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772B1 -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 Google Patents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772B1
KR101941772B1 KR1020170053863A KR20170053863A KR101941772B1 KR 101941772 B1 KR101941772 B1 KR 101941772B1 KR 1020170053863 A KR1020170053863 A KR 1020170053863A KR 20170053863 A KR20170053863 A KR 20170053863A KR 101941772 B1 KR101941772 B1 KR 10194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composition
user
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999A (ko
Inventor
강호준
Original Assignee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7005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77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전극,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제1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고 가전장치의 수행에 대한 구동 정보를 제1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전송하는 장치 기능부, 그리고 상기 장치 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2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장치 기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정보를 수신하고, 제3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전장치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전극을 통해 체성분 측정을 수행하여 체성분 측정값을 상기 제3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로 전송하는 체성분 측정부를 포함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HOME APPLICAION DEVICE WITH MEASURING BODY COMPOSI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정수기, 비데기, 믹서기 등 식생활과 생리현상 등과 같이 체성분 측정결과에 영향을 주는 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가전장치가 댁내 또는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전장치로는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전기밥솥, 믹서기, 정수기, 비데기, 드라이기 등이 있다.
이러한 가전장치 중 냉장고, 전기밭솥, 믹서기, 정수기, 비데기 등은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제품으로, 음식이나 수분 섭취와 생리 현상에 관련된 제품이다. 가전장치는 개인의 식생활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으로, 가전장치의 사용 형태를 분석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개인의 식생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밥솥을 통해 얼마만큼의 량의 밥을 하고 전기밥솥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밥 소비패턴이 파악되며, 이러한 밥 소비패턴을 통해 체성분 측정 결과의 변화시 변화 요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믹서기의 경우에 얼마나 자주 사용하고 사용시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믹서기의 사용 패턴이 파악된다. 또한 정수기의 경우에 정수기의 사용횟수와 사용시마다 공급된 물의 량을 파악하면 사용자의 수분 섭취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비데기의 경우에는 하루 이용하는 횟수나 1회 이용시간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변비 여부나 장의 상태 등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에 내용물에 대한 식별과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다면 냉장고를 통해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개인별로 파악하여 소비 음식의 종류 및 섭취량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결국 음식이나 수분 및 배변 등에 관련된 가전제품의 사용 패턴 또는/및 사용량을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를 통해 자신의 몸의 변화를 준 요소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은 건강한 몸을 만들기 위해 운동이나 음식 등을 조절하고 있으며, 병원을 통해 건강진단을 받거나 각종 건강 측정 장치(예; 혈당 측정기, 혈압 측정기, 진통 측정기, 맥박수 측정기, 체성분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자신의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체성분 측정기를 구매하여 이용하거나 헬스장 등과 같이 체성분 측정기가 구비된 장소를 이용하는 등과 같이 비용이나 시간의 소비가 발생한다. 그리고 개인이 체성분 측정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체성분을 측정하고 체성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단지 몸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정도이지 어떠한 이유로 몸의 변화가 좋아지거나 나빠졌는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9528호(공개일. 2016.10.14.) 2. 등록특허공보 제10-0882420호(공개일. 2008.12.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성분 측정결과에 영향을 주는 가전장치에 체성분 측정기능을 추가하고 해당 가전제품의 사용패턴이나 사용량 등을 체성분 측정 결과의 변화 요소로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성분 측정 및 파악 기능을 이용하여 가전장치의 특성을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홈 IoT를 가능하게 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체성분 측정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체성분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를 제공한다. 이 가전장치는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전극,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제1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고 가전장치의 수행에 대한 구동 정보를 제1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전송하는 장치 기능부, 그리고 상기 장치 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2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장치 기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정보를 수신하고, 제3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전장치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전극을 통해 체성분 측정을 수행하여 체성분 측정값을 상기 제3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로 전송하는 체성분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성분 측정부는 상기 체성분 측정부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전원 보조부,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인체에 흐르는 전압 및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체성분 측정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3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모바일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제2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는 제2 내부 통신부, 그리고 상기 장치 기능부로부터 수신된 구동 정보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성분 측정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가전장치의 이용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이용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고, 설정된 이용조건을 초과하면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측정부는 해당 가전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파악하는 개인식별부와, 상기 개인식별부를 통해 한 명의 사용자가 식별되면, 이후 상기 장치 기능부를 통해 수신되는 구동 정보를 상기 개인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한 가전장치의 구동정보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정보분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보조부는 상기 체성분 측정부에 상용전원이 아닌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이거나, 상기 장치 기능부의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시 상기 장치 기능부의 전원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체성분 측정부에 인가되게 하고 설정전압 이상이 체성분 측정부로 인가되는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장치 기능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력패스를 차단하는 전원차단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에서 구동정보 정보는 해당 가전장치의 사용 이력 정보로서, 가전장치에 설치된 모터나 액츄에이터의 동작회전수(RPM), 동작시간, 동작횟수 등을 시간 또는 날짜를 기준으로 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해당 가전제품을 통해 체성분 측정을 함으로써 해당 가전제품을 통한 음식 섭취나 수분 섭취 또는 사용 패턴 또는 사용 시간 등이 체성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쉽게 분석하고, 사용자가 쉽게 체지방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성분 측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서 지원하는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해당 가전제품을 IoT 디바이스화하고, 그에 따라 홈 IoT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부와 장치 기능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는 체성분 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는 가전장치이다. 예컨대, 냉장고, 정수기, 믹서기 등 식생활과 관련된 가전제품이거나 비데기 등과 생리현상에 관련된 가전제품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내용물의 섭취가 체성분 측정결과에 영향을 주고, 정수기는 섭취 수분이 체성분 측정결과에 영향을 주며, 믹서기는 갈아 먹는 음식의 섭취가 체성분 측정결과에 영향을 준다.
한편, 모든 종류의 가전제품은 제품 생산 전에 누설전류 테스트와 내전압 테스트의 인증 절차를 거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또한 이러한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
내전압 테스트는 절연물에 220V 전압을 가한 후 점차 전압을 최대 1,000V까지 상승시켜 절연파괴를 일으키는지를 검사하며, 이때 절연 파괴가 일어나는 전압을 절연파괴전압이라 한다. 또 절연물이 어느 정도의 전압까지 절연이 파괴되지 않는지를 보증하는 값을 내전압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절연파괴 전압보다 낮은 전압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내전압 테스트시에 고전압을 가전장치에 인가하게 되는데, 체성분 측정모듈은 낮은 전압으로 구동되므로 고전압이 인가되면 파괴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내전압 테스트시 인가되는 고전압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체성분 측정 기능이 탑재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100)는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장치 기능부(120), 체성분 측정부(130) 및 복수의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장치 기능부(120)는 해당 가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가전장치가 믹서기인 경우이면 장치 기능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분쇄 기능을 수행하며, 정수기인 경우이면 사용자 입력부(110)에 따라 정수 또는 냉수 기능을 수행하여 정수 또는 냉수를 공급한다. 비데기인 경우이면 장치 기능부(120)는 세척, 비데, 건조 등의 비데 기능을 수행하고, 냉장고인 경우이면 각종 냉장 및 냉동 기능을 수행한다.
체성분 측정부(130)는 장치 기능부(12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장치 기능부(120)와 제1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모바일(200)과 제2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체성분 측정부(130)는 장치 기능부(120)와 독립적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내전압 테스트 및 누설전류 테스트시에 장치 기능부(120)에 대해서 테스트가 수행되게 하여 테스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체성분 측정부(130)는 장치 기능부(120)와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입력부(110)의 신호를 장치 기능부(120)를 통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 모바일(200)과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체성분 측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사용자 센체정보 즉, 사용자의 신장(키), 나이, 몸무게(체중), 성별 등을 사용자 모바일(200)로부터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사용자 입력수단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체성분 측정부(130)는 사용자 모바일(200)과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체성분 측정한 값을 사용자 모바일(200)에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 모바일(200)에서 체성분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체성분 분석을 통해 측정 결과를 산출하고, 산출한 결과를 모바일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가전장치(100)에 별도로 체성분 측정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되고, 체성분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프로그램)을 가전장치(100)에 탑재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체성분 측정부(130)는 장치 기능부(120)와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 및 사용자 모바일(200)과의 제2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장치 기능부(120)의 구동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모바일(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모바일(200)의 서비스 앱에서 장치 기능부(120)의 구동 정보를 기반으로 한 체성분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장치 기능부(120)의 구동 정보는 장치 기능부(120)의 사용 이력 정보로서, 모터나 액츄에이터 등의 구동장치의 동작회전수(RPM), 동작시간, 동작횟수 등을 시간 또는 날짜를 기준으로 한 정보이다.
가전장치(100)에서 측정한 체성분 측정값에 대한 측정결과는 사용자 모바일(200)을 통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사용자 모바일(200)에서 서비스 서버(300)로 제공되고 관리됨에 따라서 언제든지 자신의 체성분 측정결과를 확인하고 타인과의 비교 결과 또한 서비스 서버(300)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전극부(140)는 복수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각 전극은 가전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된다. 다만 정수기의 경우에 정수기 주변에서 사용자가 물을 이용함에 따라서 전극에 물이 묻을 확률이 높아지므로, 이러한 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에 홈을 형성하여 내측으로 전극이 설치되게 한다. 물론 홈의 외측에 가이드를 설치하여 손가락이 쉽게 인입될 수 있지만 물이 튀는 경우나 흘릴 경우에 가이드에 의해 내부의 전극으로 물이 닿지 않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전극부(140)를 이루는 복수의 전극의 개수는 체성분 측정부(130)에서 수행하는 체성분 측정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체성분 측정방식은 4점터치식 2전극법, 2점터치식 2전극법 및 4점터치식 4전극법 등이 있다.
한편, 사용자 모바일(200)은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프로그램 즉,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앱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를 통해 체성분 측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 앱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하게 하고, 가전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체성분 측정값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즉, 체지방률, 체지방량, 근육량, 체수분량 등)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기초대사량을 파악하고 화면상에 표시한다.
서비스 앱은 가전장치(100)로부터 가전장치(100)에 대한 구동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동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 원인을 분석한다. 예컨대, 서비스 앱은 이전에 측정한 체성분 측정 결과와 현재 측정한 체성분 측정 결과의 변화를 파악하고, 또한 이전에 체성분 측정시 수신된 구동정보와 현재 체성분 측정시 수신된 구동정보의 차이를 파악하고, 체성분 측정 결과의 변화와 구동정보의 차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필요시 해당 가전장치(100)의 좋은 사용 예를 처방한다.
정수기를 예를 들면, 현재 측정한 사용자의 체수분량이 정상치에서 떨어지고 구동정보의 차이 즉, 사용횟수나 사용시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정수기의 사용횟수나 사용량을 얼마 정도 더 늘여야 할 것을 안내한다.
비데기의 예를 들면, 현재 측정한 사용자의 체지방량이나 근육량 등의 체성분이 정상에서 벗어나고 있고, 하루 비데기의 사용 횟수가 설정횟수보다 적거나 설정횟수보다 많은 경우이면 건강 상태 점검을 알려 비데기의 사용횟수를 설정범위 내에서 이용하게 한다. 한편, 모바일(200)의 서비스 앱은 서비스 서버(300)로 가전장치(100)에 대한 체성분 측정 결과를 제공하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보다 정밀한 분석 및 타인과의 비교 분석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10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와 전반적으로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가 장치 기능부(120)를 위한 제1 사용자 입력부(111)와, 체성분 측정부(130)를 위한 제2 사용자 입력부(112)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이 제1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112)는 체성분 측정부(130)에 별도의 전원부가 구비된 경우이면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체성분 측정부(130)가 해당 장치의 사용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를 감시하거나 해당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를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이면 경고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부와 장치 기능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부와 장치 기능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장치 기능부(120)는 전원부(121), 제1 내부 통신부(122), 제1 제어부(123), 구동부(124), 구동정보 파악부(125) 및 디스플레이부(126)를 포함한다.
전원부(121)는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장치 기능부(120)의 각 구성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제1 내부 통신부(122)는 적외선 통신, 포토 커플러를 통한 광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되며 체성분 측정부(13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제1 제어부(123)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파악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장치 기능부(120)의 각 구성을 제어하며, 체성분 측정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인 경우에 제1 내부 통신부(122)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체성분 측정부(130)에 제공한다.
구동부(124)는 제1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믹서기인 경우에 구동부(124)는 모터 드라이버 및 모터를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분쇄 동작을 수행하며, 정수기인 경우에 구동부(124)는 드라이버 및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버튼 입력 또는 취수코크의 동작)에 대응하는 물 공급 동작을 수행한다.
구동정보 파악부(125)는 구동부(124)의 구동 정보(즉, 사용 이력 정보)를 파악한다. 예컨대, 구동정보 파악부(125)는 모터나 액츄에이터 등의 구동장치의 동작회전수(RPM), 동작시간, 동작횟수 등을 시간 또는 날짜를 기준으로 파악하고 이를 구동 정보로 체성분 측정부(13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26)는 전원 온/오프나 구동부(124) 또는 체성분 측정부(130)의 동작 여부나 동작모드 등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체성분 측정부(130)는 전원 보조부(131), 측정부(132), 제2 제어부(133), 제2 내부 통신부(134), 근거리 통신부(135), 저장부(136), 설정부(137) 및 경고부(138)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부(137) 및 경고부(138)는 경우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전원 보조부(131)는 장치 기능부(120)와 독립적인 전원부를 가지는 경우 즉, 장치 기능부(120)의 전원부(121)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이면 전원공급부로서 기능을 한다. 이때 전원공급부인 전원 보조부(131)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장치 기능부(120)의 전원부(121)를 이용하는 경우이면 전원 보조부(131)는 휴즈(fuse) 등과 같이 설정전압 이상이 체성분 측정부(130)로 인가되는 경우에 동작하여 체성분 측정부(130)와 장치 기능부(120)의 전원부(121)와의 전력패스를 차단하는 전원차단부의 기능을 한다.
측정부(132)는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부(132)의 측정 방식이 4점터치식 4전극법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면, 측정부(132)는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게 하여 전압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극신호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양손의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4개의 극판을 터치하고, 측정부(120)는 전극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압 및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출력되는 전극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lifier) 및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er)가 측정부(120)에 부가 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33)는 체성분 측정부(13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부(135)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200)과 통신하게 하고,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근거리 통신부(135)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200)에 제공한다. 또한 제2 제어부(133)는 제2 내부 통신부(134)를 통해 장치 기능부(120)의 제1 내부 통신부(122)와 통신하게 하고 장치 기능부(120)로부터 구동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136)에 저장한 후 체성분 측정값과 함께 사용자 모바일(200)에 제공한다.
제2 내부 통신부(134)는 적외선 통신, 포토 커플러를 통한 광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되며 장치 기능부(120)의 제1 내부 통신부(122)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35)는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모바일(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36)는 장치 기능부(120)로부터 수신된 구동정보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설정부(137)는 사용자가 서비스 앱을 통해 가전장치(100)에 대한 이용조건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근거리 통신부(135)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가전장치(100)의 이용조건을 설정한다. 상기 이용조건은 해당 가전장치(100)의 사용횟수, 총 사용시간, 일회 사용시간, 미사용 기간 등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설정부(137)는 이용조건이 설정되면 제1 내부 통신부(122)를 통해 수신되는 구동정보를 통해 사용횟수, 총 사용시간, 일회 사용시간, 일일 사용시간 등을 파악하고 설정된 이용조건을 초과하면 경고부(138)를 통해 경고한다. 한편, 이용조건이 미사용 기간인 경우에 설정부(137)는 구동정보를 통해 해당 가전장치의 사용을 파악하면 이때부터 시간 카운트를 하여 설정된 미사용 기간과 비교하고 비교를 통해 미사용 시간이 설정된 미사용 기간을 초과하면 경고부(138)를 통해 경고한다.
경고부(138)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LED 표시등을 통해 경고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200)은 서비스 앱을 구동시키고(S401), 서비스 앱은 사용자의 연결 요청(S402), 또는 디폴트된 설정에 따라 체성분 측정부(130)의 근거리 통신부(135)에 연결한다(S403).
그리고 서비스 앱은 초기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초기 화면을 통해 이용조건 입력 항목을 선택한 후 이용조건 입력화면을 통해 가전장치(100)의 이용조건을 입력하고(S404), 서비스 앱은 입력된 이용조건을 체성분 측정부(130)의 설정부(137)에 등록되게 한다(S405).
이렇게 설정부(137)에 이용조건이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게 하고 사용메뉴를 선택한 후 가전장치(100)의 동작을 지시한다. 이에 가전장치(100)의 장치 기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고(S406), 사용자가 동작 중지 지시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동작을 중지한다(S407).
동작이 중지되면, 구동정보 파악부(126)에서는 동작 시작시간, 동작 중지시간 및 동작 시작부터 동작 중지까지의 사용시간을 파악하고, 이때의 모터 회전수 등을 파악하여 구동정보를 생성하고(S408), 생성한 구동정보를 적외선 통신 또는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체성분 측정부(130)에 제공한다(S409).
체성분 측정부(130)는 장치 기능부(120)로부터 구동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고(S410), 설정부(137)를 통해 구동정보를 통해 파악된 해당 가전장치의 이용 상태를 이용조건과 비교하여 이용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파악한다(S411).
만약, 이용조건이 하루 최소 3회라고 설정되어 있고 현재 사용이 하루 중 사용회수가 1회이면 체성분 측정부(130)는 이용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S412), "하루 3회 중 1회 이용하여 2회 이상 이용하여야 함" 을 알리는 내용을 사용자 모바일(200)에 전송한다(S414).
다른 예로, 이용조건이 하루 3회 미만이라고 설정되어 있고, 현재 사용이 하루 중 사용회수가 3회이면 체성분 측정부(130)는 이용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S412), "3회 이상 사용 초과" 를 알리는 내용을 사용자 모바일(200)에 전송한다. 물론 이용조건이 미사용 기간인 경우이면 체성분 측정부(130)는 구동정보의 수신 이벤트에 관계없이 항시 장치의 미사용 시간(기간)을 파악하여 이용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구동정보에 따른 장치의 사용이 이용조건을 만족하면 체성분 측정부(130)는 다음 이벤트가 발생될 때까지 대기한다(S415).
사용자는 해당 가전장치(100)를 통해 체성분 측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이면,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 신체정보를 입력한다(S416). 그런 다음 사용자는 해당 가전장치(100)에 설치된 각 전극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체성분 측정부(130)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전류를 흘려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는 전압 및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을 한다(S417).
체성분 측정부(130)는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는 전압 및 임피던스를 파악하면(S418), 파악한 측정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사용자 모바일(200)에 제공하고(S419), 또한 저장되어 있는 구동정보를 사용자 모바일(200)에 제공한다(S420). 이때 제공되는 구동정보는 이전 체성분 측정시점부터 현재 체성분 측정시점까지의 구동정보 및 구동정보를 통해 파악한 가전장치의 사용정보이다.
서비스 앱은 체성분 측정정보와 구동정보(및 사용정보)를 수신하면 체성분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체성분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지방량, 체지방률, 체수분량 및 기초대사량을 파악한다(S421).
그리고 서비스 앱은 수신된 구동정보(및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기간 동안의 사용회수(예; 일일 사용회수, 일주일 사용회수 등)와 설정기간 동안의 사용시간(예: 일일 사용시간, 일주일 사용시간 등) 등을 파악한다(S422).
그런 다음 서비스 앱은 현재의 사용자의 체성분과 이전 파악한 사용자의 체성분의 변화(차이)를 파악하고, 가전장치에 대해 이전의 가전장치의 사용정보와 현재의 가전장치의 사용정보를 비교하여 차이를 파악한 후, 사용자의 체성분 변화와 가전장치의 사용정보의 차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전장치의 사용에 따른 체성분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체성분 측정부(130)와 장치 기능부(120)로 구성되나, 체성분 측정부(130)의 구성이 제1 및 제2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에서 체성분 측정부(130)는 전원 보조부(131), 측정부(132), 제2 제어부(133), 제2 내부 통신부(134), 근거리 통신부(135), 저장부(136), 개인식별부(137a) 및 정보분류부(138a)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성인 설정부(137) 및 경고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부(130)는 개인식별부(137a) 및 정보분류부(138a)를 구성으로 하는 것이 제1 및 제2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개인 식별부(137a)는 해당 가전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모바일을 식별한다. 개인식별부(137a)를 통해 등록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는 전화번호이거나 블루투스 모듈의 고유정보, NFC 태그 정보 등 중 하나이다.
정보분류부(138a)는 개인식별부(137a)를 통해 한 명의 사용자가 식별되면, 이후 장치 기능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구동정보를 개인식별부(137a)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의 가전장치 사용정보로 분류하여 등록한다.
이렇게 개인식별부(137a) 및 정보분류부(138a)를 구성으로 하면, 혼자서 해당 가전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한, 여러 사람이 하나의 가전장치(100)를 이용할 때에 어떠한 사람이 가전장치(100)를 사용하는지를 구분함으로써 각 개인별로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 체성분 측정결과에 미치는 가전장치의 사용정보를 파악하고 처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가전장치 200 : 모바일
300 : 서비스 서버 110, 111, 112 : 사용자 입력부
120 : 장치 기능부 130 : 체성분 측정부
140 : 전극부 121 : 전원부
122 : 제1 내부 통신부 123 : 제1 제어부
124 : 구동부 125 : 구동정보 파악부
126 : 디스플레이부 131 : 전원 보조부
132 : 측정부 133 : 제2 제어부
134 : 제2 내부 통신부 135 : 근거리 통신부
136 : 저장부 137 : 설정부
138 : 경고부 137a : 개인식별부
138a : 정보분류부

Claims (6)

  1. 체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전극,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
    제1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전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고 가전장치의 수행에 대한 구동 정보를 제1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전송하는 장치 기능부, 그리고
    상기 장치 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2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장치 기능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구동 정보를 수신하고, 제3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며 해당 가전장치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전극을 통해 체성분 측정을 수행하여 체성분 측정값을 상기 제3 무선통신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로 전송하는 체성분 측정부
    를 포함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체성분 측정부는
    상기 체성분 측정부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전원 보조부,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인체에 흐르는 전압 및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체성분 측정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상기 제3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모바일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제2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는 제2 내부 통신부, 그리고
    상기 장치 기능부로부터 수신된 구동 정보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체성분 측정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가전장치의 이용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이용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파악하고, 설정된 이용조건을 초과하면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체성분 측정부는
    해당 가전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파악하는 개인식별부와,
    상기 개인식별부를 통해 한 명의 사용자가 식별되면, 이후 상기 장치 기능부를 통해 수신되는 구동 정보를 상기 개인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한 가전장치의 구동정보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정보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053863A 2017-04-26 2017-04-26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KR10194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63A KR101941772B1 (ko) 2017-04-26 2017-04-26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863A KR101941772B1 (ko) 2017-04-26 2017-04-26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99A KR20180119999A (ko) 2018-11-05
KR101941772B1 true KR101941772B1 (ko) 2019-01-23

Family

ID=6432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863A KR101941772B1 (ko) 2017-04-26 2017-04-26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7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650B1 (ko) 2015-09-24 2016-10-14 김철곤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776A (ko) * 2003-10-07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체지방 측정 전자기기,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KR100882420B1 (ko) 2007-06-05 2009-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체수분량 측정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101765664B1 (ko) * 2010-06-30 2017-08-08 코웨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식 비데, 이를 포함한 비데 사용 시스템 및 이의 비데 제어 방법
KR102212064B1 (ko) * 2013-12-06 2021-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에 의해 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냉장고
KR102023081B1 (ko) 2015-04-06 2019-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650B1 (ko) 2015-09-24 2016-10-14 김철곤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99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0508B (zh) 化身电冰箱
TW201413201A (zh) 冰箱
KR101141251B1 (ko) 만보기 기능을 가지는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
US20090021380A1 (en) Status communication device
JP2015150153A (ja) 身体変化評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12209A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857796A1 (en) Portable test apparatus for radiation-sensing thermometer
KR101941772B1 (ko)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US20060122579A1 (en)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stored treatment protocols, and associated method
CN110988321B (zh) 一种手持式凝血分析系统的检测方法及凝血分析控制方法
KR20170068588A (ko) 터치 감응형 조작자 제어 장치를 장착한 가전 기기, 그리고 가전 기기의 작동 방법
US20200305774A1 (en) Apparatus for diagnosis of diabetic foot
CN205729331U (zh) 号脉仪控制电路、智能号脉仪、智能手环及移动终端
TW201528638A (zh) 電力插座以及電器事件偵測方法
JP2012055564A (ja)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CN104792977A (zh) 一种便携式移动医用测试系统及方法
US20130131462A1 (en) Device for modular analysis
JP6424387B2 (ja) 脂肪燃焼量提示装置、脂肪燃焼量提示方法、及び、脂肪燃焼量提示プログラム
WO2020035038A1 (zh) 血氧仪
CN109916441B (zh) 用于家用电器的测试方法和测试系统
CN105708424A (zh) 号脉仪控制电路、智能号脉仪、智能手环及移动终端
CN205994200U (zh) 智能勺子
KR20050105783A (ko) 휴대폰을 이용한 체지방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지방측정방법
KR20020006353A (ko) 가정용 의료 측정단말기
US20240180442A1 (en) Pocket equipment for perform bioimpedentiometries a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