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447A -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447A
KR20210044447A KR1020190127614A KR20190127614A KR20210044447A KR 20210044447 A KR20210044447 A KR 20210044447A KR 1020190127614 A KR1020190127614 A KR 1020190127614A KR 20190127614 A KR20190127614 A KR 20190127614A KR 20210044447 A KR20210044447 A KR 2021004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gas
ppm
health chec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600B1 (ko
Inventor
신태선
Original Assignee
신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선 filed Critical 신태선
Priority to KR102019012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은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이로부터 확인되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여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 뿐만 아니라,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까지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다수의 건강체킹 대상자 인식을 바탕으로 용변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 축적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개개인의 맞춤형 건강 생활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적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Healthcare Bidet for Health Check and Drive N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헬스케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설정된 다수의 건강체킹 대상자에 대하여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도 또한 매우 높고 이와 관련한 일상속 헬스케어기구 또는 다양한 관련 서비스들이 속속 연구·개발 및 실전에서도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건강 및 질병과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의식적으로 병원을 찾아 혈압측정, 심전도검사, 산소포화도측정 등 다양한 검사를 하는 것으로부터 가능하지만, 바쁜 일상에서 쉽지가 않는 일이며 차일피일 미루는 과정에서 시기(질병조기발견시기)를 놓쳐 돌이길 수 없는 안타까운 결과를 낳는 경우가 예상 외로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람의 몸은 외부로부터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최대 면역기관이며, 면역체계 전체의 70%가 대장에 집중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곳은 외부에서 침입해 오는 각종 유해균들과 싸우는 장소이므로 신체 컨디션에 따라 용변의 모양, 색상, 냄새가 달라진다. 근래들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양변기에 건강관리 기능을 접목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66650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94632호(선행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12559호(선행문헌 3)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소변검사노즐 및 체성분측정센서가 구비된 비데; 및 상기 비데와 연결되며, 상기 비데로부터 소변검사 결과 및 체성분측정결과를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행문헌 2는 체중을 검출하는 발판부; 체중측정센서가 장착되며, 심전도 전극들 및 허벅지 체임피던스 측정전극들이 장착되는 변좌부; 손가락 삽입형측정기가 장착되며, 팔목이 닿는 부분에 팔목 심전도 전극 및 팔목 체임피던스 측정전극이 장착되는 상완거치부;를 구비한다.
선행문헌 3은 소변을 채집하고 성분을 분석하여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소변 분석부; 대변을 채집하고 성분을 분석하여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대변 분석부; 가스수집장치로 수집된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여 식습관을 판단하는 방귀 분석부; 및 소변/대변/방귀 분석부의 판단결과가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양변기를 통하여 어느 정도 사용자 건강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지만, 용변과 관련된 정보 수집의 정확성과 데이터 관리의 유용성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크다.
한편, 비데(bidet)는 위생도기(衛生陶器)로부터 점차 변형되어 현재는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주위를 세척하는데 쓰이는 것으로 본체, 좌대 그리고 세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의 상부에 일체 또는 별도로 설치되어 용변 후 상기한 세척부에서 물이나 세척액 등을 인체의 일부인 항문부위에 분사(세척)하여 사용자에게 위생신뢰도를 높여주는 기구로, 현재 국내의 보급률이 60% 이상 (연간 120만개) 이고 지속적으로 그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는 등 너무 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결국 이들은 인체의 생리적 특성(모든 사람은 소변과 대변을 보게됨)상 최소 하루에 1회이상은 무의식 중에 당연히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생활의 필수기구다.
종전까지만 해도 이러한 비데는 소변 및 대변을 해결하기 위한 단순 위생기구로서 사용하는 것에 불과하였으나, 건강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는 최근에는 이를 활용한 질병 및 건강체크를 위한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비약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데를 적용하는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 관련기술들의 수준이 극히 초기단계로 의미있는 실전적 사용에는 어느한계가 있고 건강 및 질병조기 예측 및 분석에 관한 기술 및 기구학적 요소들과 비데와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있어서 매우 취약한 실정이라 이 분야의 더 높은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진보된 새로운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 제1666650호 한국특허 등록번호 : 제0894632호 한국특허 등록번호 : 제1312559호 한국특허 공개번호 : 제10-2018-0013428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다수의 건강체킹 대상자 인식을 바탕으로 용변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 축적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개개인의 맞춤형 건강 생활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건강체킹 대상자의 용변로부터 확인되는 가스(대변냄새)를 성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성인병을 위주로 각기 달리 내부 셋팅해 놓은 다양한 수치(ex :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고지혈 수치, 체지방 수치, 비만 수치 등)를 용변시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즉각 보여줌으로써,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상시 건강체크에 따른 예방과 진료에 만전을 다하도록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이로부터 확인되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여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 뿐만 아니라,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까지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자신의 병명을 정확히 인지 및 파악해 그에 맞는 약과 처방 및 조기진단에 따른 경과수술 및 빠른 수술 대처에 입해 국민건강 증진 및 건강한 복지국가 건설에 크게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상기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측정 센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로부터 계측된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해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와 1:1 매칭되는 건강상태 레벨을 안내해 주는 연산 제어부; 및 상기 연산 제어부로부터 표출된 상기 건강상태 레벨에 속한 다수의 병명을 표시해 주고, 상기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을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소유한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공시해 주며, 상기 다수의 병명 중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이 상기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미리 체크됨을 확인할 시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의 구동방법은, 가스측정 센서가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상기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연산 제어부가 상기 가스측정 센서로부터 계측된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해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와 1:1 매칭되는 건강상태 레벨을 안내해 주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연산 제어부로부터 표출된 상기 건강상태 레벨에 속한 다수의 병명을 표시해 주고, 상기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을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소유한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공시해 주며, 상기 다수의 병명 중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이 상기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미리 체크됨을 확인할 시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해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건강체킹 대상자 인식을 바탕으로 용변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고 축적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개개인의 맞춤형 건강 생활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적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제 1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체킹 대상자의 용변로부터 확인되는 가스(대변냄새)를 성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성인병을 위주로 각기 달리 내부 셋팅해 놓은 다양한 수치(ex :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고지혈 수치, 체지방 수치, 비만 수치 등)를 용변시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즉각 보여줌으로써,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와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상시 건강체크에 따른 예방과 진료에 만전을 다하도록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도움을 주는 제 2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이로부터 확인되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여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 뿐만 아니라,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까지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자신의 병명을 정확히 인지 및 파악해 그에 맞는 약과 처방 및 조기진단에 따른 경과수술 및 빠른 수술 대처에 입해 국민건강 증진 및 건강한 복지국가 건설에 크게 이바지하는 제 3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를 도시한 기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를 도시한 전체 블록도이다.
도 3는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의 실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의 주요부를 나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1000)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이로부터 확인되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여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 뿐만 아니라,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까지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 가스측정 센서(24), 연산 제어부(51), 디스플레이부(50),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 데이터베이스부(400) 및 클라우드 서버(500)를 포함한다.
먼저, 가스측정 센서(24)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한다.
연산 제어부(51)는 가스측정 센서(24)로부터 계측된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해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와 1:1 매칭되는 건강상태 레벨을 안내해 준다.
디스플레이부(50)는 연산 제어부(51)로부터 표출된 건강상태 레벨에 속한 다수의 병명을 표시해 주고,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을 건강체킹 대상자가 소유한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공시해 준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0)는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이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미리 체크됨을 확인할 시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해 준다.
더 나아가, 연산 제어부(51)는 건강체킹 대상자을 대상으로 체킹 및 일/주/월/년 별로 누적된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임시 저장케 함과 동시에 클라우드 통신망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서버(500)에 자동 업로딩시킨다.
즉, 본 발명의 추가 구성인 클라우드 서버(50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클라우드 통신망을 거쳐 전달된 누적된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호출해 일/주/월/년별로 구분 도식화해 생성시킨 건강상태 누적확인 그래프와, 정상, 비정상, 매우 비정상 중 선택된 하나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확인해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에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인체 분출가스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스카톨 또는 아민을 포함하는 성분이며, 인체 분비물 가스는 황화수소, 스카톨, 인돌 또는 메르캅탄을 포함하는 성분임에 유의한다.
또한, 스카톨은 질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가스를 포함하는 성분이고, 아민은 암모니아의 수소 원자를 탄화수소 잔기 R로 치환한 화합물이고, 인돌은 콜타르, 재스민이 속하는 식물성 향유와 썩은 단백질 및 포유류의 배설물 속에 존재하는 성분이고, 메르캅탄은 썩은 달걀 특유의 냄새가 나는 가연성 독성 가스임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가스측정 센서(24)가 암모니아의 PPM 농도를 0.5 내지 1.9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에 전달해 준다.
가스측정 센서(24)가 암모니아의 PPM 농도를 2.0 내지 3.69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미리 셋팅해 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가스측정 센서(24)가 암모니아의 PPM 농도를 3.7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가스측정 센서(24)가 황화수소의 PPM 농도를 10 내지 19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에 전달해 준다.
가스측정 센서(24)가 황화수소의 PPM 농도가 20 내지 34.4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미리 셋팅해 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가스측정 센서(24)가 황화수소의 PPM 농도를 34,5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 가스측정 센서(24)가 질소의 PPM 농도를 10 내지 24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에 전달해 준다.
가스측정 센서(24)가 질소의 PPM 농도를 25 내지 39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미리 셋팅해 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가스측정 센서(24)가 질소의 PPM 농도를 40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가스측정 센서(24)가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10 내지 19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에 전달해 준다.
가스측정 센서(24)가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20 내지 34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는 미리 셋팅해 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가스측정 센서(24)가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35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가스측정 센서(24)가 스카톨, 아민, 인돌 및 메르캅탄 중 어느 하나의 PPM 농도를 80 내지 149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해 준다.
가스측정 센서(24)가 스카톨, 아민, 인돌 및 메르캅탄 중 어느 하나의 PPM 농도가 200 내지 348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미리 셋팅해 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가스측정 센서(24)가 스카톨, 아민, 인돌 및 메르캅탄 중 어느 하나의 PPM 농도가 349 내지 600 PPM로 측정하면, 연산 제어부(51)는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디스플레이부(50)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1000)에 관하여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1000)는 더 추가되는 구성으로,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건강체킹 대상자 작동용 조작기(12)를 지닌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와 및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가변 주파수의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부(42), 건강체킹 대상자의 복부를 마사지하는 안마기(44),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음악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4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양변기에 착석한 건강체킹 대상자의 인체 분비물을 촉진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가스측정 센서(24)는 통기관(14), 배기팬(15), 처리기(17)를 통하여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유동 경로에 구비되어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에 부착되어 인체 분비물로부터 확인되는 PPM 농도를 측정하고, 연산 제어부(51)는 스마트 비데의 본체(10), 가스측정 센서(24), 보조수단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때, 본 발명은 건강체킹 대상자의 용변에서 확보되는 PPM 농도로 스마트 기능을 구현하는 양변기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변은 대변을 주요 관심으로 하지만 소변과 방귀를 포함한다. 건강관리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과 연계되어 생활 전반에 적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데의 본체(10)는 건강체킹 대상자 작동용 조작기(12)를 지닌 구조이다. 조작기(12)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 처리된 정보를 기호나 문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을 포함한다.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에는 비데기(11)의 기능을 구비함이 선호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일부 기능만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조작기(12)는 해당 비데기(11)를 작동하기 위한 키패드 등을 더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수단이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에 부착되어 용변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생체센서(22), 가스측정 센서(24), 바이오센서(26)를 지닌다. 생체센서(22)는 변좌에 설치되고 건강체킹 대상자의 체중, 맥박, 협압을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가스측정 센서(24)는 변좌에 설치되고 건강체킹 대상자의 용변에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바이오센서(26)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대변에 직접 혹은 간접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설정된 성분을 검출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가스측정 센서(24)는 도 3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변좌 내 마련된 흡입구역에 설치되어 건강체킹 대상자의 용변에 발생하는 가스를 인지한다.
바이오센서(26)는 가스로부터 확인 가능한 유해성분을 수치로 환산하여 환산된 수치(ex : 고혈압 수치, 당뇨 수치, 고지혈 수치, 체지방 수치, 비만 수치 등)를 외부 패널을 통해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즉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검출수단의 가스측정 센서(24)는 통기관(14), 배기팬(15), 처리기(17)를 통하여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유동 경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예시를 참조하면, 변좌의 저면에 통기관(14)이 설치되고,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에서 통기관(14)의 하류단에 배기팬(15)이 설치되고, 배기팬(15)의 하류측에 악취를 물리적/화학적으로 제거하는 처리기(17)가 설치된다.
가스측정 센서(24)는 가스의 강제흡입과 배출이 유발되는 통기관(14) 상에 설치하는 것이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검출수단의 바이오센서(26)는 유도관(31) 상으로 출입 가능한 탐침(32)의 단부에 설치되고, 탐침(32)은 승강기(35)를 통하여 상하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의 예시를 참조하면,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의 중앙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유도관(31)이 설치되고, 유도관(31)의 내부에 탐침(32)이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탐침(32)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이오센서(26)가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도관(31)의 상단에 탐침(32)의 상하운동을 유발하는 승강기(35)가 설치된다. 건강체킹 대상자의 용변에 탐침(32)이 직접 접촉하므로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유도관(31)의 하단에 탐침(32)에 뭍은 오물을 탈락시키도록 세정기(37)가 설치되고, 유도관(31)의 중간에 오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메카니칼씰(33)이 설치된다.
세정기(37)는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에 설치되는 펌프(도시 생략)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아 분사한다. 양변기에 비데기(11)가 설치된 경우 비데노즐과 연계되어 세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검출수단에 대한 변형예로서 변좌에 스캐너(28)를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28)는 소형 구조로 탑재되어 건강체킹 대상자의 둔부에 대한 영상을 신호로 생성한다. 물론 스캐너(28)는 카메라와 연계하도록 구성하여 건강체킹 대상자의 항문과 용변으로 촬영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수단이 양변기에 착석한 건강체킹 대상자의 배변을 촉진하는 구조이다. 보조수단은 일시적 또는 만성적 배변 장애가 있는 건강체킹 대상자에 대하여 자동 프로그램 또는 수동 조작으로 원활한 배변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보조수단은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가변 주파수의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부(42), 건강체킹 대상자의 복부를 마사지하는 안마기(44),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음악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4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부(42)는 둔부에 전기적/물리적 자극을 인가하여 배변을 유도한다. 인가되는 진폭과 주파수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관리사항에 포함한다. 안마기(44)는 복대와 같은 형태로 착용하며 저주파 마사지 등으로 장운동을 유도한다. 양변기 커버에 별도의 포켓을 이용하여 안마기(44)를 비치하면 사용이 편리하다.
스피커(46)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배변에 도움을 주는 음악, 진동, 기타 정보를 출력한다. 이외에 스피커(46)는 후술하는 연산 제어부의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와 같은 보조수단의 진동부(42), 안마기(44), 스피커(46)는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의 조작기(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가동된다. 스피커(46)는 마이크(48)와 연계되어 스마트 양변기를 대화형으로 작동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연산 제어부(51)이 스마트 비데의 본체(10), 검출수단, 보조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한다.
연산 제어부(51)는 스마트 비데의 본체(10)에 탑재되어 양변기의 기본적 기능과 스마트 기능을 수행하는 요체이다. 기본적 기능은 생체센서(22)에 의한 건강체킹 대상자의 착석 감지, 용변 과정에서 배기팬(15)과 처리기(17)의 가동 단속, 탐침(32)과 관련된 제반 운동의 단속, 검출수단을 통한 용변 상태의 신호 검출,용변 과정에서 보조수단의 가동 단속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연산 제어부(51)는 마이컴 회로로 구성되는 제어부(51), 건강체킹 대상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인식부(52),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과 식생활 및 건강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산 제어부(5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로 구성된다. 일련의 제어 알고리즘은 메모리에 프로그램과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고 실행된다.
생체센서(22), 가스측정 센서(24), 바이오센서(26), 스캐너(28) 등은 입력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처리기(17), 승강기(35), 세정기(37), 진동부(42) 등은 구동부(56)를 개재하여 출력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인식부(52)는 조작기(12)를 통한 지문인식, 스캐너(28)를 통한 피부인식, 마이크(48)를 통한 음성인식 중에서 적용한다. 통신부(54)는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에 의하여 축적된 정보를 수신하고 연산 제어부(51)에 의하여 가공된 정보를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으로 송신한다.
작동의 일예로서,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1000)가 다수의 건강체킹 대상자가 거주하는 가정에 설치된 경우로 가정하면, 개개인이 일상 생활에서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에 식사 메뉴, 운동 상태 등을 기록한다.
연산 제어부(51)는 양변기에 착석한 건강체킹 대상자를 인식부(52)를 통하여 식별하고, 검출수단을 통하여 수집된 용변 상태와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58)으로 수집된 개별 생활 정보를 매칭하고, 용변 상태가 건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보조수단을 가동하는 동시에 식생활 및 운동 패턴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시청각으로 출력한다. 데이터 축적과 분석을 통하여 건강한 용변을 위한 맞춤형 건강 정보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의 구동방법은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이로부터 확인되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여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 뿐만 아니라,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까지 디스플레이하는 구동방법이다.
먼저, 가스측정 센서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한다(S100).
그에 따라, 가스측정 센서는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한다(S110).
연산 제어부는 가스측정 센서로부터 계측된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해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와 1:1 매칭되는 건강상태 레벨을 안내해 준다(S120, S130).
디스플레이부는 연산 제어부로부터 표출된 건강상태 레벨에 속한 다수의 병명을 표시해 준다(S140).
디스플레이부는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을 건강체킹 대상자가 소유한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공시해 준다(S150).
디스플레이부는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이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미리 체크됨을 확인할 시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해 준다(S160).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0 :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24: 가스측정 센서 50 : 디스플레이부
51: 연산 제어부 58: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
400 : 데이터베이스부 50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10)

  1.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상기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측정 센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로부터 계측된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해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와 1:1 매칭되는 건강상태 레벨을 안내해 주는 연산 제어부; 및
    상기 연산 제어부로부터 표출된 상기 건강상태 레벨에 속한 다수의 병명을 표시해 주고, 상기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을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소유한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공시해 주며, 상기 다수의 병명 중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이 상기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미리 체크됨을 확인할 시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분출가스는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스카톨 또는 아민을 포함하는 성분이며,
    상기 인체 분비물 가스는 상기 황화수소, 스카톨, 인돌 또는 메르캅탄을 포함하는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카톨은 질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가스를 포함하는 성분이고, 상기 아민은 상기 암모니아의 수소 원자를 탄화수소 잔기 R로 치환한 화합물이고, 상기 인돌은 콜타르, 재스민이 속하는 식물성 향유와 썩은 단백질 및 포유류의 배설물 속에 존재하는 성분이고, 상기 메르캅탄은 썩은 달걀 특유의 냄새가 나는 가연성 독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암모니아의 PPM 농도를 0.5 내지 1.9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해 주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암모니아의 PPM 농도를 2.0 내지 3.69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미리 셋팅해 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상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암모니아의 PPM 농도를 3.7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상기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황화수소의 PPM 농도를 10 내지 19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해 주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황화수소의 PPM 농도를 20 내지 34.4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미리 셋팅해 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상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황화수소의 PPM 농도를 34,5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상기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질소의 PPM 농도를 10 내지 24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해 주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질소의 PPM 농도를 25 내지 39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미리 셋팅해 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상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질소의 PPM 농도를 40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상기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10 내지 19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해 주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20 내지 34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미리 셋팅해 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상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35 내지 60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상기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스카톨, 아민, 인돌 및 메르캅탄 중 어느 하나의 PPM 농도를 80 내지 149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건강체킹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해 주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스카톨, 아민, 인돌 및 메르캅탄 중 어느 하나의 PPM 농도가 200 내지 348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미리 셋팅해 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1차 경고음 또는 상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가 상기 스카톨, 아민, 인돌 및 메르캅탄 중 어느 하나의 PPM 농도가 349 내지 600 PPM로 측정하면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룩업테이블을 참조해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간, 쓸개, 이자, 위, 대장, 소장, 십이지장 또는 신장이 매우 비정상인 것으로 인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하여금 2차 경고음 또는 상기 매우 비정상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을 대상으로 체킹 및 일/주/월/년 별로 누적된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임시 저장케 함과 동시에 클라우드 통신망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 업로딩시키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클라우드 통신망을 거쳐 전달된 상기 누적된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호출해 상기 일/주/월/년별로 구분 도식화해 생성시킨 건강상태 누적확인 그래프와, 상기 정상, 비정상, 매우 비정상 중 선택된 하나와, 상기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확인해 상기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에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9. 제 1 항에 있어서,
    건강체킹 대상자 작동용 조작기를 지닌 스마트 비데의 본체; 및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가변 주파수의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부, 건강체킹 대상자의 복부를 마사지하는 안마기, 건강체킹 대상자에게 음악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양변기에 착석한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의 인체 분비물을 촉진하는 보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측정 센서는 통기관, 배기팬, 처리기를 통하여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유동 경로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 비데의 본체에 부착되어 인체 분비물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PPM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비데의 본체, 가스측정 센서, 보조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10. 가스측정 센서가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를 흡입노즐 또는 마이크로 에어 펌프로 연속 흡입해 상기 인체 분출가스 또는 인체 분비물 가스에 함유된 각각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연산 제어부가 상기 가스측정 센서로부터 계측된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를 룩업테이블에 대입해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 메탄가스의 PPM 농도와 1:1 매칭되는 건강상태 레벨을 안내해 주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연산 제어부로부터 표출된 상기 건강상태 레벨에 속한 다수의 병명을 표시해 주고, 상기 다수의 병명 중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을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소유한 헬스케어용 통신 단말기의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공시해 주며, 상기 다수의 병명 중 상기 건강체킹 대상자가 현재 앓고 있는 보유 병명 또는 과거에 앓았거나 재발 가능성 있는 지병명이 상기 건강상태 체킹용 헬스케어 앱 컨텐츠를 통해 미리 체크됨을 확인할 시 미래에 앓을 수 있을 예측 병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의 구동방법.
KR1020190127614A 2019-10-15 2019-10-15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KR10227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14A KR102274600B1 (ko) 2019-10-15 2019-10-15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614A KR102274600B1 (ko) 2019-10-15 2019-10-15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447A true KR20210044447A (ko) 2021-04-23
KR102274600B1 KR102274600B1 (ko) 2021-07-07

Family

ID=7573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614A KR102274600B1 (ko) 2019-10-15 2019-10-15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0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2B1 (ko) 2006-10-25 2009-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건강관리를 위한 변좌 일체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1312559B1 (ko) 2011-08-09 2013-09-30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101368144B1 (ko) * 2012-09-24 2014-02-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변을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건강 모니터링 방법
KR20160094330A (ko) * 2015-01-30 2016-08-0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101666650B1 (ko) 2015-09-24 2016-10-14 김철곤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KR20180013428A (ko) 2016-07-29 2018-02-07 (주)유엔디 사용자의 질병 및 건강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헬스케어 비데
KR20190051531A (ko) * 2017-11-07 2019-05-15 신태선 건강관리 기반의 스마트 비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2B1 (ko) 2006-10-25 2009-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건강관리를 위한 변좌 일체형 생체신호 획득 장치
KR101312559B1 (ko) 2011-08-09 2013-09-30 장황진 건강을 진단하는 다기능 변기시스템
KR101368144B1 (ko) * 2012-09-24 2014-02-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변을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건강 모니터링 방법
KR20160094330A (ko) * 2015-01-30 2016-08-0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KR101666650B1 (ko) 2015-09-24 2016-10-14 김철곤 스마트 비데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및 소변검사 측정 시스템
KR20180013428A (ko) 2016-07-29 2018-02-07 (주)유엔디 사용자의 질병 및 건강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헬스케어 비데
KR20190051531A (ko) * 2017-11-07 2019-05-15 신태선 건강관리 기반의 스마트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600B1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084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6614408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US20160220170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CN107708548A (zh) 用于吸烟行为的量化和预测的系统和方法
US20100209897A1 (en) Intraoral behavior monitoring and aversion devices and methods
JP2007289660A (ja) 睡眠判定装置
KR20190051531A (ko) 건강관리 기반의 스마트 비데
US20160223549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US20160223518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JP6610941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CN111295216A (zh) 健康管理系统和该健康管理系统的程序
JP2017189444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4329123B2 (ja) 尿分析方法
WO2007108322A1 (ja) 診断システム及び診断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KR102274600B1 (ko) 건강 체크용 헬스케어 비데 및 그 구동방법
JP2017096890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6770677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6674623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6390849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16143171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16142586A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17067748A (ja) 排便ガス回収システム
KR100680678B1 (ko) 배설물측정장치
JP6521314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6610940B2 (ja)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