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764B1 -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 - Google Patents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764B1
KR101942764B1 KR1020170020355A KR20170020355A KR101942764B1 KR 101942764 B1 KR101942764 B1 KR 101942764B1 KR 1020170020355 A KR1020170020355 A KR 1020170020355A KR 20170020355 A KR20170020355 A KR 20170020355A KR 101942764 B1 KR101942764 B1 KR 10194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sangcheon
river
press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261A (ko
Inventor
류승화
Original Assignee
류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승화 filed Critical 류승화
Priority to KR1020170020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7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지인천 모아 방식으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음의 선택을 위한 자음 선택부; (상천)획 키패드(10), ㅡ(지)획 키패드(20) 및 ㅣ(인)획 키패드(30)의 선택을 위한 제1 모음 선택부; 및 (하천)획 키패드(40)를 포함하는 제2 모음 선택부를 포함하는 키패드가 배열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음 선택부, 제1 모음 선택부 및 제2 모음 선택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자음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천)획, ㅡ(지)획, ㅣ(인)획, (하천)획 중 1개 획, 2개 획 또는 3개 획의 동시결합에 의해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ㅢ, ㅚ, ㅟ, ㅐ, ㅔ, ㅒ, ㅖ, ㅘ, ㅝ, ㅙ 및 ㅞ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한글 입력장치에 따르면, 기존 방식의 천지인 문자입력 방법에 비해 입력속도가 빨라지며, 오타율이 감소하고, 가장 중요한 한글 창제원리의 직관적인 사용이 모든 글자에 완벽하게 적용되므로 별다른 설명 없이 쉽게 배울 수 있어 새로운 입력방법을 배우는데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METHOD AND APPARATUS ADAPTING CHUNJIINCHUN COMBINATION SYSTEM FOR INPUTING HANGUL}
본 발명은 한글의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하여 휴대폰 등 모바일 및 IT 기기의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에 태핑(tapping), 슬라이딩(sliding, 드래그), 집기(pinching) 등의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초한 (ㆍ)상천/(ㅡ)지/(ㅣ)인/(ㆍ)하천을 적용한 천지인천 모아 동시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입력 횟수를 줄임과 동시에 쉽고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이들 기기를 포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영상, 음성통신의 기능 외에도 메시지 앱이나 카카오텍 앱을 통해 서로 문자교환이 가능하도록 한 한글 입력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글 입력기는 가압신호만을 인지하는 가압식 키패드 방식 외, 입력된 신호의 위치를 일정한 좌표값의 이동을 판별하는 방식으로 수평변위와 수직변위의 구별인식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키패드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천지인 제자 원리에 기반한 키패드 배열('S'사)을 일례로 보면, 하나의 자음키에 두 개의 유사한 형태의 자음(ㄱㅋ, ㄴㄹ, ㄷㅌ, ㅂㅍ, ㅅㅎ, ㅈㅊ)을 배치하고, 3개의 천획(ㆍ), 지획(ㅡ) 및 인획(ㅣ) 키를 설정하여, 자음 입력은 예를 들어 'ㄱ'자음 키를 한번 태핑할 경우 기본 자음인 'ㄱ'이 입력표시되고, 이를 두 번 태핑시에는 'ㅋ'이 입력표시된다.
한편, 모음 입력은 예를 들어, '거'를 입력할 때 또는 '고'를 입력할 때, 마지막 모음 자소인 'ㅣ' 또는 'ㅡ'를 입력하기 직전에는, 'ㄱㆍ'로 똑같이 표시되어 버리므로 혼동된다.
또, '겨'를 입력할 때나 '교'를 입력할 때 또는 마지막 모음 자소인 'ㅣ' 또는 'ㅡ'를 입력하기 직전에는, 'ㄱ ‥'로 똑같이 표시되어 버리므로 혼동된다.
또, '궈'를 입력할 때에도, 마지막 모음 자소인 'ㅣ'를 입력하기 직전에는 '규'로 표시되어 있다가, 마지막 모음 자소인 'ㅣ'를 입력하면 '규'가 '궈'로 바뀌면서 표시되기 때문에, '규'로 표시되어 있을 시점에는 사용자는 자기가 잘못 입력한 것 아닌가 하는 혼동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ㅘ, ㅙ, ㅝ, ㅞ'를 포함한 복잡한 모음을 입력할 때도 혼동으로 인하여 오타가 자주 발생하며, 예를 들어 또, '궤'는 'ㄱ' 자음키, 'ㅡ'지획키, 'ㆍ'천획키, 'ㆍ'천획키, 'ㅣ'인획키, 'ㅣ'인획키를 순서에 따라 여러 번 태핑해야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모음의 경우 지(ㅡ), 인(ㅣ) 글자에 천(ㆍ)획을 가획하여 홑홀소리(ㅏ,ㅓ,ㅗ,ㅜ,ㅡ,ㅣ,ㅐ,ㅔ,ㅚ,ㅟ)를 만드는 경우는 물론, 겹홀소리(이중모음)인 ㅑ,ㅕ,ㅛ,ㅠ,ㅒ,ㅖ,ㅘ,ㅝ,ㅙ,ㅞ,ㅢ 11개 글자를 만들 경우에는 천(ㆍ)획을 너무 많이 가획하여야 함에 따라 한글 메시지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모음 입력시 오타율이 커지고, 천(ㆍ)획 키패드를 유독 많이 사용하게 됨에 따라 다른 키패드에 비해 천(ㆍ)획 키패드만 고장날 확률이 높아지는 등 여러 가지 단점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천지인 방식에 의한 키패드방식은 복잡한 한글 생성에 많은 키를 누르거나 태핑하여 이루어지므로 한글 입력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태핑 횟수가 요구되기 때문에 그만큼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66939호는 ㆍ(천), ㅡ(지) 및 ㅣ(인)의의 선택을 위한 제1 모음 선택부 및 :(천천)을 포함하는 제2 모음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판에서, 상기 제2 모음 선택부는 ㅣㅣ(인인), ㅢ(지인) 및 ㅢㅣ(지인인) 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ㅣㅣ(인인), ㅢ(지인) 및 ㅢㅣ(지인인) 자판은 상기 제1 모음 선택부의 ㆍ(천) 또는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천천)과의 결합에 의해 ㅚ, ㅟ, ㅐ, ㅔ, ㅒ, ㅖ, ㅘ, ㅝ, ㅙ 및 ㅞ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는 자판을 갖는 배수 천지인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30689호에는 키패드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ㅇ의 자음키로 구획 배열하고, 이중 몇몇의 자음키에 세로 및 가로획의 바탕이 되는 3개의 모음키와 3개의 천지인 보조 첨자키를 중복 배열하여 자음키와 모음키 및 보조 첨자키를 드래그하는 조작만으로도 원하는 한글문자가 형성되도록 하는 한글입력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의 배수 천지인 방식 및 3개의 모음키와 3개의 천지인 보조 첨자키를 중복 배열한 방식은 기존 천지인 방식에 비해 입력 속도면에서는 개선될 소지가 있다고 생각되나, 이러한 방법들은 한글 창제원리인 가획원리에 충실하지 않아 직관적이지 않고 임의적이어서 글자의 위치나 글자 조합 방법을 외워야 하는 등 직관적으로 쉽게 습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한글에서 사용하는 모든 모음 21글자를 기존의 천지인 창제원리 방식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새로운 한글 입력방식인 천지인천 모아 입력방식에 의해 기존 방식의 천지인 문자입력 방법에 비해 입력속도가 빨라지며, 오타율이 감소하고, 가장 중요한 한글 창제원리의 직관적인 사용이 모든 글자에 완벽하게 적용되므로 별다른 설명 없이 쉽게 배울 수 있어 새로운 입력방법을 배우는데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이들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장치는 자음의 선택을 위한 자음 선택부; ㆍ(상천)획 키패드(10), ㅡ(지)획 키패드(20) 및 ㅣ(인)획 키패드(30)의 선택을 위한 제1 모음 선택부; 및 ㆍ(하천)획 키패드(40)를 포함하는 제2 모음 선택부를 포함하는 키패드가 배열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음 선택부, 제1 모음 선택부 및 제2 모음 선택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자음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ㆍ(상천)획, ㅡ(지)획, ㅣ(인)획, ㆍ(하천)획 중 1개 획, 2개 획 또는 3개 획의 동시결합에 의해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ㅢ, ㅚ, ㅟ, ㅐ, ㅔ, ㅒ, ㅖ, ㅘ, ㅝ, ㅙ 및 ㅞ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음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모음 선택부의 ㆍ(상천)획 키패드(10)에는 한글 "상천" 또는 한자 "상(上)"이 병기되며, 상기 제2 모음 선택부의 ㆍ(하천)획 키패드(40)에는 한글 "하천" 또는 한자 "하(下)"가 병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르면, 상기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장치에서, 제1 모음 선택부의 ㆍ(상천)획, ㅡ(지)획, ㅣ(인)획과 제2 모음 선택부의 ㆍ(하천)획의 4획을 조합할 때, 1개 획을 선택하거나, 또는 2개 획 또는 3개 획을 모아서 동시에 입력하여 한글 모음을 생성하는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한글 모음은 ㆍ(상천)획, ㅡ(지)획, ㅣ(인)획, ㆍ(하천)획의 태핑, 드래그, 또는 핀칭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방법은 한글에서 사용하는 모든 모음 21글자를 기존의 천지인 창제원리 방식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성능은 뛰어난 새로운 천지인 창제원리인 상천/지/인/하천 방식으로, 기존 방식의 천지인 문자입력 방법에 비해 입력속도가 빨라지며, 오타율이 감소하고, 가장 중요한 한글 창제원리의 직관적인 사용이 모든 글자에 완벽하게 적용되므로 별다른 설명 없이 쉽게 배울 수 있어 새로운 입력방법을 배우는데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음 중 ㅡ, ㅣ를 제외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ㅢ, ㅚ, ㅟ, ㅐ, ㅔ, ㅒ, ㅖ, ㅘ, ㅝ, ㅙ 및 ㅞ의 경우 기존의 입력획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지인 방식의 입력장치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천지인천 모아 방식)에 따른 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키패드 구성도의 변형예이다.
도 4는 종래의 천지인 방식과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비교표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술된 특정 구성 및 기능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지 청구항들에 대한 토대 및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를 교시하기 위한 토대로서 기술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삼성전자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지인 방식의 입력장치의 예이다.
천지인 방식의 모음 입력은 한글 창제원리를 그대로 적용시킨 입력방법으로 필기획순과 동일하게 입력되고 초성, 중성, 종성이 보이는 그대로 직관적으로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입력방법이다.
키패드는 보통 4행 3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키패드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자음이 배정되어 있고, 1행에는 천(), 지(ㅡ), 인(ㅣ)을 배열해서 이것을 조합하여 단모음과 복모음을 만들어 입력하는 방식이다.
한글 창제원리에 가장 충실하고 직관적이며 쉬운 장점이 있으나 복모음 등의 경우 너무 많은 입력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한글 창제원리 및 정신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도출하게 되었다.
기존의 천(), 지(ㅡ), 인(ㅣ)을 1배 천지인으로 정의한다면 1.5배, 2배, 3배, -1배로 확대, 감소시키는 새로운 천지인 개념도 가능하다는데 착안하여 논리적이며 체계적인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를 도출하였다.
즉, 천(), 지(ㅡ), 인(ㅣ)을 기준으로 1.5배로 확대 적용하면 상천(), 지(ㅡ), 인(ㅣ), 하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은 지(ㅡ)획이 상천()획과 조합되면 모음 "ㅗ"가 생성되고, 지(ㅡ)획이 하천()획과 조합되면 모음 "ㅜ"가 생성되며, 하천()획만을 1회 입력함으로써 모음 "ㅏ"가 생성되고, 상천()획만을 1회 입력함으로써 모음 "ㅓ"가 생성되는 원리에 기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은 상천()획, 지(ㅡ)획, 인(ㅣ)획, 하천()획의 4개 획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2개 획, 3개 획을 모아서 동시에 입력함으로써 모음 "ㅗ, ㅛ, ㅜ, ㅠ, ㅢ, ㅚ, ㅟ, ㅐ, ㅔ, ㅒ, ㅖ, ㅘ, ㅝ, ㅙ 및 ㅞ"가 생성되는 원리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천()획, 지(ㅡ)획, 인(ㅣ)획, 하천()획의 4개 획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한손의 한 개, 두 개, 세 개의 손가락이나 양손의 한 개, 두 개 손가락으로 상기 상천/지/인/하천 획의 1개 획, 2개 획, 3개 획을 모아서 동시입력함으로써 한글의 단모음이나 복모음을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쉽고 편리하게 입력 횟수를 줄임과 동시에 한글 입력시의 오탈자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상천()획, 지(ㅡ)획, 인(ㅣ)획, 하천()획을 상천(), 지(ㅡ), 인(ㅣ), 하천()으로 기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천지인천 모아 방식)에 따른 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성도이다.
4행 5열로 배열하면서 1행에는 상천()획 키패드(10), 지(ㅡ)획 키패드(20), 인(ㅣ)획 키패드(30)를 배열하고, 2행에는 하천()획 키패드(40)를 배열하고 기존의 천지인 배열을 준용하는 경우와 3~5행에는 기존의 나랏글 배열을 준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천지인천 모아 방식)에 따른 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성의 변형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천()획과 하천()획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천()획 키패드란에 한글 "상천" 또는 한자 "상(上)"이 병기되며, 하천()획 키패드란에 한글 "하천" 또는 한자 "하(下)"가 병기된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한글 입력장치는 상천()획 키패드란의 한글 "상천" 또는 한자 "상(上)", 및 하천()획 키패드란의 한글 "하천" 또는 한자 "하(下)"의 병기에 의해, 별다른 설명이 없어도 입력방법을 배우는데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상천()(10), 지(ㅡ)(20), 인(ㅣ)(30), 하천()(40)의 배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한글 입력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기존 천지인과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천지인천 기본 방식(제1 실시예) 및 천지인천 모아 방식(제2 실시예))의 비교표이다.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은 상기와 같이 상천(), 지(ㅡ), 인(ㅣ), 하천()의 4개 획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한손의 한 개, 두 개, 세 개의 손가락이나 양손의 한 개, 두 개 손가락으로 상기 상천/지/인/하천 획 중 1개 획, 2개 획, 3개 획을 모아서 동시입력하는 방식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지인천 기본 방식에서 모음의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은 지(ㅡ)획이 상천()획과 조합되면 모음 "ㅗ"가 생성되고, 지(ㅡ)획이 하천()획과 조합되면 모음 "ㅜ"가 생성되며, 하천()획만을 1회 입력함으로써 모음 "ㅏ"가 생성되고, 상천()획만을 1회 입력함으로써 모음 "ㅓ"가 생성되는 원리에 기초한다.
블록 []은 개별 입력하는 1회의 타수를 각각 의미하며, 입력 방법의 설명을 부가한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 (타수 1회)
(하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ㆍ(하천)] (타수 2회)
(하천)을 2번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 (타수 1회)
→ (상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상천)ㆍ] (타수 2회)
→ (상천)을 2번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 (타수 2회)
→ (상천)을 누른 후 ㅡ(지)를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상천)ㆍ]+[] (타수 3회)
→ (상천)을 누르고, (상천)을 누른 후 ㅡ(지)를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 (타수 2회)
→ ㅡ(지)를 누른 후 (하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ㆍ(하천)] (타수 3회)
→ ㅡ(지)를 누르고, (하천)을 누른 후 (하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 (타수 1회)
→ ㅡ(지)를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 (타수 1회)
→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 (타수 2회)
→ ㅡ(지)를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 (타수 3회)
→ (상천)을 누르고, ㅡ(지)를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 (타수 3회)
→ ㅡ(지)를 누르고, (하천)을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 (타수 2회)
(하천)을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 (타수 2회)
→ (상천)을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 [(하천)ㆍ]+[] (타수 3회)
(하천)을 누르고, (하천)을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상천)ㆍ]+[] (타수 3회)
→ (상천)을 누르고, (상천)을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ㆍ(하천)] (타수 3회)
→ (상천)을 누르고, ㅡ(지)를 누른 후 (하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상천)ㆍ] (타수 3회)
→ ㅡ(지)를 누르고 (하천)을 누른 후 (상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ㆍ(하천)]+[] (타수 4회)
→ (상천)을 누르고, ㅡ(지)를 누르고, (하천)을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상천)ㆍ]+[] (타수 4회)
→ ㅡ(지)를 누르고, (하천)을 누르고, (상천)을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모음 21자를 입력할 경우 기존 천지인은 총 62타, 본 발명의 천지인천 기본 방식은 총 50타가 소요되어 기존 타수에 비해 약 83%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글 입력방법인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입력방식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은 상천()획, 지(ㅡ)획, 인(ㅣ)획, 하천()획의 4개 획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2개 획, 3개 획을 모아서 동시에 입력함으로써 모음 "ㅗ, ㅛ, ㅜ, ㅠ, ㅢ, ㅚ, ㅟ, ㅐ, ㅔ, ㅒ, ㅖ, ㅘ, ㅝ, ㅙ 및 ㅞ"가 생성되는 원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지인천 모아 방식에서 모음의 동시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의 모아 동시 입력방식은 상기와 같이 상천(), 지(ㅡ), 인(ㅣ), 하천() 4개 획을 조합하는데 있어서 한손의 한 개, 두 개, 세 개의 손가락이나 양손의 한 개, 두 개 손가락으로 상기 상천/지/인/하천 획 중 1개 획, 2개 획, 3개 획을 모아서 동시입력하는 방식이다.
블록 []은 동시입력 및 개별 입력하는 1회의 타수를 각각 의미하며, 입력 방법의 설명을 부가한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 (타수 1회)
(하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ㆍ(하천)] (타수 2회)
(하천)을 2번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 (타수 1회)
→ (상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상천)ㆍ] (타수 2회)
→ (상천)을 2번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 (타수 1회)
→ (상천)과 ㅡ(지)를 동시에 누른다
또는 (상천)에서 ㅡ(지)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상천)] (타수 2회)
→ (상천)을 누른 후 (상천)과 ㅡ(지)를 동시에 누른다
또는 (상천)을 누른 후 (상천)에서 ㅡ(지)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하천)] (타수 1회)
→ ㅡ(지)와 (하천)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ㅡ(지)에서 (하천)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하천)]+[ㆍ(하천)] (타수 2회)
→ ㅡ(지)와 (하천)을 동시에 누른 후 (하천)을 누른다
또는 ㅡ(지)에서 (하천)으로 드래그한 후 (하천)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 (타수 1회)
→ ㅡ(지)를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 (타수 1회)
→ ㅣ(인)을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 (타수 1회)
→ ㅡ(지)와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ㅡ(지)에서 ㅣ(인)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 (타수 2회)
→ (상천) ㅡ(지)를 동시에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또는 [(상천)] (타수 1회)
→ (상천), ㅡ(지),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상천), ㅡ(지), ㅣ(인)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하천)]+[] (타수 2회)
→ ㅡ(지)와 (하천)을 동시에 누른 후 ㅣ(인)을 누른다
또는 [(하천)] (타수 1회)
→ (하천), ㅡ(지),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ㅡ(지), (하천), ㅣ(인)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하천()ㅣ] (타수 1회)
(하천)과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하천)에서 ㅣ(인)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 (타수 1회)
→ (상천)과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ㆍ(하천)]+ [(하천)] (타수 2회)
(하천)을 누른 후 (하천)과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하천)을 누른 후 (하천)에서 ㅣ(인)으로 드래그한다
[:(하상천)] (타수 1회)
→ (하천)과 (상천)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하천)에서 (상천)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 [(상천)] (타수 2회)
→ (상천)을 누른 후 (상천)과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 (타수 2회)
→ ㅣ(인)을 2번 누른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ㆍ(하천)] (타수 2회)
→ (상천)과 ㅡ(지)를 동시에 누른 후 (하천)을 누른다
또는 (상천), ㅡ(지), (하천)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하천)]+[(상천)ㆍ] (타수 2회)
→ ㅡ(지)와 (하천)을 동시에 누른 후 (상천)을 누른다
또는 ㅡ(지), (하천), (상천)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상천)]+[(하천)] (타수 2회)
→ (상천)과 ㅡ(지)를 동시에 누른 후 (하천)과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상천), ㅡ(지), (하천), ㅣ(인)으로 드래그한다
* 모음 의 경우는 [(하천)]+[(상천)] (타수 2회)
→ ㅡ(지)와 (하천)을 동시에 누른 후 (상천)과 ㅣ(인)을 동시에 누른다
또는 []+[] (타수 2회)
→ ㅡ(지)를 2번 누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모음 21자를 입력할 경우 기존 천지인은 총 62타, 본 발명의 천지인천 기본 방식은 총 50타,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은 33타 또는 30타가 소요되어 기존 타수에 비해 천지인천 기본 방식은 약 83% 수준, 천지인천 모아 방식은 약 50%로 획기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 및 2에서의 자음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키패드 하나에는 복수개의 자음(ㄱ,ㅋ / ㄴ,ㄹ)이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자음(ㄱ)은 한번 터치, 두 번째 자음(ㅋ)은 두번 터치, 경음(ㄲ)이 있는 경우는 세번 터치하는 기존의 입력방식도 그대로 사용가능하며, 환경설정 메뉴에서 별도로 지정하면 첫 번째 자음(ㄱ)은 한번 터치, 두 번째 자음(ㅋ)은 오른쪽 드래그, 경음(ㄲ)이 있는 경우는 아래쪽 드래그, 키 패드에 할당된 숫자(4)는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방법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지인천 모아 방식의 한글 입력방법에 따르면, 한글에서 사용하는 모든 모음 21글자를 기존의 천지인 창제원리 방식은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새로운 한글 입력방식인 천지인천 모아 입력방식에 의해 기존 방식의 천지인 문자입력 방법에 비해 입력속도가 빨라지며, 오타율이 감소하고, 가장 중요한 한글 창제원리의 직관적인 사용이 모든 글자에 완벽하게 적용되므로 별다른 설명 없이 쉽게 배울 수 있어 새로운 입력방법을 배우는데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른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경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상천() 20: 지(ㅡ)
30: 인(ㅣ) 40: 하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천지인천 모아 방식으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한글 입력 장치의 키패드 1행에 상천(ㆍ)획 (10), 지(ㅡ)획 (20), 인(ㅣ)획 (30)을 배열하고,
    키패드 2행에 하천(ㆍ)획을 배열하여, 하천()획만을 1회 입력함으로써 모음 "ㅏ"가 생성되고, 상천()획만을 1회 입력함으로써 모음 "ㅓ"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천(ㆍ), 지(ㅡ), 인(ㅣ), 하천(ㆍ)의 4개획을 조합하여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한손의 한 개, 두개, 세 개의 손가락이나 양손의 한 개, 두 개 손가락으로 상기 상천/지/인/하천 획 중 1개 획, 2개 획, 3개 획을 모아서 동시 입력하여 한글 모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한글 모음은 (상천)획, ㅡ(지)획, ㅣ(인)획, (하천)획의 태핑, 드래그, 또는 핀칭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방법.
  5. 제 3항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적용한 한글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기기.
KR1020170020355A 2017-02-15 2017-02-15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 KR10194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55A KR101942764B1 (ko) 2017-02-15 2017-02-15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55A KR101942764B1 (ko) 2017-02-15 2017-02-15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61A KR20180094261A (ko) 2018-08-23
KR101942764B1 true KR101942764B1 (ko) 2019-01-28

Family

ID=6345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55A KR101942764B1 (ko) 2017-02-15 2017-02-15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7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61A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0224A (zh) 便携终端
JP2011520204A (ja) ユーザの入力をリアルタイムで予測する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KR101189112B1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5599909B2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
CN106201003B (zh) 一种基于触摸屏设备的虚拟键盘及其输入方法
KR101942764B1 (ko) 천지인천 모아 방식을 적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와 기기
WO2017086396A1 (ja) タッチ操作による文字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JP3197051U (ja) キー入力装置
KR102065532B1 (ko)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20120130491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110051321A (ko) 터치스크린 상의 입력효율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
CN107529084A (zh) 一种智能电视App键盘布局方法
KR10117172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357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55014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50066204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드래그 방식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101630689B1 (ko) 한글 입력기
JP2007323541A (ja) 5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