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867B1 - 케이블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867B1
KR101940867B1 KR1020160172691A KR20160172691A KR101940867B1 KR 101940867 B1 KR101940867 B1 KR 101940867B1 KR 1020160172691 A KR1020160172691 A KR 1020160172691A KR 20160172691 A KR20160172691 A KR 20160172691A KR 101940867 B1 KR101940867 B1 KR 10194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shim
male
met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228A (ko
Inventor
김아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8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0Contact cables, i.e. having conductors which may be brought into contact by distortion of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방법이고,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도체심을 노출시키는 도체심 노출단계;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중 어느 일측에 수형도체심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측에 상기 수형도체심에 대응되는 암형도체심을 형성하는 도체심 가공단계;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을 삽입하는 도체심 삽입단계;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외부에 박판 형태의 금속시트를 권취하여 설치하는 금속시트 설치단계; 및,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금속시트를 가열하고, 용융된 금속시트가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사이로 스며들면서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을 결합하는 도체심 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방법{CABLE LINKING METHOD}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의 영향을 감소시킨 케이블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원하는 곳까지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케이블의 제작 및 운반에 있어 수십 km의 케이블이 하나로 구성되기에는 제한이 있으므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운반하고 설치된다.
그러므로 절단된 케이블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중간 접속부분이 존재할 수 밖에 없으며, 총 길이에 따라 접속재의 개수도 늘어나게 된다.
이 접속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절연체를 벗겨낸 도체심(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을 서도 맞닿게 위치시킨 후, 그 위에 압착슬리브를 씌우고 압착기로 압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압착식 결합방식을 활용할 경우, 압착과정에서 발생한 외상에 의해 배전사고의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압착식 결합방법을 활용할 경우, 도체심의 연결을 위해 압착슬리브가 설치되면서 압착슬리브, 도체심, 절연체 간에 높이차가 발생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부분의 높이차가 발생한 부분에 형성된 틈으로 수분이나 불순물 침투할 수 있고, 미세한 틈을 통해 침투한 수분이나 불순물은 절연내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접속부분의 높이차에 의해 압착 시 소요되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외부 충격, 지진 등에 의해 접속부 탈락이나 단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화재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높이차의 발생을 저감시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그리고, 접속재 시공은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고 있으나 작업자에 따라 안정성의 확보가 다르며 접속재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사고의 위험 역시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작업자의 숙련도의 영향은 최소화하면서 전류 통전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케이블의 접속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볼 발명의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7790호(전선와이어 연결용 터미널, 출원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출원일 1997년 10월 16일)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케이블 접속부분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는 케이블의 접속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작업자의 숙련도의 영향은 최소화하면서 전류 통전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케이블의 접속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방법이고,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도체심을 노출시키는 도체심 노출단계;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중 어느 일측에 수형도체심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측에 상기 수형도체심에 대응되는 암형도체심을 형성하는 도체심 가공단계;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을 삽입하는 도체심 삽입단계;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외부에 박판 형태의 금속시트를 권취하여 설치하는 금속시트 설치단계; 및,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금속시트를 가열하고, 용융된 금속시트가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사이로 스며들면서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을 결합하는 도체심 결합단계; 및, 상기 도체심 결합단계 이후에 결합된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외부에 장력제어 밀봉재를 권취하여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밀봉하는 케이블 밀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권취되고, 상기 장력제어 밀봉재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도체심 가공단계는, 상기 제1 케이블의 단부로 노출된 제1 도체심의 외곽영역에 배치된 제1 외부도체심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제1 내부도체심을 잔존시켜 상기 수형도체심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케이블의 단부로 노출된 제2 도체심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제2 내부도체심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제2 외부도체심을 잔존시켜 상기 암형도체심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체심 삽입단계는, 상기 제1 내부도체심을 상기 제2 내부도체심이 절단 제거된 제2 제거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제2 외부도체심을 상기 제1 외부도체심이 절단 제거된 제1 제거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시트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도체심의 저항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납시트 또는 인듐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체심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된 연결부분의 도체심의 직경과, 최초의 상기 제1 케이블의 제1 도체심 및, 제2 케이블의 도체심의 직경은 동등한 치수로 유지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의 압착슬리브와 같은 커넥터부재를 생략하여 케이블 접속부분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의 숙련도의 영향은 최소화하면서 전류 통전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착식 결합방식의 케이블 접속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도 1의 방식과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방법의 케이블 접속부분의 높이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의 도체심 노출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의 도체심 가공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의 도체심 삽입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의 금속시트 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의 도체심 결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의 케이블 밀봉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방법은 도체심 노출단계, 도체심 가공단계, 도체심 삽입단계, 금속시트(300) 설치단계 및, 도체심 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케이블 밀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 접속방법은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을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방법이고,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의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도체심을 노출시키는 도체심 노출단계와,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 중 어느 일측에 수형도체심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측에 상기 수형도체심에 대응되는 암형도체심을 형성하는 도체심 가공단계와,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을 삽입하는 도체심 삽입단계와, 도체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 금속시트(300)를 설치하는 금속시트(300) 설치단계 및, 가열수단(500)에 의해 상기 금속시트(300)를 가열하고, 용융된 금속시트(300-1)가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사이로 스며들면서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을 결합하는 도체심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심 노출단계는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케이블의 도체심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연결을 요하는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의 외부피복 및 절연체(I)를 벗겨내어 도체심이 노출되도록 한다.
케이블의 도체심은 구리선 또는 알루미늄선 등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소선부재가 모여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심 가공단계는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 중 어느 일측에 수형도체심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측에 상기 수형도체심에 대응되는 암형도체심을 형성할 수 있다.
도체심을 형성하는 구리선 등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소선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수형도체심과 암형도체심을 형성할 수 있다.
도체심 가공단계는, 제1 케이블(10)의 단부로 노출된 제1 도체심(100)의 외곽영역에 배치된 제1 외부도체심(110)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제1 내부도체심(130)을 잔존시켜 상기 수형도체심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블(20)의 단부로 노출된 제2 도체심(200)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제2 내부도체심(230)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제2 외부도체심(210)을 잔존시켜 상기 암형도체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블(10)의 제1 내부도체심(130)과 제2 케이블(20)에서 제2 내부도체심(230)이 제거된 제2 제거영역(25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케이블(20)의 제2 외부도체심(210)과 제1 케이블(10)에서 제1 외부도체심(110)이 제거된 제1 제거영역(15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블(10)의 제1 내부도체심(130)과 제2 케이블(20)에서 제2 내부도체심(230)이 제거된 제2 제거영역(25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제1 내부도체심(130)이 제2 제거영역(25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거영역(150)과 제2 제거영역(250)의 길이는 5 ~ 10c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심 삽입단계는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을 삽입할 수 있다.
도체심 삽입단계는, 상기 제1 케이블(10)의 상기 제1 내부도체심(130)을 상기 제2 케이블(20)의 제2 내부도체심(230)이 절단 제거된 제2 제거영역(250)에 삽입하고, 상기 제2 케이블(20)의 제2 외부도체심(210)을 상기 제1 케이블(10)의 제1 외부도체심(110)이 절단 제거된 제1 제거영역(150)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블(10)의 제1 내부도체심(130)과 제2 케이블(20)에서 제2 내부도체심(230)이 제거된 제2 제거영역(25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제1 내부도체심(130)이 제2 제거영역(250)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블(20)의 제2 외부도체심(210)과 제1 케이블(10)에서 제1 외부도체심(110)이 제거된 제1 제거영역(150)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제2 외부도체심(210)이 제1 제거영역(15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수축, 팽창에 의한 연결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연결되는 제1 도체심(100)과 제2 도체심(200)을 트위스트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시트(300) 설치단계는 도체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 금속시트(300)를 설치할 수 있다.
금속시트(300) 설치단계는 암형도체심에 수형도체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암형도체심에 수형도체심의 둘레를 얇은 박판 형태의 금속시트(300)를 권취할 수 있다.
금속시트(300)는 상기 제1 케이블(10)과 상기 제2 케이블(20)의 도체심의 저항열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납시트 또는 인듐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체심에 전류가 흐를 경우, 도체심에는 저항열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금속시트(300)는 제1 케이블(10)과 상기 제2 케이블(20)의 도체심의 저항열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납시트 또는 인듐시트로 구성되면서, 도체심에서 발생하는 저항열 때문에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의 사이로 스며든 금속시트(300)가 다시 용융되면서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의 연결부분이 다시 단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심 결합단계는 가열수단(500)에 의해 용융된 금속시트(300-1)가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사이로 스며들도록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도체심의 연결부분에 설치된 금속시트(300)의 주변에 가열수단(500)을 설치하고, 가열하면, 가열수단(500)에 의해 용융된 금속시트(300-1)가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사이로 스며들면서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이 결합될 수 있다.
도체심 결합단계는 금속시트(300)가 가열수단(500)에 의해 용융되면서 수형도체심의 외주면과 암형도체심의 내주면의 경계로 스며들면서 수형도체심과 암형도체심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수형도체심이 암형도체심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수단(500)에 의해 권취된 금속시트(300)가 용용되고, 제1 도체심(100)과 제2 도체심(200)의 연결부분으로 스며들면서 제1 도체심(100)과 제2 도체심(200)이 용융된 금속시트(300)를 매개로 일체로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전류의 통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체심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케이블(10)과 상기 제2 케이블(20)이 연결된 연결부분의 도체심의 직경과, 최초의 상기 제1 케이블(10)의 제1 도체심(100) 및, 제2 케이블(20)의 도체심의 직경은 동등한 치수로 유지될 수 있다.
권취된 금속시트(300)가 용융되어 수형도체심과 암형도체심의 연결부분에 모두 스며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형도체심과 암형도체심의 연결부분에 권취된 금속시트(300)가 모두 스며들면서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이 연결된 연결부분의 도체심의 직경이 최초의 제1 케이블(10)의 제1 도체심(100) 및, 제2 케이블(20)의 도체심의 직경은 동등한 치수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형도체심과 암형도체심의 연결부분에 권취된 금속시트(300)가 모두 용융되어 스며들면서 도체심의 연결부분의 직경을 크게 감소될 수 있고, 케이블 접속부분의 높이차로 인해 종래에 발생하던 미세한 틈을 통해 침투한 수분이나 불순물은 절연내력을 감소나, 케이블 접속부분의 높이차에 의해 압착 시 소요되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불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방법은 종래에 사용하던 압착슬리브와 같은 커넥터부재를 생략하여 케이블 접속부분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케이블을 이송시에 한번에 권취할 수 있는 케이블이 길이가 길어지면서 케이블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 개의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케이블의 직경방향으로 중첩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데, 종래와 같이 압착슬리브와 같은 커넥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연결부분의 직경이 과대해지면서 연결부분에서 도체심의 과도한 꺽임이 발생하면서 기계적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에는 압착슬리브와 같은 커넥터부재를 생략하여 케이블 연결부분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부분에서 도체심의 꺽임의 발생을 저감시켜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해 케이블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권취된 금속시트(300)가 수형도체심과 암형도체심의 연결부분에 모두 스며드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융된 금속시트(300)의 일부가 잔존할 수 있다.
도체심의 연결부분에 권취된 금속시트(300)의 두께의 적어도 80% 이상이 암형도체심과 수형도체심의 연결부분으로 스며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0% 미만의 금속시트(300)만이 잔존하면서 도체심의 연결부분의 직경을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방법은 상기 도체심 결합단계 이후에 결합된 상기 제1 케이블(10)과 상기 제2 케이블(20)의 외부에 장력제어 밀봉재(400)를 권취하여 상기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의 연결부분을 밀봉하는 케이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400)는 장력제어 컴파운드를 순차적으로 권취하여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의 연결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밀봉단계는 스트레스제어 컴파운드 테이프를 이용하여 도체심 및 절연체(I)를 포함하는 외부를 감아 도체심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스트레스제어 컴파운드에 의해 케이블 접속부분이 감싸진 후 수축튜브를 이용하여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수축튜브를 활용한 열수축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에 해당하는 것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케이블 2: 도체심
3: 압착슬리브 4: 절연체
10: 제1 케이블 100: 제1 도체심
110: 제1 외부도체심 130: 제1 내부도체심
150: 제1 제거영역 20: 제2 케이블
200: 제2 도체심 210: 제2 외부도체심
230: 제2 내부도체심 250: 제2 제거영역
300: 금속시트 300-1: 용융된 금속시트
400: 밀봉재 500: 가열수단
I: 절연체

Claims (6)

  1.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방법이고,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단부의 피복을 제거하여 도체심을 노출시키는 도체심 노출단계;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중 어느 일측에 수형도체심을 형성하고, 나머지 일측에 상기 수형도체심에 대응되는 암형도체심을 형성하는 도체심 가공단계;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을 삽입하는 도체심 삽입단계;
    상기 암형도체심에 상기 수형도체심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외부에 박판 형태의 금속시트를 권취하여 설치하는 금속시트 설치단계; 및,
    가열수단에 의해 상기 금속시트를 가열하고, 용융된 금속시트가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의 사이로 스며들면서 상기 암형도체심과 상기 수형도체심을 결합하는 도체심 결합단계; 및,
    상기 도체심 결합단계 이후에 결합된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외부에 장력제어 밀봉재를 권취하여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밀봉하는 케이블 밀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권취되고,
    상기 장력제어 밀봉재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심 가공단계는,
    상기 제1 케이블의 단부로 노출된 제1 도체심의 외곽영역에 배치된 제1 외부도체심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제1 내부도체심을 잔존시켜 상기 수형도체심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케이블의 단부로 노출된 제2 도체심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제2 내부도체심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제2 외부도체심을 잔존시켜 상기 암형도체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심 삽입단계는,
    상기 제1 내부도체심을 상기 제2 내부도체심이 절단 제거된 제2 제거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제2 외부도체심을 상기 제1 외부도체심이 절단 제거된 제1 제거영역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도체심의 저항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납시트 또는 인듐시트로 구성되는 케이블 접속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심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된 연결부분의 도체심의 직경과, 최초의 상기 제1 케이블의 제1 도체심 및, 제2 케이블의 도체심의 직경은 동등한 치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방법.
  6. 삭제
KR1020160172691A 2016-12-16 2016-12-16 케이블 접속방법 KR10194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91A KR101940867B1 (ko) 2016-12-16 2016-12-16 케이블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91A KR101940867B1 (ko) 2016-12-16 2016-12-16 케이블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228A KR20180070228A (ko) 2018-06-26
KR101940867B1 true KR101940867B1 (ko) 2019-01-21

Family

ID=6278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691A KR101940867B1 (ko) 2016-12-16 2016-12-16 케이블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5826A1 (ko) * 2021-04-05 2022-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종도체 접합부를 갖는 전력케이블 시스템 및 이종도체를 갖는 전력케이블 접속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611Y1 (ko) * 2000-03-15 2000-08-16 김종민 배선연결 터미널 장치
JP2008141858A (ja) * 2006-12-01 2008-06-19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用直線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8310A (ja) * 1987-11-11 1989-05-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油入ケーブル接続部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611Y1 (ko) * 2000-03-15 2000-08-16 김종민 배선연결 터미널 장치
JP2008141858A (ja) * 2006-12-01 2008-06-19 Mitsubishi Cable Ind Ltd ケーブル用直線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228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0214B2 (en) Metal sheathed heater using splice connection assembly with heat shrinkable tubing, and method of use
EP1857848B1 (en) Optical cable shield layer connection
US6658735B2 (en) Crimping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ic cables
US9537230B2 (en) Cable repair splice
KR101506292B1 (ko) 두 개의 초전도체 케이블을 연결하는 장치
US7825338B2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electric cables
GB2099638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jointing and/or terminating electric cables
KR101940867B1 (ko) 케이블 접속방법
CN105098557B (zh) 2m电缆头制作工艺
JP6912295B2 (ja) 端子付き電線
JP4927794B2 (ja) 超電導ケーブル用フォーマの接続方法、および超電導ケーブル用フォーマの接続構造
JP5297271B2 (ja) 超電導ケーブルの中間接続構造
US20200106199A1 (en) Connector
JP4557744B2 (ja) ケーブルの分岐接続構造
EP0384053B1 (en) Device for axial strain relief
CN205882196U (zh) 单芯柔性防火电缆压装型连线端子
CN220553809U (zh) 一种用于连接分段电缆的电缆接头
CN112585822A (zh) 部分预组装的电缆接头
WO2021059861A1 (ja) 分岐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EP2759032B1 (en) Arrangement for splicing the cables in a medium-voltage overhead power line
KR20230081297A (ko) 저압 리드선 접속용 슬리브
JP2022134412A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CN109560524B (zh) 接头结构及具有其的连接装置
KR100751637B1 (ko) 간극형 가공 전선(架空電線)의 클램핑 방법
CA1142241A (en) Built-in cable shield bon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