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127B1 -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Google Patents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127B1
KR101941127B1 KR1020180081379A KR20180081379A KR101941127B1 KR 101941127 B1 KR101941127 B1 KR 101941127B1 KR 1020180081379 A KR1020180081379 A KR 1020180081379A KR 20180081379 A KR20180081379 A KR 20180081379A KR 101941127 B1 KR101941127 B1 KR 101941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body
coupler
shape
tighten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승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Priority to KR102018008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1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1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used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which are used in a construction field with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which improves a fasten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bars and a self-bonding force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and which increases stability of a concrete structure by increasing an adhesive force with concrete to be applied. Accordingly, the fasten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bars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structural improvement that a steel band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a fastener, and the self-bonding force can be improved through an anti-release structure of a coupler body. Moreover,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body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with concrete to be applied. Therefore, st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철근 이음용 커플러{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을 서로 이음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철근에 대한 체결력은 물론이고 자체 결속력 또한 우수하며, 이와 더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촉력을 높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 철근 이음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coupler used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used in a construction site, and more particularly, An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by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일반적으로, 철근은 운반 등의 편리성을 위해 규격화된 길이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철근을 사용하는 각종 건설현장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나 길이에 따라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철근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철근의 맞닿는 부분을 이중으로 겹친 상태에서 철사 등으로 묶어서 연결하였으나, 이는 작업자가 철사를 다수 감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철근의 중심이 수직이 되지 않아 삐뚤어지거나 연결된 부분이 쉽게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Generally, reinforcing bars are manufactured to have standardized lengths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using such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height or length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order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conventionally, the abutting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doubly overlapped and connected by wire or the like. However, since the worker has a lot of work such as winding a plurality of wires and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 is not vertical, And the like.

근래에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철근 이음용 커플러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602399호(2010.04.21. 공고)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가 제안되어 있다.Recently, reinforcing coupler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 example, a one-touch reinforcing coupler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02399 (published on Mar. 21, 2010) has been proposed.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커플러바디 내부에 구비되어서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을 체결하도록 다수의 단위부재로 구성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 상기 체결부를 형상을 고정하는 오링 및 상기 체결부 하측에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철근이 삽입되면서 간격유지구를 체결부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에 의해 체결부가 상승하면서 철근을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철근이 삽입되기 전까지 상기 체결부를 방사형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오링을 체결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이다.According to this publication, there are provided a fastening portion formed of a plurality of unit members provided inside a coupler body so as to fasten a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upler body, a spacing retaining portion for retaining the shape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When the spacer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ortion while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the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by the restoration of the spring to fasten the reinforcing bar. In this case, It is essential that the O-ring is fastened in order to keep the part in a radial shape.

한편,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철근의 삽입각도나 철근의 절단형상에 의해 철근의 삽입과정에서 간격유지구의 센터를 타격하지 않고 어느 일측을 타격하게 되면 이에 조립된 다수의 체결부가 동시에 상승하지 않고 어느 일측이 먼저 상승하는 등 그 형태가 틀어지면서 상승함에 따라 철근의 파지력이 약해짐은 물론이고 철근의 리브에 정확하게 파지되지 않아 슬립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또한, 상기 커플러바디의 표면은 매끈한 타입으로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촉력이 우수하지 못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원인이기도 하였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s, when the insertion angle of the reinforcing bars or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bars is cut,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ssembled to the reinforcing bars are not simultaneously raised As the shape of the one side rises, the strength of the hold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ars is weakened as well as the slipping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holding force is not precisely held on the ribs of the reinforcing bars.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coupler body is formed as a smooth type, and the contact force with the concrete to be laid is not excellent, which is a cause of deterioration of the st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철근에 대한 체결력은 물론이고 자체 결속력 또한 우수하며, 이와 더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촉력을 높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 철근 이음용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 concrete structure by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with the concrete being laid, To provide a coupler for reinforcing bar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상기 소켓의 상하측에서 각각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철근이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 반대편에서 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커플러바디; 상기 커플러바디의 중공부 내측에서 외측면이 상기 경사면에 연접되게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삽입되는 철근을 압착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며, 외면 하측에는 동일 동심원을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조임구;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들의 일단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임구들을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조립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 유지가이드;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력에 의해 끼움 결합되도록 양 끝단이 이격되어진 스틸밴드; 및 상기 커플러바디의 중공부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조임구들을 상기 커플러바디의 입구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플러바디의 입구를 통해 삽입된 철근이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를 밀어 상기 조임구들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임구들이 커플러바디의 경사면을 따라 입구 쪽으로 이동되면서 오므려져 철근을 체결하되,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가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들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외면에 구비된 스틸밴드로 인해 그 형상을 유지하여 어느 하나가 처지거나 않고 동시에 상승되면서 철근을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바디의 외면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접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플러바디는 소켓에 나사 결합된 후 풀림 방지를 위해 서로 맞닿는 면에 록킹돌기가 형성되어서 체결되고,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 외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오링이 구비되어서 조립된 복수개의 조임구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돌기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운반도중 상기 조임구들이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et comprising: a socket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A coupler body screw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ocket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one end and a hollow portion with an inclined surface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toward the inlet; A plurality of tightening openings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coupler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an inner side surface of which is formed with a contact protrusion for pressing a reinforcing bar to be inserted therein, A shape retaining guid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tightening openings to maintain the assembled shape by supporting the tightening openings therein; A steel band whose both e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resilient force so as to be engaged with an engaging groove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fasteners;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coupler body to press the tightening means toward the inlet of the coupler body, wherein a reinforcing bar inserted through the inlet of the coupler body pushes the shape retaining guide, The fastening means is moved toward the inlet 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upler bod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tightened while the shape retaining guide is detached from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body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force with concrete, and the coupler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body, Are screwed together and then mated to each other to prevent loosening.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ape retaining guide, and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pe retaining guide, and an O-ring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to engage with the contact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asteners. And the fastening means are not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는 자석,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hape-retaining guide is any one selected from a magnet,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metal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스틸밴드는 판재형 혹은 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el band is any one of a plate-like shape and a linear shape.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임구의 외면에 스틸밴드를 구비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철근에 대한 체결력 향상은 물론이고 커플러바디의 풀림방지 구성을 통해 자체 결속력 또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n improvement in fastening force to a reinforcing bar but also an effect of self-binding force is achieved through the structure of preventing the fastening of the coupler body by improving the structure including the steel b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또한, 커플러바디 외면 복수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접촉력을 높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Further,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body,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by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with the concrete being lai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커플러바디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구, 형상 유지가이드 및 스틸밴드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조립 관계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조립 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이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이 삽입된 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o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upler body.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a fastener, a shape retaining guide, and a steel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of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of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는 토목 또는 건설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한 쌍의 철근(B)을 서로 잇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커플러바디(120,120')의 입구로 철근(B)의 끝단을 삽입시키면 두 철근(B)을 서로 이음하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reinforcing coupl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nnect a pair of reinforcing bars B used in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s, and includes a pair of coupler bodies 120 and 120 ' The reinforcing bars 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B into the reinforcing bars 100.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bar coupl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커플러바디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임구, 형상 유지가이드 및 스틸밴드의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조립 관계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조립 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다.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so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fastener, a shape retaining guide, and a steel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upler body,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assembly relation of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of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는 크게 소켓(110), 커플러바디(120), 조임구(130), 형상 유지가이드(140), 스틸밴드(150) 및 탄성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rough 6, the reinforcing coup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110, a coupler body 120, a fastener 130, a shape retention guide 140, a steel band 150 And an elastic member 160.

먼저, 상기 소켓(1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되, 외주연에 나사산(112)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오목한 수용홈(114)이 형성되어져 있다.The socket 110 is general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socket 110 has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 thread 11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ocket 110, and a recess 114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ocket.

다음으로, 상기 커플러바디(120)는 단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2 및 도 3의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철근이 삽입되는 입구(122a)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22a) 반대편에서 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122b)이 형성된 중공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입구(122a) 쪽 반대편 내경에는 상기 소켓(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112)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1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바디(120) 내경은 입구(122a) 반대편에서 입구(122a)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되, 입구(122a) 쪽에서는 수직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철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다른 부분보다 입구 쪽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견고성을 향상시키고자 제안된 것이다. 또한,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경사면(122b)을 미부호 설명이나 입구(122a) 쪽 수직면 아래로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 아래로 이어진 제2경사면의 두 부분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는 입구 쪽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2경사면보다 급격하게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coupler body 120 is made of a rigid metal material and has an inlet 122a through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one end, as shown in FIG. 2 and FIG. 3, And a hollow portion 122 having an inclined surface 122b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opposite side toward the inlet side. A threaded portion 124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er body 12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let 122a. The threaded portion 124 is screwed into the threaded portion 11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ocket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er body 120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22a toward the inlet 122a and is formed to have a vertical side from the inlet 122a, And it is proposed to increase the rigidity by forming thicker inlet side than other parts.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122b of the coupler body 120 may be formed as two parts: a first inclined surface not shown below the vertical surface of the inlet 122a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below the first inclined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two inclined surfaces has a slope so that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trance sid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has a slope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becomes sharper tha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외면에는 돌출된 복수개의 리브(126)가 형성되어져 있고, 하면에는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를 갖는 록킹돌기(128)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다.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126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body 120. Locking protrusions 128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렇게 구성된 상기 커플러바디(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져 도 5 및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110)의 상하측에서 나사산(112)에 대칭되게 결합되어져 상측에 배치된 커플러바디(120)와 하측에 배치된 커플러바디(120')로 구분되며, 각각의 커플러바디(120,120') 입구로 철근을 삽입하게 되면 2개의 철근을 서로 잇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조임구(130), 형상 유지가이드(140) 및 탄성부재(160)는 상/하측에 배치된 커플러바디(120,120')에 대칭되게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상측에 배치된 커플러바디(120)와 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조임구(130), 형상 유지가이드(140) 및 탄성부재(160)를 위주로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를 설명하기로 한다.5 and 6, the coupler bodies 120 are symmetrically coupled to the threads 112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ocket 110 and are coupled to the coupler bodies 120 And a coupler body 120 'disposed on the lower side.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oupler bodies 120 and 120', the two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asteners 130, the shape retaining guides 140 and the elastic members 160 provided in the coupler body 120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coupler bodies 120 and 120 '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 coupler body 120, the plurality of fasteners 130, and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The reinforcing coupl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한편, 한 쌍의 커플러바디(120,120')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5의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면, 즉 서로 맞닿는 면에 형성된 록킹돌기(128)로 인해 서로 걸림으로써 상기 소켓(110)에 결합된 후 역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커플러바디(120,120')에 형성된 록킹돌기(128)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때 경사를 타고 회전되면서 체결되나 풀리는 방향인 왼쪽으로 돌릴 때 록킹돌기(128)에 서로 걸려 풀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한 쌍의 커플러바디(120,120')를 록킹돌기(128)에 의해 결합 후 풀리지 않도록 한 것은 결국 철근에 대한 체결력을 한층 더 향사시키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5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air of coupler bodies 120 and 120 ', the lower ends of the coupler bodies 120 and 1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locking protrusions 128 formed on the surfaces, 110 and then releas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the locking projections 128 formed on the pair of coupler bodies 120 and 120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when they are rotated to the right, they are locked while being rotated while being inclined. So that they do not come loose with each other. The reason why the pair of coupler bodies 120 and 120 'are not loosened after being coupled by the locking protrusions 128 is to further enhance the fastening force to the reinforcing bars.

다음으로, 상기 조임구(130)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방사형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중공부(122) 내에 설치되며, 외측면이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경사면에 대응된 경사를 가져 연접하게 되고, 외면 하측에는 동일 동심원을 가지는 걸림홈(134)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130)들은(이 실시예에서는 4개) 모두 동일한 형상이며, 내측면에는 철근의 외면 바람직하게는 철근의 마디에 걸리면서 체결하는 복수개의 밀착돌기(132)들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기(132)들은 커플러바디(1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되며, 철근의 마디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에 저항하고 철근이 빠지지 않도록 래칫(ratchet) 톱니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er body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er bodies 120. The coupler body 120 has a plurality of couplers 130. The coupler body 120 has a plurality of couplers 130, And an engagement groove 134 having the same concentric circ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urface. The plurality of fasteners 130 (four in this embodiment) are all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a plurality of fastener protrusions 13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13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The contact protrusions 132 are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upler body 120 and preferably have a ratchet saw shape so as to resist a tensile force applied from the bars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o prevent the reinforcing bars from falling off.

다음으로,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140)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특히 도 4의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130) 일측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져 내측을 지지하여 조립된 형상을 유지토록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외면에 삽입홈(142)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142)에는 오링(144)이 삽입된다.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140)에 오링(144)이 구비됨으로써 외측면에 조립되는 복수개의 조임구(130)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돌기(13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조임구(130)가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조립된 상태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조임구(130)가 형상 유지가이드(140)에서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이러한 형상 유지가이드(140)는 자석,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130)를 자력으로 부착하는 것이 좋다.Next,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tightening openings 130, as shown in "a" and " 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14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n O-ring 1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2. The O-rings 144 are provided in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so that the tightening protrusions 132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ightening openings 130 assembled to the outer side are caught so that the tightening openings 130 are vertically deviated . So as to prevent the fastener 130 from being separat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in the assembled state. The shape-retaining guide 140 may be made of any one of a magnet, a metal, and a synthetic resin. Preferably, the shape-retaining guide 140 is made of a magnet and i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fasteners 130 by a magnetic force.

다음으로, 상기 스틸밴드(150)는 링 형상을 가지되 탄성력을 가지도록 양 끝단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져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130)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134) 끼움 결합되어 상기 조임구(130)를 외측면에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스틸밴드(150)는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140)가 분리된 후에도 계속해서 조임구(130)의 걸림홈(134)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하나, 상기 스틸밴드(150)는 판재형 혹은 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el band 150 has a ring shape and has both ends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have an elastic force so that an engaging groove 134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tightening holes 130 is fitted into the tightening hole 130 ) On the outer side. The shape of the steel band 150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is detach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taining groove 134 of the fastener 130. As will be described be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band 150 has a shape selected from a plate shape or a linear shape.

마지막으로, 상기 탄성부재(160)는 이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나 이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던 만족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160)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중공부(122)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조임구(130)들을 상기 커플러바디(120)의 입구(122a)쪽으로 가압 즉, 상기 소켓(110)과 상기 조임구(130)들 사이에 구비되어서 복원력으로 상기 조임구(130)들을 커플러바디(120)의 입구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는 상기 탄성부재(160)는 상기 조임구(130)들을 조립하고 있는 형상 유지가이드(140)는 간섭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140)가 조임구(130)들로부터 이탈될 때 탄성부재(16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이탈되도록 구성된다.Lastly, the elastic member 1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in this embodiment,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elastic member capable of providing an elastic force is satisfactory. 6, the elastic member 160 is installed inside the hollow portion 122 of the coupler body 120 to move the tightening holes 130 toward the inlet 122a of the coupler body 120 Is pressed between the socket 110 and the tightening tool 130 and presses the tightening tool 130 toward the inlet of the coupler body 120 with a restoring force. Here, the elastic member 160 supports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assembling the tightening openings 13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is separated from the tightening openings 130, (Not shown).

이때, 상기 탄성부재(160)가 상기 조임구(130)들을 커플러바디(120)의 입구(122a) 쪽으로 가압하고 있지만 상기 조임구(130)들은 형상 유지가이드(140)에 조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어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을 이기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lthough the elastic member 160 presses the tightening openings 130 toward the inlet 122a of the coupler body 120, the tightening openings 130 are assembled to the shape maintaining guide 140 So that the elastic member 160 retain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60 due to its weight.

이제,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철근 이음용 커플러(100)는 다음과 같이 철근을 체결하여 사용된다.Now, in the following, the reinforcing coup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fastening a reinforcing bar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이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이 삽입된 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용 커플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erting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fter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을 참조로 하면, 2개의 철근(B)을 이음하기 위해 소켓(110)을 중심으로 상하측에 배치된 커플러바디(120.120') 입구(122a)를 통해 중공부(122)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복수개의 조임구(130)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조임구(130)들을 지지하고 있는 형상 유지가이드(140)에 닿게 된다.7, in order to join the two reinforcing bars B, the coupler body 120.120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ound the socket 1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22 through the inlet 122a. When the inserts are inserted, they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ightening openings (13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ape retaining guides (140) supporting the tightening openings (130).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철근(B)을 더 삽입시키게 되면 복수개의 조임구(130)를 지지하고 있는 형상 유지가이드(140)가 조임구(130)들로부터 이탈되어 소켓(110)에 형성된 수용홈(114) 내부로 수용될 것이고,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140)가 이탈되면 복수개의 조임구(130)들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160)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임구(130)들이 커플러바디(120,120')의 입구(122a) 쪽으로 이동하게 될 것인데, 이때 상기 커플러바디(120,120')의 내경 형상 즉, 입구(122a)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122b)에 의해 상기 조임구(130)들은 오므려들면서 삽입된 철근(B)의 외면 즉, 조임구(130)들의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돌기(132)가 마디를 압착하여 역방향으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2개의 철근(B)을 서로 이음하게 되는 것이다.8, when the reinforcing bars B are further inserted, the shape retaining guides 140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0 ar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holes 130, The resilient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60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tightening holes 130 when the shape retaining guide 140 is released will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4 formed in the elastic member 110, The tightening openings 130 are moved toward the inlet 122a of the coupler bodies 120 and 12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er bodies 120 and 120', that is, the inclined surfaces 122b that gradually decrease toward the inlet 122a The fastening openings 130 of the fastening openings 130 are tightened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132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inserted reinforcing bars 130, that is, the fastening openings 130, (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와 같은 조임구(13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조임구(130)의 외면에는 스틸밴드(150)가 장착되어 있어 어느 하나가 먼저 상승하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승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즉, 철근(B)의 삽입각도나 절단경사에 의해 상기 형사 유지가이드(140)가 비스듬히 분리되더라도 외면에 구비되어 있는 스틸밴드(150)로 인해 조임구(130)가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동시에 상승되면서 철근(B)을 체결할 수 있어 결속력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tightening tool 130, the steel band 15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ightening tool 130, so that any one of them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or twisting first, . That is, even if the crimp retention guide 140 is obliquely separated due to the insertion angle of the reinforcing bar B or the cutting inclination, the fastener 130 maintains its shape due to the steel band 15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reinforcing bar (B) can be fastened.

또한, 상기와 같이 2개의 철근(B)을 이음한 본 발명의 커플러(100)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C) 벽체 내에 설치되는데, 한 쌍의 커플러바디(120,120')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리브(126)로 인해 콘크리트(C)와 접촉력이 우수하여 견고한 매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 강도 및 안정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9, the coup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two reinforcing bars B connected thereto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C) wall. The coupler 1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coupler bodies 120 and 120 ' The plurality of ribs 126 are excellent in contact force with the concrete C to maintain a solid buried state,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ment of the strength and st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itself.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constitut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sclosed concepts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invention and similar purposes.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or alter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the invention to the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철근 이음용 커플러 110 : 소켓
112 : 나사산 114 : 수용홈
120,120' : 커플러바디 122 : 중공부
122a : 입구 122b : 경사면
124 : 나사부 126 : 리브
128 : 록킹돌기 130 : 조임구
132 : 밀착돌기 134 : 걸림홈
140 : 형상 유지가이드 142 : 삽입홈
144 : 오링 150 : 스틸밴드
160 : 탄성부재 B : 철근
C : 콘크리트
100: Reinforcing coupler 110: Socket
112: thread 114: receiving groove
120, 120 ': Coupler body 122: Hollow part
122a: inlet 122b: sloped surface
124: threaded portion 126: rib
128: locking protrusion 130: fastening hole
132: contact projection 134: latching groove
140: shape retention guide 142: insertion groove
144: O-ring 150: Steel band
160: elastic member B: reinforcing member
C: Concrete

Claims (6)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소켓;
상기 소켓의 상하측에서 각각 나사 결합되며, 일단부에는 철근이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 반대편에서 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커플러바디;
상기 커플러바디의 중공부 내측에서 외측면이 상기 경사면에 연접되게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삽입되는 철근을 압착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며, 외면 하측에는 동일 동심원을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조임구;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들의 일단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조임구들을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조립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 유지가이드;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 하측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력에 의해 끼움 결합되도록 양 끝단이 이격되어진 스틸밴드; 및
상기 커플러바디의 중공부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조임구들을 상기 커플러바디의 입구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플러바디의 입구를 통해 삽입된 철근이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를 밀어 상기 조임구들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임구들이 커플러바디의 경사면을 따라 입구 쪽으로 이동되면서 오므려져 철근을 체결하되,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가 상기 복수개의 조임구들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외면에 구비된 스틸밴드로 인해 그 형상을 유지하여 어느 하나가 처지거나 않고 동시에 상승되면서 철근을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바디의 외면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접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플러바디는 소켓에 나사 결합된 후 풀림 방지를 위해 서로 맞닿는 면에 록킹돌기가 형성되어서 체결되고,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 외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오링이 구비되어서 조립된 복수개의 조임구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돌기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운반도중 상기 조임구들이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
A socket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thereof;
A coupler body screw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ocket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t one end and a hollow portion with an inclined surface gradually de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toward the inlet;
A plurality of tightening openings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coupler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an inn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with a contact protrusion for pressing a reinforcing bar to be inserted therein,
A shape retaining guid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tightening openings to maintain the assembled shape by supporting the tightening openings therein;
A steel band whose both e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resilient force so as to be engaged with an engaging groove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fasteners; And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coupler body to press the tightening means toward the inlet of the coupler body,
When the reinforcing bars inserted through the inlet of the coupler body push the shape retention guides and detach them from the tightening tools, the tightening tools are moved toward the inlet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coupler bod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s, The shape retaining guide is configured to retain its shape due to the steel band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one of the shape retaining guides is lifted at the same time to fasten the reinforcing bars,
Wherein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body to increase contact force with concrete,
The coupler body is screwed to the socket and then locked with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upler body,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pe retaining guide and an O-ring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caught by a tightening protrus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plurality of tightening holes assembled so that the tightening holes are not vertically deviated during transportation Wherein the coupler is a coup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가이드는 자석,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retaining guide is any one selected from a magnet,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metallic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밴드는 판재형 혹은 선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용 커플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el band has a shape selected from a plate shape or a linear shape.
KR1020180081379A 2018-07-13 2018-07-13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9411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79A KR101941127B1 (en) 2018-07-13 2018-07-13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379A KR101941127B1 (en) 2018-07-13 2018-07-13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127B1 true KR101941127B1 (en) 2019-01-22

Family

ID=6532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379A KR101941127B1 (en) 2018-07-13 2018-07-13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127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810B1 (en) * 2019-01-17 2019-08-14 주식회사 금화 Pressure coupler for connecting steel bars
KR102019442B1 (en) * 2019-05-10 2019-09-06 강신성 rebar coupler
KR102019441B1 (en) * 2019-05-10 2019-09-06 강신성 rebar coupler
KR102062152B1 (en) * 2019-06-17 2020-01-03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One-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N111236539A (en) * 2020-03-10 2020-06-05 河北兆丰科源航天设备有限公司 Steel bar connecting device
EP3730715A1 (en) * 2019-04-26 2020-10-28 Dayton Superior Corporation Toolless quick connect rebar coupler
CN113186805A (en) * 2021-04-13 2021-07-30 樊涛 Prefabricated bridge steel structure prefabricated part
KR20210125254A (en) 2020-04-08 2021-10-18 정정옥 Rebar binding coupler
KR20220037052A (en)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Rebar connecting apparatus
CN117403533A (en) * 2023-12-15 2024-01-16 山东大学 Assembled structural connection device and brid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86Y1 (en) * 2004-09-23 2005-02-07 티에스스틸산업 주식회사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KR200409526Y1 (en) * 2005-11-23 2006-03-03 김용근 Threaded sleeve for coupling the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KR20140060200A (en) * 2012-11-09 2014-05-19 태연기계주식회사 Iron-bar coupler
KR101573735B1 (en) * 2014-08-18 2015-12-02 대한특수금속 주식회사 Coupler for thread bar
KR101683143B1 (en) * 2016-05-04 2016-12-06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20170059840A (en)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씨앤아이테크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86Y1 (en) * 2004-09-23 2005-02-07 티에스스틸산업 주식회사 Steel reinforcing joint devices
KR200409526Y1 (en) * 2005-11-23 2006-03-03 김용근 Threaded sleeve for coupling the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KR20140060200A (en) * 2012-11-09 2014-05-19 태연기계주식회사 Iron-bar coupler
KR101573735B1 (en) * 2014-08-18 2015-12-02 대한특수금속 주식회사 Coupler for thread bar
KR20170059840A (en)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씨앤아이테크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101683143B1 (en) * 2016-05-04 2016-12-06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810B1 (en) * 2019-01-17 2019-08-14 주식회사 금화 Pressure coupler for connecting steel bars
EP3730715A1 (en) * 2019-04-26 2020-10-28 Dayton Superior Corporation Toolless quick connect rebar coupler
KR102019442B1 (en) * 2019-05-10 2019-09-06 강신성 rebar coupler
KR102019441B1 (en) * 2019-05-10 2019-09-06 강신성 rebar coupler
KR102062152B1 (en) * 2019-06-17 2020-01-03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One-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N111236539A (en) * 2020-03-10 2020-06-05 河北兆丰科源航天设备有限公司 Steel bar connecting device
KR20210125254A (en) 2020-04-08 2021-10-18 정정옥 Rebar binding coupler
KR20220037052A (en)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Rebar connecting apparatus
KR102475538B1 (en) * 2020-09-17 2022-12-08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Rebar connecting apparatus
CN113186805A (en) * 2021-04-13 2021-07-30 樊涛 Prefabricated bridge steel structure prefabricated part
CN117403533A (en) * 2023-12-15 2024-01-16 山东大学 Assembled structural connection device and bridge
CN117403533B (en) * 2023-12-15 2024-03-12 山东大学 Assembled structural connection device and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127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906169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951882B1 (en) One-touch quick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KR101768816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
KR101988611B1 (en) non-slip steel bar reinforcement coupler
KR101643846B1 (en) One-touch type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1039120B1 (en)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KR20200000940A (en) Coupler For Rebar Connect
KR101856949B1 (en) Connection device for steel reinforcement
KR20190054371A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543388B1 (en)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KR101570867B1 (en) one-touch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170097357A (en) Pole connection for concrete poles
KR102007935B1 (en) Apparatus for re-tensioning anchor
KR101498662B1 (en) Reinforced seams coupling
KR101773434B1 (en)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and steel File
KR200400693Y1 (en) Inner inserted staying tool for ground anchor
KR101942456B1 (en) Anchor Bolt
KR101827175B1 (en) Coupler for connecting steel wire
KR101873114B1 (en) Coupler for prestressing strand
KR102062152B1 (en) One-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JP2003027893A (en) Fitt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upling segments together
US20210025422A1 (en) Joining system for mechanically joining two materials
KR102207160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
KR102100387B1 (en) Method for re-tensioning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