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717B1 -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 Google Patents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717B1
KR101940717B1 KR1020170156888A KR20170156888A KR101940717B1 KR 101940717 B1 KR101940717 B1 KR 101940717B1 KR 1020170156888 A KR1020170156888 A KR 1020170156888A KR 20170156888 A KR20170156888 A KR 20170156888A KR 101940717 B1 KR101940717 B1 KR 10194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all
pitching
user
bas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7015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7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08Baseb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8Fluid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61Projection of a two-dimensional real image
    • A63F2009/2463Projection of a two-dimensional real image on a screen, e.g. using a video proj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baseball system comprising a ball pitching part and a screen. The ball pitching part pitches a ball to a user so that the ball can be hit by the user, wherein the scree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ll pitching part in an area between the user and the ball pitching part, is made into a penetrable type through which pitching balls pitched from the ball pitching part without a separate pitching hole, and displays a baseball-related image.

Description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0001]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0002]

본 발명은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야구에서 사용되는 볼이 스크린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된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basebal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through which a ball used in a screen baseball can pass.

요즈음 야구의 인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야구 경기장에서 실제 야구 플레이를 하기 어려운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에서 야구 플레이를 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가 등장하였다. 통상적으로 스크린 야구에서는, 실내의 소정의 공간에 사용자가 배팅을 할 수 있는 타석과 야구 관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의 뒷면에는 타석으로 볼을 피칭하는 피칭머신이 구비되어 있다. As the popularity of baseball has increased explosively these days, screen baseball has emerged that can play baseball in the indoor space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playing baseball in the baseball arena. Typically, in a screen baseball, a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 batting image and a baseball-related image that a user can bet on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 room, and a pitching machine for pitching the ball with a batting stone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creen .

스크린의 뒷면에 피칭머신이 구비되기 때문에, 피칭머신에서 피칭된 볼은 스크린을 통과한 후 타석에 있는 사용자에게 날아가게 된다. 따라서 볼이 스크린을 통과할 수 있도록 스크린에는 피칭홀이 형성된다. 도 1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스크린 야구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데, 스크린에는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피칭홀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크린의 뒷면으로부터 볼을 피칭하고 상기 볼이 스크린을 통과한 후 타석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현재의 스크린 야구에 있어서의 메커니즘상, 스크린의 피칭홀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에 야구 관련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독 피칭홀 부분만 검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부분에서만 영상이 생략되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에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몰입감을 훼손하고 스크린 야구 게임에 대한 흥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pitching machine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creen, the ball pitched in the pitching machine is blown to the user at the pl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screen. Therefore, a pitching hole is formed on the screen so that the ball can pass through the screen. FIG. 1 shows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in a screen baseball of the prior art that is currently in commercial use. It can be seen that pitching holes appearing in black are formed on the screen. The pitching hole of the screen is essential on the mechanism in the present screen baseball, which is provided to the user of the batting after the ball has been pitched from the back side of the screen and the ball has passed through the screen. However, as shown in FIG. 1, since only the toxic pitching hole portion is displayed in black while the baseball-related image is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the image is o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is a problem that it undermines the sense of immersion in the game and reduces interest in the screen baseball gam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별도의 피칭홀 없이 피칭된 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생략되지 않고, 그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몰입감을 훼손하지 않고 스크린 야구 게임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in which images displayed on a screen are not skipped by using a screen made of a transmissive type through which a pitched ball can pass without a separate pitching hole, And to provide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capable of enhancing interest in a screen baseball game without compromising the feeling of immersion in the screen baseball g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Fur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볼 피칭부와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볼 피칭부는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볼을 피칭하고, 상기 스크린은 사용자와 상기 볼 피칭부의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볼 피칭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피칭홀 없이 상기 볼 피칭부에서 피칭된 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이루어지고, 야구 관련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baseball system including a ball pitching unit and a screen. Wherein the ball pitching section pitches a ball to a user so that the user can strike the screen and the scree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ll pitching section in an area between the user and the ball pitching section, And a baseball-related image is displayed.

상기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될 액체를 상기 분사부에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액체 스크린일 수 있다.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the screen may include a jetting portion for jetting liquid forming a screen film, a recovery portion for recovering the jetted liquid, and a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the jetting portion with liquid to be jetted from the jetting portion Lt; / RTI >

상기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안개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안개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 상기 안개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안개 스크린일 수 있다.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the screen may include a jetting portion for jetting a mist forming a screen film, a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the jetted mist, and a supplying portion for supplying a liquid for forming the mist to the jetting portion Can be a fog screen.

상기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볼 피칭부는, 사용자에게 볼을 피칭하는 피칭머신, 및 상기 피칭머신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 피칭부에서 사용자에게 볼을 피칭할 때에 상기 스크린에는 가상의 투수가 피칭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가상의 투수는, 피칭하는 순간 볼이 릴리스 되는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가상의 투수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선택된 가상의 투수의 볼이 릴리스 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피칭머신에서 볼을 발사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the ball pitching unit may include a pitching machine for pitching a ball to a user, and a position adjuster for adjusting a position in at least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tching machine. Here, when the ball is pitched to the user in the ball pitching unit, an image to be pitched by a virtual pitch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virtual pitcher includes a plurality of virtual pitchers And the position adjuster may adjust a position at which the ball is fired at the pitching machine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at which the selected virtual pitcher ball is released.

상기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볼 피칭부는, 볼이 피칭된 후 상기 스크린을 통과할 때까지 볼이 스크린에 접촉하지 않도록 커버하는 볼 커버링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the ball pitc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ball covering means for covering the ball so that the ball does not contact the screen until the ball passes through the screen after being pitch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야구 관련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및 상기 볼이 피칭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될 넥스트 플레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creen basebal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in which a baseball-related image is displayed, a screen in which a user can pass a pitchball, and a screen in which the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a result of the pitching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the next play.

상기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액체 스크린 또는 안개 스크린일 수 있다.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the screen may be a liquid screen or a fog screen.

상기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피칭된 볼에 대응하는 가상의 볼이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볼은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상기 스크린에 도달한 이후부터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할 수 있다.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a virtual ball corresponding to the pitched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causes the virtual ball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fter the ball,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상기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스크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속도로 볼을 발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배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넥스트 플레이로서 상기 피칭된 볼에 대응하는 가상의 볼을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는 플레이가 상기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볼 배팅부는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후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날아가도록 볼을 발사할 수 있다.The screen baseball system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ball bett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cre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positioned and capable of firing the ball at a predetermined speed, When a virtual batter hitting a virtual ball corresponding to the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ball batting unit may fire the ball to pass through the screen and then fly into a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따르면, 별도의 피칭홀 없이 피칭된 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생략되지 않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몰입감을 훼손하지 않고 스크린 야구 게임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the transmissiv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creen of a transmissive type through which a pitched ball can pass without a separate pitching hole,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s not omit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terest in the screen baseball game without damaging the screen baseball game.

도 1은 종래기술의 스크린 야구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의 일례로서 액체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의 액체 스크린 중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의 일례로서 안개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안개 스크린 중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볼 피칭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변형예로서의 볼 피칭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여러가지 유형의 가상의 투수를 선택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여러가지 유형의 가상의 투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가상의 스트라이크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지 못하는 경우와 타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볼 배팅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in a conventional screen baseball.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for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mponents of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FIG. 4A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quid screen as an example of a screen that can be used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ejection portion of the liquid screen of FIG. 4A.
FIG. 5A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g screen as an example of a screen that can be used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and FIG. 5B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fog screen of the fog screen of FIG. 5A.
FIG. 6A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ball pitching unit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FIG.
FIG. 6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all pitching unit as a modification of FIG. 6A.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for selecting various types of virtual pitchers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FIG.
8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imaginary pitchers that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9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virtual strike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9; FIG.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virtual batter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9 can not hit and is hit.
1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all betting unit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13; FIG.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element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or the relative sizes between the elements, may be exaggerated somewhat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somewhat modified by variation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unless specifically stat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ome modific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볼 피칭부(110), 제어부(120), 영상출력기(130), 스크린(140)을 포함한다. 또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에는 사용자가 타격을 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타격 플레이트(101)가 구비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타격한 볼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사용자가 타격한 볼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볼의 전반적인 물리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악된 정보는 제어부(120)에 전달되어 제어부(120)의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감지장치로서는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 어떠한 감지수단이든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되거나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2 and 3, the screen baseball system 100 includes a ball pitch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video output unit 130, and a screen 140. In addition, the screen baseball system 100 is provided with a striking plate 101 on which a user is positioned to strike, and various sensing devices for sensing a ball hit by a user are provided, though they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nsing device is for sensing the overall physical state of the hit ball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ball hit by the user, and the det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20 and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20 have. As the sensing device, any sensing means such as a camera or a sensing sensor may be used, and the camera, the sensing sensor,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r may be used alone or in multiple units.

타격 플레이트(101)는 스크린(14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실제 야구에서 투수와 포수 사이의 거리는 18.44m이며, 이에 대응되도록 스크린 야구에서도 타격 플레이트(101)와 스크린(140) 사이의 거리를 약 18m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만, 통상적으로 스크린 야구에서는 설치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서 타격 플레이트(101)와 스크린(140) 사이의 거리가 18m보다 짧은 경우도 많다. 스크린(140)에 있어서 타격 플레이트(101)와 마주하는 면을 편의상 '전면'이라고 하면, 스크린(140)의 '후면'에는 볼 피칭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볼 피칭부(110)는 타격 플레이트(101)에 위치한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야구공을 발사하여 피칭한다. 볼 피칭부(1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6a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striking plate 101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creen 140. The distance between the pitcher and the catcher in the actual baseball is 18.44 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king plate 101 and the screen 140 can be set to about 18 m even in the screen baseball. However, in many cases, the screen baseball often lacks a space for installa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triking plate 101 and the screen 140 is often shorter than 18 m. The surface of the screen 140 facing the striking plate 101 is referred to as a 'front' for convenience, and a ball pitching unit 110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140. The ball pitching unit 110 fires and pitches the baseball ball so that a user located at the striking plate 101 can strike the ball.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ball pitch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A.

제어부(120)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과 제어 등을 담당하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피칭된 볼을 타격하면 감지장치로부터 타격된 볼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이에 의거하여 야구공의 타격결과(땅볼, 플라이, 안타, 홈런 등)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20)에는 입력부(121)와 데이터베이스(12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입력부(121)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 야구에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편을 나누어 2개의 팀을 만들고, 각 팀이 선공(각 이닝의 초 공격)과 후공(각 이닝의 말 공격)을 하여 승패를 겨루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의 시합에서 팀 구성원의 닉네임이나 팀의 이름 등을 입력할 필요가 있으므로 입력부(121)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122)는 사용자가 타격한 야구공의 타격결과를 산출하는데 필요한 정보나 스크린(140)에 디스플레이될 야구관련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The control unit 120 is responsible for various operations and control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creen baseball system 100. For example, if the user hits the pitching ball,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overall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hit ball from the sensing device, (Ground ball, fly, hits, home run, etc.) based on the baseball ball.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n input unit 121 and a database 122. The input unit 121 receives a variety of information from a user, and may be a keyboard, a mouse, or the like. In screen baseball, a team of two or more players is divided into two teams, each team competes to win or lose by doing preliminary (second attack of each innings) and backhand (attack of each innings). In such a game, It is necessary to input the nickname of the user, the name of the team, and the like. The database 122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batting result of the hit ball of the user or information about the baseball related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140. [

영상출력기(130)는, 피칭하는 투수의 모습, 사용자가 타격한 볼에 대응하여 스크린(140)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볼, 상기 가상의 볼을 수비하는 수비수의 모습 등의 영상을 스크린(140)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빔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140)은 영상출력기(130)에서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40)을 사이에 두고 영상출력기(130)와 타격 플레이트(101)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경우, 스크린(140)은 '투과형' 스크린이 되며, 타격 플레이트(101)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영상출력기(130)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영상출력기(130)의 반대편에서 보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스크린(140)을 사이에 두고 영상출력기(130)와 타격 플레이트(101)가 동일한 쪽에 배치되는 경우, 스크린(140)은 '반사형' 스크린이 될 수 있다.The video image output device 130 displays images such as a pitcher pitch, a virtual ball displayed on the screen 140 corresponding to the ball hit by the user, a defender who defends the virtual ball, A display device such as a beam projector can be used. The screen 140 displays the image projected by the image output device 130 and displays it to the user. 2,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130 and the striking plate 101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screen 140 therebetween, the screen 140 becomes a 'transmission type' screen, and the striking plate 101 is viewed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1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mage output device 130. 2, the screen 140 may be a 'reflective' screen if the image output device 130 and the striking plate 101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with the screen 140 therebetw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140)으로서 볼 피칭부(110)에서 피칭된 볼이 스크린(140)을 그대로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는 '투과형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스크린에서도 피칭된 볼이 피칭홀을 통하여 스크린을 통과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피칭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볼이 스크린(140)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스크린과 차이가 있다. 별도의 피칭홀이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피칭홀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생략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몰입감을 훼손하지 않고 스크린 야구 게임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피칭홀 없이 야구공이 통과할 수 있는 스크린(14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ve screen' can be used as the screen 140, in which a ball pitched in the ball pitching unit 110 can pass through the screen 140 as it is. In a conventional screen, even though the pitched ball passed through the screen through the pitching hole, in this embodiment, the ball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screen in that the ball can pass through the screen 140 even though there is no separate pitching hole have. Since there is no separate pitching hol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mitt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pitching hole as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terest in the screen baseball game without undermining the feeling of immersion in the displayed image.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screen 140 through which the baseball ball can pass without pitching hole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에는 음성처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음성처리부는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 상황을 안내하고 게임의 진행에 따른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2 and 3, the screen baseball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ing unit. The voice processing unit can guide the user to the progress of the game and play various sound effec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game.

도 4a는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의 일례로서 액체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의 액체 스크린 중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A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quid screen as an example of a screen that can be used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ejection portion of the liquid screen of FIG. 4A.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40a)은 액체을 이용한 스크린막(S)을 통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체 스크린으로서, 분사부(10a), 회수부(20a), 공급부(30a)를 포함한다. 분사부(10a)는 분사관에 다수의 노즐(1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도 4b 참조), 상기 분사관을 고압으로 통과하는 액체가 노즐(11a)을 통해 기포 상태로 분사되면서 불투명한 흰색의 수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스크린막(S)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액체는 노즐(11a)에서 아래쪽으로 분사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회수부(20a)에서 회수된다. 도 4a에서는 액체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분사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액체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분사되거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분사되거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분사되거나,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결합하여 여러 방향에서 액체가 동시에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수부(20a)는 일종의 물탱크나 저수조로 액체를 저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회수부(20a)에 저장되는 액체는 노즐(11a)에서 분사된 후 회수된 것뿐만 아니라 외부의 별도의 공급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서 공급된 것까지 포함할 수 있다. 회수부(20a)에 저장되는 액체는 공급부(30a)에 의하여 분사부(10a)에 제공된다. 공급부(30a)는 펌프(31a) 및 공급관(32a)을 포함하는데, 펌프(31a)의 작용으로 회수부(20a)에 저장된 액체가 공급관(32a)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분사부(10a)에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스크린(140a)은 별도의 제어모듈을 통하여 펌프(31a)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분사부(10a)에 액체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분사부(10a)에서의 액체 분사의 여부가 컨트롤 되고 원하는 경우에만 액체를 분사하여 스크린막(S)을 형성할 수 있다.4A, a screen 14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iquid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through a screen membrane S using liquid, and includes a jetting section 10a, a collecting section 20a, and a supplying section 30a . The jetting section 10a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nozzles 11a are formed in the jetting tube (see FIG. 4B).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jetting tube at a high pressure is jetted in a bubble state through the nozzle 11a, To form a screen membrane S. [0051] As shown in FIG. The liquid is sprayed downward from the nozzle 11a and is recovered in the collection part 20a located at the lower side. Although FIG. 4A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liquid is injected from top to bottom, liquid may be ejected from bottom to top, left to right, right to left, or any combination thereof, May be simultaneously injected. The recovery unit 20a is configured to store liquid by a water tank or a water tank. The liquid stored in the recovery section 20a may include not only the liquid recovered after being sprayed from the nozzle 11a but also the one supplied from an external separate source (not shown). The liquid stored in the recovery section 20a is supplied to the spray section 10a by the supply section 30a. The supply part 30a includes a pump 31a and a supply pipe 32a and the liquid stored in the recovery part 20a is moved along the supply pipe 32a by the action of the pump 31a and supplied to the spray part 10a . The liquid screen 140a can supply or shut off the liquid to the jetting section 10a by controlling whether the pump 31a is turned on or off via a separate control modul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orm the screen film S by controll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liquid jet in the jetting section 10a and spraying the liquid only when desired.

위에서 설명한 액체 스크린(140a)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액체 스크린 중의 하나를 일례로서 설명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스크린은 위에서 설명한 액체 스크린(140a)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liquid screen 140a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of one of various liquid screens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iquid screen 140a described above.

도 5a는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스크린의 일례로서 안개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안개 스크린 중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A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g screen as an example of a screen that can be used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and FIG. 5B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fog screen of the fog screen of FIG. 5A.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40b)은 안개를 이용한 스크린막(S)을 통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안개 스크린으로서, 분사부(10b), 회수부(20b), 공급부(30b)를 포함한다. 분사부(10b)는 안개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구(11b)를 포함하고, 토출구(11b)에는 가이드(12b)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도 5b 참조). 가이드(12b)는 토출구(11b)에서 분사되는 안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라운딩 형상의 분사편을 토출구(11b)에 삽입하거나 토출구(11b)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2b)의 형상과 구조는 도 5b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가이드(12b)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분사부(10b)에서 분사된 안개는 아래쪽으로 하강하면서 스크린막(S)을 형성하고 회수부(20b)에서 회수된다. 회수부(20b)의 일측에는 흡입팬(21b)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안개는 흡입팬(21b)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회수부(20b)에서 용이하게 회수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급부(30b)는 펌프(31b) 및 공급관(32b)을 포함하는데, 펌프(31b)의 작용으로 안개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가 외부로부터 공급관(32b)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분사부(10b)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펌프(31b)에 의하여 고압의 물로서 펌핑되어 분사부(10b)에서 안개의 형태로 분사될 수 있고, 또는 공급관(32b)이 별도의 히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히터에서 안개를 발생하여 분사부(10b)에서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5A, a screen 14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ist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through a screen membrane S using fog, and includes a jetting section 10b, a collecting section 20b, a supplying section 30b, . The jetting section 10b is for jetting mist and includes a jetting tube and a plurality of jetting ports 11b formed in the jetting tube and a guide 12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jetting port 11b 5b). The guide 12b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spraying piece having a rounded shape into the discharge port 11b or fixing it to the discharge port 11b in order to guide the mist sprayed from the discharge port 11b.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guide 12b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5B, and the guide 12b itself may be omitted. The fog sprayed from the jetting section 10b descends downward to form the screen membrane S and is recovered in the recovery section 20b. A suction fan 21b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covery unit 20b so that the mist can be easily recovered from the recovery unit 20b by the suction force formed by the suction fan 21b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supply portion 30b includes a pump 31b and a supply pipe 32b so that the liquid for forming a mist by the action of the pump 31b is moved from the outside along the supply pipe 32b to be supplied to the spray portion 10b . The liquid may be pumped as high pressure water by the pump 31b and sprayed in the form of mist in the jetting section 10b or by allowing the supply tube 32b to pass through a separate heater A mist may be generated in the heater and may be jetted from the jetting section 10b.

위에서 설명한 안개 스크린(140b)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안개 스크린 중의 하나를 일례로서 설명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스크린은 위에서 설명한 안개 스크린(140b)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og screen 140b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of one of various fog scree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g screen 140b described above.

위와 같은 액체 스크린(140a)이나 안개 스크린(140b) 등을 스크린 야구에 사용하면, 스크린(140a, 140b)의 어떠한 영역이든 야구공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야구공을 통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피칭홀이 불필요하다. 종래에는 피칭홀이 형성된 부분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생략될 수밖에 없었으나, 액체 스크린(140a)이나 안개 스크린(140b)과 같은 투과형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안개 스크린(140b)은 종래의 스크린에 비하여 정밀한 영상의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f the liquid screen 140a or the fog screen 140b or the like is used for the screen baseball, the baseball ball can freely pass through any area of the screens 140a and 140b. Therefore, a separate pitching hole Is unnecessary. Conventionally,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portion where the pitching hole is formed has been omitted. However, when the transmissive screen such as the liquid screen 140a or the mist screen 140b is used, such a problem can be completely solved. Particularly, the fog screen 140b has a merit that not only a precise image can be produc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creen, but also a fog screen 140b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mall space.

도 6a는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볼 피칭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A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ball pitching unit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FIG.

도 6a를 참조하면, 볼 피칭부(110)는 피칭머신(111)과 위치조절기(112)를 포함한다. 피칭머신(111)은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야구공을 피칭하는 부분이며, 위치조절기(112)는 피칭머신(111)이 하단에 배치되어 피칭머신(111)의 위치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피칭머신(111)은 외부로부터 제공되어 몸체(111a)의 내부를 경유하는 볼(1)이 2개의 휠(111b) 사이를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휠(111b)은 중심부분에 모터(M)가 결합되어 있어서 모터(M)의 작동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2개의 휠(111b)이 회전할 때 그 사이를 지나가는 볼(1)은 회전하는 휠(111b)로부터 힘을 받아서 사용자에게 날아가게 된다.Referring to FIG. 6A, the ball pitching unit 110 includes a pitching machine 111 and a position adjuster 112. The pitching machine 111 is a part for pitching the baseball ball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hit the pitching machine 111 and the position adjuster 112 is a part for positioning the pitching machine 111 by placing the pitching machine 111 at the lower end . The pitching machine 111 is provid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ball 1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11a passes between the two wheels 111b. The two wheels 111b ar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motor M so that the two wheels 111b ar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M. When the two wheels 111b rotate, And receives the force from the wheel 111b to fly to the user.

위에서 피칭머신의 메커니즘을 간략하게 설명하였는데, 피칭머신에서 야구공을 피칭하는 메커니즘은 공지된 어떠한 종래기술이든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휠을 이용하여 야구공을 피칭하는 타입의 메커니즘 이외에도, 스프링 관절 아암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타입, 유압이나 공압에 의한 압력식 타입, 회전 가능한 커버링 및 분기 회전 디스크를 사용하는 타입 등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피칭머신이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mechanism of the pitching machine has been briefly described above, the mechanism for pitching the baseball in the pitching machine can be applied to any known prior art,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type of mechanism for pitching a baseball ball using a pair of wheels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 type using a spring articulated arm mechanism, a pressure type based on a hydraulic or pneumatic type, A pitching machine using a mechanism such as a type that uses a magnetic field or the like may be used.

피칭머신(111)의 몸체(111a)의 하단에는 연결대(111c)가 부착되어 있고, 이 연결대(111c)는 위치조절기(112)에 연결되어 있다. 위치조절기(112)는 피칭머신(111)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절기(112)는 상판(112a), 하판(112b), 상하판 연결구(112c), 베이스구(112d), 가이드(112e)를 포함한다. 상판(112a)은 상측으로 연결대(111c)에 결합되어 있고, 하측으로 상하판 연결구(112c)에 결합되어 있다. 하판(112b)은 상측으로 상하판 연결구(112c)에 결합되어 있고, 하측으로 베이스구(112d)에 결합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판 연결구(112c)는 수직방향(z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축소되면서 그 높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판(112a)과 하판(112b) 사이의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112a)과 하판(112b) 사이의 거리가 변동됨에 따라, 상판(112a)의 상측에서 연결대(111c)에 연결된 피칭머신(111)의 높낮이(수직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베이스구(112d)는 서로 쌍을 이루는 복수로 구성되며, 바퀴 등을 포함하여 한 쌍 가이드(112e)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베이스구(112d)가 가이드(112e)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판(112a)의 윗쪽에 놓여진 피칭머신(111)도 가이드(112e)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피칭머신(111)의 수평방향(x방향)에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A connecting rod 111c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11a of the pitching machine 111. The connecting rod 111c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er 112. [ The position adjuster 112 serve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itching machine 111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pecifically, the position adjuster 112 includes an upper plate 112a, a lower plate 112b, upper and lower plate coupling holes 112c, a base hole 112d, and a guide 112e. The upper plate 112a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111c to the upper side and coupled to the lower and upper plate connecting ports 112c to the lower side. The lower plate 112b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 coupling holes 112c at the upper side and coupled to the base hole 112d at the lower side. 6A,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portions 112c are configured to be elongated or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so that their heights can be varie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112a and the lower plate 112b is Lt; / RTI >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112a and the lower plate 112b changes, the heigh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itching machine 111 connected to the linking unit 111c from above the upper plate 112a can be adjusted have. The base sphere 112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ir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along a pair of guides 112e including wheels. The pitching machine 111 placed above the upper plate 112a also moves along the guide 112e as the base tool 112d moves along the guide 112e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tching machine 111 (x direction) can be adjusted.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위치조절기(112)는 피칭머신(111)의 수직방향, 수평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도 6a는 피칭머신(1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일예로 도시하고 있을 뿐이며, 위치조절기(112)의 구조는 여기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6a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어부(도 2의 도면부호 120 참조) 등으로부터 지시를 받아서, 지시받은 위치로 피칭머신(111)이 위치하도록 위치조절기(112)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With the above structure, the position adjuster 112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pitching machine 1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FIG. 6A only shows one of various way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itching machine 111, and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 adjuster 112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here. Although not shown in FIG. 6A, a separate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n instruction from the control unit (refer to reference numeral 120 in FIG. 2)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djuster 112 so that the pitching machine 111 is positioned at the indicated position .

도 6b는 도 6a의 변형예로서의 볼 피칭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B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all pitching unit as a modification of FIG. 6A. FIG.

도 6b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 구조상 변형된 부분은 야구공이 발사되는 출구 부근에 구비되는 볼 커버링 수단(111d)이다. 볼 커버링 수단(111d)은 피칭머신(111)의 출구 근방에서부터 대략 스크린 또는 스크린을 통과할 때까지, 피칭머신(111)에서 발사된 볼이 지나가는 경로상의 공간에 있어서 볼과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볼 커버링 수단(111d)은 볼이 출입하고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는 개방되어 있고, 볼이 지나가는 경로상의 소정의 공간에서 볼을 외부로부터 커버할 수 있다면, 구조나 형상 등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커버링 수단(111d)의 몸체 부분은 중공형의 원기둥이 수평으로 누워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몸체 부분은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조절기(112)의 상판(112a)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커버링 수단(111d)의 재질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적어도 상기 몸체 부분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 부분은 스크린에 접촉하거나 또는 스크린을 약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볼이 스크린을 통과할 때, 액체 스크린을 구성하는 액체에 볼이 접촉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볼 커버링 수단(111d)이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6B,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structurally deformed portion is a ball covering means 111d provided near the exit from which the baseball ball is fired. The ball covering means 111d blocks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outside in a space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ball fired by the pitching machine 111 passes from near the outlet of the pitching machine 111 until it passes substantially through the screen or the screen . The inside of the ball covering means 111d is open so that the ball can pass therethrough, so that the ball cover can be covered from the outside in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path along which the ball pass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the body portion of the ball covering means 111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ollow cylindrical cylinder lies horizontally, and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position adjuster 112, and the like. The material of the ball covering means 111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body por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body portion is arranged to contact the screen or slightly penetrate the screen so that when the ball passes through the screen, the body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liquid constituting the liquid scree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l covering means 111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not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이와 같이 볼 커버링 수단(111d)이 구비되는 경우, 볼 피칭부(110)에서 피칭된 볼이 스크린을 통과할 때, 볼이 스크린에 닿지 않아 물에 젖지 않게 된다. 볼 커버링 수단(111d)이 없는 경우에는 볼 피칭부(110)에서 발사된 볼은 액체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물에 젖게 되는데, 젖은 볼이 사용자에게 도달하였을 때에 물이 사용자에게 튀어서 사용자가 불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물에 젖은 볼을 타격하는 경우, 물에 젖지 않은 공에 비하여 타격감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타격하는 볼은 가능한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볼 커버링 수단(111d)은 이러한 같은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ball covering means 111d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ll pitched by the ball pitching unit 110 passes through the screen, the ball does not touch the screen and is not wetted with water. In the absence of the ball covering means 111d, the ball launched from the ball pitching unit 110 is wetted with water as it passes through the liquid screen. When the wet ball reaches the user, the water bulges to the user and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feeling . In addition, in the case of hitting a ball wet with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l hit by the user is kept as dry as possible, since the feeling of hitting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a ball not wetted with water. The same problems can be solved.

도 7은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여러가지 유형의 가상의 투수를 선택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가상의 투수의 여러가지 유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menu for selecting various types of virtual pitchers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2, and FIG. 8 is a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virtual pitcher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될 가상의 투수에 대해서 여러가지 유형 중 자신이 원하는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의 야구에서는 어느 손으로 던지는지에 따라 좌완투수와 우완투수가 있고, 동일한 좌완(또는 동일한 우완)이라 하더라도 투수의 신장에 따라 볼의 위력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오버스로우, 쓰리쿼터, 사이드암, 언더스로우 등과 같은 다양한 피칭타입이 있는데, 이러한 피칭타입에 따라 볼의 궤적이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오른손으로 타격하는지 또는 왼손으로 타격하는지에 따라 또한 자신이 선호하는 피칭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가상의 투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실제 야구에서는 오른손 사이드암이나 언더스로우 투수의 공을 왼손타자가 잘 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왼손으로 타격하는 경우 오른손 사이드암이나 언더스로우 투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신장에 비하여 너무 큰 투수가 던지는 공은 피칭되는 동안 수직방향으로 떨어지는 폭이 커져서 타격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감안하여, 자신의 신장과 유사한 신장의 투수를 선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type among various types of virtual pitcher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in a real baseball, there is a left-hander and a right-hander depending on which hand is thrown, and the power of the ball may var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itcher, even if it is the same left-hander (or the same right-hander).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pitching types such as overslope, three-quarter, side arm, under-throw, etc., and the trajectory of the ball may vary depending on this type of pitching. From a user's point of view, depending on whether he is hitting with his right or left hand, he can also select a virtual pitcher appropriately according to his preferred pitching type. For example, in general, in real baseball, it is known that right-hand side arms or under-throw pitchers are well played by left-handed hitter. Therefore, when the user hits with his left hand, he can choose right hand side arm or under-throw pitch. In addition, since a pitcher that is too large compared to his / her height may be hard to hit due to a large falling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pitching, the user should consider the degree of his / her height, Can be selec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의 투수가 좌완인지 우완인지, 또는 신장이 어떻게 되는지, 또는 피칭타입이 어떠한 지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투수를 제시하고, 사용자는 실제 야구에서 적용되는 이론에 맞추든지 또는 야구 이론과 무관하게 전적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추든지 하여 원하는 투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투수의 유형은 일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유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어쨌든 위와 같이 사용자가 투수의 유형을 선택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입력부(도 3의 도면부호 121 참조)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types of pitchers are presented according to whether the virtual pitchers are left-handed or right-handed, how to stretch or what pitching type is, and the like, Regardless of baseball theory, you can choose the pitcher you want, whatever you like to your taste. Here, the type of the pitcher shown in Fig. 7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ny case, the user can select the type of pitch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put unit (see reference numeral 121 in FIG. 3) or the like.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의 투수가 피칭을 하며, 스크린의 가상의 투수의 동작은 피칭머신의 동작과 동기화 되어, 가상의 투수의 피칭에 있어서 볼이 릴리스 되는 순간 피칭머신에서 볼이 피칭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상의 투수의 손에서 실제로 볼이 피칭되고 있는 듯한 인상을 받을 수 있다. 8, a virtual pitcher selected by the user is pitched on the screen, and the operation of the hypothetical pitcher on the screen is synchronized with the operation of the pitching machine. In the pitching machine, The ball is configured to be pitched. As a result, the user can get the impression that the ball is actually being pitched in the hands of a hypothetical pitcher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칭머신에서 볼이 발사되어 나오는 출구가 가상의 투수에 의하여 공이 릴리스 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조절기에 의하여 피칭머신의 출구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본 발명만의 기술적 특징이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이 종래기술에서 구현될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position of the exit of the pitching machine can be adjusted by the position adjuster so that the exit from which the ball is fired in the pitching machine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ball is released by the imaginary pitcher have. This is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art. The reason why such a technical feature can not be implemented in the prior art is as follows.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유형의 가상의 투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되고, 어떠한 투수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가상의 투수에 있어서 릴리스 포인트(투수의 손에서 야구공이 떠나는 순간의 손의 위치)가 달라진다. 예를 들면, 다시 도 7(a), (b)를 참조하면, 좌완인지 우완인지에 따라 그리고 투수의 신장에 따른 구분에 따라 서로 다른 6종류의 투수가 존재하고, 피칭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4종류의 투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을 결합하면 "우완에 큰 키(190cm 이상)이고 오버스로우인 투수, 우완에 큰 키(190cm 이상)이고 쓰리쿼터인 투수, …, 좌완에 작은 키(170cm 이하)이고 언더스로우인 투수"와 같이 총 24종류(6×4)의 서로 다른 투수가 존재한다. 이들이 모두 릴리스 포인트가 다르다고 하면, 이들의 릴리스 포인트 위치에 대응되게 야구공이 발사되기 위해서, 피칭머신의 출구는 서로 다른 24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a plurality of types of virtual pitchers is determined by the user's choice, and depending on which pitcher is selected, the release point (the position of the hand at the moment the baseball ball leaves the pitcher's hands) It is different. 7 (a) and (b), for example, there are six different types of pitchers depending on whether the player is left-handed or right-handed and who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pitcher. (190cm or more), overthrowing pitcher, bigger key (190cm or more) in the right side, pitcher in the third quarter, ..., small key (170cm or less) in the left side, There are a total of 24 different (6 × 4) different pitchers, such as "Under and Under". If they are all different release points, the exit of the pitching machine should be able to be positioned at 24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baseball ball fires corresponding to their release point position.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위치조절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칭머신의 출구위치를 변경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기술에 위치조절기를 추가하여 피칭머신의 출구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고 하더라도, 피칭머신에서 발사된 야구공이 스크린을 통과하려면 스크린에 피칭홀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24개의 위치에 피칭홀을 형성한다면, 스크린의 대부분을 피칭홀이 차지하여 스크린에서 생략될 수밖에 없는 영상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로는 다양한 유형의 투수에 대해서, 각 투수들의 릴리스 포인트 위치에 대응되게 야구공이 발사되게 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이는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본 발명만의 기술적 특징이라 볼 수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position adjust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exit of the pitching machine can not be changed. Further, even if a position controller is added to the prior ar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exit of the pitching machine, a pitching hole must be formed in the screen to allow the baseball ball emitted from the pitching machine to pass through the screen. , The pitching hole occupies most of the screen, resulting in too many images to be omitted from the screen. Therefo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ause the baseball ball to be fi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lease point positions of the respective pitchers for various types of pitchers in the prior art, which is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가상의 스트라이크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중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지 못하는 경우와 타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9, FIG. 12 is a view showing a virtual strike zon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9, FIG. 12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virtual batter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And FIG.

도 9를 참조하면, 스크린 야구 시스템(200)은 제어부(220), 영상출력기(230), 스크린(240)을 포함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가상의 투수가 던지는 공을 타격하는 '배팅모드'로 작동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었고,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가상의 타자에게 피칭하는 '피칭모드'로 작동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또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200)에는, 이전 실시예에 있어서의 타격 플레이트 대신에, 사용자가 피칭을 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피칭 플레이트(201)가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creen baseball system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20, a video output unit 230, and a screen 240.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relates to a screen baseball system in which a user operates in a 'batting mode' in which a virtual pitcher strikes a ball. In this embodiment, To " pitching mode " Therefore, the screen baseball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provided with a pitching plate 201 in which a user is positioned to pitch, instead of the striking plate in the previous embodiment.

피칭 플레이트(201)와 같은 일부 구성상의 차이는 있지만, 각종 감지장치(미도시), 제어부(220), 영상출력기(230), 스크린(240) 등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예와 큰 차이는 없다. 다만, '배팅모드' 대신에 '피칭모드'로 작동함에 따라 이전 실시예와 동작상 차이나는 부분이 있는데, 예를 들면 이전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타격된 볼의 상태를 수신하여 타격결과를 산출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피칭한 볼의 상태를 수신하여 피칭결과를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전 실시예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이는, '배팅'을 '피칭'으로 치환함으로써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특히 더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 아닌 경우에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The control unit 220, the video output unit 230, the screen 240, and the like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such as the pitching plate 201.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operation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due to operation of the 'pitching mode' instead of the 'batting mode.' For example,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tate of the hit ball and calculates the batting result.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220 receives the state of the ball that the user has pitched, and calculates the pitching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art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by replacing 'betting' with 'pitching'.

도 10을 참조하면, 스크린에는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타석에 가상의 타자가 위치하고 그 뒷쪽에 가상의 포수가 위치한다. 또한 가상의 포수의 뒷쪽으로 현재의 볼 카운트가 표시되어 있고, 포수를 중심으로 스트라이크존(SZ)이 디스플레이된다. 스트라이크존(SZ)은 사용자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영역이다. 스트라이크존(SZ)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여러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n image in which a virtual batter is struck is displayed on the screen. Specifically, a hypothetical batter is located at the plate and a virtual catcher is located at the back. In addition, the current ball count is displayed at the back of the virtual catcher, and the strike zone SZ is displayed around the catcher. The strike zone SZ is an area displayed to discriminate whether the ball thrown by the user is a strike or a ball. How to set the strike zone SZ may vary depending on the system, and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한 가지 예를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존(SZ) 전체를 9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9개의 영역은 제1 영역(SZ1), 제2 영역(SZ2), 제3 영역(SZ3)으로 구성된다. 제1 영역(SZ1)은 사각형 모양의 스트라이존(SZ) 전체 영역 중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고, 제3 영역(SZ3)은 스트라이존(SZ) 전체 영역 중 중심에 위치하며, 제2 영역(SZ2)은 제1, 3 영역(SZ1, SZ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위치한다. 제1 영역(SZ1)은 스트라이크존(SZ)의 모서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타자가 타격하기 어려운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제1 영역(SZ1)으로 들어오면 가상의 타자가 타격할 수 없는 스트라이크로 판정한다. 제3 영역(SZ3)은 스트라이크존(SZ)의 가운데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타자가 타격하기 쉬운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제3 영역(SZ3)으로 들어오면 가상의 타자가 무조건 타격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제2 영역(SZ2)은 제1, 3 영역(SZ1, SZ3)의 중간에 해당하는 타격 난이도를 갖는다고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제2 영역(SZ2)으로 들어오면 확률에 따라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거나 또는 타격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한다. 상기 확률을 적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던진 볼의 스피드를 감지하여, 스피드가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서 타격할 확률을 낮추거나 높일 수 있다. 또는 제3 영역(SZ3)으로 들어오는 볼은 장타(2루타, 3루타, 홈런)가 나오고, 제2 영역(SZ2)으로 들어오는 볼은 단타가 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To describe one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entire strike zone SZ can be divided into nine regions. The nine regions are composed of a first region SZ1, a second region SZ2, and a third region SZ3. The first region SZ1 is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entire striation zone SZ and the third region SZ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ntire striation zone SZ. Are located in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first and third regions SZ1 and SZ3. Since the first area SZ1 is the edge of the strike zone SZ, it generally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the batter is hard to strike. Accordingly, when the ball pitched by the user enters the first area SZ1,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batter can not hit the strike. Since the third area SZ3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trike zone SZ, it corresponds generally to an area where the batter is likely to strike. Accordingly, when the ball pitched by the user enters the third region SZ3, it is determined that the virtual batter hits the ball in an unconditionally hit manner. The second region SZ2 can be regarded as having a batting degree of difficulty corresponding to the middle of the first and third regions SZ1 and SZ3. Therefore, when the ball pitched by the user enters the second region SZ2, The batter is determined to be hit or unable to hit. In applying the probability, the user may detect the speed of the ball thrown and may lower or increase the probability of hitting the ball according to whether the ball is high or low. Or a ball coming into the third region SZ3 may be a double ball, a triple ball, or a homer ball, and a ball coming into the second region SZ2 may be a ball.

본 실시예에에 사용되는 스크린은,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스크린을 그대로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는 '투과형 스크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형 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피칭한 야구공이 스크린에 충돌한 후 스크린 속으로 빨려들어가서 디스플레이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screen used in this embodiment is a 'transmissive screen' in which a ball pitched by a user can pass through the screen as it is. When a 'transmissive screen' is used, a user may feel as if the pitcher is sucked into the screen and hit the screen after being hit by the scree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가상의 타자가 타격할 수 없는 스트라이크로 판정되는 경우, 스크린에는 가상의 포수가 볼을 캐치하는 모습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스크린에 도달하여 스크린에 충돌하는 순간 또는 충돌한 직후에 스크린에 가상의 볼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스크린에 도달한 실제 볼은, 스크린이 '투과형 스크린'이기 때문에 스크린의 뒷쪽으로 사라지고, 실제 볼이 사라지는 순간 스크린에는 가상의 포수의 글러브에 캐치된 가상의 볼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피칭한 야구공이 스크린에 충돌한 후 스크린 속으로 빨려들어가서 디스플레이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스크린 야구 게임에 대한 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12 (a), when the user's pitch is determined to be a strike in which the virtual batter can not strike, a screen in which a virtual catcher catches the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virtual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moment the user reaches the screen and collides with the screen or immediately after the collision. In other words, the actual ball that reaches the screen disappears to the back of the screen because the screen is a "transmissive screen", and as soon as the actual ball disappears, a virtual ball caught in the virtual catcher's glove is displayed on the screen, , He feels like he is being sucked into the screen and displayed after his pitching ball hit the screen.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terest in the screen baseball game can be further improved.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피칭한 볼은 스크린에 충돌한 후 튕겨 나와서 바닥에 떨어지게 되고, 상기 실제 피칭된 볼 이외에 스크린에서는 가상의 볼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제 피칭된 볼과 가상의 볼의 2가지를 동시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로는 실제 피칭된 볼이 스크린 속으로 빨려들어가서 디스플레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ball that the user has pitched on the screen collides with the screen and then bounces off to the floor. In addition to the actual pitched ball, a virtual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fore, since the user can simultaneously see two types of actual pitched balls and virtual balls, it is im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actual pitched balls are sucked into the screen for display.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피칭한 볼은 스크린에 도달한 후 스크린의 뒷쪽으로 사라지고, 상기 피칭된 볼이 스크린의 뒷쪽으로 사라진 순간 스크린에는 가상의 타자가 가상의 볼을 배팅하는 장면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피칭한 야구공이 스크린에 충돌한 후 스크린 속으로 빨려들어가서 디스플레이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Referring to FIG. 12 (b), even if a ball that the user has pitched is determined to be hit by a virtual batter, the ball that the user has reached reaches the screen and disappears to the back of the screen, On the screen disappearing to the back of the screen, a scene in which a hypothetical batter bets a virtual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feels as if the pitcher himself / herself has hit the screen and is sucked into the screen for display do.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볼 배팅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a transmissive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all betting unit in the screen baseball system of FIG. 13 .

도 13을 참조하면, 스크린 야구 시스템(200)은 볼 배팅부(210), 제어부(220), 영상출력기(230), 스크린(2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배팅모드로 작동하는 것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면, 볼 배팅부(210)를 더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차이가 없다. 따라서 상기 차이나는 점을 제외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screen baseball system 200 includes a ball betting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 video output unit 230, and a screen 240.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in a betting mode, and is not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except that it further includes a ball betting unit 210.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ed portions is omitted except for the differences.

볼 배팅부(210)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첫번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볼 피칭부(11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야구공을 발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볼 배팅부(210)는, 사용자가 피칭한 볼에 대해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타격에 대해서 강한 현실감을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스크린에 도달하는 순간에 가상의 타자가 스윙하여 타격하면, 사용자가 피칭한 볼은 스크린의 뒷쪽으로 사라지고, 스크린의 뒷쪽에 배치된 볼 배팅부(210)(편의상, 도 14에는 볼 배팅부에 있어서 볼이 발사되는 출구 부분만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에서 발사된 볼이 스크린의 뒷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나와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날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실제의 야구공이 스크린의 뒷쪽에서 날아오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타자가 볼을 타격했다는 점에 대해서 강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현실감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볼 배팅부(210)에 있어서 야구공이 발사되는 출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스크린에 충돌하는 지점의 근방에서 야구공이 발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ball batting portion 21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all pitching portion 110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any structure capable of firing a baseball can be used. The ball betting unit 210 is used for giving a strong sense of realism to the hit when a virtual batter displayed on the screen is determined to be hit with respect to the ball that the user has pitched. That is, as shown in FIG. 14, when a virtual batter hits and hits at the moment when the ball that the user has reached reaches the screen, the ball that the user has pitched to disappears toward the back of the screen, The ball launched from the batting part 210 (only the exit part where the ball is fired in the ball betting part is shown in dotted lines in FIG. 14 for convenience) comes out from the rear side of the screen and flows into the space where the user is positioned do. In this way, when a real baseball ball flies from the rear of the screen, a strong sense of reality can be fel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at a virtual batter displayed on the screen strikes the ball.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sense of realism, the baseball ball may be fired in the vicinity of a point where the ball hit by the user is hi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xit of the ball batting unit 210 from which the ball is fi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은 앞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투과형 스크린이 사용된다. 투과형 스크린이 사용되기 때문에, 볼 배팅부(210)의 출구를 스크린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볼 배팅부(210)에서 발사된 야구공이 스크린을 통과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날아갈 수 있다.The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ransmissive screen as described in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nsmissive screen is used, even if the exit of the ball betting unit 210 is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the baseball ball launched from the ball betting unit 210 can fly through the screen to the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스크린 야구 시스템
110: 볼 피칭부
210: 볼 배팅부
120, 220: 제어부
130, 230: 영상출력기
140, 240: 스크린
100, 200: Screen Baseball System
110: ball pitching part
210: Ball betting part
120, 220:
130, and 230:
140, 240: screen

Claims (11)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볼을 피칭하는 볼 피칭부; 및
사용자와 상기 볼 피칭부의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볼 피칭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별도의 피칭홀 없이 상기 볼 피칭부에서 피칭된 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이루어지고, 야구 관련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을 포함하며,
상기 볼 피칭부는, 볼이 피칭된 후 상기 스크린을 통과할 때까지 볼이 스크린에 접촉하지 않도록 커버하는 볼 커버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A ball pitching unit for pitching the ball to the user so that the ball can be hit by the user; And
A baseball-rela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which a baseball-related image is displayed, the baseball-related image being displayed in a reg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all-pitching portion and being adjacent to the ball- ;
/ RTI >
Wherein the ball pitch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ball covering means for covering the ball such that the ball does not contact the screen until it passes through the screen after being pit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될 액체를 상기 분사부에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액체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And a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the liquid to be jetted from the jetting portion to the jetting portion, wherein the jetting portion includes a jetting portion for jetting liquid forming a screen film, a recovering portion for recovering the jetted liquid,
Liquid screen.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안개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안개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 상기 안개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안개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And a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a liquid for forming the mist to the spray portion, wherein the spray portion for spraying the mist forming the screen film, the recovery portion for recovering the spray mist,
A screen baseball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a fog scree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피칭부는,
사용자에게 볼을 피칭하는 피칭머신, 및
상기 피칭머신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기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all-
A pitching machine that pitches the ball to the user, and
And a position adjuster for adjusting a position in at least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tching mach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 피칭부에서 사용자에게 볼을 피칭할 때에 상기 스크린에는 가상의 투수가 피칭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가상의 투수는, 피칭하는 순간 볼이 릴리스 되는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가상의 투수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선택된 가상의 투수의 볼이 릴리스 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피칭머신에서 볼을 발사하는 위치를 조절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 image to be pitched by a virtual pitch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ball is pitched to the user in the ball pitching unit,
The virtual pitcher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virtual pitchers having different positions at which the ball is released at the moment of pitching,
Wherein the position adjuster adjusts a position at which the ball is fired at the pitching machine such that the selected virtual pitcher ball corresponds to a position at which the ball is released.
삭제delete 야구 관련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통과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및
상기 볼이 피칭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될 넥스트 플레이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스크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속도로 볼을 발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배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넥스트 플레이로서 상기 피칭된 볼에 대응하는 가상의 볼을 가상의 타자가 타격하는 플레이가 상기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볼 배팅부는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후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날아가도록 볼을 발사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A screen on which a baseball-related image is displayed, the screen being of a transmissive type through which the user can pitch the ball;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a next play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a result of the ball being pitched;
/ RTI >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ball bett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cre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positioned and capable of firing the ball at a predetermined speed,
When the virtual batter corresponding to the pitched ball is hit by the virtual batter as the next play, the ball betting unit is moved to the space where the user is positioned after passing through the screen, A screen baseball system launch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될 액체를 상기 분사부에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액체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creen,
And a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the liquid to be jetted from the jetting portion to the jetting portion, wherein the jetting portion includes a jetting portion for jetting liquid forming a screen film, a recovering portion for recovering the jetted liquid,
Liquid screen. ≪ / RTI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안개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안개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 상기 안개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안개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creen,
And a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a liquid for forming the mist to the spray portion, wherein the spray portion for spraying the mist forming the screen film, the recovery portion for recovering the spray mist,
A screen baseball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a fog screen.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피칭된 볼에 대응하는 가상의 볼이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상의 볼은 사용자가 피칭한 볼이 상기 스크린에 도달한 이후부터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 virtual ball corresponding to the pitching ball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the virtual ball start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fter the ball that the user has reached reaches the screen.
삭제delete
KR1020170156888A 2017-11-23 2017-11-23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KR101940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88A KR101940717B1 (en) 2017-11-23 2017-11-23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88A KR101940717B1 (en) 2017-11-23 2017-11-23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717B1 true KR101940717B1 (en) 2019-01-28

Family

ID=6526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888A KR101940717B1 (en) 2017-11-23 2017-11-23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7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128A1 (en) * 2019-08-30 2021-03-04 이창규 Virtual reality sport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128A1 (en) * 2019-08-30 2021-03-04 이창규 Virtual reality sports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526B1 (en) A screen baseball game apparatus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KR101546666B1 (en) A screen baseball system operating method
US108285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able game
US20200206597A1 (en) Virtual sports simulation device
KR20140100685A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batting and controlling the pitching
US10080959B2 (en) Video game incorporating safe live-action combat
KR101784623B1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left-handed pitcher and right-handed pitcher using the same
TW201726209A (en) Apparatus for base-ball practice,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to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22524496A (en) Billiard ball drive status information input control device
KR101940717B1 (en) Screen baseball system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JP2004097662A (en) Soccer simulation game machine and its method
JP2012101026A (en)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game device, and server system
KR101983899B1 (en) Virtual sport simulation device showing improved reality
KR20190060748A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KR101992021B1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using penetration type screen
KR101831108B1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of playing screen baseball
JP2003205172A (en) Video game device
KR102082920B1 (en) Pitching device and screen baseball game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051930A (en) Virtual sport simulation device showing improved reality
KR101865579B1 (en) Apparatus for base-ball practice,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to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419263B1 (en) Interface apparatus for virtual sports, virtual golf device and virtual sports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133327A (en) Attack and defensive manipulation screen baseball game system
KR102591041B1 (en) Strike gam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650665B1 (en) Booth for screen golf courses
KR20210027327A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