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87B1 -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87B1
KR101940587B1 KR1020180043912A KR20180043912A KR101940587B1 KR 101940587 B1 KR101940587 B1 KR 101940587B1 KR 1020180043912 A KR1020180043912 A KR 1020180043912A KR 20180043912 A KR20180043912 A KR 20180043912A KR 101940587 B1 KR101940587 B1 KR 10194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ncrete
strand
se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수
김성일
김현조
소병식
구문교
배정동
최영인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씨산업 filed Critical (주)에스앤씨산업
Priority to KR102018004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의 제작방법 및 그 합성파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부와 인장부가 상호 대칭인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작하는 합성파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제작대에 상기 인장부에만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PS 강연선을 거치하는 강연선 거치단계; 상기 압축부와 인장부의 단면이 상호 대칭이 되도록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 내측에 철근을 배근하는 거푸집 형성단계; 상기 인장부에 거치된 PS 강연선에 긴장력을 가하는 강연선 긴장단계; 상기 거푸집 내측의 인장부에만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PS 강연선의 솟음을 제어하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상기 인장부에 거치된 PS 강연선을 절단하여 긴장력을 제거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 및 상기 거푸집 내측의 압축부를 포함한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인장부에 집중적으로 강연선을 배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휨 성능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분할 타설하여 솟음 제어가 가능하여 직진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The Method of Producing of Prestressed Composite Pile that allows for the Control of the Rise by Concrete Separation Installation, the Prestressed Composit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파일의 인장부에만 길이방향을 따라 PS 강연선이 거치되어 긴장력이 가해진 후, 1차 콘크리트(C1)가 타설되어 양생됨으로써 상기 PS 강연선의 솟음이 제어되며, 상기 PS 강연선(30)의 긴장력을 제거한 후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의 붕괴가 우려되는 장소를 보강하거나, 해안이나 하안 등 연약 지반의 보수나 보강이 요구되는 장소에 토류벽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토류벽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파일을 형성하는 구조방식에 따라 파일 벽체 공법, 소일 시멘트 벽체 공법, 현장 타설 콘크리트 공법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지지방식에 따라 자립식 구조, 버팀대 구조, 어스앵커 구조, 소일 네일링 구조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벽체 공법의 경우 그 파일의 종류에 따라서 H 파일, 강관 파일, 철근이나 철골을 콘크리트와 합성함으로써 인장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근래에 광범위하게 제작되고 있는 강-콘크리트 합성파일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강-콘크리트 합성파일은 철근과 강연선을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원심력을 기반으로 중심에 중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파일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원심력을 도입하기 위한 과정에서 생산설비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었고, 강연선의 배치가 방사형으로 제한될 수 밖에 없어 휨 성능이 저하되고, 그로인해 파일과 파일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여 그 적용범위가 제한적인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원심력을 기반으로 한 합성파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은 강-콘크리트 합성파일을 제작함에 있어서, 토사에 의한 측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휨성능을 증가시켜 중,대구경의 강관파일에 대응되도록 개발된 S&C 파일(제품명)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S&C 파일은 미리 소정의 솟음을 가한 I-거더에 전단연결재와 철근 및 와이어메쉬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휨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I-거더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재하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하였다.
한편, 상기 S&C 파일과 관련된 기술사상은 등록특허 제10-0430243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파일 및 그 제조방법"(2004. 4. 22.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으로 출원되어 유효한 권리로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I-거더에 플리플렉션 하중을 재하함으로써 휨성능을 보다 개선하여 측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으나, 재료가 고가이고 제작대가 요구되는 등 파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높고, 운반이나 가설 중량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공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소정의 솟음을 주어 제작한 강형에 프리플렉션 하중을 재하한 후 하부케이싱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하중을 제거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므로 솟음량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였으며, 결국 파일의 길이방향에 따른 직진도가 저하되어 시공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S&C 파일에 대한 직진도를 개선하고자 PS 강연선을 활용한 강-콘크리트 합성파일로서 SPC 파일(제품명)을 제작한 바 있다. 상기 SPC 파일은 PS 강연선을 미리 긴장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후 긴장되었던 PS 강연선을 디텐셔닝하여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텐션 방식으로 제작하여 측압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PS 강연선을 방사상으로 균등 배치함으로써 솟음량을 제어하여 직전도가 개선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SPC 파일과 관련된 기술사상은 등록특허 제10-0819453호 "콘크리트단면내에 자중감소재를 채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파일의 제작방법"(2008. 3. 28.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으로 출원되어 현재까지 그 권리가 유효하게 존속 중에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도를 개선하면서도 중공부를 형성하지 않고 대신 자중감소재(4)를 구비하여 파일의 운반성 및 가설시 그 시공성도 확보하고자 제안되었으나, 철근(5)은 물론 PS 강연선(3)이 전체적으로 방사형으로 균등 배치됨에 따라 인장부(2)와 압축부(1)에 동일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인장부(2)에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종래의 S&C 거더에 비하여 휨 성능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밖에 없었으며, 불필요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자중감소재(4)를 거푸집 내측에 구비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부력에 의하여 자중감소재(4)가 유동함으로써 무게 중심이 뒤틀리거나 직진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토류벽 등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에서 파일을 매입하기 위하여 SDA공법이나 PRD 공법을 기반으로 굴착공사를 먼저 진행하고, 이후 파일을 매입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졌다. 통상적으로 선 굴착후 매입되는 파일은 지층의 토사부분을 통과하여 지지층인 암반에 고정되는데, 굴착되는 부분의 직경을 파일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하여 유격을 확보함으로써 파일의 원활한 매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파일 매입시 발생되는 토사의 교란에 의하여 유격이 매워지나, 암반의 경우에는 유격에 토사가 매워지지 않으므로 설치된 파일이 암반에 형성된 유격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여 위치가 쉽게 변동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장부에 집중적으로 강연선을 배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휨 성능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분할 타설하여 솟음 제어가 가능하여 직진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제작과정에서 자중감소재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파일을 전체적으로 경량화함과 동시에 직진도를 개선하여 제작은 물론 시공상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시공함에 있어서 암반에 파일을 매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력의 확보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부(10)와 인장부(20)가 상호 대칭인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작하는 합성파일(CP)의 제작방법(M)에 있어서, 제작대(MD)에 상기 인장부(20)에만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PS 강연선(30)을 거치하는 강연선 거치단계(S10); 상기 합성파일(CP)의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단면이 상호 대칭이 되도록 거푸집(F)을 형성하는 거푸집 제작단계(S21); 상기 거푸집(F)의 단면 중심에 자중감소재(40)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자중감소재 배치단계(S22); 상기 거푸집(F) 내측에 단면의 방사상으로 복수의 길이방향 철근(51)을 배근하는 길이방향 철근 배근단계(S24); 및 방사상으로 배근된 길이방향 철근(51)을 에워싸도록 복수의 리브 철근(52)을 배근하며, 상기 리브 철근(52) 중 일부는 압축부(10)와 인장부(20)에 각각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크부(52a)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52a) 사이에 자중감소재(40)가 가압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자중감소재(40)를 상기 거푸집(F)의 중심에 고정시키는 리브 철근 배근단계(S25);를 포함하는 거푸집 형성단계(S20); 상기 인장부(20)에 거치된 PS 강연선(30)에 긴장력을 가하는 강연선 긴장단계(S30); 상기 거푸집(F) 내측의 인장부(20)에만 1차 콘크리트(C1)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PS 강연선(30)의 솟음을 제어하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40); 상기 인장부(20)에 거치된 PS 강연선(30)을 절단하여 인장부(20)에 축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 및 상기 거푸집(F) 내측의 압축부(10)를 포함한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C2)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거푸집 형성단계(S20)는, 상기 거푸집(F)의 단면 중심에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H 형강(60)을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H 형강 배치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 이후에, 상기 거푸집(F) 내측에 양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입용 파이프(70)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주입용 파이프 배치단계(S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부(10)와 인장부(20)가 상호 대칭인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합성파일(CP)에 있어서, 상기 합성파일(CP)의 인장부(20)에만 길이방향을 따라 PS 강연선(30)이 거치되어 긴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인장부(20)에만 1차 콘크리트(C1)가 타설되고 양생되어 상기 PS 강연선(30)의 솟음이 제어되며, 상기 PS 강연선(30)의 긴장력을 제거한 후 상기 합성파일(CP)의 압축부(10)를 포함한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C2)가 타설되고 양생됨으로써 형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합성파일(CP)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경계면 양측단에는 충진홈(15)이 형성되어 인접된 합성파일(CP)과 일체 거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파일(CP)에 주입용 파이프(7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가 상부로 노출되고, 배출부(72)가 하부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합성파일(CP)을 이용한 시공방법(CM)에 있어서, 지층을 굴착하여 케이싱(CS)을 설치하는 케이싱 설치단계(S100); 상기 케이싱(CS)의 내부에 합성파일(CP)을 삽입하는 합성파일 삽입단계(S200); 상기 케이싱(CS)을 지층에서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단계(S300); 및 상기 합성파일(CP)에 형성된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배출부(72)로 배출된 모르타르가 지층에 형성된 공극을 메우는 공극 메움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하면, PS 강연선을 인장부에만 거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휨 성능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1차 콘크리트를 PS 강연선이 거치된 인장부에만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상기 PS 강연선의 솟음을 제어하여 직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파일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압축부와 인장부의 대향되는 외측단에 플랫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하고자 하는 횡하중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파일의 단면 중심에 자중감소재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여 자중대비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경량화를 꾀하여 제작 및 시공상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길이방향 철근과 이를 에워싸도록 복수의 리브 철근을 배근하여 합성파일의 전체적인 응력을 증대시키고, 표면의 미세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서 상기 리브 철근들 사이에 자중감소재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이를 바탕으로 합성파일을 전체적으로 경량화함과 동시에 직진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파일에 형성된 주입용 파이프의 주입부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배출부로 배출된 모르타르가 지층에 형성된 공극을 메울 수 있어 암반에 파일을 매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력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합성파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파일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파일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파일 제작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파일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파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파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파일(CP)은 압축부(10)와 인장부(20)가 상호 대칭인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압축부(10)와 인장부(20)는 시공을 위하여 상기 합성파일(CP)을 수직 거치한 경우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중앙부 단면에 작용되는 응력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합성파일(CP)의 거치시 횡방향 하중이 가해지는 단면 방향을 압축부(10)로, 이와 대향하는 단면 방향을 인장부(20)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합성파일(CP)의 중앙부 단면에 작용되는 응력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현장 여건에 따른 시공태양에 따라 입축응력과 인장응력이 가해지는 단면의 위치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실제 응력의 발생과는 무관하게 하중방향과 수직되게 단면 도심을 지나는 중심 라인(C.L)을 기준으로 일측을 압축부(10)로 타측을 인장부(20)로 정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합성파일(CP)은 종래의 합성파일이 지니는 한계로서, 휨 성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솟음 제어가 곤란하던 문제점과 솟음 제어를 바탕으로 직진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휨 성능을 확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제안된 발명으로서, 도 3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CP)의 제작방법(M)은, 강연선 거치단계(S10), 거푸집 형성단계(S20), 강연선 긴장단계(S30),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40),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 및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6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연선 거치단계(S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대(MD)에 상기 인장부(20)에만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PS 강연선(30)을 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PS 강연선(30)은 상기 제작대(MD) 상에서 양단이 긴장될 수 있도록 고정 거치한다.
이때, 상기 PS 강연선(30)은 이후 제작될 거푸집(F)에 있어서 인장부(20)에만 배치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인장부(20)의 도심 부근에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합성파일(CP)의 인장부(20)가 인장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휨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하여 직진도 확보가 용이하다.
이후 진행되는 거푸집 형성단계(S20)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단면이 상호 대칭이 되도록 거푸집(F)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F) 내측에 철근(50)을 배근하는 단계로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거푸집 제작단계(S21), 자중감소재 배치단계(S22), H 형강 배치단계(S23), 길이방향 철근 배근단계(S24) 및 리브 철근 배근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제작단계(S2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파일(CP)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을 형성하도록 거푸집(F)을 형성하되,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대향되는 외측단에는 플랫면(1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파일(CP)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반경이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곡률이 일부 달리 형성되는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합성파일(CP)의 내구성이 전체적으로 증대됨과 동시에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제작단계(S21)는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경계면 양측단에 충진홈(15)이 형성되도록 제작하여, 추후 완성되는 합성파일(CP)이 인접된 합성파일(CP)과 일체 거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푸집 제작단계(S21) 이후에 진행되는 자중감소재 배치단계(S22)는 상기 거푸집(F)의 단면 중심에 자중감소재(40)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자중감소재는 부피대비 중량이 작아 밀도가 낮은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 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중감소재(40)는 콘크리트 압력에 의하여 변형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자중대비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경량화를 꾀할 수 있으므로 제작과정에서 콘크리트와 기타 자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완성된 합성파일(CP)를 운반하고 현장에 시공함에 있어서도 시공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 형강 배치단계(S23)는 상기 거푸집(F)의 단면 중심에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H 형강(60)을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되어 합성파일(CP)이 완성되면 상기 H 형강(60)이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H 형강 배치단계(S23)는 상기 자중감소재 배치단계(S22)와 필연적인 연관성은 없으므로 상기 자중감소재 배치단계(S22)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H 형강(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플랜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다수의 전단연결재(61)가 형성되며, 합성파일(CP)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단부의 웹에 보강판(62)이 부착되고, 상기 보강판(62)과 H 형강(60)의 웹을 관통하도록 관통공(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H 형강(60)은 합성파일(CP)의 외측으로 일측 단부가 노출되므로 시공과정에서 상기 합성파일(CP)의 상부에 타설되는 현장콘크리트와의 합성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H 형강(60)의 관통공(63)은 현장에서 합성파일(CP)을 수직배치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를 고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형성단계(S2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50)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길이방향 철근 배근단계(S24) 및 리브 철근 배근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50)으로서 길이방향 철근(51)과 이를 에워싸도록 복수의 리브 철근(52)을 배근하여 합성파일의 전체적인 응력을 증대시키고, 표면의 미세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방향 철근 배근단계(S24)는 거푸집(F) 내측에 단면의 방사상으로 복수의 길이방향 철근(51)을 배근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길이방향 철근(51)은 압축부(10)와 인장부(20)를 포함한 단면 전체에 방사상으로 배치하되,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는 물론, 횡방향으로도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 하중의 편심발생을 예방하고, 안정적으로 응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 철근 배근단계(S24) 이후에 진행되는 리브 철근 배근단계(S25)는 방사상으로 배근된 길이방향 철근(51)을 상호 에워싸도록 복수의 리브 철근(52)을 배근하는 단계이다.
상기 리브 철근(52)은 상기 길이방향 철근(51)과는 수직되게 배근되는 부재로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길이방향 철근(51)들 중에서 일부의 길이방향 철근(51)을 에워싸도록 배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리브 철근(52) 사이에는 자중감소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자중감소재(40)가 복수의 리브 철근(52)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도 부유하거나 유동함이 없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F)의 중심에 구비된 자중감소재(40)가 복수의 리브 철근(52)에 의하여 단면 중심에 안정적으로 공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작 과정상에 상기 리브 철근(52)들 사이에 자중감소재(40)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이를 바탕으로 합성파일(CP)을 전체적으로 경량화함과 동시에 직진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 도 1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 철근(52) 중 일부는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크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52a) 사이에 상기 자중감소재(40)가 구비되어 합성파일(CP)의 단면 중심에 자중감소재(4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중감소재(40)는 후크부(52a)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단부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거푸집 형성단계(S20) 이후에 진행되는 강연선 긴장단계(S3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부(20)에 거치된 PS 강연선(30)에 긴장력을 가하는 단계이다. 추후 상기 PS 강연선(3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 편심 모멘트에 의하여 상향 솟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한 하향력이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상향력보다 크게 되도록 인장부(20)의 도심 부근에 상기 PS 강연선(30)을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연선 긴장단계(S30) 이후에 진행되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40)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F) 내측의 인장부(20)에만 1차 콘크리트(C1)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상기 PS 강연선(30)의 솟음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1차 콘크리트(C1)는 인장부(20) 전체에 타설될 수도 있으나, 상기 PS 강연선(30)이 모두 매립될 수 있다면 단면의 중심 라인(C.L)을 기준으로 일부만 채워지도록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또한, 자중감소재(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중감소재(40)의 일부가 1차 콘크리트(C1)에 의하여 매립될 수 있도록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40)가 완료되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부(20)에 거치된 PS 강연선(30)을 절단하여 긴장력을 제거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가 진행된다.
상기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는 상기 PS 강연선(30)에 도입된 긴장력을 제거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PS 강연선(30)의 단면 위치와 인장부(20)에 타설된 1차 콘크리트(C1)의 도심 위치의 차이에 의하여 편심효과가 발생함으로써 상향력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PS 강연선(30)의 단면 위치와 1차 콘크리트(C1)의 도심 위치 차이에 의한 편심효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1차 콘크리트(C1)의 자중에 의하여 상향력이 상쇄되므로 솟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전체적인 합성파일(CP)의 직진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 이후에 진행되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60)는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F) 내측의 압축부(10)를 포함한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C2)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이다.
결국, 본 발명의 합성파일(CP)는 1차로 인장부(20)에 1차 콘크리트(C1)를 타설하고, 압축부(10)를 포함한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C2)를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분할타설을 기반으로 편심효과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인장부(20)의 PS 강연선(30) 배치를 바탕으로 휨 응력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합성파일(CP)의 전체적인 직진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 이후에는 상기 거푸집(F) 내측에 양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입용 파이프(70)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주입용 파이프 배치단계(S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용 파이프(70)는 지층을 천공한 후에 합성파일(CP)을 시공함에 있어서, 천공과 합성파일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메우기 위한 모르타르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합성파일(CP)에 배치되는 주입용 파이프(7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길게 구비되되, 상기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가 상부로 노출되고, 배출부(72)가 하부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입용 파이프(70)의 배출부(72)는 상기 충진홈(15)으로 노출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지층과의 간섭 없이 원활하게 모르타르를 충진할 수 있다.
한편, 표 1과 같이 동일한 단면 크기와 길이를 지니는 합성파일(CP)을 제작함에 있어서 PS 강연선을 단면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산 배치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합성파일 제작방법(M)과 같이 PS 강연선(30)을 인장부(20)의 도심 부근에 집중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휨 성능이 달라지는 결과를 자립식과 타이로드식으로 분류하여 도면도 모멘트선도를 정리하여 도식화하면 다음의 표 2 및 표 3과 같다.
PS 강연선을 달리 배치한 각각의 단면 형상
분산 배치(종래) 인장부 집중 배치(본 발명)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1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2
PS 강연선을 균등 배치하는 경우의 모멘트 선도
자립식 타이로드식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3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4
PS 강연선을 인장부 도심부근에 집중 배치하는 경우의 모멘트 선도
자립식 타이로드식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5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6
이로써, 본 발명의 합성파일 제작방법(M)에 의하면, PS 강연선(30)을 인장부(20)의 도심 부근에 집중 배치함으로써 직립식과 타이로드식 모두 대략 1.5배 향상된 휨 응력에 대한 지지 성능이 확보되므로 지지할 수 있는 측벽부의 높이도 함께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단면을 지니는 합성파일(CP)을 제작함에 있어서 PS 강연선(30)을 인장부(20)에 동일하게 배치하되, 콘크리트를 일괄 타설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합성파일 제작방법(M)과 같이 콘크리트를 2회에 걸쳐 분할 타설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종 결과물인 합성파일(CP)의 솟음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인 실험예를 바탕으로 상술하며, 이하 솟음량 산정에 적용되는 합성파일(CP)의 단면형상과 길이는 모두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하며, 길이(L)은 15,000mm, 탄성계수(E)는 30,000N/mm²이다.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한 솟음량 산정
종래 일괄 타설 본 발명의 분할 타설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7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8
동일한 단면을 지니는 합성파일(CP)을 형성하되, 일괄 타설하는 경우와 분할 타설하는 경우에 솟음량 산정식에 적용하기 위한 단면의 형상은 상기한 표 4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한 솟음량을 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으며, 이때 각각의 단면에 있어서 일괄 타설의 경우는 모멘트(Mi )가 -8.476E+08N·mm, 분할 타설의 경우는 -4.272E+07N·mm 발생하며, 단면 2차 모멘트(I)는 각각 3.591E+10mm4 와 2.604E+09mm4 의 값을 지닌다.
Figure 112018037550755-pat00009
(Mi:프리스트레스에 의한 모멘트, L:길이, E:탄성계수, I:단면 2차 모멘트)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솟음량 산정
종래 일괄 타설 본 발명의 분할 타설
1차 콘크리트 타설 2차 콘크리트 타설
Figure 112018037550755-pat00010
Figure 112018037550755-pat00011
Figure 112018037550755-pat00012
동일한 단면을 지니는 합성파일(CP)을 형성하되, 일괄 타설하는 경우와 1차 콘크리트와 2차 콘크리트로 분할 타설하는 경우에 솟음량 산정식에 적용하기 위한 단면의 형상은 상기한 표 5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솟음량을 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8037550755-pat00013
(w:자중, L:길이, E:탄성계수, I:단면 2차 모멘트)
자중 복원에 의한 솟음량 산정
종래 일괄 타설 본 발명의 분할 타설
Figure 112018037550755-pat00014
Figure 112018037550755-pat00015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 시공을 위하여 합성파일을 수직으로 거치함으로써 자중이 복원되는 경우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한 표 6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자중 복원에 의한 솟음량의 산정은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솟음량 산정의 공식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표 4 내지 표 6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성파일(CP)을 제작함에 있어서 PS 강연선(30)을 인장부(20)에 동일하게 배치하되, 콘크리트를 일괄 타설하는 경우와 본 발명의 합성파일 제작방법(M)과 같이 콘크리트를 2회에 걸쳐 분할 타설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종 결과물인 합성파일(CP)의 솟음량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7과 같다.
최종 솟음량 산정((+)처짐, (-)솟음)
구 분 종래 일괄 타설 (mm) 본 발명의 분할 타설 (mm)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22.1 -15.4
1차 콘크리트 타설 시 8.5 15.4
2차 콘크리트 타설 시 - 6.9
자중 복원 시 (가설시) -7.9 -7.9
합 계 (최종 솟음량 ) -21.5 -1.0
이로써, 본 발명의 합성파일 제작방법(M)에 의하면, PS 강연선(30)을 인장부(20)에만 거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휨 성능이 확보되도록 하면서도 콘크리트의 분할타설을 기반으로 상기 PS 강연선(30)의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솟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합성파일(CP)의 전체적인 직진도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합성파일 제작방법(M)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제작되는 합성파일(CP)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합성파일 제작방법(M)을 설명함에 있어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배제한다. 상기 합성파일(CP)은 거푸집(F)의 탈형시 압축부(10)와 인장부(20)가 상호 대칭인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파일(CP)은 단면의 중심 라인(C.L.)을 기준으로 일측의 인장부(20)에만 길이방향을 따라 PS 강연선(30)이 거치되어 긴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인장부(20)에만 1차 콘크리트(C1)가 타설 및 양생되어 상기 PS 강연선(30)의 단면 위치와 1차 콘크리트(C1)의 도심 위치 차이에 의한 편심효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PS 강연선(30)의 솟음이 제어된다.
상기 PS 강연선(30)의 긴장력을 제거한 후에는 상기 합성파일(CP)의 압축부(10)를 포함한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C2)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합성파일(CP)이 완성되며, 이로써 인장부(20)에 집중적으로 PS 강연선(30)을 배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휨 성능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솟음 제어가 가능하여 직진도가 개선된 합성파일(CP)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파일(CP)의 단면 중심에는 자중감소재(4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면 내측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길이방향 철근(51)이 배근되되, 상기 길이방향 철근(51)을 상호 에워싸도록 복수의 리브 철근(52)이 배근될 수 있다.
이로써, 단면 중심에 구비되는 자중감소재(40)를 바탕으로 상기 합성파일(CP)의 자중대비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경량화를 꾀하여 제작 및 시공상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 철근(51)과 이를 에워싸도록 복수의 리브 철근(52)을 배근함으로써 합성파일(CP)의 전체적인 응력을 증대시키고, 표면의 미세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리브 철근(52) 사이에는 자중감소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자중감소재(40)가 복수의 리브 철근(52)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에도 부유하거나 유동함이 없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 철근(52) 중 일부는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크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52a) 사이에 상기 자중감소재(40)가 구비되어 합성파일(CP)의 단면 중심에 자중감소재(40)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52a) 사이에 상기 자중감소재(40)가 구비되어 합성파일(CP)의 단면 중심에 자중감소재(4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중감소재(40)는 후크부(52a)가 일부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단부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합성파일(CP)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형태로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대향되는 외측단에는 플랫면(11)(21)이 형성되어 횡하중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합성파일(CP)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경계면 양측단에는 충진홈(15)이 형성되어 인접된 합성파일(CP)과 일체 거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충진홈(15)은 인접한 합성파일(CP)의 충진홈(15)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충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충진공간에는 채움재나 모르타르 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등을 구비함으로써 인접된 합성파일(CP)와 일체 거동될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주입용 파이프(70)가 합성파일(CP)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가 상부로 노출되고, 배출부(72)가 하부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주입용 파이프(70)는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주입용 파이프(70)의 배출부(72)는 지층과의 간섭 없이 원활하게 모르타르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기 충진홈(15)으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파일(CP)은 도심의 하천이나 도로가 측면부보다 낮아 지반을 훼손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 측변부 지반의 보수나 보강이 요구되는 경우, 혹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가티 안벽 및 호안, 도교 구간의 측변부 지반의 보수나 보강이 요구되는 경우 그리고 커튼식 구간, 벽체식 구간 또는 기타 해수교환용 방파제 구간의 형성을 위한 기초 내지 보강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합성파일(CP)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합성파일(CP)을 이용한 시공방법(CM)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설치단계(S100), 합성파일 삽입단계(S200), 케이싱 인발단계(S300) 및 공극 메움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설치단계(S100)는 지층을 굴착하여 케이싱(CS)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지층에는 토사 뿐만 아니라 암반이 구비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굴착되는 직경은 합성파일(CP)의 지름보다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진행되는 합성파일 삽입단계(S200)는 합성파일(CP)을 양중하되, 상부가 지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CS)의 내부에 합성파일(CP)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합성파일(CP)에 일체로 구비된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는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합성파일(CP)이 굴착된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케이싱(CS)을 지층에서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단계(S300)가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합성파일(CP)과 굴착공 사이의 공극은 토사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메워지나, 암반의 경우에는 공극이 메워지지 않으므로 합성파일(CP)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어려워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진동이나 기타 외기에 의하여 정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 인발단계(S300) 이후에 상기 합성파일(CP)에 형성된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배출부(72)로 배출된 모르타르가 지층에 형성된 공극을 메우는 공극 메움단계(S400)를 진행한다. 이로써, 암반에 파일을 매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력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의 제작방법(M) 및 그 합성파일(CP)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P:합성파일 M:합성파일 제작방법
C:콘크리트 CM:합성파일 시공방법
S10:강연선 거치단계 S20:거푸집 형성단계
S21:거푸집 제작단계 S22:자중감소재 배치단계
S23:H 형강 배치단계 S24:길이방향 철근 배근단계
S25:리브 철근 배근단계 S30:강연선 긴장단계
S40: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S50: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
S55:주입용 파이프 배치단계 S60: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MD:제작대 F:거푸집
C1:1차 콘크리트 C2:2차 콘크리트
1,10:압축부 11,21:플랫면
15:충진홈 2,20:인장부
3,30:PS 강연선 4,40:자중감소재
5,50:철근 51:길이방향 철근
52:리브 철근 52a:후크부
60:H 형강 61:전단연결재
62:보강판 63:관통공
70:주입용 파이프 71:주입부
72:배출부 S100:케이싱 설치단계
S200:합성파일 삽입단계 S300:케이싱 인발단계
S400:공극 메움단계

Claims (12)

  1. 압축부(10)와 인장부(20)가 상호 대칭인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작하는 합성파일(CP)의 제작방법(M)에 있어서,
    제작대(MD)에 상기 인장부(20)에만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PS 강연선(30)을 거치하는 강연선 거치단계(S10);
    상기 합성파일(CP)의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단면이 상호 대칭이 되도록 거푸집(F)을 형성하는 거푸집 제작단계(S21); 상기 거푸집(F)의 단면 중심에 자중감소재(40)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자중감소재 배치단계(S22); 상기 거푸집(F) 내측에 단면의 방사상으로 복수의 길이방향 철근(51)을 배근하는 길이방향 철근 배근단계(S24); 및 방사상으로 배근된 길이방향 철근(51)을 에워싸도록 복수의 리브 철근(52)을 배근하며, 상기 리브 철근(52) 중 일부는 압축부(10)와 인장부(20)에 각각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후크부(52a)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52a) 사이에 자중감소재(40)가 가압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자중감소재(40)를 상기 거푸집(F)의 중심에 고정시키는 리브 철근 배근단계(S25);를 포함하는 거푸집 형성단계(S20);
    상기 인장부(20)에 거치된 PS 강연선(30)에 긴장력을 가하는 강연선 긴장단계(S30);
    상기 거푸집(F) 내측의 인장부(20)에만 1차 콘크리트(C1)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PS 강연선(30)의 솟음을 제어하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40);
    상기 인장부(20)에 거치된 PS 강연선(30)을 절단하여 인장부(20)에 축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 및
    상기 거푸집(F) 내측의 압축부(10)를 포함한 나머지 단면에 2차 콘크리트(C2)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S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의 제작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형성단계(S20)는,
    상기 거푸집(F)의 단면 중심에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H 형강(60)을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는 H 형강 배치단계(S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의 제작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S50) 이후에,
    상기 거푸집(F) 내측에 양단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입용 파이프(70)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주입용 파이프 배치단계(S5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의 제작방법.
  7. 청구항 1의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의 제작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파일(CP)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압축부(10)와 인장부(20)의 경계면 양측단에는 충진홈(15)이 형성되어 인접된 합성파일(CP)과 일체 거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파일(CP)에 주입용 파이프(7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가 상부로 노출되고, 배출부(72)가 하부 측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12. 청구항 7의 합성파일(CP)을 이용한 시공방법(CM)에 있어서,
    지층을 굴착하여 케이싱(CS)을 설치하는 케이싱 설치단계(S100);
    상기 케이싱(CS)의 내부에 합성파일(CP)을 삽입하는 합성파일 삽입단계(S200);
    상기 케이싱(CS)을 지층에서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단계(S300); 및
    상기 합성파일(CP)에 형성된 주입용 파이프(70)의 주입부(71)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배출부(72)로 배출된 모르타르가 지층에 형성된 공극을 메우는 공극 메움단계(S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파일의 시공방법.
KR1020180043912A 2018-04-16 2018-04-16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4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912A KR101940587B1 (ko) 2018-04-16 2018-04-16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912A KR101940587B1 (ko) 2018-04-16 2018-04-16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87B1 true KR101940587B1 (ko) 2019-01-22

Family

ID=6532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912A KR101940587B1 (ko) 2018-04-16 2018-04-16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9447A (zh) * 2019-07-31 2019-11-05 江苏省地质矿产局第三地质大队 一种盾构穿越既有桥梁拔桩装置及方法
KR102644694B1 (ko) 2023-06-20 2024-03-08 (주)에스앤씨산업 솟음이 제어된 프리텐션 psc 파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59A (ko) * 2005-01-12 2005-02-04 주식회사 덕왕건설 지중 물막이 또는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또는 흙막이 시공방법
KR100819453B1 (ko) * 2006-12-28 2008-04-04 (주)스틸엔콘크리트 콘크리트단면내에 자중감소재를 채운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파일의 제작방법
KR101074323B1 (ko) * 2009-02-25 2011-10-17 주식회사 젬콘 크기가 서로 다른 한쌍의 편심하중과 비부착강연선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하중이 도입된 프리플렉션강합성파일과 이의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옹벽설치방법
KR101116045B1 (ko) * 2008-09-11 2012-03-14 (주)지오알앤디 사각지지말뚝을 이용한 연속벽체 흙막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59A (ko) * 2005-01-12 2005-02-04 주식회사 덕왕건설 지중 물막이 또는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또는 흙막이 시공방법
KR100819453B1 (ko) * 2006-12-28 2008-04-04 (주)스틸엔콘크리트 콘크리트단면내에 자중감소재를 채운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파일의 제작방법
KR101116045B1 (ko) * 2008-09-11 2012-03-14 (주)지오알앤디 사각지지말뚝을 이용한 연속벽체 흙막이 및 그 시공방법
KR101074323B1 (ko) * 2009-02-25 2011-10-17 주식회사 젬콘 크기가 서로 다른 한쌍의 편심하중과 비부착강연선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하중이 도입된 프리플렉션강합성파일과 이의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옹벽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9447A (zh) * 2019-07-31 2019-11-05 江苏省地质矿产局第三地质大队 一种盾构穿越既有桥梁拔桩装置及方法
KR102644694B1 (ko) 2023-06-20 2024-03-08 (주)에스앤씨산업 솟음이 제어된 프리텐션 psc 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137B1 (ko) 보강이 가능한 횡방향 피에스씨 빔을 이용한 라멘식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0958014B1 (ko)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01467B1 (ko) 바이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유형 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940587B1 (ko) 콘크리트 분할타설로 효율적인 솟음 제어가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합성파일 제작방법과 그 합성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37419A (ko) 다단계 긴장을 적용한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시공 방법
CN112031237A (zh) 一种现浇混凝土空心楼盖板埋入式芯模抗浮固定装置
KR101627279B1 (ko)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9826230B (zh) 一种市政道路管线加固保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H1060817A (ja) 添設構造体の構築方法
KR100712622B1 (ko) 팽창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부모멘트 구간에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연속 프리플렉스 거더 구조물 및이의 시공법
KR100500143B1 (ko) 통수단면 확보를 위한 교각의 중공 단면확대 시공방법 및그 구조
KR101232329B1 (ko)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640244B1 (ko)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JP5956032B1 (ja) ダム通廊の構築方法、ダム通廊の通廊セル及び通廊セルの製造に用いる型枠
CN211499326U (zh) 一种混凝土填充墙与现浇结构同步施工结构
KR200293048Y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지하벽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
KR101627658B1 (ko) 전단키 일체형 파일빔 및 이를 이용한 복합형 교량 시공방법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1106799B1 (ko) 탑 다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방법
JP4586430B2 (ja) 既存基礎にロッキング機能を付加する免震補強方法
CN216809531U (zh) 河床冲刷综合防护结构
KR100478987B1 (ko)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벽체형 파일과 그제작 방법 및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벽체형 파일을 이용한 파일 벽체시공방법
KR102187182B1 (ko)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245125Y1 (ko) 토목용 교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