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650B1 -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650B1
KR101666650B1 KR1020150135131A KR20150135131A KR101666650B1 KR 101666650 B1 KR101666650 B1 KR 101666650B1 KR 1020150135131 A KR1020150135131 A KR 1020150135131A KR 20150135131 A KR20150135131 A KR 20150135131A KR 101666650 B1 KR101666650 B1 KR 10166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urine
bidet
urine test
bod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곤
Original Assignee
김철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곤 filed Critical 김철곤
Priority to KR102015013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비데를 이용하여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어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은 소변검사노즐 및 체성분측정센서가 구비된 비데; 및 상기 비데와 연결되며, 상기 비데로부터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AND URINE EXAMINATION SYSTEM USING SMART BIDET}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를 이용하여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비데는 비데, 세정, 건조 등의 용변 후 처리 기능에만 한계가 있다. 또한, 체성분 측정기를 이용하기 위해선 병원이나 휘트니스 센터 등 체성분 측정 시스템이 설치가 되어져 있는 장소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며, 소변검사 또한 소변 검사지는 저렴하게 약국 등에서 구매할 수 있지만 측정 결과는 전문가에게나 결과 분석 기계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알 수가 있다. 이는 젊은 사람들에게는 불필요한 시간 낭비이며 나이든 사람들에게는 큰 불편함이다.
위와 같은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소하기 위해 소변검사 기능이 비데에 결합된 발명이 출원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소변검사 기능이 구비된 비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종래의 소변검사 기능이 구비된 비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소변검사 기능이 구비된 비데는 소변감지센서(1), 제어부(2) 및 디스플레이(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소변감지센서(1)에 사용자의 소변이 묻으면 제어부(2)의 자가진단기능부(2a), 당뇨측정기구(2b), 단백뇨측정기구(2c)가 소변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3)를 통해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변검사 기능이 구비된 비데는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한 자리에서만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는 소변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없으며, 소변검사 결과 이외에 다른 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변검사 결과만 확인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17523 B1 (2008. 03. 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거리에서 소변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소변검사 결과 이외에도 체성분까지 측정하여 원거리에서도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은 소변검사노즐 및 체성분측정센서가 구비된 비데; 및 상기 비데와 연결되며, 상기 비데로부터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소변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소변검사 결과 이외에도 체성분까지 측정하여 원거리에서도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종래의 소변 검사 기능이 구비된 비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구성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은 소변검사노즐(30) 및 체성분측정센서(35)가 구비된 비데(100); 비데(100)와 연결되며, 비데(100)로부터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은 비데(100)와 스마트기기(2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비데(100)는 소변검사노즐(30)와 체성분측정센서(35)를 구비하는데, 소변검사노즐(30)에 화학적 검사에 사용되는 소변검사지(요지시험봉)과 같은 테스트 스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테스트 스틱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다음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소변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체성분측정센서(35)는 비데(100)의 날개 부위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비데(100)에 앉았을 때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체성분의 측정은 전기 저항 값으로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200)는 유선과 무선으로 모두 연결될 수 있는데,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USB케이블과 같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블루투스, Wi-Fi, NFC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200)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소변검사를 분석하고, 체성분측정 결과를 분석하며, 스마트기기(200)가 분석한 결과(검사 결과)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기기(200) 통해 자신의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200)는 비데(100) 또는 비데(100) 근처에 거치대가 설치된 다음 거치대에 놓여질 수 있고, 비데(100) 옆의 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기기(200)가 네트워크(300)에 연결되고 비데(100)역시 네트워크(300)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기기(200)를 통해 자신의 소변검사 결과와 체성분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평소에 비데(100)를 사용하면서 소변검사와 체지방측정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소변검사 및 체지방측정 결과가 비데(100)에 연결된 스마트기기(200)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장소나 시간에 전혀 구속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기기(200)에 저장된 자신의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소변검사 및 체지방측정 결과가 비데(100)에 연결된 스마트기기(200)에 저장되기 때문에 과거의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 결과도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을 응용하여 별도의 서비스제공자가 비데(100)의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에 서비스제공자(서버)가 연결되고, 사용자의 비데(100)로부터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전송받고, 서비스제공자가 이를 더욱 정확하고 심도있게 분석하여 사용자의 스마트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마트기기(200)를 통해 더욱 정확하고 심도있는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의 분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서비스제공자는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 결과를 전송받고, 이에 대한 건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한결 효율적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의 비데(100)는 청결 유지 및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비데(100)는 카트리지(10); 솔레노이드 피딩 유닛(20); 소변검사노즐(30); 제1 모터(40); 제2 모터(50); 카메라(60) 및 수거함(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90)이 형성되고, 케이싱(90) 내부에 각 구성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는데, 케이싱(90)의 형태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10)는 테스트 스틱(11)이 보관되는 구성요소로서, 소변검사노즐(30)에 테스트 스틱(11)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싱(90)의 상면에 형성된 카트리지 출입구(91)를 통해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10)의 하부 일면에는 배출구(12)가 형성되고, 배출구(12)를 통해 테스트 스틱(11)이 배출됨으로써 소변검사노즐(30)에 테스트 스틱(11)이 공급된다. 테스트 스틱(11)은 소변 검사를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소변 검사(특히 화학적 검사)에서 사용되는 요지 시험봉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스틱(11)은 소변이 묻으면 색깔이 변하게 되는데, 변화된 색깔에 따라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피딩 유닛(20)은 카트리지(10)의 하부 타면{배출구(12)가 형성된 반대편}에 형성되어 배출구(12)를 통해 테스트 스틱(11)이 하나씩 배출되도록 동작한다.
소변검사노즐(30)은 일반적인 비데의 노즐과 같이 세정수를 공급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원통형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통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소변검사노즐(30)의 상단(도면을 기준으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안착홈(31)에 테스트 스틱(11)이 안착된다.
또한 소변검사노즐(30)의 상단과 하단에 대칭하여 안착홈(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변검사노즐(3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모터(50)에 의해 180°씩 회전할 수 있는데, 상단의 안착홈(31)이 하단으로 이동하고, 하단의 안착홈(31)이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단의 안착홈(31)에 테스트 스틱(11)이 안착되는 경우 소변검사노즐(30)이 180°회전하게 되면 테스트 스틱(11)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비어있는 상단의 안착홈(31)에 테스트 스틱(11)을 새로이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번 사용된 테스트 스틱(11)은 버리고 새로운 테스트 스틱(11)을 공급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소변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변검사노즐(30)의 전단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모듈이 설치되어 일반 비데처럼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모터(40)는 소변검사노즐(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소변검사노즐(30)이 전·후진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모터(40)가 소변검사노즐(30)의 후단(도면을 기준으로)에 연결되고, 소변검사노즐(30)이 전면 방향(도면을 기준으로)으로 전·후진 동작할 수 있다. 안착홈(31)에 테스트 스틱(11)이 있을 때, 소변검사노즐(30)이 전면 방향으로 전진하면 테스트 스틱(11)이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소변을 보면 사용자의 소변이 테스트 스틱(11)에 묻게 된다.
제2 모터(50)는 소변검사노즐(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소변검사노즐(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부터(50)가 소변검사노즐(30)의 후단에 연결되고, 제2 모터(50)가 구동됨에 따라 소변검사노즐(30)이 회전할 수 있다.
카메라(60)는 소변검사노즐(30)의 상단에 설치되어 테스트 스틱(11)을 촬영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안착홈(31)의 상단에서 테스트 스틱(11)의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소변검사노즐(30)이 한번 전진되었다 후진한 경우(소변이 묻은 경우)에 테스트 스틱(11)을 촬영하여 테스트 스틱(11)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카메라(60)를 통해 소변이 묻은 상태의 테스트 스틱(11)의 이미지{색깔이 변한 상태의 테스트 스틱(11)의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롭게 테스트 스틱(11)을 직접 꺼내보지 않아도 된다.
앞서 언급한 종래의 소변 검사 기능이 구비된 비데의 경우 세정수 분사용 헤드에 소변 감지센서가 형성되기 때문에 소변이 세정수 분사용 헤드에 묻고,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멍에 묻어 구멍 내부로 소변이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수를 세척용으로 분사하면서 청결을 유지할 수는 있으나 물의 낭비가 심해지고, 세정수를 세척용으로 분사한다고 하더라도 소변 감지센서에 묻은 소변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소변 감지센서에 묻은 소변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으면 다음의 검사 결과가 전혀 다르게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비데(100)는 테스트 스틱(11)이 세정수가 분사되는 곳이 아닌 소변검사노즐(30)의 기둥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세정수가 분사되는 구멍에 소변이 묻지 않게 되고, 한번 사용된 테스트 스틱(11)은 버리고, 다음에는 새로운 테스트 스틱(11)을 사용함으로써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수거함(70)은 소변검사노즐(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소변검사노즐(30)이 회전함에 따라 떨어지는 테스트 스틱(11)을 수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거함(7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90)의 하단에 설치되고, 서랍처럼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10: 카트리지 11: 테스트 스틱
12: 배출구 20: 솔레노이드 피딩 유닛
30: 소변검사노즐 31: 안착홈
35: 체성분측정센서 40: 제1 모터
50: 제2 모터 60: 카메라
70: 수거함 90: 케이싱
91: 카트리지 출입구 100: 비데
200: 스마트기기 300: 네트워크

Claims (3)

  1. 비데(100); 및
    상기 비데(100)와 연결되는 스마트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데(100)는,
    소변 검사용 테스트 스틱(11)이 보관되고, 하부에 상기 테스트 스틱(11)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는 카트리지(10);
    상기 카트리지(10)에 설치되어 상기 테스트 스틱(11)이 하나씩 배출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피딩 유닛(20);
    세정수를 공급하고, 상단과 하단에 대칭되도록 안착홈(31)이 형성되는 소변검사노즐(30);
    날개 부위에 설치되는 체성분측정센서(35);
    상기 소변검사노즐(30)을 전·후진 동작시키는 제1 모터(40);
    상기 소변검사노즐(30)을 회전 동작시키는 제2 모터(50);
    상기 노즐(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테스트 스틱(11)을 촬영하는 카메라(60) 및
    상기 소변검사노즐(30)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테스트 스틱(11)을 수거하는 수거함(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소변검사노즐(30)은 회전됨에 따라 하나의 안착홈(31)에 위치된 상기 테스트 스틱(11)이 상기 수거함(70)으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의 안착홈(31)에 상기 카트리지(10)로부터 상기 테스트 스틱(11)이 공급되며,
    상기 카메라(60)가 상기 테스트 스틱(11)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체성분측정센서(35)의 측정결과와 함께 스마트기기(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데(100)와 상기 스마트기기(2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200)는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KR1020150135131A 2015-09-24 2015-09-24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KR10166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31A KR101666650B1 (ko) 2015-09-24 2015-09-24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131A KR101666650B1 (ko) 2015-09-24 2015-09-24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650B1 true KR101666650B1 (ko) 2016-10-14

Family

ID=5715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131A KR101666650B1 (ko) 2015-09-24 2015-09-24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6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2163A (zh) * 2018-01-18 2018-06-29 徐道胜 人体暗洗净机
KR20180119999A (ko) * 2017-04-26 2018-11-05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KR20190051531A (ko) 2017-11-07 2019-05-15 신태선 건강관리 기반의 스마트 비데
KR20190114132A (ko) 2018-03-29 2019-10-10 권동혁 대소변 분석을 이용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19475A (ko) 2019-04-10 2020-10-20 이승희 건강 진단용 스마트 시스템
KR20210044447A (ko) 2019-10-15 2021-04-23 신태선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23B1 (ko) 2007-01-15 2008-03-31 배행도 소변검사기능이 구비된 비데
KR20120020873A (ko) * 2010-08-31 2012-03-08 신연철 스마트 헬스케어용 변기 시스템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23B1 (ko) 2007-01-15 2008-03-31 배행도 소변검사기능이 구비된 비데
KR20120020873A (ko) * 2010-08-31 2012-03-08 신연철 스마트 헬스케어용 변기 시스템
KR20130016995A (ko) * 2011-08-09 2013-02-19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999A (ko) * 2017-04-26 2018-11-05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KR101941772B1 (ko) 2017-04-26 2019-01-23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측정 기능을 가진 가전장치
KR20190051531A (ko) 2017-11-07 2019-05-15 신태선 건강관리 기반의 스마트 비데
CN108222163A (zh) * 2018-01-18 2018-06-29 徐道胜 人体暗洗净机
KR20190114132A (ko) 2018-03-29 2019-10-10 권동혁 대소변 분석을 이용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19475A (ko) 2019-04-10 2020-10-20 이승희 건강 진단용 스마트 시스템
KR102269423B1 (ko) * 2019-04-10 2021-06-25 이승희 건강 진단용 스마트 시스템
KR20210044447A (ko) 2019-10-15 2021-04-23 신태선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650B1 (ko)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US9757097B2 (en) Urine specimen capture device with a capture flange
EP333145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bilen analyse von exkrementen in der toilette
US9927302B1 (en) In-toilet apparatus for discrimination of urine and feces
US9775586B2 (en) Urine hat flush water capture device
KR102081755B1 (ko) 소변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JP2007252805A (ja) データ検出装置及びデータ検出方法
US20150342575A1 (en) Urine specimen capture slit
KR101159273B1 (ko) 스트립 수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소변검사장치
CN215415008U (zh) 一种具有获取值的设备的马桶圈
JP7414279B2 (ja) 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ーおよびシステム
JP2017106199A (ja) 生体情報収集装置
JP2018143269A (ja) 便座装置
JP6627650B2 (ja) 尿量計測装置および尿量計測方法
WO2021247865A1 (en) Toilet, testing, and monitoring systems
CN108992018A (zh) 内窥镜的控制装置、内窥镜的维护支持方法及内窥镜的维护支持程序
KR102225262B1 (ko) 대소변 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Volkow et al. Sensitivity of measurements of regional brain activation with oxygen-15-water and PET to time of stimulation and period of image reconstruction
KR20170036229A (ko) 비데의 소변 검사 노즐 구동 장치
WO2020079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weat excretion rate of a user
US20230190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urination using wearable device
DE102006027016A1 (de) Knochendichtemesssystem zur öffentlichen Verwendung
US20170135677A1 (en) In situ specimen collection receptacle
KR20220086389A (ko) 소변검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330791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