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627B1 -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627B1
KR101940627B1 KR1020180121805A KR20180121805A KR101940627B1 KR 101940627 B1 KR101940627 B1 KR 101940627B1 KR 1020180121805 A KR1020180121805 A KR 1020180121805A KR 20180121805 A KR20180121805 A KR 20180121805A KR 101940627 B1 KR101940627 B1 KR 10194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extract
powder
brown alga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나호
Original Assignee
정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나호 filed Critical 정나호
Priority to KR102018012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2Dry f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Abstract

본 발명은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오수유열매를 구비하되,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오수유열매를 50~60분 동안 침지시켜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갈아놓은 양배추나 배추 또는 배에 오수유열매를 1~2시간을 저장하여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고, 60~70℃의 열풍 및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건조 후 분쇄하여 오수유분말로 구비하는 단계; (B) 백출, 산사, 나복자, 지실의 한약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구비하되, 60~70℃의 열풍 및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건조 후 분쇄하여 소화기능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 (C) 껍질을 제거한 초록입홍합을 정제수로 1차 세척한 상태에 갈아놓은 녹황색채소나 양배추 또는 배에 3~4시간을 침지시켜 짠맛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초록입홍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 (D) 오가피, 뽕나무, 두충, 당귀, 단삼, 울금, 배초향, 엉겅퀴, 옥수수수염, 금물초, 꿀풀, 결명자, 산수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한방원료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한방원료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 (E)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갈조류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갈조류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 (F) 오수유분말, 소화기능용분말, 초록입홍합분말, 한방원료추출액, 갈조류추출액, 잔탄검을 일정 분량으로 칭량하고, 믹싱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혼합재료를 구비하는 단계; (G) 혼합재료를 사료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H) 성형된 사료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견의 혈행 개선 및 혈관 건강 등을 비롯한 심혈관계질환의 개선 및 항산화작용에 유용한 폴리페놀성분을 갖는 한방원료를 주원료로 하고 애견의 관절 건강 및 소화기능을 돕기 위한 재료의 제1부원료와 심혈관계질환 및 항산화작용의 증진을 위한 폴리페놀성분을 갖는 제2부원료 등을 첨가함으로써 애견의 면역력 증진이나 혈관 및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소화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는 애견용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EED FOR PET DOG}
본 발명은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견의 면역력 증진이나 혈관 및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소화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는 애견용 사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과 가족 형태가 핵가족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애완견 등을 비롯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수가 늘어가고 있다.
이렇게 애완견 등을 비롯한 반려동물을 기르는 수가 늘어가고 상대적으로 애정을 가지고 관리해줌에 따라 예전에 비해 반려동물 또한 수명이 길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애견 까페, 애견 음식점 등 애견 관련 업종이 활성화되고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애견 사료업계에서도 친환경 사료 및 고급 먹거리를 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려동물로서 함께 살아옴에 따라 애완경 등도 노령화되는 추세인데, 노령견 전용 고급사료가 불티나게 팔리는 등 나이든 애견을 위한 제품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노령견 등을 비롯한 애견용 건강보조사료 등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노령견을 비롯한 반려동물에 유용한 건강보조용 사료 및 면역력 증진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아직까지 찾아보기 힘든 실정에 있으며, 애견 수요자들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52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806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애견의 면역력 증진이나 혈관 및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소화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는 사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의 개선을 통해 원재료로부터 면역력 증진은 물론 혈관 및 관절염 개선에 좋은 유효성분 및 기능성물질을 더욱 많은 함량으로 추출해내면서 추출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심혈관계질환 및 항산화작용에 유용한 폴리페놀성분을 갖는 한방원료를 주원료로 하고 애견의 관절 건강 및 소화기능을 돕기 위한 재료를 사용한 제1부원료와 심혈관계질환 및 항산화작용의 증진을 위한 폴리페놀성분을 갖는 제2부원료 등을 첨가하는 형태로 애견용 사료를 제조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향료, 착색료,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등의 화학합성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등 친환경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애견용 영양제 및 건강보조사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은, (A) 오수유열매를 구비하되,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오수유열매를 50~60분 동안 침지시켜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갈아놓은 양배추나 배추 또는 배에 오수유열매를 1~2시간을 저장하여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고, 60~70℃의 열풍 및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건조 후 분쇄하여 오수유분말로 구비하는 단계; (B) 백출, 산사, 나복자, 지실의 한약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구비하되, 60~70℃의 열풍 및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건조 후 분쇄하여 소화기능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 (C) 껍질을 제거한 초록입홍합을 정제수로 1차 세척한 상태에 갈아놓은 녹황색채소나 양배추 또는 배에 3~4시간을 침지시켜 짠맛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초록입홍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 (D) 오가피, 뽕나무, 두충, 당귀, 단삼, 울금, 배초향, 엉겅퀴, 옥수수수염, 금물초, 꿀풀, 결명자, 산수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한방원료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한방원료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 (E)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갈조류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갈조류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 (F) 오수유분말, 소화기능용분말, 초록입홍합분말, 한방원료추출액, 갈조류추출액, 잔탄검을 일정 분량으로 칭량하고, 믹싱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혼합재료를 구비하는 단계; (G) 혼합재료를 사료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H) 성형된 사료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B)단계에서는, 한약재 중 지실에 대해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지실을 50~60분 동안 침지시켜 지실이 갖는 쓴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올리브유에 볶아 쓴맛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녹황색채소는 시금치, 브로콜리, 케일, 부추, 당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건조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처리하되 원적외선 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초록입홍합에 대한 빠른 건조 및 복사에너지의 투입으로 조직 내부까지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쇄된 초록입홍합분말에 대해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40~50℃ 온도의 열을 가하여 초록입홍합분말 자체를 완전 건조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D)단계에서는, 한방원료 100g당 1000~1500ℓ의 정제수를 열수추출기에 투입하는 제1단계; 50~6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2~3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열수추출하는 제2단계; 60~7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열수추출하는 제3단계; 2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한방원료추출물을 청주(淸酒) 60~70% 농도에 침지시킨 상태로 2~3시간 동안 주정 침지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주정 침지하는 제4단계; 주정 침지를 마친 한방원료추출물을 100~200mesh의 메쉬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제5단계; 여과시킨 한방원료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5~70℃ 조건에서 감압 농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형태로 한방원료추출액을 얻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E)단계에서는,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건조시킨 갈조류 100g당 정제수 1500~2000ℓ를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50~60℃의 온도로 가열한 후 효소를 첨가한 상태에서 2~3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제1단계; 1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갈조류추출물을 100~200mesh의 메쉬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제2단계; 여과시킨 갈조류추출물을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60~7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열수추출하는 제3단계; 2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갈조류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0~70℃ 조건에서 1차로 감압 농축하는 제4단계; 1차 감압 농축된 갈조류추출물을 청주(淸酒)에 침지시킨 상태로 2~3시간 동안 주정 침지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주정 침지하는 제5단계; 주정 침지시킨 갈조류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고,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회수하는 제6단계; 원심 분리를 통해 상등액만 회수한 갈조류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0~70℃ 조건에서 2차로 감압 농축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형태로 갈조류추출액을 얻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F)단계에서는, 한방원료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갈조류추출액 10~50중량부, 초록입홍합분말 100~150중량부, 오수유분말 10~50중량부, 소화기능용분말 20~30중량부, 천연증점제인 잔탄검 0.1~3중량부로 칭량하여 혼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F)단계에서는, 혼합재료에 분쇄된 형태의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를 포함하는 육고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을 더 첨가하되, 한방원료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150~20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H)단계에서는, 성형된 사료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10~15℃의 온도와 25~30%의 습도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24~36시간 동안 건조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견의 혈행 개선 및 혈관 건강 등을 비롯한 심혈관계질환의 개선 및 항산화작용에 유용한 폴리페놀성분을 갖는 한방원료를 주원료로 하고 애견의 관절 건강 및 소화기능을 돕기 위한 재료의 제1부원료와 심혈관계질환 및 항산화작용의 증진을 위한 폴리페놀성분을 갖는 제2부원료 등을 첨가함으로써 애견의 면역력 증진이나 혈관 및 관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소화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는 양질의 애견용 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의 개선을 통해 원재료로부터 면역력 증진은 물론 혈관 및 관절염 개선 등에 좋은 유효성분 및 기능성물질을 더욱 많은 함량으로 추출해내면서 추출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성향료, 착색료,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등의 화학합성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등 친환경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애견용 영양제 및 건강보조사료 등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애견용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 한방원료추출액 제조단계를 나타낸 상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 갈조류추출액 제조단계를 나타낸 상세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수유분말 구비단계(S10), 소화기능용분말 구비단계(S20), 초록입홍합분말 구비단계(S30), 한방원료추출액 제조단계(S40), 갈조류추출액 제조단계(S50), 재료혼합단계(S60), 성형단계(S70), 건조단계(S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수유분말 구비단계(S10)는 오수유열매를 구비하되,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오수유열매를 50~60분 동안 침지시켜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갈아놓은 양배추나 배추 또는 배에 오수유를 1~2시간을 저장하여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고, 건조 후 분쇄하여 오수유분말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오수유열매는 한방약재로 사용하되 리모닌 성분에 의해 쓴맛을 갖는 것으로서,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침지함에 따라 검은콩이 함유한 단백질과 당질 및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제공하고 이소플라본 등 노화방지성분을 제공하면서 검은콩이 함유한 당질 등에 의해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수유열매는 갈아놓은 양배추나 배추 또는 배에 담가 놓음으로써 이들이 갖는 수분과 당류 성분을 침투시킴에 의해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수유열매에 대해 쓴맛을 제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수유열매는 카테킨류인 타닌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살균과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구충작용은 물론 피부병을 일으키는 사상균에 대한 억제작용을 하고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수유열매는 60~70℃의 열풍과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함으로써 조직 내부까지 완전 건조 후 분쇄하여 오수유분말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기능용분말 구비단계(S20)는 소화기능 개선에 유용한 백출, 산사, 나복자, 지실의 한약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구비하되, 건조 후 분쇄하여 소화기능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소화기능용분말은 백출, 산사, 나복자, 지실의 한약재를 60~70℃의 열풍 및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함으로써 조직 내부까지 완전 건조 후 분쇄하여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한약재 중 지실에 대해서는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지실을 50~60분 동안 침지시켜 이들이 갖는 쓴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올리브유에 볶아 쓴맛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지실은 탱자열매로서 상기 오수유열매와 같이 리모닌 성분에 의해 쓴맛을 갖는 것으로서,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침지함에 따라 검은콩이 함유한 단백질과 당질 및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제공하고 이소플라본 등 노화방지성분을 제공하면서 검은콩이 함유한 당질 등에 의해 지실이 갖는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실은 올리브유에 볶는 전처리를 통해 올리브유에 함유된 탄수화물과 불포화지방산 및 비타민류 등에 의해 지실이 갖는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백출은 뿌리나 뿌리줄기 부분을 사용하고, 산사는 열매부분을 사용하고, 나복자는 씨부분을 사용하며, 지실은 열매부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출은 소화효소의 분비촉진 및 소화기능을 돋구는 건비의 효능이 강하고 소화기 계통의 치료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산사는 소화 촉진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소화제로 많이 이용되고,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혈의 흐름을 돕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나복자는 기를 통하게 하고 체한것을 내려가게 하는 효능이 있고, 포도상구균 등의 억제작용, 피부진균 억제작용, 혈압강하작용, 함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지실은 소화장애 해소 등 소화를 돕는 기능을 하며, 위장 연동운동 항진작용 및 위염 등에도 좋은 기능을 한다.
상기 초록입홍합분말 구비단계(S30)는 껍질을 제거한 초록입홍합을 정제수로 1차 세척한 상태에 갈아놓은 녹황색채소나 양배추 또는 배에 3~4시간을 침지시켜 짠맛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초록입홍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이때, 상기 녹황색채소는 시금치, 브로콜리, 케일, 부추, 당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60~70℃의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처리하되 원적외선 조사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초록입홍합에 대한 빠른 건조 및 복사에너지의 투입으로 조직 내부까지 완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쇄된 초록입홍합분말에 대해서는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40~50℃ 온도의 열을 가하여 초록입홍합분말 자체를 다시 완전 건조 처리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초록입홍합분말은 부가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록입홍합이 갖는 유효성분을 활용하고자 한다.
즉, 상기 초록입홍합은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켜주고 염증유발물질인 류코트리엔의 합성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여 관절염 외에도 각종 염증성 질환에 유용하며,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D 및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심혈관질환 개선에도 유용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한방원료추출액 제조단계(S40)는 오가피, 뽕나무, 두충, 당귀, 단삼, 울금, 배초향, 엉겅퀴, 옥수수수염, 금물초, 꿀풀, 결명자, 산수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한방원료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한방원료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이다.
상기 한방원료추출액 제조단계(S40)는 오가피, 뽕나무, 두충, 당귀, 단삼, 울금, 배초향, 엉겅퀴, 옥수수수염, 금물초, 꿀풀, 결명자, 산수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한방원료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한방원료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한방원료들은 심혈관계질환 개선 및 항산화작용에 유용한 기능을 하는 폴리페놀성분 함유율이 높은 한약재 및 약용식물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오가피와 두충은 줄기부분, 당귀는 줄기와 뿌리부분, 단삼과 울금은 뿌리부분, 뽕나무와 배초향은 잎부분, 엉겅퀴는 꽃과 줄기부분, 옥수수수염과 금물초 및 꿀풀은 꽃부분, 결명자와 산수유는 씨부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한방원료들 중에서 줄기나 뿌리 또는 잎부분은 적절한 크기로 파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방원료추출액 제조단계(S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상세한 제조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는데, 한방원료 100g당 1000~1500ℓ의 정제수를 열수추출기에 투입하는 제1단계(S41)와, 상기 정제수를 50~6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2~3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에 의한 고주파 전기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열수추출하는 제2단계(S42)와, 상기 1차 열수추출 후 자연상태에서 2~3시간 냉각시킨 다음 60~70℃의 온도로 재가열한 상태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에 의한 고주파 전기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여 열수추출하는 제3단계(S43)와, 상기 2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한방원료추출물을 청주(淸酒) 60~70% 농도에 침지시킨 상태로 2~3시간 동안 주정 침지하되 초음파 발진에 의한 고주파 전기 진동을 동시에 수행하여 주정 침지하는 제4단계(S44)와, 상기 주정 침지를 마친 한방원료추출물을 100~200mesh의 메쉬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제5단계(S45), 및 상기 여과시킨 한방원료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5~70℃ 조건에서 진공 감압 농축하는 제6단계(S46)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한방원료추출액을 얻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 열수추출은 고온이 아닌 저온으로 수행하여 한방원료에 함유된 펠리페놀 등의 유효성분에 대한 파괴를 방지하면서 초음파 발진에 의한 추출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폴리페놀 등의 유효성분에 대한 추출함량을 더 얻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 주정침지를 수행함은 멸균 처리 및 보존성을 향상시키면서 폴리페놀 등의 유효성분을 더욱 많게 추출해낼 수 있도록 하며, 한방원료들의 조직 내 갈변화를 유도하여 항산화작용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갈조류추출액 제조단계(S50)는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갈조류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갈조류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갈조류 원료들 역시 심혈관계질환 개선 및 항산화작용에 유용한 기능을 얻기 위하여 해조류 중에서도 폴리페놀성분 함유율이 높은 갈조류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등의 갈조류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다른 해조류 종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알긴산과 후코이단 등 생리 활성이 뛰어난 다당체들이 많이 들어있음을 활용하고자 한다.
상기 갈조류추출액 제조단계(S5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상세한 제조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는데,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건조시킨 갈조류 100g당 정제수 1500~2000ℓ를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50~60℃의 온도로 가열한 후 효소를 첨가한 상태에서 2~3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제1단계(S51)와, 상기 1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갈조류추출물을 100~200mesh의 메쉬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제2단계(S52)와, 상기 여과시킨 갈조류추출물을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60~7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는 제3단계(S53)와, 상기 2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갈조류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0~70℃ 조건에서 1차로 진공 감압 농축하는 제4단계(S54)와, 상기 1차 감압 농축된 갈조류추출물을 청주(淸酒)에 침지시킨 상태로 2~3시간 동안 주정 침지하는 제5단계(S55)와, 상기 주정 침지시킨 갈조류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고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회수하는 제6단계(S56), 및 상기 원심 분리를 통해 상등액만 회수한 갈조류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0~70℃ 조건에서 2차로 진공 감압 농축하는 제7단계(S57)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갈조류추출액을 얻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계(S51)에 첨가 사용되는 효소는 프로타아제, 펙티나아제, 아밀라아제, 만아제, 셀루라아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일 수 있다.
여기에서도 실시되는 열수추출방식 및 주정침지방식 또한 이미 상술하게 설명한 이유와 동일하다 할 것이다.
상기 재료혼합단계(S60)는 오수유분말, 소화기능용분말, 초록입홍합분말, 한방원료추출액, 갈조류추출액, 잔탄검을 일정 분량으로 칭량하고, 믹싱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혼합재료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이때에는 한방원료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갈조류추출액 10~50중량부, 초록입홍합분말 100~150중량부, 오수유분말 10~50중량부, 소화기능용분말 20~30중량부, 천연증점제인 잔탄검 0.1~3중량부로 칭량하여 혼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한방원료추출액과 갈조류추출액, 초록입홍합분말, 오수유분말, 및 소화기능용분말은 애견이 하루에 섭취 가능한 유효성분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조성한 중량이며,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상기 초록입홍합분말은 한방원료추출액 및 갈조류추출액 등 혈관 개선물질 대비 관절이 약한 애견에 대해 관절 건강 개선 및 관절 측에 영양을 충분하게 공급하기 위한 배합분량이다.
상기 잔탄검은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시 원료간에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혼합재료 측 안정된 혼합물로서 기능하기가 어려우며,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혼합물에 대한 안정성을 가져올 수는 있으나 점도가 커져 성형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료혼합단계(S60)에서는 상술한 분량으로 칭량 후 혼합되는 혼합재료에 분쇄된 형태의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을 포함하는 육고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을 더 첨가하되, 한방원료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150~20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재료에 육고기를 더 첨가하는 경우에는 혼합재료에 대한 안정성 및 성형성을 부여하기 위해 잔탄검을 전체 구성의 중량대비 0.5~5중량부로 칭량하여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단계(S70)는 상술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혼합재료를 사료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성형단계(S70)는 사료의 형태로 성형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캡슐이나 알약 또는 환 등의 여러가지 제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건조단계(S80)는 상기 성형단계(S70)를 통해 성형된 사료를 건조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S80)에서는 성형된 사료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10~15℃의 온도와 25~30%의 습도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24~36시간 동안 건조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방원료추출액과 갈조류추출액 각각의 원료에 대한 폴리페놀 성분의 추출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치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은 각각의 한방원료에 대해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한방원료추출액을 추출한 후 이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250μg/mL로 조정한 각 시료액에 대해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한방원료추출액 1mL에 Folin-Ciocalteau 시약 및 탄산나트륨 용액을 각각 1mL씩 차례로 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후 카페익산(Caffeic acid)을 표준물질로 하여 0~100μg/mL 농도 범위에서 얻어진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각각의 한방원료에 대해 총 페놀 함량을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한방원료에 대해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한방원료추출액 0.5mL에 10% 농도의 질산알루미늄 0.1mL, 1M 아세트산칼륨 0.1mL 및 에탄올 4mL를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퀘르세틴(Quercetin)을 표준물질로 하여 0~100μg/mL 농도 범위에서 얻어진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각각의 한방원료에 대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표 2는 각각의 갈조류원료에 대해 상술한 제조공정으로 갈조류추출액을 추출한 후 이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250μg/mL로 조정한 각 시료액에 대해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Folin-Denis법에 따라 각각의 갈조류추출액 1mL에 Folin-Ciocalteau 시약 및 탄산나트륨 용액을 각각 1mL씩 차례로 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후 카페익산(Caffeic acid)을 표준물질로 하여 0~100μg/mL 농도 범위에서 얻어진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각각의 갈조류원료에 대해 총 페놀함량을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흡광도
(280nm)
총 페놀함량
(mg/100g)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mg/100g)
오가피 2.854 4.52 2.88
뽕나무 2.356 4.10 2.95
두충 2.985 3.36 2.81
당귀 1.878 3.18 2.80
단삼 1.993 5.65 5.18
울금 2.026 3.49 2.85
배초향 1.925 3.66 2.86
엉겅퀴 1.927 3.12 2.80
옥수수수염 2.653 3.81 2.93
금물초 3.136 4.73 3.06
꿀풀 3.542 5.98 3.01
결명자 2.147 3.15 2.84
산수유 2.263 3.79 2.81
구분 흡광도 총 페놀함량
(mg/100g)
미역 2.862 4.48
다시마 2.947 4.24
2.794 3.86
모자반 3.015 4.57
이와 같이, 표 1 및 표 2에서는 한방원료를 열수추출하여 얻어낸 한방원료추출액과 갈조류원료를 열수추출하여 얻어낸 갈조류추출액으로부터 심혈관질환 및 항산화작용을 하는 폴리페놀 성분을 유용하게 추출해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애견 등 반려동물의 면역증진 및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보조사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10: 오수유분말 구비단계
S20: 소화기능용분말 구비단계
S30: 초록입홍합분말 구비단계
S40: 한방원료추출액 제조단계
S50: 갈조류추출액 제조단계
S60: 재료혼합단계
S70: 성형단계
S80: 건조단계

Claims (8)

  1. (A) 오수유열매를 구비하되,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오수유열매를 50~60분 동안 침지시켜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갈아놓은 양배추나 배추 또는 배에 오수유열매를 1~2시간을 저장하여 오수유열매가 갖는 쓴맛을 제거하고, 60~70℃의 열풍 및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건조 후 분쇄하여 오수유분말로 구비하는 단계;
    (B) 백출, 산사, 나복자, 지실의 한약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구비하되, 60~70℃의 열풍 및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건조 후 분쇄하여 소화기능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
    (C) 껍질을 제거한 초록입홍합을 정제수로 1차 세척한 상태에 갈아놓은 녹황색채소나 양배추 또는 배에 3~4시간을 침지시켜 짠맛을 제거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다음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초록입홍합분말을 구비하는 단계;
    (D) 오가피, 뽕나무, 두충, 당귀, 단삼, 울금, 배초향, 엉겅퀴, 옥수수수염, 금물초, 꿀풀, 결명자, 산수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한방원료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한방원료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
    (E)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갈조류와 정제수를 함께 열수추출기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에서 열수추출함으로써 갈조류추출액을 얻어내는 단계;
    (F) 상기 (A)단계를 통해 구비한 오수유분말, 상기 (B)단계를 통해 구비한 소화기능용분말, 상기 (C)단계를 통해 구비한 초록입홍합분말, 상기 (D)단계를 통해 얻어낸 한방원료추출액, 상기 (E)단계를 통해 얻어낸 갈조류추출액, 잔탄검을 일정 분량으로 칭량하고, 믹싱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함으로써 혼합재료를 구비하는 단계;
    (G) 혼합재료를 사료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H) 성형된 사료를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한약재 중 지실에 대해 검은콩을 달여 우려낸 물에 지실을 50~60분 동안 침지시켜 지실이 갖는 쓴맛을 제거하거나 또는 올리브유에 볶아 쓴맛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녹황색채소는 시금치, 브로콜리, 케일, 부추, 당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건조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처리하되 원적외선 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초록입홍합에 대한 빠른 건조 및 복사에너지의 투입으로 조직 내부까지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쇄된 초록입홍합분말에 대해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40~50℃ 온도의 열을 가하여 초록입홍합분말 자체를 완전 건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한방원료 100g당 1000~1500ℓ의 정제수를 열수추출기에 투입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통해 한방원료와 함께 투입된 정제수를 50~6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2~3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열수추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통해 1차 열수추출한 후 자연상태에서 2~3시간 냉각시킨 다음 1차 열수추출액을 60~70℃의 온도로 재가열한 상태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열수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의 2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한방원료추출물을 청주(淸酒) 60~70% 농도에 침지시킨 상태로 2~3시간 동안 주정 침지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주정 침지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주정 침지를 마친 한방원료추출물을 100~200mesh의 메쉬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여과시킨 한방원료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5~70℃ 조건에서 감압 농축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건조시킨 갈조류 100g당 정제수 1500~2000ℓ를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50~60℃의 온도로 가열한 후 효소를 첨가한 상태에서 2~3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의 1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갈조류추출물을 100~200mesh의 메쉬에 통과시켜 여과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여과시킨 갈조류추출물을 열수추출기에 투입하고, 60~7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열수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2차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된 갈조류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0~70℃ 조건에서 1차로 감압 농축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통해 1차 감압 농축된 갈조류추출물을 청주(淸酒)에 침지시킨 상태로 2~3시간 동안 주정 침지하되, 초음파 발진을 이용하여 주정 침지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주정 침지시킨 갈조류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고,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회수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의 원심 분리를 통해 상등액만 회수한 갈조류추출물을 농축기로 보내 감압 600~700mmHg 및 온도 60~70℃ 조건에서 2차로 감압 농축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는,
    한방원료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갈조류추출액 10~50중량부, 초록입홍합분말 100~150중량부, 오수유분말 10~50중량부, 소화기능용분말 20~30중량부, 천연증점제인 잔탄검 0.1~3중량부로 칭량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는,
    혼합재료에 분쇄된 형태의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를 포함하는 육고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을 더 첨가하되, 한방원료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150~20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에서는,
    성형된 사료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10~15℃의 온도와 25~30%의 습도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24~36시간 동안 건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KR1020180121805A 2018-10-12 2018-10-12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KR10194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05A KR101940627B1 (ko) 2018-10-12 2018-10-12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05A KR101940627B1 (ko) 2018-10-12 2018-10-12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627B1 true KR101940627B1 (ko) 2019-01-21

Family

ID=6527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805A KR101940627B1 (ko) 2018-10-12 2018-10-12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6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422A (ko) * 2019-04-12 2020-10-21 한희정 고양이 보양 음료용 분말의 제조 방법
KR20210007313A (ko) 2019-07-11 2021-01-20 최명재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견사료
CN114258979A (zh) * 2021-12-29 2022-04-01 广西壮族自治区蚕业技术推广站 富含混合发酵型桑枝叶微贮饲料的生态狗粮及饲喂方法
CN115606696A (zh) * 2022-09-08 2023-01-17 沈阳农业大学 一种提高公畜繁育能力和精液质量的饲料添加剂
KR102540314B1 (ko) * 2022-04-07 2023-06-08 어업회사법인 두비 주식회사 해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278A (ko) 2009-09-04 2011-03-10 주식회사 동원고려인삼 면역력 증진용 애완견 보조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1621A (ko) * 2010-07-29 2012-02-08 박현철 초록입 홍합 분말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
KR20130013712A (ko) * 2011-07-28 2013-02-06 이승준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의 설사병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06191A (ko) * 2014-03-11 2015-09-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559515B1 (ko) * 2014-10-10 2015-10-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CN105941857A (zh) * 2016-06-30 2016-09-21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促生长和提高饲料养分利用率的饲料添加剂
KR101868067B1 (ko) 2016-09-30 2018-06-15 정문주 모링가 잎과 딸기를 함유한 애견용 건강보조사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278A (ko) 2009-09-04 2011-03-10 주식회사 동원고려인삼 면역력 증진용 애완견 보조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1621A (ko) * 2010-07-29 2012-02-08 박현철 초록입 홍합 분말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
KR20130013712A (ko) * 2011-07-28 2013-02-06 이승준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의 설사병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06191A (ko) * 2014-03-11 2015-09-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559515B1 (ko) * 2014-10-10 2015-10-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CN105941857A (zh) * 2016-06-30 2016-09-21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促生长和提高饲料养分利用率的饲料添加剂
KR101868067B1 (ko) 2016-09-30 2018-06-15 정문주 모링가 잎과 딸기를 함유한 애견용 건강보조사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422A (ko) * 2019-04-12 2020-10-21 한희정 고양이 보양 음료용 분말의 제조 방법
KR102229666B1 (ko) 2019-04-12 2021-03-18 한희정 고양이 보양 음료용 분말의 제조 방법
KR20210007313A (ko) 2019-07-11 2021-01-20 최명재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견사료
CN114258979A (zh) * 2021-12-29 2022-04-01 广西壮族自治区蚕业技术推广站 富含混合发酵型桑枝叶微贮饲料的生态狗粮及饲喂方法
CN114258979B (zh) * 2021-12-29 2024-04-12 广西壮族自治区蚕业技术推广站 富含混合发酵型桑枝叶微贮饲料的生态狗粮及饲喂方法
KR102540314B1 (ko) * 2022-04-07 2023-06-08 어업회사법인 두비 주식회사 해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CN115606696A (zh) * 2022-09-08 2023-01-17 沈阳农业大学 一种提高公畜繁育能力和精液质量的饲料添加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627B1 (ko)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Lu et al. Sustainable valorisation of tomato pomace: A comprehensive review
Pathak et al. Waste to wealth: a case study of papaya peel
KR101949105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49804A (ko) 울금함유식용유지와 그 제조방법
KR102241976B1 (ko) 반려동물 간식 및 그 제조방법
Kainat et al. Sustainable novel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fruits and vegetables waste for functional foods: A review
KR101791206B1 (ko) 뽕잎 추출액을 함유한 양파즙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Mnisi et al. Fruit pomaces as functional ingredients in poultry nutrition: A review
KR101981054B1 (ko) 연질캡슐제품 제조방법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JP2006006318A (ja) 味覚修飾剤
CN112056459A (zh) 大蒜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复合天然植物提取物添加剂
KR20100057277A (ko) 가축사육용 발효식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 방법.
CN103989226B (zh) 一种苦瓜原汁的制备方法
KR101449993B1 (ko)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
KR101977833B1 (ko) 풋사과 농축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4471B1 (ko) 스피루리나분말을 함유한 애견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4106801A (zh) 一种保健蜂蜜松针茶粉及其加工方法
KR102085436B1 (ko) 생누에를 이용한 식품원료의 가공방법
KR101735666B1 (ko) 동충하초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102469870B1 (ko)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abc 주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