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423B1 -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423B1
KR101943423B1 KR1020160181583A KR20160181583A KR101943423B1 KR 101943423 B1 KR101943423 B1 KR 101943423B1 KR 1020160181583 A KR1020160181583 A KR 1020160181583A KR 20160181583 A KR20160181583 A KR 20160181583A KR 101943423 B1 KR101943423 B1 KR 101943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tion
model
maintenance
reliability
reliability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905A (ko
Inventor
정재룡
류은태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423B1/ko
Priority to PCT/KR2017/014868 priority patent/WO2018124570A1/ko
Priority to US16/473,060 priority patent/US11315083B2/en
Publication of KR2018007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423B1/ko
Priority to SA519402017A priority patent/SA519402017B1/ar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2Knowledge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3Optimisation of two dimensional placement, e.g. cutting of clothes or w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1Dynamic search techniques; Heuristics; Dynamic trees; Branch-and-b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 및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비교하여, 변전소 기기 별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고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기기 중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에 대해서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을 기초로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 상기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선정한 후 유지보수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보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ASSET MANAGEMENT METHOD FOR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변전소 기기의 건전도에 따라 변전소 기기 별 최적화된 관리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 중 송전계통이나 배전계통에는 발전기의 출력을 승압 또는 강압하거나, 계통의 전압을 강압하거나 하기 위하여 변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변전소에는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기 위한 변압기 외에, 전력을 집중·배분하기 위한 기기나 조류(潮流)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 또는 계통이나 변전소내의 기기를 보호·제어하기 위한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가스절연개폐장치(GIS)에 사용되는 차단기에는 가스압을 검출하는 가스압센서, 이상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 전류·전압검출기 등이 설치되고, 변압기에는 변압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온도계, 압력계, 유면(油面)센서, 전류검출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센서는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거쳐 보호장치, 계측장치, 제어장치 및 기기 감시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다시 보호장치, 계측장치, 제어장치 및 기기 감시장치는 각각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거쳐 상위의 변전소 감시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의 변전소에는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아주 복잡한 설비가 갖추어지게 되며, 이러한 변전소에 설치된 차단기와 같은 각종 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고장의 징후를 미리 발견하여 대비하거나 아니면 발생된 고장에 신속히 대응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변전소 기기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기기 별 교체주기, 유지보수방안 등에 있어서 최적화된 자산 관리 기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1-0001393 (1991.01.30)
본 발명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는 과정을 통해 변전소 기기 별 최적화된 고유 신뢰도 모델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 교체 주기, 유지보수 방안 및 자산 관리 기법의 요청에 대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 및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비교하여, 변전소 기기 별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고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기기 중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에 대해서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을 기초로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 상기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선정한 후 유지보수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보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는 과정을 통해 변전소 기기 별 최적화된 고유 신뢰도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비 교체 주기, 유지보수 방안 및 자산 관리 기법의 요청에 대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자산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에 따른 신뢰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자산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생성한다(단계 S110). 이때,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는 변전소 기기 별 온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 변전소 기기 별 오프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 및 원격 감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의 오프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는 변전소 기기 별 설치 이력, 점검 이력, 고장 이력, 운영 환경 및 운전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운영 환경, 절연물 열화, 전기적 위험도, 열적 위험도, 화학적 위험도 및 기계적 위험도, 기밀 성능, 절연 성능, 차단 성능 및 통전 성능에 따른 기술적 위험도 평가 총점 및 조치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압기(TR)의 기준 신뢰도 모델의 정보를 이용하여 변압기(TR)의 운영 환경, 절연물 열화, 전기적 위험도, 열적 위험도, 화학적 위험도 및 기계적 위험도에 따른 기술적 위험도 평가 총점 및 조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기준 신뢰도 모델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운전 이력 데이터, 기밀 성능, 절연 성능, 차단 성능 및 통전 성능을 이용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기술적 위험도 평가 총점 및 조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과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기초로 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은 변전소 기기 별 설치/점검 이력 데이터, 노후 철거품 분석 데이터, 가속수명시험 데이터 등을 토대로 생성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다.
이때,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와 동일하면 현재 사용되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 최적화된 기준 신뢰도 모델이라고 판단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와 상이하면,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여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한다(단계 S120).
즉,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와 상이하면 현재 사용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 최적화된 기준 신뢰도 모델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이용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여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는 과정을 통해 변전소 기기 별로 최적화된 고유 신뢰도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다음,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특정 우선 순위에 따라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를 설정한다(단계 S130). 예를 들어,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특정 우선 순위가 고장률인 경우, 고장률이 높은 변전소 기특정 우선 순위에 따라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를 설정기를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상황에 따른 다른 우선 순위가 적용될 수 있다.
이후,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에 대해서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을 기초로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한다(단계 S140).
단계 S14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에 고장률, 고장 복구 시간, 부하점 별 부하량, 정비 비용, 복구 비용, 유지보수 비용 목표 값, 이자율, 설비 민감도 및 변전소 기기의 상하 관계 정보를 적용하여 정전 피해 비용, 공급지장 전력량, 설비별 민감도, 현재 가치 및 미래 가치를 평가한다.
그리고,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선정한다(단계 S150).
단계 S15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신뢰도 평가 출력 값, 기술적 평가 출력 값, 경제성 평가 출력 값 및 유지보수 점검 별 비용 항목에 따라, 변전소 기기 별 유지보수 전략 방법, 비용, 우선 순위, 기기 별 점검 주기, 예상 비용, 점검 스케줄링, 유지보수 효과 추정, 기기 별 예상 교체 시점을 포함하는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도출 및 선정한다.
단계 S15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및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조합하여 생성된 제1 결과 정보,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와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를 조합하여 생성된 제2 결과 정보, 및 제2 결과 정보와 유지보수 방안을 조합한 제3 결과에 따른 비용 측면 유지보수 시나리오, 신뢰도 측면 유지보수 시나리오 및 최적 점검과 교체 계획을 생성한다.
다음,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유지보수 대상 기기 별 유지보수 스케줄링 및 견적을 산출한다(단계 S160).
이후, 유지보수 대상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실행되고(단계 S170),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상기 유지보수의 수행 결과에 따라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갱신한다(단계S18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건전도 생성부(110),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120),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부(130), 유지보수 방안 생성부(140) 및 유지보수 실행부(150)를 포함한다.
건전도 생성부(110)는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생성한다. 이때,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는 변전소 기기 별 온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 변전소 기기 별 오프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 및 원격 감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의 오프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는 변전소 기기 별 설치 이력, 점검 이력, 고장 이력, 운영 환경 및 운전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전도 생성부(110)는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변전소 기기 별 운영 환경, 절연물 열화, 전기적 위험도, 열적 위험도, 화학적 위험도 및 기계적 위험도, 기밀 성능, 절연 성능, 차단 성능 및 통전 성능에 따른 기술적 위험도 평가 총점 및 조치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전도 생성부(110)는 변압기(TR)의 기준 신뢰도 모델의 정보를 이용하여 변압기(TR)의 운영 환경, 절연물 열화, 전기적 위험도, 열적 위험도, 화학적 위험도 및 기계적 위험도에 따른 기술적 위험도 평가 총점 및 조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건전도 생성부(110)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기준 신뢰도 모델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운전 이력 데이터, 기밀 성능, 절연 성능, 차단 성능 및 통전 성능을 이용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GIS)의 기술적 위험도 평가 총점 및 조치 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120)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과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기초로 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은 기기 별 설치/점검 이력 데이터, 노후 철거품 분석 데이터, 가속수명시험 데이터 등을 토대로 생성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다.
이때,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12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와 동일하면 현재 사용되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 최적화된 기준 신뢰도 모델이라고 판단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12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와 상이하면,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여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한다.
즉,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12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와 상이하면 현재 사용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 최적화된 기준 신뢰도 모델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이용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여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라 보상함으로써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최적화할 수 있다.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부(130)는 특정 우선 순위에 따라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를 설정한 후,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에 대해서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을 기초로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부(130)는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에 고장률, 고장 복구 시간, 부하점 별 부하량, 정비 비용, 복구 비용, 유지보수 비용 목표 값, 이자율, 설비 민감도 및 변전소 기기의 상하 관계 정보를 적용하여, 정전 피해 비용, 공급지장 전력량, 설비별 민감도(즉, 경제적 측면, 신뢰도 측면), 경제성 분석 결과(즉, 현재 가치, 미래 가치)를 생성하여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한다.
유지보수 방안 생성부(14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 및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보수 방안 생성부(140)는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신뢰도 평가 출력 값, 기술적 평가 출력 값, 경제성 평가 출력 값 및 유지보수 점검 별 비용 항목에 따라서, 변전소 기기 별 유지보수 전략 방법, 비용, 우선 순위, 기기 별 점검 주기, 예상 비용, 점검 스케줄링, 유지보수 효과 추정, 기기 별 예상 교체 시점을 포함하는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도출 및 선정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유지보수 방안 생성부(140)는 건전도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및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조합하여 생성된 제1 결과 정보, 건전도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및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부(130)에 의해 생성된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를 조합하여 생성된 제2 결과 정보, 및 제2 결과 정보와 유지보수 방안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유지보수 방안을 조합한 제3 결과에 따른 비용 측면 유지보수 시나리오, 신뢰도 측면 유지보수 시나리오, 및 최적 점검과 교체 계획을 생성한다.
유지보수 실행부(150)에서는 유지보수 방안 생성부(140)에서 선정된 유지보수 대상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에 따른 유지보수의 수행 결과에 따라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갱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310) 및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320, 330)를 비교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변전소 기기 별 설치/점검 이력 데이터, 노후 철거품 분석 데이터, 가속수명시험 데이터 등을 토대로 생성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320은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310) 보다 높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330은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310) 보다 낮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310) 및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320, 330)가 상이하면,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여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산출한다.
즉,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320, 330)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310)와 상이하면, 현재 사용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 최적화된 기준 신뢰도 모델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이용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여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산출하는 것이다.
한편,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100)는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310)과 겹치게 되게 되면 현재 사용되는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이 최적화된 기준 신뢰도 모델이라고 판단하여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실행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는 과정을 통해 변전소 기기 별 최적화된 고유 신뢰도 모델을 도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에 따른 신뢰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일 실시예로서, 유지보수 방식에 따른 신뢰도 향상 기준을 달리 설정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방식이 기기 교체의 경우 100%, 정밀점검은 30%, 보통점검은 15%로 설정할 수 있지만, 실제 유지보수 수행 이력에 따라 정밀점검 및 보통점검의 유지보수에 따른 신뢰도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유지보수 전략 A는 기기 교체를 포함하는 유지보수 시나리오로서 신뢰도 향상의 폭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유지보수 전략 B는 정밀점검을 중심으로 하는 유지보수 시나리오로서 신뢰도 향상의 폭은 중간 정도이다.
한편, 유지보수 전략 C는 보통점검 위주의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적용한 경우로서 신뢰도 향상의 폭이 가장 작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변전소 자산 관리 장치
110: 건전도 생성부
120: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
130: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부
140: 유지보수 방안 생성부
150: 유지보수 실행부

Claims (9)

  1.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에 있어서,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에서,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 및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건전도 생성부에서 생성된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비교하여,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고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부에서, 상기 변전소 기기 중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에 대해서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을 기초로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유지보수 실행부에서,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 상기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선정한 후 유지보수를 실행하는 단계; 및
    기준 신뢰도 모델 관리부에서, 상기 유지보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은 변전소 기기별 설치 및 점검 이력 데이터, 노후 철거품 분석 데이터, 및 가속수명시험 데이터를 토대로 생성되고,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가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와 상이하면,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대한 보상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이용하여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고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에 따른 신뢰도와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의 신뢰도가 상이하면,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에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적용하여 상기 변전소 기종 별 기준 신뢰도 모델을 보상하고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 상기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선정한 후 유지보수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신뢰도 평가 출력 값, 기술적 평가 출력 값, 경제성 평가 출력 값 및 유지보수 점검 별 비용 항목에 따라 변전소 기기 별 유지보수 전략 방법, 비용, 우선 순위, 기기 별 점검 주기, 예상 비용, 점검 스케줄링, 유지보수 효과 추정, 및 기기 별 예상 교체 시점을 포함하는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 별 유지보수 시나리오를 도출 및 견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보수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지보수의 수행 결과에 따른 개선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고유 신뢰도 모델을 갱신하고,
    상기 개선 효과는 유지보수 방식에 따른 신뢰도 향상 기준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신뢰도 향상 기준은 유지보수 방식이 기기 교체, 정밀점검, 및 보통점검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변전소 기기 별 온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 변전소 기기 별 오프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 및 원격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감시 상태 데이터는
    변전소 기기 별 설치 이력, 점검 이력, 고장 이력, 운영 환경 및 운전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기기 별 상태 데이터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변전소 기기 별 건전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변전소 기기 별 운영 환경, 절연물 열화, 전기적 위험도, 열적 위험도, 화학적 위험도 및 기계적 위험도, 기밀 성능, 절연 성능, 차단 성능 및 통전 성능에 따른 기술적 위험도 평가 총점 및 조치사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기기 중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에 대해서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을 기초로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에 고장률, 고장 복구 시간, 부하점 별 부하량, 정비 비용, 복구 비용, 유지보수 비용 목표 값, 이자율, 설비 민감도 및 변전소 기기의 상하 관계 정보를 적용하여 정전 피해 비용, 공급지장 전력량, 설비별 민감도, 현재 가치 및 미래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기기 중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에 대해서 미리 생성된 기준 계통 신뢰도 모델을 기초로 유지보수 시나리오 별 계통 신뢰도 지수 및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변전소 기기 중 유지보수 대상 후보 기기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KR1020160181583A 2016-12-28 2016-12-28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KR101943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83A KR101943423B1 (ko) 2016-12-28 2016-12-28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PCT/KR2017/014868 WO2018124570A1 (ko) 2016-12-28 2017-12-15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US16/473,060 US11315083B2 (en) 2016-12-28 2017-12-15 Asset management method for substation
SA519402017A SA519402017B1 (ar) 2016-12-28 2019-06-27 طريقة إدارة أصول بمحطة فرعي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83A KR101943423B1 (ko) 2016-12-28 2016-12-28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05A KR20180076905A (ko) 2018-07-06
KR101943423B1 true KR101943423B1 (ko) 2019-01-29

Family

ID=6270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583A KR101943423B1 (ko) 2016-12-28 2016-12-28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15083B2 (ko)
KR (1) KR101943423B1 (ko)
SA (1) SA519402017B1 (ko)
WO (1) WO2018124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868B1 (ko) 2017-04-28 2018-10-10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KR102067831B1 (ko) * 2018-07-11 2020-01-17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계통 신뢰도 지수를 토대로 한 변전소 자산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1627B2 (ja) * 2008-05-16 2012-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画執行管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606985A (pt) 1985-11-17 1987-12-01 Ahmad Massoudi Processo de construcao de uma estrutura rigida sobre o fundo de uma massa d'agua assim como forma perdida para realizar o referido processo
JP2002297709A (ja) 2001-03-29 2002-10-1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設備改修計画業務に対する支援方法および装置
EP2302477A1 (en) * 2009-09-25 2011-03-30 ABB Research Ltd. Reliability calculation for substation automation systems
KR101044744B1 (ko) * 2009-09-28 2011-06-28 한국전력공사 신뢰도 기반 배전기자재 유지보수 시스템과 방법
CN103154845A (zh) * 2010-07-16 2013-06-12 纽约市哥伦比亚大学托管会 电网的机器学习
CN202931037U (zh) * 2012-11-28 2013-05-08 天津市电力公司 智能变电站运行安全实时分析预警系统
CN103633739B (zh) * 2013-11-28 2015-05-20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微电网能量管理系统和方法
CN104504246B (zh) * 2014-12-05 2017-11-21 清华大学 基于环‑辐网解耦的可靠性快速评估算法
KR101683262B1 (ko) * 2014-12-31 2016-12-21 주식회사 효성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3256B1 (ko) 2014-12-31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전력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715294A (zh) * 2015-04-02 2015-06-17 国家电网公司 一种配电网规划方案评价数据处理系统
CN105023104A (zh) * 2015-07-20 2015-11-04 国网天津市电力公司 基于事件记录的变电站二次设备可靠性管理系统及方法
CN105471656B (zh) * 2015-12-10 2018-11-20 国家电网公司 一种针对智能变电站自动化系统运维信息模型的抽象方法
CN105809322B (zh) * 2016-02-22 2019-12-06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 综合考虑发电、输电和配电系统的城市电网可靠性评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1627B2 (ja) * 2008-05-16 2012-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画執行管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5083B2 (en) 2022-04-26
WO2018124570A1 (ko) 2018-07-05
KR20180076905A (ko) 2018-07-06
SA519402017B1 (ar) 2023-03-26
US20200097922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438B1 (ko)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KR101943410B1 (ko)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KR101943455B1 (ko) 변전소 자산 관리 방법
EP25279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remaining life for a device
KR101904868B1 (ko)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CN101688892B (zh) 用于在时域中预测电力系统的状态的方法和设备
JP4024752B2 (ja) 送電に関する改良
KR20140002796A (ko) 해저 측정 및 모니터링
CN103854446A (zh) 一种高压开关柜动态温升诊断报警方法和装置
KR101943423B1 (ko) 변전소의 자산 관리 방법
WO2021250280A1 (en) Provision of currently unmeasurable state information about a switchgear device system
KR102067831B1 (ko) 전력계통 신뢰도 지수를 토대로 한 변전소 자산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90340708A1 (en) Method for the usage planning of an electrical system for supplying energy
Catterson et al. Prognostics of transformer paper insulation using statistical particle filtering of on-line data
US20230038461A1 (en) Asset management method for substation
US20200301802A1 (en) Using Steady-State Changes To Discern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An Individual Machine Operating On A Commonly Supplied Electrical Network Connected To Multiple Machines
KR102056101B1 (ko) 발전 계통과 송전 계통 통합 감시/분석 시스템
KR102309979B1 (ko) 전력설비의 자산관리 방법
KR20150118456A (ko) 감시 장치의 부분방전 진단 방법
Aizpurua et al. Towards a hybrid power cable health index for medium voltage power cable condition monitoring
Ridwan et al. Application of life data analysis for the reliability assessment of numerical overcurrent relays
CN109094489B (zh) 用于运行车载电网的方法
Christou et al. Setup and preliminary results of an online thermal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MV cable joints
KR102368705B1 (ko) 초전도한류기 동작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Starke et al. Automated Controller Hardware-In-The-Loop Testbed for EV Charger Resilienc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