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371A -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Google Patents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371A
KR20190054371A KR1020170150557A KR20170150557A KR20190054371A KR 20190054371 A KR20190054371 A KR 20190054371A KR 1020170150557 A KR1020170150557 A KR 1020170150557A KR 20170150557 A KR20170150557 A KR 20170150557A KR 20190054371 A KR20190054371 A KR 2019005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upler
inlet
holde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충환
Original Assignee
차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충환 filed Critical 차충환
Priority to KR102017015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371A/en
Publication of KR2019005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 touch-type rebar coupler which connects a plurality of re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touch-type rebar coupler comprises: a pair of coupler bodies having a hollow part with a taper unit whose internal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an entrance towards the opposite side; a socket inserted through an end uni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entrance of the coupler bodies; a plurality of shells installed to have an external side surface, which is adjacent to the taper unit, inside the hollow part of each of the coupler bodies, including: a plurality of locking bumps supported by hanging a joint of the rebars on an internal side surface, and an engagement piece is formed on one end unit to be extended towards the socket; a cylindrical holder which includes: a disc-shaped holder disc; and a flang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unit of the holder disc to be inserted into an internal side surface of the engagement piece of the shells, and which, when the rebar is inserted through the entrance, collides with an end unit of the rebar to be dislodged to the outside of the engagement piece of the shells; and a compressed coil spring which applies an elastic force towards an upper side of the shells and the socket. An internal side surface of the engagement piece of the shells is made of an internal taper unit which is inclined towards the outside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entrance side towards the socke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one touch-type rebar coupler which is able to reduce the number of used parts and be easily assembled and maintained.

Description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본 발명은 철근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톱니 형태의 돌기가 형성된 복수개의 편체가 홀더 및 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커플러바디 내측으로 철근이 삽입되면 철근에 의해 홀더가 편체로부터 이탈하면서 편체가 자동으로 오므려져 철근을 강한 힘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more specifically,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teeth-shaped protrusions are hel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holder and a sp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type reinforced concrete coupler which is capable of fixing a reinforcing bar with a strong force by automatically disengaging a holder from a body by a reinforcing bar.

각종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철근을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철근을 이중으로 겹친상태에서 철사 등으로 묶어서 고정하였으나, 이러한 철근 고정방식은 작업자가 철사를 다수회 철근 외주로 권취한 다음 묶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철근의 중심이 수직이 되지 않고 삐뚤어질 뿐 아니라 철사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쉽게 끊어지면서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onnect reinforcing bars for use in concrete structures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reinforcing bars are conventionally bundled and fixed in a double layer structure. However, in this reinforcing bar fixing method, an operator has to wire the reinforcing bars around the reinforcing bars a plurality of times The work is troublesome and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ar is not vertical and is not straight, but the strength of the wire is weak, so that it is easily broken and the connection state is relea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근을 철사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쉽고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한 철근 이음장치(커플링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inforcing bars (coupl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easily and firm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means other than wires.

그런데, 종래에 개발된 철근 이음장치들의 대부분은 철근을 하우징 내부에 삽입한 후 하우징을 나사로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철근의 연결 작업이 어려워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s are structured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s into the housing and then screwing the housing into the housing, which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difficult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39305호(2004.6.28. 등록)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62291호(2004.12.08.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302호 등에는 간단히 철근을 이어줄 수 있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들이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Registered Patent No. 0439305 (registered on June 28, 2004), Korean Registered Patent No. 0462291 (registered on December 2004),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03302,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s are disclosed.

종래의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들은 커플러 내부에 철근을 파지하기 위한 복수의 편체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편체는 철근이 삽입될 때에는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벌어졌다가 철근이 완전히 삽입되면 오므려지면서 철근을 파지하며, 철근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편체가 커플러바디의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쐐기 작용을 하여 철근이 커플러바디에서 빠지지 않게 단단히 지지한다. The conventional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s have a plurality of assemblies for holding reinforcing bars inside the coupler.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they naturally spread outwardly.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completely inserted,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the wing acts as the wing is supporte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upler body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s firmly supported from the coupler body.

그러나, 종래의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들은 철근이 삽입될 때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지만, 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정해진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기 어려워 철근의 삽입 도중 철근이 걸려서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한 철근의 수직도가 정확하게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s are required to maintain a widened state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tt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rticality of the reinforcing bar is not accurately displayed.

등록특허 제10-1683143호에는 복수의 편체의 일단부 내측에 원통형의 홀더를 삽입하여 복수의 편체들이 벌여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커플러바디 내측으로 철근이 삽입되면 철근에 의해 홀더가 편체 외측으로 이탈하면서 자동으로 편체들이 오므려져 철근의 외면을 단단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가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683143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cylindrical holder is inserted into one end of a plurality of assemblies to mainta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assemblies are inserted and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coupler body, A type of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is disclosed in which the oute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bars can be firmly gripped by automatically disengaging the plates.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철근이 커플러 내측으로 삽입되기 전에 편체들이 오므려지지 않고 편체의 간격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스프링이 편체의 내측 부분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여 유지 관리가 어렵고, 조립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a ring-shaped spring is requi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of the fixture so that the fixtures are not pinched before the reinforcement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There is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assembly is difficult.

또한 커플러 내부의 중간 부분에 철근의 진입 위치를 제한하고 2개의 커플러바디를 연결하기 위한 원통관 형태의 소켓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소켓은 중간 부분에 철근의 진입 위치를 제한하며 철근의 끝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격판이 마련되기 때문에 소켓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지 못하고, 환봉 형태로 된 소재의 양단부를 깍아서 중공관 형태로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소재의 낭비를 초래하여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다.Also, in the middle part of the coupler, there is provided a socket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limiting the entry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nd connecting the two coupler bodies. Such a socket limits the entry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s in the middle part, The sockets can not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round bar shaped material must be cut into a hollow tube shap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waste of the materia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3143호(2016.11.30.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83143 (Registered on November 30, 20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2291호(2004.12.08.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62291 (Registered on December 8, 2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302호(2010.12.16.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03302 (Registered on December 16,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9959호(2013.04.25.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9959 (Registered on April 25,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링 형태로 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편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be used, 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that is easy to man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커플러바디를 연결하는 원통관 형태의 소켓을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which can easily and cheaply manufacture a socket having a circular tube shape connecting two coupler bodi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철근이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커플러바디; 상기 한 쌍의 커플러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커플러바디의 입구의 반대편 끝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소켓; 상기 각각의 커플러바디의 중공부 내측에서 외측면이 상기 테이퍼부와 연접하게 설치되고, 내측면에 철근의 마디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록킹돌기가 배열되어 있고, 일단부에 결합편이 상기 소켓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편체; 상기 커플러바디의 입구를 통해 삽입된 철근의 끝단부에 부딪히는 원반형의 홀더디스크와, 상기 홀더디스크의 외주연부에 상기 입구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편체의 결합편의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입구를 통해 철근이 삽입되면 철근의 끝단부에 부딪혀 편체의 결합편 외부로 이탈하게 되는 원통관 형태의 홀더; 상기 소켓에 대해 편체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편체의 결합편의 내측면은 입구 쪽에서 소켓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내측 테이퍼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respectively, and a hollow portion having a tapered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opposite side A pair of coupler bodies having a portion; A socke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upler bodies and inserted through opposite ends of an inlet of each coupler body; Wherei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ortion of each of the coupler bodie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apered portion, A plurality of elastics; And a flang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piec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bodies, the coupling disk be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disk so as to extend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holder disk. A holder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through the inlet,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is formed as an inner side taper portion which is inclined radially outward from the inlet side toward the socket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의 내측면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내측 테이퍼부로 이루어지면, 홀더의 플랜지가 편체의 결합편 내측으로 삽입될 때 결합편 끝단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의 플랜지가 편체의 결합편 상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철근 진입 전에 편체의 간격을 벌려주기 위한 링 형태의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formed at one end of the fixture is made of an inner tapered portion that is inclined radially outwardly, when the flange of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of the fixture, And the flange of the holder acts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engagement piece of the plate body radially outwardly. Therefore, since a ring-shaped spring is not required to spread the gap between the plates before entering the reinforcing bar,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그리고 압축코일스프링을 편체의 결합편 외측면 및 홀더의 플랜지 외측면으로 삽입되는 편체결합부와, 소켓의 일단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편체결합부가 코일 간격이 없이 완전히 연접한 형태로 이루어지면, 홀더가 편체에서 이탈하여 압축코일스프링이 편체를 축방향으로 가압할 때 편체와 압축코일스프링이 서로 분리되는 현상없이 복수의 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flange out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and the flange out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and an elastic part which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ocket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When the holder is detached from the body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presses the body in the axial direction, the elastic body can stably support the plurality of bodies without causing the body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to separate from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또한 한 쌍의 커플러바디를 연결하고 철근의 근입 위치를 제한하는 소켓이 원통형의 중공관 형태로 된 소켓몸체와, 소켓몸체와 개별체로 되어 소켓몸체의 일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소켓몸체의 내측 공간 중앙부에 결합되는 원반형의 격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소켓의 제작이 매우 용이해지고, 제작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A socket body for connecting a pair of coupler bodies and restrict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 socket body having a cylindrical hollow tube shape, and a socket body inserted into the socket body through one end of the socket body, In the case of a disk-shaped diaphragm to be coupled, the manufacture of the socket becomes very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커플러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철근 커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커플러의 일부 구성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철근 커플러의 소켓을 구성하는 소켓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철근 커플러의 소켓을 구성하는 격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철근 커플러에 적용된 압축코일스프링의 정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reinforcing coupler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coupler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reinforcing coupler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components shown i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socket body constituting the socket of the reinforcing coupler shown i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diaphragm constituting the socket of the reinforcing coupler shown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a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applied to the reinforcing coupler of Figure 8;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를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a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원통 관 형태로 된 한 쌍의 커플러바디(10a, 10b)와, 상기 각각의 커플러바디(10a, 10b)의 내측에 설치되어 커플러바디(10a, 10b) 내측으로 근입된 철근(B)을 견고하게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편체(20)와, 홀더(30), 압축코일스프링(40), 소켓(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1 to 7, a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coupler bodies 10a and 10b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tube, a pair of coupler bodies 10a and 10b, A plurality of assemblies 20 provided inside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nd firmly holding the reinforcing bars B inserted into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nd the holder 30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s 40, ).

커플러바디(10a, 10b)는 2개가 한 쌍으로 되어 소켓(5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커플러바디(10a, 10b)는 단단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에 철근(B)이 삽입되는 입구(11a)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11a)의 반대편에서 입구(11a)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의 입구(11a)가 형성된 일단부의 반대편 일단부에는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 다른 커플러바디(10a)가 소켓(50)을 매개로 연결되어, 2개 1조의 커플러바디(10a, 10b)에 철근(B)을 삽입하게 되면 2개의 철근(B)이 서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The two coupler bodies 10a and 10b are pair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ocket 50. [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re made of a rigid metal material and have an inlet 11a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bar B is inserted at one end there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1a toward the inlet 11a And a hollow portion 11 in which a tapered portion 12 gradually decreases in inner diameter is formed. Another coupler body 10a having a symmetrical shap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posite end of the one end of the coupler body 10a or 10b through which the inlet 11a of the coupler body 10a is formed via a socket 50, 10a and 10b, the two reinforcing bars B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커플러바디(10a, 10b)의 입구(11a)의 내주연부에는 편체(20)가 압축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입구(11a) 쪽으로 이동했을 때 편체(20)의 끝단부가 걸려져 지지되는 스톱퍼(14)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14)는 편체(20)의 끝단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d of the fixture 20 is hooked and supported when the fixture 20 is moved toward the inlet 11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let 11a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The stopper 1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radially in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14 is formed to be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nd portion of the body 20.

소켓(50)이 삽입되는 커플러바디(10a, 10b)의 끝단부 내주면에는 소켓(50)과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산(13)이 형성되어 있다.A female thread 13 for coupling with the socket 5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coupler body 10a or 10b into which the socket 50 is inserted.

한 쌍의 커플러바디(10a, 10b) 내측에 구성되는 편체(20)와 홀더(30)와 압축코일스프링(40)은 소켓(5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측에 배치된 커플러바디(10a)와 그 내측에 구성된 편체(20), 홀더(30), 압축코일스프링(40)을 위주로 본 발명의 철근 커플러의 구조 및 작동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The assembly 20 and the holder 30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formed inside the pair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r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ocket 50. [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carried out with the coupler body 10a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xture 20, the holder 30,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formed on the inside thereof, An example is given.

상기 복수개(통상적으로 3개~4개)의 편체(20)들은 커플러바디(10a)의 중공부(11) 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되어 커플러바디(10a)의 테이퍼부(12)와 대응하여 연접하게 된다. 복수의 편체(20)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편체(20)의 내측면에는 철근(B)의 마디(P)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록킹돌기(21)(21)들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돌기(21)(21)들은 커플러바디(10a)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되며, 철근(B)의 마디(P)로부터 가해지는 인장력에 저항하고 철근(B)이 빠지지 않도록 래칫(ratchet) 톱니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돌기(21)들은 1±0.05㎜의 피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철근의 규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ypically three to four) assemblies 20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hollow portion 11 of the coupler body 10a, and each of the outer surfaces is curve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ixtures 20 have the same shape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21 and 2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ture 2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nodule P of the reinforcing bar B while being caught. The locking protrusions 21 and 21 are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upler body 10a and are fixed to the ratchet B so as to resist the tensile force applied from the node P of the reinforcing bar B, ratchet) saw tooth shape. The locking protrusions 21 are preferably formed at a pitch of 1 +/- 0.05 mm, bu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reinforcing bars.

편체(20)의 하단부에는 홀더(30) 및 압축코일스프링(40)에 의해 지지되는 결합편(22)이 하측의 소켓(50)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30)는 원반형의 홀더디스크(31)와 홀더디스크(31)의 외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32)로 이루어져, 플랜지(32)가 편체(20)의 결합편(2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편(2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편체(20)를 지지한다.A coupling piece 22 supported by the holder 30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0 so as to extend toward the socket 50 at the lower side. The holder 30 is composed of a disk-like holder disk 31 and a flange 32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disk 31. The flange 32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body 20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to support the body 20.

편체(20)들은 철근(B)이 커플러바디(10a, 10b)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홀더(3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져 있다가 철근(B)이 커플러바디(10a)의 입구(11a)를 통해 삽입되어 홀더(30)가 결합편(22) 외부로 이탈되면, 압축코일스프링(4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면서 테이퍼부(12)에 의해 오므려져 편체(20) 내측면의 록킹돌기(21)들이 철근(B)의 외면을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이 때 편체(20)는 쐐기 작용을 하여 철근(B)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저항하게 된다. When the reinforcing bars B are not inserted into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the fixtures 2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lder 30 and the reinforcing bars B are inserted into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11a and the holder 30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engaging piece 22, the pressing coil spring 40 pushes it upward and is moved by the tapered portion 12, The locking protrusions 21 firmly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B. At this time, the bracket 20 acts as a wedge to resi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B).

편체(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편(22)은 상측의 두께보다 약간 얇은 두께를 갖도록 되어 편체(20)의 상부와 결합편(22)의 상단부 외측면 사이에는 단차(23)가 형성되고, 이 단차(23)에 압축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가 걸려서 지지된다. 결합편(22)의 내측면은 입구(11a) 쪽에서 소켓(50)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내측 테이퍼부(22a)로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편(22)의 외측면은 입구(11a) 쪽에서 소켓(50)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외측 테이퍼부(22b)로 이루어진다. The engaging piece 2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20 has a thickness slight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body so that a step 2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iece 22 , And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hooked to the step (23).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is composed of an inner tapered portion 22a inclin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let 11a side toward the socket 50 side.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is composed of an outer tapered portion 22b inclin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let 11a side toward the socket 50 side.

결합편(22)의 내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내측 테이퍼부(22a)로 이루어지면, 홀더(30)의 플랜지(32)가 편체(20)의 결합편(22) 내측으로 삽입될 때 결합편(22) 끝단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30)의 플랜지(32)가 편체(20)의 결합편(22) 상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철근 진입 전에 편체(20)의 간격을 벌려주기 위한 링 형태의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다.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fitting body 20 and the inner tapered portion 22a of the engaging piece 22 is inclined radially outwardly toward the lower side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acts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plate 20 radially outward as well as to be inserted smoothly without being caught by the end of the engaging piece 22 do.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ring-shaped spring to spread the gap of the body 20 before entering the reinforcing bar.

또한 결합편(22)의 외측면이 외측 테이퍼부(22b)로 이루어지면, 압축코일스프링(40) 내측으로 결합편(22)이 원활하게 슬라이딩하여 삽입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22 is formed of the outer tapered portion 22b, the coupling piece 22 can be smoothly slid into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and inserted.

홀더(30)는 커플러바디(10a)의 입구(11a)를 통해 삽입된 철근(B)의 끝단부에 부딪히는 원반형의 홀더디스크(31)와, 홀더디스크(31)의 외주연부에 상측으로, 즉 입구(11a)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편체(20)의 결합편(22)의 내측면으로 삽입되면서 밀착되는 플랜지(32)로 구성된 원통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홀더(30)는 커플러바디(10a) 내측으로 철근(B)이 삽입되기 전에는 복수의 편체(20)의 간격을 벌린 상태로 지지하는 작용을 하며, 입구(11a)를 통해 철근(B)이 삽입되면 철근(B)의 끝단부에 부딪혀 편체(20)의 결합편(22) 외부로 이탈하게 된다. The holder 30 has a disc-like holder disc 31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end of the reinforcing bar B inserted through the inlet 11a of the coupler body 10a, And a flange 32 formed to extend toward the inlet 11a and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body 20 to be in close contact therewith. The holder 30 acts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fixtures 20 in an enlarged state before the reinforcement B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body 10a and the reinforcement B is inserted through the inlet 11a,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B abuts against the outside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bracket 20.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0)은 코일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편체(20)에 입구(11a)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압축코일스프링(40)은 결합편(22)의 외측면 및 홀더(30)의 플랜지(32) 외측면으로 삽입되는 편체결합부(42)와, 소켓(50)의 일단부(상단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43)로 이루어지며, 상기 편체결합부(42)는 코일(41) 간의 간격이 없이 코일(41)이 서로 연접하여 편체(20)의 결합편(22)과 홀더(30)의 외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력을 발생시키고, 탄성부(43)는 코일(41)이 서로 소정의 간격 두고 형성되어 커플러바디(10a)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il is wound in a spiral shape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20 toward the inlet 11a.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22 and on the outer sid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And the elastic pieces 43 that are hel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generate an elastic force and the knitting fasteners 42 are arranged such that the coils 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gap between the coils 41, And the elastic portion 43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pacing between the coils 41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upler body 10a .

이와 같이 압축코일스프링(40)을 편체(20)의 결합편(22) 외측면 및 홀더(30)의 플랜지(32) 외측면으로 삽입되는 편체결합부(42)와, 소켓(50)의 일단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43)로 이루어지고, 편체결합부(42)가 코일 간격이 없이 서로 연접한 형태로 이루어지면, 홀더(30)가 편체(20)에서 이탈하여 압축코일스프링(40)이 편체(20)를 축방향으로 가압할 때 편체(20)와 압축코일스프링(40)이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압축코일스프링(40)이 복수의 편체(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ement piece 22 of the fixture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The holder 30 is detached from the body 20 and the elastic piece 43 is hel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43. When the holder 30 is detached from the body 20, When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presses the fixture 20 in the axial direction,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fixture 20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fixed to the plurality of fixtures 20 So that the elastic force can be applied.

상기 소켓(50)은 원통형의 중공관 형태로 된 소켓몸체(51)와, 소켓몸체(51)와 개별체로 되어 소켓몸체(51)의 일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소켓몸체(51)의 내측 공간 중앙부에 결합되는 원반형의 격판(52)을 포함한다. 소켓몸체(51)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커플러바디(10a, 10b)의 끝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산(13)과 나선 결합되는 수나사산(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 끝단의 암나사산(13)을 소켓몸체(51)의 수나사산(56)에 맞추어 커플러바디(10a, 10b) 또는 소켓몸체(51)를 회전시키면 암나사산(13)과 수나사산(56) 간의 나선 결합에 의해 커플러바디(10a, 10b)가 소켓(50)에 결합되고, 2개의 커플러바디(10a, 10b)가 소켓(5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The socket 50 is inserted into the socket body 51 through the one end of the socket body 51 in an independent form with the socket body 51 and is inserted into the socket body 51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body 51 And includes a diaphragm 52 that is coupled to the dis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body 51 is formed a male screw thread 56 which is helically engaged with the female screw thread 13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pair of coupler bodies 10a and 10b. When the female thread 13 at the end of the coupler body 10a or 10b is aligned with the male thread 56 of the socket body 51 and the coupler body 10a or 10b or the socket body 51 is rotated,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re coupled to the socket 50 by the spiral coupling between the coupler bodies 13 and 13 and the male threads 56 so that the two coupler bodies 10a and 10b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ocket 50 do.

상기 소켓몸체(51)의 내주면 중앙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결합홈(55)이 형성된다. 상기 격판(52)의 테두리에 상기 결합홈(55)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5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3)는 서로 역상을 갖는 삼각형 형태를 갖는 제1결합돌기(53)와 제2결합돌기(53)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격판(52)의 중심부에는 육각렌치 등의 공구가 삽입되는 다각형 형태(이 실시예에서 육각형)의 관통공(54)이 형성되어 있다.A coupling groove 5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body 51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5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rim of the diaphragm 5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55. The engaging protrusions 53 are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s 53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s 53 having a triangular shape having opposite phases and the hexagonal wrench (Hexagonal in this embodiment) in which a tool such as a tool or the like is inserted.

따라서 소켓(50)을 커플러바디(10a, 10b)에 대해 상대 회전하여 결합할 때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관통공(54)에 삽입하여 소켓(50)을 공구에 고정시키고, 소켓(50)을 커플러바디(10a, 10b)의 끝단부에 맞추어 상대 회전시키면 소켓(50)을 커플러바디(10a, 10b)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커플러바디(10a, 10b)에서 소켓(5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격판(5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53)가 서로 역상의 삼각형 형태를 갖기 때문에 소켓(50)을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와 소켓(50)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서로 역상으로 된 결합돌기(53)들이 결합홈(55) 내측면에 걸리면서 격판(52)이 겉돌지 않고 격판(52)과 소켓몸체(51)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된다. A tool such as a hexagonal wrench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4 to fix the socket 50 to the tool and the socket 50 to be fixed to the tool when the socket 50 is rotated relative to the coupler bodies 10a, The socket 5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or the socket 5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by relatively rotating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with respect to the end portions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have. At this time, since the engaging projections 53 formed on the diaphragm 52 have mutually opposite triangular shapes, when the socket 50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and in the direction separating the socket 50, The diaphragm 52 and the socket body 51 are allowed to move integrally without the diaphragm 52 being cover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s 53 in the reverse phase.

상기 격판(52)은 중공관 형태로 된 소켓몸체(51)와 개별체로 제작된 후 소켓몸체(51)의 일단부를 통해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격판(52)은 소켓몸체(51)의 내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가지므로 격판(52)이 소켓몸체(51)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때 격판(52)은 약간 휘어지면서 변형되다가 격판(52)의 외주연부가 결합홈(55)에 도달하면 결합홈(55)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 때 격판(52) 외주연부의 결합돌기(53)가 결합홈(55)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걸리므로 격판(52)의 관통공(54)에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때 격판(52)이 소켓몸체(51)와 일체화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The diaphragm 52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ocket body 51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and the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one end of the socket body 51 to be coupled. Since the diaphragm 52 has an out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ocket body 51, when the diaphragm 52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body 51, the diaphragm 52 deforms slightly,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engaging groove 55 reaches the engaging groove 55, the engaging groove 55 is elastically inserted and engaged. The engaging projection 53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diaphragm 52 is caugh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55. Accordingly, when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4 of the diaphragm 52, So that they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ocket body 5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The thus constructed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s as follows.

커플러바디(10a, 10b)에 철근(B)을 삽입하기 전에 커플러바디(10a, 10b) 내측에 배치된 편체(20)들은 그 하단부의 공간을 통해 삽입된 홀더(30)에 의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홀더(30)의 플랜지(32)는 편체(20)의 결합편(2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편체(2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려준다. 그리고, 편체(20)의 결합편(22) 외측면과 홀더(30)의 플랜지(32) 외측면은 소켓(50)에 지지되어 있는 압축코일스프링(40)의 일단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된다. The assemblies 20 disposed inside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before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s B into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holder 30 inserted through the space at the lower end thereof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keeps the state open. At this time,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piece 22 of the fixture 20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hereto, thereby opening the fixture 20 radially out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fixture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are inserted into the one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supported by the socket 50 .

이 상태에서 커플러바디(10a)의 입구(11a)를 통해서 중공부(11) 내에 철근(B)을 삽입하면, 철근(B)이 편체(2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편체(20) 사이를 통과한 철근(B)의 끝단부는 홀더(30)의 홀더디스크(31)에 닿으면서 홀더(30)를 소켓(50) 쪽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홀더(30)가 편체(20)의 결합편(22)에서 빠져 나오면서 편체(20)의 내측부를 지지해주는 힘이 제거되고, 편체(20)가 압축코일스프링(40)에 의해 탄성력을 받으면서 테이퍼부(12)에 밀착되면서 편체(20)들이 자동으로 오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편체(20)의 내측면의 록킹돌기(21)가 철근(B)의 외면에 강하게 압착된다. When the reinforcing bars B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1 through the inlet 11a of the coupler body 10a in this state, the reinforcing bars B pass through the joints 20.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B which have passed between the joints 20 contact the holder disc 31 of the holder 30 and push the holder 30 toward the socket 50. As a result, The force for supporting the inner side portion of the body 20 is removed while exiting from the engagement piece 22 of the body 20 and the body 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pered portion 12 while receiving the elastic force by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The knobs 20 are automatically closed. The locking protrusion 2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id 20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B.

상기 철근(B)에 의해 편체(20)에서 이탈하여 이동한 홀더(30)는 소켓(50)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 후 소켓(50)의 격판(52)에 걸려서 지지되고, 철근(B)의 근입 위치가 제한된다. The holder 30 which has moved away from the body 20 by the reinforcing bars B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50 and is hooked on and supported by the diaphragm 52 of the socket 50, The approach position is limited.

이와 같이 철근(B)이 커플러바디(10a, 10b)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철근(B)에 커플러바디(10a, 10b)의 축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져 철근(B)을 분리하려는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철근(B)의 마디(P)가 편체(20)의 록킹돌기(21)에 걸리면서 편체(20)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 때 테이퍼부(12)는 입구(11a)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기 때문에 편체(20)들이 쐐기 작용을 하여 철근(B)이 빠지지 않고 커플러바디(10a, 10b) 내측에 단단히 구속된다. When the reinforcing bars B are inserted into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nd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B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to separate the reinforcing bars B The nip P of the reinforcing bar B hits the locking protrusion 21 of the bracket 20 and presses the bracket 20 upward. At this time, the tapered portion 12 is pushed toward the inlet 11a The joints 20 act as a wedge to tightly restrain the reinforcing bars B inside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without falling off.

특히 편체(20)의 상단부가 커플러바디(10a)의 입구(11a) 내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14)에 걸리게 되어 편체(20)가 입구(11a)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Particularly, the upper end of the body 20 is caught by the stopper 14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inlet 11a of the coupler body 10a so that the body 20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1a .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에 철근(B)이 삽입되어 고정되면, 콘크리트 몰탈이 부어지고 커플러바디(10a, 10b)와 철근(B)이 콘크리트 내에 고정된다. When the reinforcing bars B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the concrete mortars are poured and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nd the reinforcing bars B are fixed in the concrete.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철근 커플러는 압축코일스프링(40)의 직경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대체로 일정하여 일단이 상기 편체(20)의 결합편(22)의 외측면과 홀더(30)의 플랜지(32)의 외측면으로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소켓몸체(51)의 일단부 외측에 지지되어 편체(2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었다.The reinforcing coupler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has a substantially constant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one end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22 of the coupling body 20 and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utside the one end of the socket body 51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ody 20.

그러나, 도 8 및 도 9에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축코일스프링(40)이 상기 편체(20)의 결합편(22)의 외측면과 홀더(30)의 플랜지(32)의 외측면으로 삽입되는 부분에서 소켓(50) 쪽으로 가면서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진 형태의 압축코일스프링(40)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부분이 상기 편체(20)의 결합편(22)의 외측면과 홀더(30)의 플랜지(32)의 외측면으로 삽입되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기 소켓몸체(5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격판(52)에 의해 지지된다. However, as shown in other embodiments in Figs. 8 and 9,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fixture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The tapered shape may have a diameter decreasing from th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ocket 50 toward the socket 50. The tapered compression coil spring 40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portion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fixture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Is inserted into the relatively small socket body (51) and is supported by the diaphragm (52).

이와 같이 압축코일스프링(40)의 테이퍼진 형태를 갖도록 되어 소켓몸체(51) 내측으로 삽입되어 격판(52)에 의해 지지되면, 커플러바디(10a, 10b)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When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tapered and inserted into the socket body 51 and supported by the diaphragm 52, the overall size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can be advantageously reduced .

압축코일스프링(40)이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것에 있어서도,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압축코일스프링(40)과 같이 결합편(22)의 외측면 및 홀더(30)의 플랜지(32) 외측면으로 삽입되는 부분은 코일 간의 간격이 없이 코일이 서로 연접하고, 소켓몸체(51)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은 코일이 서로 간격 두고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Even when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has a tapered shape,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22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The coil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space between the coils and the coil may be form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belong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a, 10b : 커플러바디 11 : 중공부
11a : 입구 12 : 테이퍼부
13 : 암나사산 14 : 스톱퍼
20 : 편체 21 : 록킹돌기
22 : 결합편 22a : 내측 테이퍼부
22b : 외측 테이퍼부 23 : 단차
30 : 홀더 31 : 홀더디스크
32 : 플랜지 40 : 압축코일스프링
41 : 코일 42 : 편체결합부
43 : 탄성부 50 : 소켓
51 : 소켓몸체 52 : 격판
53 : 결합돌기 54 : 관통공
55 : 결합홈 56 : 수나사산
10a, 10b: Coupler body 11: Hollow part
11a: inlet 12: tapered portion
13: female thread 14: stopper
20: coupling 21: locking projection
22: engaging piece 22a: inner taper part
22b: outer tapered portion 23: stepped portion
30: Holder 31: Holder disk
32: flange 40: compression coil spring
41: coil 42:
43: elastic portion 50: socket
51: socket body 52: diaphragm
53: engaging projection 54: through hole
55: engaging groove 56: male thread

Claims (10)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철근이 삽입되는 입구(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11a)에서 반대편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부(12)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1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커플러바디(10a, 10b);
상기 한 쌍의 커플러바디(10a, 10b)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커플러바디(10a, 10b)의 입구(11a)의 반대편 끝단부를 통해 삽입되는 소켓(50);
상기 각각의 커플러바디(10a, 10b)의 중공부(11) 내측에서 외측면이 상기 테이퍼부(12)와 연접하게 설치되고, 내측면에 철근(B)의 마디(P)가 걸리면서 지지되는 복수개의 록킹돌기(21)가 배열되어 있고, 일단부에 결합편(22)이 상기 소켓(50)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편체(20);
상기 커플러바디(10a, 10b)의 입구(11a)를 통해 삽입된 철근(B)의 끝단부에 부딪히는 원반형의 홀더디스크(31)와, 상기 홀더디스크(31)의 외주연부에 상기 입구(11a)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편체(20)의 결합편(22)의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플랜지(32)를 구비하여, 상기 입구(11a)를 통해 철근(B)이 삽입되면 철근(B)의 끝단부에 부딪혀 편체(20)의 결합편(22) 외부로 이탈하게 되는 원통관 형태의 홀더(30);
상기 소켓(50)에 대해 편체(20)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40);
을 포함하며,
상기 편체(20)의 결합편(22)의 내측면은 입구(11a) 쪽에서 소켓(50)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내측 테이퍼부(22a)로 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And a hollow portion 11 having an inlet 11a for inserting reinforcing bars into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a tapered portion 12 having an inn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toward the opposite side from the inlet 11a, A pair of coupler bodies 10a and 10b;
A socket 50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upler bodies 10a and 10b and inserted through an opposite end of the inlet 11a of each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 plurality of coupler bodies 10a and 10b ar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is connected to the tapered portion 12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is supported by a node P of a reinforcing bar B A plurality of fixtures (20) having locking projections (21) arranged at one end thereof and a coupling piece (22) extending toward the socket (50) at one end;
A disc-shaped holder disc 31 which strikes an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B inserted through the inlet 11a of the coupler bodies 10a and 10b and an inlet 11a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disc 31, And a flange 32 formed to exten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22 of the plurality of fixtures 20. When the reinforcing bar B is inserted through the inlet 11a, A holder 30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end of the coupling body 22 and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iece 22 of the coupling body 20;
A compression coil spring (40)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upward to the fixture (20) with respect to the socket (50);
/ RTI >
Where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fixture 20 is an inner tapered portion 22a inclin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let 11a side toward the socket 50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0)은 일단이 상기 소켓(50)의 일단부에 지지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편체(20)의 결합편(22)의 외측면과 홀더(30)의 플랜지(32)의 외측면으로 삽입되면서 소켓(50)에 대해 편체(20)에 상기 입구(11a)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has one end supported on one end of the socket (50)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ement piece (22) Type ferrule coupl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32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fitting body 20 toward the inlet 11a with respect to the socket 5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0)은 상기 결합편(22)의 외측면 및 홀더(30)의 플랜지(32) 외측면으로 삽입되는 편체결합부(42)와, 상기 소켓(50)에 접촉하여 지지되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43)로 이루어지며, 상기 편체결합부(42)는 코일(41) 간의 간격이 없이 코일(41)이 서로 연접하고, 상기 탄성부(43)는 코일(41)이 서로 간격 두고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comprises a fastening part (42) inserted in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22)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And the elastic pieces 43 are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arts 43. The elastic pieces 43 are connected to the coils 41 without the gap between the coils 41, Type ferrite coupler in which coils 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20)의 결합편(22)의 외측면은 입구(11a) 쪽에서 소켓(50)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외측 테이퍼부(22b)로 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iece (22) of the fixture (20) has an outer tapered portion inclin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inlet (11a) side toward the socket (50) 22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50)은, 상기 한 쌍의 커플러바디(10a, 10b)의 끝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외주면에 커플러바디(10a, 10b)의 끝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3)과 나선 결합되는 수나사산(56)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관 형태로 된 소켓몸체(51)와, 상기 소켓몸체(51)의 내측 공간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철근(B)의 끝단부를 지지하는 원반형의 격판(52)을 포함하며,
상기 격판(52)은 상기 소켓몸체(51)와 개별체로 제작되어 소켓(50)의 개방된 일단부를 통해 삽입된 후 소켓(50)의 내측 공간 중앙부에 결합되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cket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ends of the pair of coupler bodies (10a, 10b) A socket body 51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in which a male thread 56 is formed to be spirally engaged with the socket body 51 and a socket body 51 provided to cross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body 51, Shaped diaphragm (52) for supporting the diaphragm
Wherein the diaphragm (52)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ocket body (51), inserted through an open end of the socket (50), and then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5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몸체(51)의 내주면 중앙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결합홈(55)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52)의 테두리에 상기 결합홈(55)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기(5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The socket bod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coupling groove (55)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ocket body (51) Shaped reinforcing coupler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53) joi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53)는 서로 역상을 갖는 삼각형 형태를 갖는 제1결합돌기(53)와 제2결합돌기(53)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격판(52)의 중심부에 다각형 형태의 관통공(54)이 형성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s (53) have first engaging projections (53) and second engaging projections (53) having a triangular shape with opposite phases being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haped through-hole 5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coupler 54.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0)은 편체(20)에 접하는 부분에서부터 소켓(50)에 접하는 부분으로 가면서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6. The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has a tapered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tting body (20)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ocket (5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0)은 일단이 상기 소켓몸체(5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격판(52)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편체(20)의 결합편(22)의 외측면과 홀더(30)의 플랜지(32)의 외측면으로 삽입되면서 소켓(50)에 대해 편체(20)에 상기 입구(11a)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socket body (51) and supported by the diaphragm (52) Type reinforcing coupl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32 of the holder 30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fitting body 20 toward the inlet 11a with respect to the socket 5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플러바디(10a, 10b)의 입구(11a)의 내주연부에는 편체(20)가 압축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입구(11a) 쪽으로 이동했을 때 편체(20)의 끝단부가 걸려져 지지되는 스톱퍼(14)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The coupling body (2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upling body (20) is moved toward the inlet (11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40)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let (11a) of the pair of coupler bodies (10a, And a stopper (14), which is supported by an end portion of the stopper (20), is protruded radially inward.
KR1020170150557A 2017-11-13 2017-11-13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201900543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57A KR20190054371A (en) 2017-11-13 2017-11-13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57A KR20190054371A (en) 2017-11-13 2017-11-13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71A true KR20190054371A (en) 2019-05-22

Family

ID=6668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557A KR20190054371A (en) 2017-11-13 2017-11-13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371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79B1 (en) * 2019-05-29 2020-02-11 윤명식 Reinforced anti-slip type one-touch coupler
KR102105560B1 (en) * 2019-10-25 2020-04-28 차성진 One touch rebar coupler
CN111472498A (en) * 2020-04-23 2020-07-31 陶闻钟 Self-holding steel bar connector
WO2022054967A1 (en) * 2020-09-08 2022-03-17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Semi-automatic coupler for connecting rebars
KR102649127B1 (en) * 2022-11-30 2024-03-19 이광오 steel bar coup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291B1 (en) 2002-10-29 2004-12-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KR101003302B1 (en) 2010-10-04 2010-12-2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High strength steel reinforcement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101259959B1 (en) 2012-07-30 2013-05-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resistant wedge type one-touch quick-coupler for reinforcing bar splice
KR101683143B1 (en) 2016-05-04 2016-12-06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291B1 (en) 2002-10-29 2004-12-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KR101003302B1 (en) 2010-10-04 2010-12-2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High strength steel reinforcement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101259959B1 (en) 2012-07-30 2013-05-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re-resistant wedge type one-touch quick-coupler for reinforcing bar splice
KR101683143B1 (en) 2016-05-04 2016-12-06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79B1 (en) * 2019-05-29 2020-02-11 윤명식 Reinforced anti-slip type one-touch coupler
WO2020241957A1 (en) * 2019-05-29 2020-12-03 윤명식 Rebar movement-prevention-type one-touch coupler
CN113950558A (en) * 2019-05-29 2022-01-18 威尔斯金属股份公司 One-key connector for preventing movement of reinforcing steel bar
KR102105560B1 (en) * 2019-10-25 2020-04-28 차성진 One touch rebar coupler
CN111472498A (en) * 2020-04-23 2020-07-31 陶闻钟 Self-holding steel bar connector
WO2022054967A1 (en) * 2020-09-08 2022-03-17 주식회사 베스트커플러 Semi-automatic coupler for connecting rebars
KR102649127B1 (en) * 2022-11-30 2024-03-19 이광오 steel bar coup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371A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654145B1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654150B1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683146B1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519471B1 (en) High Strength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Having Various Rib Shapes
KR101768816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
KR101683143B1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959076B1 (en) A rebar coupler
KR101941127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US20170204608A1 (en) High-strength one-touch rebar coupler
KR101906169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20180047818A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KR101554723B1 (en) one-touch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130061158A (en) Joining coupling device
KR20180047830A (en)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JP2013528039A (en) Cable gland with clamping device for cable sheath
KR101768819B1 (en) Coupler for connecting between sprial reinforcing rod and deformed reinforcing rod
KR20180048040A (en) Coupling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
KR20180047130A (en) Connection device for steel reinforcement
TW201727085A (en) Expansion anchor for clamping expansion part for radially holding an expansion part on a screw with a first latching and a second latching
KR101749856B1 (en) Multi purpose coupler
CN103984070A (en) Wire rod fixing device
KR101498662B1 (en) Reinforced seams coupling
KR101902007B1 (en) Steel wire coupler and concrete fix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180054216A (en) One touch steel reinforcing coup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