-04-12 2013-10-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동 공간 내 우선순위에 따른 에너지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에너지 제어 장치
KR101829823B1 (ko) 2017-02-09 2018-02-19 한충열 건물관리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191A (ja) * 1997-09-12 1999-03-30 Misawa Homes Co Ltd 音声認識遠隔操作装置
KR20130115466A (ko) * 2012-04-12 2013-10-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동 공간 내 우선순위에 따른 에너지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에너지 제어 장치
KR101829823B1 (ko) 2017-02-09 2018-02-19 한충열 건물관리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352A (ko) 2021-09-10 2023-03-20 주식회사 서진아이앤씨 문제상황 방지 및 시설물 관리를 위한 IoT 시스템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5349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US1061350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occupancy of a zone in a building
US7222153B2 (en) Method of accumulating appliance located state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1758128A (zh) 方法、控制装置以及程序
CN117632482A (zh) 数字语音助理计算设备当中的信号处理协调
CN113639419B (zh) 信息提供系统
WO2018168672A1 (ja) 管理装置、空調管理システム及び空調管理方法
JP6400834B2 (ja) 推薦装置、推薦決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44018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205585A (zh) 设施组件的语音控制
KR20150144456A (ko) 공동 주택의 층간 소음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5086473A (ja) 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WO2013073223A1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2951224B (zh) 语音设备及其数据处理方法
CN113990312A (zh) 一种设备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78753B1 (ko) 출입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 차등 관리 시스템 및 에너지 차등 관리 장치
CN111183416B (zh) 家电系统
JP4535042B2 (ja) デマンド制御装置、デマンド制御システム、デマンド制御方法およびデマンド制御プログラム
CN114124597B (zh) 一种物联网设备的控制方法、设备及系统
KR20200107550A (ko) 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27348B1 (ko) 개인정보 보호가 가능한 층간소음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3501A (ko) 사물인터넷에 기반하여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관제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
US202400485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210043356A (ko) 건물 정보 관리 시스템, 노드 및 제어 명령 예측 장치
KR20220150563A (ko)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무인 객실관리를 수행하는 객실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