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052A - Rebar conn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ebar conn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052A
KR20220037052A KR1020200119545A KR20200119545A KR20220037052A KR 20220037052 A KR20220037052 A KR 20220037052A KR 1020200119545 A KR1020200119545 A KR 1020200119545A KR 20200119545 A KR20200119545 A KR 20200119545A KR 20220037052 A KR20220037052 A KR 20220037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eonche
reinforcing bar
spring
connectin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5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5538B1 (en
Inventor
정상옥
임종민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20011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5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3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 F16B7/02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with conical parts with the expansion of an element inside the tubes due to axial movement towards a wedge or conic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ba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status in which a rebar is not inserted into the rebar connecting apparatus, positions of shells in the rebar connecting apparatus may be stably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s of the shells in the rebar connecting apparatus are stably maintained, rebar conn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the shells in the rebar connecting apparatus stably fix the rebar. Therefore, seismic strength can be improved when connecting the rebar. The rebar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housing connecting unit; a spring seating unit; a first spring; a shell separating unit; the plurality of shells; and a shell supporting unit.

Description

철근 연결 장치{REBAR CONNECTING APPARATUS}Rebar connection device {REBAR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eismic strength whe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stably maintaining the positions of pyeonche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압축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물리적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공사 시 서로 다른 철근을 서로 이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때, 철근 연결 장치를 통해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 철근 연결 장치는 삽입된 두 개의 철근을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할 수 있다.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s excellent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so it is possible to construct various types of structures, and because of it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constructions and civil works. There are cases in which different rebars ne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during construction. In this case, two rebars can be connected through a rebar connecting device.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can connect two reinforcing bars by firmly fixing the inserted two reinforcing ba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이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eismic strength when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stably fix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pyeonche in the rebar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철근이 철근 연결 장치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 seco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pyeonche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not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을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 장치에 있어서, 내면에 나사산을 가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경사면을 갖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하우징 연결부; 상기 하우징 연결부 내부에 배치되는 안착면을 가지는 스프링 안착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편체 분리부; 외면이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접촉되고, 내면에 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 상에 이격되어 안착되는 복수의 편체; 및 상기 편체 분리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의(에)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편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철근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comprising: a housing including a first part having a thread on an inner surface and a second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a housing connection part coupled to a screw thread formed in the housing; a spring seating part having a seating surfac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connection part; a first spring configured to be seated on a seating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ar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t is seated on the first spring, pyeonche separation part for separ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yeonche; A plurality of pyeonche having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rt,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eated on the separation unit; And i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yeonche separation por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pyeonche support for suppo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yeonche not to fall over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지지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편체 분리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스프링 내로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yeonche separation portion, separated from the pyeonche separation portion by the pressure applied as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spring can b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분리부는,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며, 철근 수용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is seated on the first spring, a plate having a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hole; and spacers that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yeonc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yeonch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안착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런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런너와 상기 편체 분리부 또는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eonche sea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runner connecting between the pyeonche separation portion and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and by the pressure applied as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the runner and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or the pyeonche support part is cut of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편체 지지부의 외경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spring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경 미만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spring may be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체 지지부는 밑면 및 상기 밑면에 수직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편체의 내면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the side surface of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overlaps at least a por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the side of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is the plurality of Each of the pyeonche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fall over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이 철근 연결 장치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of the pyeonche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not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철근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이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by stably maintaining the positions of the pyeonche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the seismic strength when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by stably fix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pyeonche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와 철근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체 분리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상부 어셈블리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되기 전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된 후를 나타낸다.
1 shows a rebar connection device and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pyeonche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 of the upper assembly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before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after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와 철근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 100)는 두 개의 철근(200a 및 200b; 200)을 서로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철근 연결 장치(100a)의 일단에 철근(200a)의 일단이 삽입되고, 철근 연결 장치(100b)의 일단에 철근(200b)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철근 연결 장치(100a)의 타단과 철근 연결 장치(100b)의 타단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철근(200a 및 200b)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각 철근(200a 및 200b)은 대응하는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의 내측에 결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는 철근(200a 및 200b)을 안정적으로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1 shows a rebar connection device and reinforcing ba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s 100a and 100b; 100 may be used to connect two reinforcing bars 200a and 200b; 200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200a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a, and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200b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b. Thereafter,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a and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b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reby the two reinforcing bars 200a and 200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each reinforcing bar (200a and 200b) is bound to the inside of the corresponding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a and 100b), the position may be fixed. Accordingly,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s 100a and 100b may stably and fixed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200a and 200b.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철근 연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 장치(100a 및 100b)를 나타낸다.In addition, 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shown in FIG. 2 shows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s 100a and 100b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철근 연결 장치(100)는 하우징(110), 하우징 연결부(120), 스프링 안착부(130), 제1스프링(140), 편체 분리부(150),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들(17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2 ,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10 , a housing connection part 120 , a spring seating part 130 , a first spring 140 , a pyeonche separation part 150 , a pyeonche support part It may include 160 and pyeonchees 170 .

편체 분리부(150),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들(170)을 상부 어셈블리라 하고, 제1스프링(140) 및 스프링 안착부(130)를 하부 어셈블리라 지칭할 수 있다.The pyeonche separation part 150,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and the pyeonche body 170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assembly, and the first spring 140 and the spring seating part 130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assembly.

하우징(110)은 철근 연결 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한다. 하우징(110)에는 철근(200)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하우징(110)은 철근(200)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회전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constitutes the outer shape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 The reinforcing bar 20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1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the reinforcing bar 200 may be inserted.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otating body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

예컨대, 하우징(110)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부분(111) 및 제1부분(111)로부터 연장되며, 경사면을 가지는 제2부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3) 각각은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11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thereon, and a second portion 113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111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Each of the first portion 111 and the second portion 113 may include an opening.

제1부분(111)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부분(111)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회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11 .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part 111 may include a rotating surface having a constant diameter.

제2부분(113)은 제1부분(111)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은 제1부분(111)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철근 삽입홀(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철근 삽입홀(113a)의 내경은 철근(200)의 외경 이상일 수 있다.The second part 113 may extend from the first part 111 , and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art 111 and a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113a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113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200 .

제2부분(113)은 제1부분(1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면을 포함할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2부분(113)의 일단에서의 직경은 제2부분(113)의 타단에서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2부분(113)의 철근(200)이 삽입되는 쪽의 직경(D1)은 제2부분(113)의 제1부분(111)과 연결된 부분의 직경(D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직경(D2)는 철근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second portion 113 may include a rotating surface that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that decreas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portion 111 . In some embodiments, a diameter at one end of the second part 113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t 113 . For example, the diameter D1 of the side where the reinforcing bar 200 of the second part 113 is inserted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D2 of th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111 of the second part 113, but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For example, the diameter D2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하우징 연결부(120)는 하우징(110)의 제1부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하우징 연결부(120)의 외면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 연결부(120)의 나사산과 제1부분(111)의 내면의 나사산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art 111 of the housing 11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 and the threads of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and the threa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1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하우징 연결부(120)는 두 개의 철근 연결 장치(10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 연결부(120)의 제1부분에 하나의 철근 연결 장치가 결합되고, 하우징 연결부(120)의 제2부분에 다른 하나의 철근 연결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may connect the two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s 100 to each other. For example, on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housing connection unit 120 , and the other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housing connection unit 120 .

스프링 안착부(130)는 하우징 연결부에 배치되는 안착면(131)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스프링 안착부(130)는 안착면(131)을 포함하는 컵(cup)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 안착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연결부(1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라, 하우징 연결부(120) 내부에 안착면(131)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면(131) 자체가 스프링 안착부(130)로 지칭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면(131)은 하우징 연결부(120)의 내부 공간을 나누는 격벽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pring seating part 130 includes a seating surface 131 disposed on the housing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pring seating part 130 may be formed in a cup shape including the seating surface 131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pring seating part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 can Also, according to embodiments, a seating surface 131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 and the seating surface 131 itself may be referred to as a spring seating part 130 . In this case, the seating surface 131 may serve a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

제1스프링(140)은 스프링 안착부(13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제1스프링(140)의 일측은 안착면(131)에 안착되고, 제1스프링(140)의 타측은 편체 분리부(150)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spring 140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pring seat 13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ccording to embodiments, one side of the first spring 14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31 ,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ring 14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

편체 분리부(150)는 제1스프링(14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 분리부(150)의 외경은 제1스프링(14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may be seated on the first spring 140 . In some embodiments, the outer diameter of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may be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pring 140 .

편체 분리부(150)는 플레이트(151) 및 플레이트(151)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들(1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may include a plate 151 and spacers 153 protruding from the plate 151 .

플레이트(151)는 제1스프링(140) 상에 안착되며, 철근 수용 홀(151a)을 포함할 수 있다. 철근 수용 홀(151a)을 통해 철근(200)이 수용될 수 있다.The plate 151 is seated on the first spring 140 and may include a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hole 151a. The reinforcing bar 200 may be accommodated through the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hole 151a.

스페이서들(153)은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스페이서들(153)은 서로 이격되어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들(153) 사이의 이격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들(153)은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The spacers 15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51 . In some embodiments, the spacers 15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51 .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pacers 153 may be equal to each other. That is, the spacers 153 may be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51 .

스페이서들(153)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들(153)은 3개 또는 4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wo or more spacers 153 may exist. For example, the number of spacers 153 may be three or f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페이서들(153)의 각각은 경사를 가지는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들(153)의 외측면은 플레이트(151)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spacers 153 may include an inclined outer surface. The outer surfaces of the spacers 15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51 .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와 연결되어 제1스프링(14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들(170) 각각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pyeonche support portion 160 may be connected to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ring 140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yeonche support unit 160 may provide support so that each of the pyeonche 170 does not collapse.

편체 지지부(160)는 원기둥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수직인 회전면 형태의 측면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편체 지지부(160)는 병 마개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yeonche suppor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ylinder.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yeonche support unit 160 may have a shape including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in the form of a rotation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For example,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may be in the form of a bottle cap,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의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시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플레이트(151)의 철근 수용 홀(151a)을 관통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150 . In some embodiments,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may penetrate the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hole 151a of the plate 151 .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와 연결되어 제1스프링(14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may b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pring 140 by being connected to the pyeonche separating part 150 .

편체들(170) 각각은 편체 분리부(150)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편체들(170) 각각은 편체 분리부(150)의 스페이서들(15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플레이트(151)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Each of the pyeonche 170 may be spaced apart by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 For example, each of the pyeonche 17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spacers 153 of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a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51 .

편체들(170) 각각은 편체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들(170)의 하부는 편체 지지부와 접촉되어 편체 지지부(16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체들(170)이 철근 연결 장치(100)의 중심축을 향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100) 내의 편체들(17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ach of the pyeonche 170 may be supported by the pyeonche support 16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lower portions of the pyeonche 170 may be supported from the pyeonche support 160 in contact with the pyeonche suppor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yeonche 170 from fall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 Therefor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200 is not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s of the pyeonche 170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can be maintained.

편체들(170)의 외면(171)은 하우징(110)의 제2부분(113)의 내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들(170)의 외면(171a)의 기울기와 제2부분(113)의 내면(113a)의 기울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171 of the pyeonche 170 may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rt 113 of the housing 110 .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lope of the outer surface 171a of the pyeonche 170 and the slope of the inner surface 113a of the second portion 11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편체들(170)의 내면(173)은 편체 지지부(160)에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들(170)의 내면(173)에는 삽입될 철근(2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래칫(ratchet; 173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surfaces 173 of the pyeonche 170 may be in contact with the pyeonche support 160 . According to embodiments, a ratchet 173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73 of the pyeonche 17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reinforcing bar 200 to be inserted.

래칫(173a)은 철근(200)이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방향(이하, "철근 삽입 방향"이라 함)으로는 철근(200)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대신, 철근(20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탈거되는 방향(이하, "철근 탈거 방향"이라 함)으로 철근(2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래칫(173a)는(은) 철근 삽입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173b)을 포함할 수 있다.The ratchet 173a does not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reinforcing bar 2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inforcing bar insertion direction"), instead, the reinforcing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 110), the movement of the reinforcing bar 200 may be restricted in the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inforcing bar removal direction"). For example, the ratchet (173a)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73b) that increases in height in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프링(1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편체들(17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pyeonche 170 may be fixed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first spring 140 .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체 분리부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편체 분리부(150)는 플레이트(151) 및 플레이트(151)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들(153)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 3 shows a pyeonche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 the pyeon body separation unit 150 may include a plate 151 and spacers 153 protruding from the plate 151 .

스페이서들(153) 각각은 플레이트(151)의 상면(151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스페이서들(153) 각각의 밑면의 넓이는 윗면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Each of the spacers 153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151b of the plate 151 . In some embodiments,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spacers 153 may be greater than the area of the top surfac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의 상부 어셈블리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 연결 장치(100)의 상부 어셈블리는 편체 분리부(150),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들(170)을 포함한다.Figure 4 shows a cross-section of the upper assembly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ssembly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includes a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 a pyeonche support portion 160 and pyeonche 170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편체(170)은(는) 플레이트(151)의 상면(151b)에 위치할 수 있다.2 to 4 , the pyeonche 17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151b of the plate 151 .

실시예들에 따라, 편체(170)의 측면은 스페이서(153)의 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편체(170)은 하나의 편체(170) 양 측에 위치한 스페이서들(153)의 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체들(170)은 스페이서들(153)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ide surface of the pyeonche 170 may be supported by the side surface of the spacer 153 . For example, one pyeonche 170 may be supported by side surfaces of the spacers 15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ne pyeonche 170 . Accordingly, the pyeonche 170 may not be inclin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by being supported by the side surfaces of the spacers 153 .

편체 지지부(160)는 런너(161a)를 통해 편체 분리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런너(161a)와 편체 지지부(160) 및 편체 분리부(150) 사이의 연결은 소정의 압력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편체 지지부(16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런너(161a)를 통한 편체 지지부(160)와 편체 분리부(150)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편체 지지부(160)는 제1스프링(140)을 통해 낙하하여 커플링 연결부(120)에 수용될 수 있다.The pyeonche support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through the runner 161a.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unner 161a and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160 and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may be cut by a predetermined pressure.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is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between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and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150 through the runner 161a, and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is the first spring 140. It may fall through and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connection part 120 .

편체(170)의 내면(173)은 편체 지지부(160)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체 지지부(160)의 측면은(과) 편체(170)의 내면(17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편체 지지부(160)의 측면에 의해 편체(170)의 철근 연결 장치(100)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철근 연결 장치(100) 내의 편체들(17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inner surface 173 of the pyeonche 170 may be partially supported by the pyeonche support 160 . Specifically, the side surface of the pyeonche support 160 and the inner surface 173 of the pyeonche 170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and the reinforcement connection device of the pyeonche 170 by the side of the pyeonche support 160 ( 1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Therefor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200 is not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s of the pyeonche 170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can be maintain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되기 전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편체들(170)은 편체 분리부(150) 상에 안착되어, 편체 지지부(160)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철근 연결 장치(100) 내의 편체들(17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5 shows before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 as described above, the pyeonche 170 may be seated on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and partially supported by the pyeonche support 160 . Therefore, even if the reinforcing bar 200 is not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s of the pyeonche 170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can be maintain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된 후를 나타낸다. 6 and 7 show after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의 철근 삽입 홀(113a)로 삽입된다. 철근(200)은 편체(170) 사이를 지나 편체 지지부(160)의 윗면에 접촉된다. 실시 예들에 따라, 편체(170)들이 기울여진 상태더라도, 철근(200)이 삽입되면 편체들(170)이 철근(200)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철근(200)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reinforcing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113a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 The reinforcing bar 200 passes between the pyeonche 170 a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yeonche support 160 . According to embodiments, even if the pyeonche 170 is in a tilted state, when the reinforcing bar 200 is inserted, the pyeonche 170 is pushed outward by the reinforcing bar 200, so the reinforcing bar 200 can be easily inserted.

철근(200)의 삽입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의 윗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압력은 편체 지지부(160)와 연결된 편체 분리부(150)로 전달되고, 편체 분리부(150)로부터 제1스프링(140)으로 전달된다.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yeonche support unit 160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200 , and this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connected to the pyeonche support unit 160 , and the first from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 It is transmitted to the spring 140 .

편체 분리부(150)가 제1스프링(140)에 의해 지지되므로, 편체 분리부(150)로 전달된 철근(200)의 압력은 제1스프링(140)을 압축시킨다. 제1스프링(140)이 압축되면, 편체 분리부(150) 및 편체 지지부(160)가 철근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Since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is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140 , the pressure of the reinforcing bars 200 transmitted to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compresses the first spring 140 . When the first spring 140 is compressed,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150 and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move in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direction.

도 7을 참조하면, 철근(200)에 의한 편체 지지부(160)에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면, 편체 지지부(160)와 편체 분리부(150)를 연결하는 런너(161a)가 절단되어, 편체 분리부(150)와 편체 지지부(160)가 분리된다. 이에 따라, 편체 지지부(160)은 제1스프링(140)을 관통하여 하우징 연결부(120) 내로 삽입된다.7,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160 by the reinforcing bar 200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runner 161a connecting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160 and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is cut. As a result,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150 and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are separated. Accordingly,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through the first spring 140 .

편체 지지부(160)가 하우징 연결부(120) 내로 삽입되면, 제1스프링(140)을 압축하는 힘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140)은 탄성력에 의해 그 길이를 회복하고, 제1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프링(140) 상에 안착된 편체 분리부(150)가 철근 탈거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 the force compressing the first spring 140 is removed. Accordingly, the first spring 140 recovers its length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pyeon body separation unit 150 seated on the first spring 14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140 moves in the reinforcing bar removal direction. Move.

결과적으로, 제1스프링(140)의 복귀 탄성에 의해 편체들(170)이 철근 탈거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편체들(170)의 래칫(173a)이 삽입된 철근(200)을 강하게 오므려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칫(173a)는(은) 삽입된 철근(200)의 철근 탈거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삽입된 철근(200)은 철근 연결 장치(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pyeonche 170 moves in the reinforcing bar removal direction by the return elasticity of the first spring 140, and accordingly, the ratchet 173a of the pyeonche 170 strongly pulls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200. can be fixed by As described above, the ratchet 173a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200 in the reinforcing bar removal direction, so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200 may be fixed by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100 .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들(153)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므로, 편체들(110)이 스페이서들(153)에 의해 플레이트(151) 상면에 등간격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편체들(110) 각각은 등간격으로 삽입된 철근(200)을 등간격으로 고정시키므로, 철근(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pacers 15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 pyeonche 110 is located at equal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51 by the spacers 153 . Accordingly, since each of the pyeonche 110 fixes the reinforcing bars 200 inserted at equal intervals at equal intervals, there is an effect of more stably fixing the reinforcing bars 200 .

실시예들에 따라, 철근 연결 장치(100)의 하우징(110), 하우징 연결부(120), 스프링 안착부(130), 제1스프링(140), 편체(170)는 금속으로 구성되나, 편체 분리부(150) 및 편체 지지부(160)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housing 110, the housing connection part 120, the spring seat 130, the first spring 140, and the pyeonche 170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are made of metal, but the pyeonche is separated The part 150 and the pyeonche support part 160 may be formed of plastic or synthetic resi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철근 연결 장치(100)의 편체 분리부(150) 및 편체 지지부(160)는 서로 연결되어, 철근(200)이 결합되기 전에 편체(17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100)는 철근(200)이 삽입되기 전에도 편체(17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and the pyeonche support unit 160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yeonche 170 can be supported before the reinforcing bar 200 is coupled. . Accordingly,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pyeonche 170 even before the reinforcing bar 200 is inserted.

한편, 철근(200)이 철근 연결 장치(100)로 결합되면, 철근(200)으로부터의 압력이 편체 지지부(160)에 가해지게 되어 편체 지지부(160)는 편체 분리부(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편체(170)은 삽입된 철근(2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inforcing bar 200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100 , the pressure from the reinforcing bar 200 is applied to the pyeonche support 160 , so the pyeonche support 160 can be separated from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150 . There, the pyeonche 170 can fix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200 .

결국, 본 발명의 철근 연결 장치는 철근 연결 장치 내의 편체들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철근 연결 시 내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pyeonche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can be stably maintained, thereby improving the seismic strength when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100: 철근 연결 장치 110: 하우징
120: 하우징 연결부 130: 스프링 안착부
140: 제1스프링 150: 편체 분리부
160: 편체 지지부 170: 편체들
200: 철근
100: rebar connection device 110: housing
120: housing connection 130: spring seat portion
140: first spring 150: pyeonche separation unit
160: pyeonche support portion 170: pyeoncheeul
200: rebar

Claims (8)

철근을 연결시키는 철근 연결 장치에 있어서,
내면에 나사산을 가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경사면을 갖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하우징 연결부;
상기 하우징 연결부 내부에 배치되는 안착면을 가지는 스프링 안착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편체 분리부;
외면이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접촉되고, 내면에 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 상에 이격되어 안착되는 복수의 편체; 및
상기 편체 분리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편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철근 연결 장치.

In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portion having a thread on an inner surface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a housing connection part coupled to a screw thread formed in the housing;
a spring seating part having a seating surfac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connection part;
a first spring configured to be seated on a seating surface of the spring seating part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t is seated on the first spring,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for separ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yeonche;
a plurality of pyeonche having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rt,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eated on the separation unit; and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pyeonche support portion tha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yeonche separation portion to sup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pyeonche so as not to fall down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 지지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편체 분리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yeonch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and is separated from the pyeonche separation part by the pressure applied as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r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 분리부는,
상기 제1스프링 상에 안착되며, 철근 수용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편체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a plate seated on the first spring and having a reinforcing bar accommodating hole; and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comprising spac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yeonch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Reinforcement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yeonch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in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 안착부는 상기 편체 분리부와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런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철근이 삽입됨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런너와 상기 편체 분리부 또는 상기 편체 지지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yeonche sea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runner connecting the pyeonche separation portion and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Reinforcement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runner and the pyeonche separation unit or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is cut by the pressure applied as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편체 지지부의 외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Reinforcement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sprin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yeonche suppo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플레이트의 외경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Reinforcement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spring is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 지지부는 윗면 및 상기 윗면에 수직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편체의 내면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편체 지지부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편체 각각이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of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yeonche,
The side of the pyeonche support portion is reinforced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yeonche so as not to fall over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KR1020200119545A 2020-09-17 2020-09-17 Rebar connecting apparatus KR102475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5A KR102475538B1 (en) 2020-09-17 2020-09-17 Rebar conn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5A KR102475538B1 (en) 2020-09-17 2020-09-17 Rebar conn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052A true KR20220037052A (en) 2022-03-24
KR102475538B1 KR102475538B1 (en) 2022-12-08

Family

ID=8093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545A KR102475538B1 (en) 2020-09-17 2020-09-17 Rebar conn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5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44A1 (en) * 2022-09-21 2024-03-2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Modular building connector that couples without faste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45B1 (en) * 2016-07-11 2016-09-09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845850B1 (en) * 2017-11-20 2018-04-06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Steel reinforcement coupler of one-touch type enable to check insertion depth of steel reinforcement
KR101929179B1 (en) * 2018-05-10 2018-12-13 송주천 One-Touch Type Coupler
KR101941127B1 (en) * 2018-07-13 2019-01-22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45B1 (en) * 2016-07-11 2016-09-09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845850B1 (en) * 2017-11-20 2018-04-06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Steel reinforcement coupler of one-touch type enable to check insertion depth of steel reinforcement
KR101929179B1 (en) * 2018-05-10 2018-12-13 송주천 One-Touch Type Coupler
KR101941127B1 (en) * 2018-07-13 2019-01-22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44A1 (en) * 2022-09-21 2024-03-2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Modular building connector that couples without fast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538B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1966B2 (en) Clamp
US6915990B2 (en) Pipe holding fastener
KR100443594B1 (en) Coupling device for iron rod
KR101813377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KR20220037052A (en) Rebar connecting apparatus
KR102203490B1 (en)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US10988930B2 (en) V-shaped tie reinforcement integrally provided with one-touch fixing device
KR102069667B1 (en) Pressure type coupler with means for individually pressing the wedge
KR102565226B1 (en)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KR102203495B1 (en)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using flat plate spring
KR102230607B1 (en) Fixing apparatus of stone for earthquake-resistant
US20100043337A1 (en) Spacer for concrete reinforcement wire
WO2006121301A1 (en) Anchor bolt assembly
KR102187018B1 (en)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20220104436A (en) Rebar connecting apparatus
CN212509099U (en) Fixing element
KR100372832B1 (en)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KR102186905B1 (en) Steel Connecting coupler
CN113605229A (en) Prestressed anchorage utensil is used in public road bridge roof beam construction
CN219604332U (en) Connecting assembly and building structure
KR200234870Y1 (en)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KR101155829B1 (en) A wall spacer
KR102213802B1 (en) coupling method for precast concrete
KR102213799B1 (en) 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CN219033189U (en) Connecting assembly and build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