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47B1 -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47B1
KR101943547B1 KR1020180048389A KR20180048389A KR101943547B1 KR 101943547 B1 KR101943547 B1 KR 101943547B1 KR 1020180048389 A KR1020180048389 A KR 1020180048389A KR 20180048389 A KR20180048389 A KR 20180048389A KR 101943547 B1 KR101943547 B1 KR 10194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crete structure
agent
net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민
Original Assignee
장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민 filed Critical 장태민
Priority to KR102018004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1/0052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4Mineral surfaces, e.g. stones, frescoes, plasters, walls or concre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고압수를 통해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신구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접착제 도포단계를 통해 신구접착제가 도포된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단면을 수복하는 보수제를 도포하는 보수제 도포단계; 보수제 도포단계를 통해 도포된 보수제 상에 망체를 설치하는 망체 설치단계; 및 망체 설치단계를 통해 망체가 설치된 보수제에 바탕 조정제를 도포하는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A process of repairing concrete structures by using anchor-pin and net-shaped material}
본 발명은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지하차도 및 교량 등에 설치되는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사회기반시설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부분적으로 콘크리트가 들뜨거나 탈락되는 박리박락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되는 박리박락 현상은 피복두께 부족, 알칼리 골재 반응, 중성화, 다짐불량, 재료 선정 불량, 열화, 누수 및 외부진동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보수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상기 보수방법이 시행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는 터널을 일례로 들 수 있으며, 상기 터널은 쉴드장비를 이용하여 굴진하면서 터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터널에 콘크리트 구조물인 외벽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외벽에 마감재인 내화재 및 누수방지재 등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다양한 형태의 타일이 마감재로 부착된다.
이러한 터널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외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박리박락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마감재로 사용된 타일은 빈번하게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박리박락 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안전사고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인 외벽의 박리박락 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행되는 보수 방법으로는, 장비를 동원하여 보수가 요구되는 부분을 치핑작업 등을 통해 철거시킨 후, 다양한 형태의 보수제를 도포하는 보수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수방법에 의하면, 철거작업과 보수작업이 각각 이루어져 작업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차량 및 보행을 장기간 통제시켜야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보수방법은 철거작업 시, 치핑작업 등으로 인해 먼지 및 소음이 지나치게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보수재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인 외벽에 도포된 내화재 등과 서로 다른 이종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로 인해 서로 융화되지 못하여 단시간 내에 보수재가 박리박락 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보수재의 박리박락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주기를 더욱 단축시키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 비용을 더욱 더 증가시키는 단점으로 이어진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2863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작업 시, 고압세척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박리된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마감재로 사용된 타일의 일부 및 이물질들을 함께 제거하도록 된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도포되는 보수재의 연결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된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작업 시, 환경에 유해한 소음 및 먼지의 발생을 억제시켜 친환경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된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고압수를 통해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신구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를 통해 신구접착제가 도포된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단면을 수복하는 보수제를 도포하는 보수제 도포단계; 상기 보수제 도포단계를 통해 도포된 보수제 상에 망체를 설치하는 망체 설치단계; 및 상기 망체 설치단계를 통해 망체가 설치된 보수제에 바탕 조정제를 도포하는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망체 설치단계에서 망체는 상기 보수제 상에 매립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복수의 앵커핀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박리된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마감재로 사용된 타일 및 이물질들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체 설치단계에서는 1변이 10mm 이상 20mm 이하인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망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 이후에는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를 통해 도포된 바탕 조정제를 양생시키는 바탕 조정제 양생단계; 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수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보수제의 도포가 수작업 또는 숏크리트(shotcrete)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바탕 조정제의 도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는 세척제와 중화제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제는 상기 세척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물 73 내지 77 중량%, 계면활성제 4.5 내지 6.5 중량%, 혼합제제 13 내지 17 중량%, 증점제 0.4 내지 0.6 중량%, 에틸렌글리콜 3.5 내지 4.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중화제는 물 9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 탄산나트륨 1.3 내지 1.7 중량%, 증점제 1.4 내지 1.6 중량%, 에틸렌글리콜 4.5 내지 5.5 중량%, 소포제 0.4 내지 0.6 중량%로 구성된 주재 100 중량부와 보조재 1 내지 3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는, 상기 세척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화제 9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1 내지 2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작업 시, 고압수를 이용한 세척작업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박리된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마감재로 사용된 타일 중 박리가 발생한 타일 및 이물질들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보수가 요구되는 부분에 시행되던 치핑 등을 통한 별도의 철거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철거작업의 생략을 통해, 보수작업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수제에 매립 설치되는 망체에 의해 보수제와 콘크리트 구조물 간에 연결이 견고하여 단시간 내에 보수재가 박리박락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연한이 더욱 연장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철거작업의 생략을 통해, 차량 및 보행을 통제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불편함이 최소화 될 수 있고, 먼지와 소음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의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가 부분적으로 들뜨거나 탈락되는 박리박락 현상이 발생되면 이를 친환경적으로 보수하는 보수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사용되는 모든 시설물의 보수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감재로 타일이 사용되는 터널 또는 지하차도 등지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은 세척단계(S1), 접착제 도포단계(S2), 접착제 건조단계(S3), 보수제 도포단계(S4), 망체 설치단계(S5), 보수제 양생단계(S6),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S7), 및 바탕 조정제 양생단계(S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단계(S1)는 터널 또는 지하차도 등지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을 고압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세척단계(S1)에서는 다양한 세제가 포함된 세척수로 이루어지는 고압수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제는 상기 세척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물 73 내지 77 중량%, 계면활성제 4.5 내지 6.5 중량%, 혼합제제 13 내지 17 중량%, 증점제 0.4 내지 0.6 중량%, 에틸렌글리콜 3.5 내지 4.5 중량%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세척수는 세척제와 중화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제는 물 75.0 kg, 계면활성제 5.5 kg, 혼합제제 15.g, 증점제 0.5kg, 에틸렌글리콜 4.0kg로 조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제제는 아크릴 분말 수지 : 폴리비닐알코올 : 물의 중량비가 1 : 2 내지 4 : 10 내지 1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혼합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 불산을 사용한 세척제와 달리 불산의 독성과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대등한 수준의 세척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물 9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 탄산나트륨 1.3 내지 1.7 중량%, 증점제 1.4 내지 1.6 중량%, 에틸렌글리콜 4.5 내지 5.5 중량%, 소포제 0.4 내지 0.6 중량%로 구성된 주재 100 중량부와 보조재 1 내지 3 중량부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중화제는 물 90.0kg,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5kg, 탄산나트륨 1.5kg, 증점제 1.5kg, 에틸렌글리콜 5.0kg, 소포제 0.5kg로 구성된 주재와 보조재 2kg으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재는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 나프텐 : 오가노폴리실록산이 중량비 1 : 6 내지 8 : 11 내지 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보조재를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면과 새로이 적용되는 콘크리트면 모두에 대해 더욱 강한 접착력을 유발시키고, 결과적으로 기존의 공법에 따르는 경우 장기간 후 신구 콘크리트면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들뜸 현상까지도 완벽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고압수는 상기 세척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화제 9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1 내지 2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 범위로 추가된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세척 후 도포될 신구접착제가 기존 콘크리트면과 새로이 적용되는 콘크리트면 모두에 대해 더욱 강한 접착력을 유발시켜 신구 콘크리트면 간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특히 두 계면간 접착력 저하가 유발될 수 있는 높은 수분 함량의 분위기 하에서도 장기간 계면 접착력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알코올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선형알킬벤젠술폰산 또는 그의 나트륨염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천연소금, 가용성 녹말, 과당, 잔탄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포제는 실리콘계 화합물, 폴리카르복실산 나트륨염, 폴리카르복실산 나트륨염의 수분산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둘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제는 다음과 같이 조성될 수 있다.
유효성분(AI) 함유량(kg)
75.0(±2.0)
계면활성제 5.5(±1.0)
아크릴 분말 수지 1(±0.1)
폴리비닐알코올 3(±0.2)
11(±0.5)
증점제 0.5(±0.1)
에틸렌글리콜 4.0(±0.5)
100kg
그리고 상기 중화제는 다음과 같이 조성될 수 있다.
유효성분(AI) 함유량(kg)
90.0(±2.0)
계면활성제 1.5(±0.5)
탄산나트륨 1.5(±2.0)
증점제 1.5(±0.1)
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롤 5.0(±0.5)
소포제 0.5(±0.1)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0.1(±0.01)
나프텐 0.7(±0.04)
오가노폴리실록산 1.2(±0.1)
102kg
이러한 세척수를 이용한 세척단계(S1)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1)에서 박리된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구조물(1)의 마감재로 사용된 타일(10) 및 이물질들이 함께 제거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타일(10)은 고압수의 수압을 견디면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콘크리트 구조물(1)로부터 들뜬 상태의 비정상적인 타일(10) 및 이물질들은 고압수의 수압에 의해 탈락되면서 제거된다.
이러한 고압수를 이용한 세척단계(S1)에 의하면, 고압수를 통해 박리가 발생된 콘크리트, 타일(10) 및 이물질들이 동시에 함께 제거됨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보수가 요구되는 부분에 별도로 시행되던 치핑 등을 통한 철거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의 보수작업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차량 및 보행을 통제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불편함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서 시행되던 철거작업이 생략되고, 고압수를 통한 세척과 철거작업이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먼지와 소음발생이 억제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의 보수작업이 친환경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2)는 상기 세척단계(S1)를 통해 세척된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신구접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2)에서 제공되는 신구접착제(20)는 콘크리트 구조물(1)에 새로운 콘크리트의 타설 시, 신,구 콘크리트면 간의 들뜸 현상을 방지한다.
즉, 상기 신구접착제(20)는 상기 보수제 도포단계(S4)에서 도포되는 보수제(30)와 콘크리트 구조물과(1)의 들뜸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신구접착제(20)는 수용성의 제품으로 모르타르에 함유된 수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보관과 재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 에멀젼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건조단계(S3)는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2)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도포된 신구접착제(20)가 가장 우수한 접착력이 발휘되도록 일정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신구접착제(20)의 건조시간은 시공환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건조 방식에는 자연건조 및 산업용 열풍기 등을 이용한 기계건조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수제 도포단계(S4)는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2)를 통해 신구접착제(20)가 도포된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보수제(30)를 도포하여 단면을 수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보수제 도포단계(S4)에서 제공되는 보수제(30)는 단면의 수복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보수제(30)가 사용가능 한 것이다. 예를 들어, 폴리머계 모르타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수제(3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수제(30)는 보수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상태, 현장의 상황, 시공당시의 날씨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수제(30)가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수작업을 통한 미장의 형태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보수제(30)를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내 뿜는 숏크리트(shotcrete)의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숏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및 물을 압축공기로 불어 넣는 모르타르일 수 있다. 이 모르타르는 보수가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표면에 도포되어 1cm 내지 2cm 사이의 두께를 갖는 보수층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쇼크리트의 도포는 다양한 형식으로 도포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습식 및 건식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망체 설치단계(S5)는 상기 보수제 도포단계(S4)를 통해 도포된 보수제(30) 상에 망체(40)를 매립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망체 설치단계(S5)에서 제공되는 망체(40)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격자무늬의 형태 또는 1변이 10mm 이상 20mm 이하인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망체(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각형의 망체(40)에 있어서, 1변이 10mm 이상 20mm 이하의 수치범위는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부착된 타일(10)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계적 수치한정 범위이다.
즉, 상기 수치범위를 초과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1)에 부착된 타일(10)이 망체(40)를 통과하여 탈락될 수 있고, 상기 수치범위 이하인 경우, 필요 이상으로 망체(40)의 재료비 및 재작비가 소요된다.
한편, 상기 망체(40)는 보수제(30)가 콘크리트 구조물(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복수의 앵커핀(41)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앵커핀(41)은 망체(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앵커핀(41)이 사용가능 한 것이며, 이러한 앵커핀(41)은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드릴작업을 통해 설치홀(42)을 천공시킨 후, 설치홀(42)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망체 설치단계(S5)에서 제공되는 망체(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라스(lath)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라스는 일반적으로 모르타르를 바르기 위해 밑바탕에 치는 망을 말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수제(30)가 콘크리트 구조물(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라스가 보수제(30) 상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라스에는 메탈라스(metal lath)와 와이어라스(wire lath)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탈라스(metal lath)는 두께 0.5~0.8mm의 얇은 철판에 등간격의 절단면을 내고 옆으로 길게 늘여 놓아 마름모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와이어라스(wire lath)는 아연도금철선 또는 보통 철선으로 만든 일종의 철망이며, 그 종류로는 능형, 갑형 및 환형 3가지가 있다.
이러한 망체 설치단계(S5)에 의하면, 망체(40)가 보수제(30)에 매립된 상태로 콘크리트 구조물(1) 상에 앵커핀(41)을 통해 고정설치 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1)로부터 보수제(30)와 타일(10)이 박락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1)로부터 보수제(30)의 박락이 발생되더라도 박락되는 보수제(30)가 망체(40)에 붙어있어 외부로 박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보수제(40)의 박락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망체 설치단계(S5)에서 제공되는 망체(40)는 고온과 여러 화학작용 등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내화재(refractory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의 내화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수제 양생단계(S6)는 상기 망체 설치단계(S5)를 통해 망체(40)가 매립된 보수제(30)를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양생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앵커핀(41)이 보수제 양생단계(S6)이전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앵커핀(41)은 보수제 양생단계(S6) 이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S7)는 상기 망체 설치단계(S5)를 통해 망체(40)가 설치되고, 보수제 양생단계(S6)를 통해 양생된 보수제(30)에 바탕 조정제(5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바탕 조정제(50)는 보수제(30)에 형성되는 요철 및 공극을 보강하고, 앵커핀(41)의 헤드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포되며, 콘크리트 구조물(1)의 상태, 현장의 상황, 시공당시의 날씨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즉, 상기 바탕 조정제(50)는 보수제(30) 상에 수작업을 통한 미장의 형태로 도포되는 것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보수제(30)를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내 뿜는 숏크리트(shotcrete)의 형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바탕 조정제 양생단계(S8)는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S7)를 통해 도포된 바탕 조정제(50)를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양생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1)의 보수작업 시, 세척단계(S1)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로부터 박리된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구조물(1)의 마감재로 사용된 타일(10)의 일부 및 이물질들이 함께 제거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보수가 요구되는 부분에 시행되던 치핑 등을 통한 별도의 철거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철거작업의 생략을 통해, 보수작업에 따른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보수제(30)에 매립 설치되는 망체(40)에 의해 보수제(30)와 콘크리트 구조물(1)간에 연결이 견고하여 보수제(30)가 박리박락 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1)의 사용연한이 더욱 연장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1)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아울러, 철거작업의 생략을 통해, 차량 및 보행을 통제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불편함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먼지와 소음발생이 억제되어 친환경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의 보수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콘크리트 구조물 10: 타일
20: 신구접착제 30: 보수제
40: 망체 41: 앵커핀
42: 설치홀 50: 바탕 조정제

Claims (5)

  1. (A)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고압수를 통해 세척하는 세척단계;
    (B)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신구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C)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를 통해 신구접착제가 도포된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단면을 수복하는 보수제를 도포하는 보수제 도포단계;
    (D) 상기 보수제 도포단계를 통해 도포된 보수제 상에 망체를 설치하는 망체 설치단계; 및
    (E) 상기 망체 설치단계를 통해 망체가 설치된 보수제에 바탕 조정제를 도포하는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으로서,
    상기 (D) 망체 설치단계에서 망체는 상기 보수제 상에 매립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복수의 앵커핀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고압수는 세척제와 중화제 및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화제는 9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세척제는 상기 세척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물 73 내지 77 중량%, 계면활성제 4.5 내지 6.5 중량%, 혼합제제 13 내지 17 중량%, 증점제 0.4 내지 0.6 중량%, 에틸렌글리콜 3.5 내지 4.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제제는 아크릴 분말 수지 : 폴리비닐알코올 : 물의 중량비가 1 : 2 내지 4 : 10 내지 12로 구성되고,
    상기 중화제는 물 9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 탄산나트륨 1.3 내지 1.7 중량%, 증점제 1.4 내지 1.6 중량%, 에틸렌글리콜 4.5 내지 5.5 중량%, 소포제 0.4 내지 0.6 중량%로 구성된 주재 100 중량부와 보조재 1 내지 3 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재는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 나프텐 : 오가노폴리실록산이 중량비 1 : 6 내지 8 : 11 내지 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박리된 콘크리트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마감재로 사용된 타일 및 이물질들이 함께 제거되며,상기 망체 설치단계에서는 1변이 10mm 이상 20mm 이하인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망체가 제공되고,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 이후에는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를 통해 도포된 바탕 조정제를 양생시키는 바탕 조정제 양생단계를 수행하며,상기 보수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보수제의 도포가 수작업 또는 숏크리트(shotcrete)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탕 조정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바탕 조정제의 도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48389A 2018-04-26 2018-04-26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4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89A KR101943547B1 (ko) 2018-04-26 2018-04-26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89A KR101943547B1 (ko) 2018-04-26 2018-04-26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47B1 true KR101943547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389A KR101943547B1 (ko) 2018-04-26 2018-04-26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863B1 (ko) 2011-04-12 2011-11-11 김규태 단면 보수 공법
KR20130107077A (ko) * 2012-03-21 2013-10-01 김용석 콘크리트부분 단면 보수제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609568B1 (ko) * 2015-07-28 2016-04-06 비엔에스이건설(주) 내화성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28018B1 (ko) * 2017-11-29 2018-02-12 (주)씨앤비 교면 방수용 접착재 조성물과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863B1 (ko) 2011-04-12 2011-11-11 김규태 단면 보수 공법
KR20130107077A (ko) * 2012-03-21 2013-10-01 김용석 콘크리트부분 단면 보수제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609568B1 (ko) * 2015-07-28 2016-04-06 비엔에스이건설(주) 내화성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28018B1 (ko) * 2017-11-29 2018-02-12 (주)씨앤비 교면 방수용 접착재 조성물과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987B1 (ko)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AU673408B2 (en) Corrosion inhibiting composition for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of applying same
KR101133569B1 (ko)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의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222086B1 (ko) 알카노아민계 다기능 첨가제가 혼합된 콘크리트 보수보강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KR102362416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노면 파손부의 단면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TW202348383A (zh) 結構物保護片、使用該結構物保護片的施工方法及預鑄構件以及預鑄構件的製造方法
KR102266502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공법
KR100772329B1 (ko) 칙소성 우레탄과 섬유시트를 이용한 방수 및 바닥재시공방법
KR102261573B1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공법
KR20200068407A (ko) 콘크리트 파손 또는 균열 보수보강 방법
KR101056825B1 (ko) 수성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943547B1 (ko) 망체와 앵커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09568B1 (ko) 내화성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31321B1 (ko) 초속경 교량 상판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교량 상판 보수방법
KR100601882B1 (ko) 콘크리트 표면강화 및 열화(태양광선 및 화학적부식)방지시공방법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81856B1 (ko) 맨홀 보수용 속경성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20050053416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 및 파단부위 보수보강재 및 이를사용한 구조물 단면보수보강 시공방법
KR100412783B1 (ko) 스프레이 공법을 이용한 폴리머 모르터 단면수복 보수공법
KR102341746B1 (ko) 공압방식의 참암기로 구조물 모체의 진동 및 손상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콘크리트 혼화재가 적정량 배합된 프리믹스타입의 긴급보수제를 사용하여 품질확보가 가능한 보수공법
KR20010100040A (ko) 철근이 노출된 콘크리트구조물의 결함부 재생보수 공법
JP7085440B2 (ja) 地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KR101937876B1 (ko) 내화학성,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와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