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44B1 -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44B1
KR101940544B1 KR1020180065580A KR20180065580A KR101940544B1 KR 101940544 B1 KR101940544 B1 KR 101940544B1 KR 1020180065580 A KR1020180065580 A KR 1020180065580A KR 20180065580 A KR20180065580 A KR 20180065580A KR 101940544 B1 KR101940544 B1 KR 101940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ed
composition
catt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섭
Original Assignee
신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섭 filed Critical 신경섭
Priority to KR102018006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인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축우의 소화기관 내의 미생물 발효를 조절하여 영양소의 소화와 신진대사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기호성을 높여 사료 섭취량을 향상시키고, 면역력 및 항산화 효과를 강화하여 축우의 품질 및 착유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A composition of feed additives for cattle}
본 발명은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아니스(anise) 추출물 및 페뉴그릭(fenugreek)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육우의 사료 섭취량을 개선하고 기호성 및 면역력을 강화함으로써 축우의 생산성을 높이며, 유량 증가로 인한 우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료는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젖·고기·알·털가죽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일컫는다. 각종 가축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단백질·비타민·광물질 등의 영양소뿐만 아니라 성장촉진제와 질병 예방제 등을 고루 섞어 만든 것이다.
사료는 가축의 섭취에 의해 생존 및 축산물 생산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고, 축산물의 질을 향상시키며, 축사환경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가축의 생산성 증가는 축사 환경을 개선하거나 사료 효율을 개선하여 이루어지는데, 사료 효율의 개선은 기존 사료 조성에 새로운 조성을 첨가하거나 배합 비율을 달리하거나 급여 방식에 변화를 주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료산업은 1960년대에 발전하기 시작한 이래 계속적으로 성장하여 한국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연간 1,000만 톤을 생산하는 등 기업화 추세에 있으나 대부분의 사료원료는 아직도 외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등 불안한 요인도 많이 산재되어 있다. 소요되는 사료원료인 동물성단백질 사료의 거의 전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감안하면 도입 사료자원을 절약하고 이것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국내 축산업의 경우 자원의 부족으로 값비싼 사료비, 값비싼 인건비로 저비용의 고품질 축산물을 생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국제 곡물가의 상승으로 사료비의 급등을 대처하기 위해 사료의 이용가치를 높이고 국내 또는 지역 내 부존자원을 활용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축우용 사료는 영양소공급을 위한 농후사료(濃厚飼料)와, 초식동물에 필수적인 영양성분을 제공하면서 농후사료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조사료(粗飼料)로 구분된다. 통상 농후사료는 섬유함량이 적고, 열량과 단백질이 많으며, 조사료는 반대로 조섬유가 많고 열량과 단백질이 적다. 특히 조사료는 초식동물에게는 기본사료로서 건강의 유지에 꼭 필요한 것으로 생리적 의의가 크다.
종래 축우용 사료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는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기호성을 증대시키려는 분야와 보다 경제적인 사료원료를 개발하기 위한 분야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농후사료의 경우, 원료의 표면적이 증가되도록 농후사료 성분들을 분쇄하거나, 전분의 분해성을 높이기 위해 증숙하거나 플레이크(flake)화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조사료의 경우에는 원래 초식동물의 먹이인 생초를 공급하기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생초 대신에 건초나 짚 등을 소가 잘 섭식할 수 있도록 기호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화학적 처리(예, 암모니아 처리, NaOH 처리 등)나 발효처리 방법 등이 개발되어, 주로 발효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축우 사육에 이용되는 원료사료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전체 사료자급율은 약 17%수준이며, 최근 생산비를 절감하고 사료자급율 향상을 위해 농산부산물 (볏짚, 버섯폐배지, 녹차부산물 등), 식품가공부산물 (비지박, 맥주박 등) 및 야초류 (억새, 갈대 등) 등을 대체사료로 이용하고자 연구되고 있다.
또한 이유(ablactation) 직후에 거세한 후 장기적으로 사육하거나, 농후사료의 에너지 비율을 높이는 방법, 항균제, 비타민제, 효소제, 완충제 등의 사료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 곡물, 양채 등과 같은 천연 부산물을 포함하는 완전혼합사료를 급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여전히 많은 사료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종래의 완전혼합사료의 비율은 한우의 적절한 생리적 영양소 섭취에 따른 조성성분이 체계화되지 못하여 이를 한우에 급여하는 경우 소화율 저하, 소화 장애 및 사료섭취량이 감소되어 한우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0589 (2017년 02월 2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니스(anise) 추출물 및 페뉴그릭(fenugreek)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기호성 강화에 따른 축우의 사료 섭취량을 개선하고 항균 효과 개선에 따른 면역력을 강화함으로써 육우의 생산성을 높이며, 유량 증가로 인한 우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 중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의 혼합물을 15 내지 4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니스 추출물과 페뉴그릭 추출물이 각각 1 내지 9 : 9 내지 1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 조성물은 모노테르페노이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및 폴리프로파노이드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 상기 모노테르페노이드는 게라니올, 투존, 캠퍼, 티몰, 보르네올, 카바크롤, 리나룰, 씨네올, 시트랄, 리모넨 및 페릴릴 알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세스퀴테르페노이드는 휴물렌, 아브시스산, 네롤리돌, 파르네센, 산타놀, 레티놀, 카페스톨, 게라닐게라닐피로인산, 징코라이드, 토릴린, 구아이올 및 진지베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는 신남산, p-쿠마르산, 페룰릭산, 카페익산, 시나핀산, 캡사이신, 아네톨 및 유게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 조성물은 아미노산, 셀레늄, 바나듐, 게르마늄, 부형제 및 비타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인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축우의 소화기관 내의 미생물 발효를 조절하여 영양소의 소화와 신진대사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기호성을 높여 사료 섭취량을 향상시키고, 면역력 및 항산화 효과를 강화하여 축우의 품질 및 착유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가축’은 식용을 목적으로 사육되는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식육용 또는 착유용 축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축우’는 우유를 얻기 위해 사육되는 젖소와 고기를 얻기 위해 사육되는 육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앵거스 종, 샤롤레 종, 헤리퍼드 종, 심멘탈 종, 쿠로게와슈, 벨지안 블루 종, 브라만 종, 한우, 야크, 건지 종, 저지 종, 홀스타인 종 등과, 상기 종을 제외한 소과의 포유동물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니스’또는 ‘페뉴그릭’은 천연과 잡종을 가리지 않고 아니스 또는 페뉴그릭의 모든 기관,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꽃 및 종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아니스 또는 페뉴그릭의 잎이나 씨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육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니스(Anise, Pimpinella anisum)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속씨식물로, 동부 지중해 지역과 서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허브 중의 하나이다. 상기 아니스는 지역과 경작 방식에 따라 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나, 주성분으로는 아네톨(anethole)이 전체 정유의 80 내지 90 중량%를 차지한다.
아니스의 약리 효능에 관한 연구로 S.C. Tripathi 등(Singh S. P., H. S. Shukla, R. S. Singh and S. C. Tripathi(1986), Natl. Acad. SciLett. 9, 97.)이 아니스의 정유성분에 소화 촉진 작용이 있어 위장의 기능을 촉진하고 소화를 도우며, 장내에 쌓인 가스를 체외로 배출하고, 호르몬 분비의 조절을 돕는 효능을 가진다고 하였으며, 아니스의 주성분인 아네톨의 폴리머인 디아네톨(dianethole), 포토아네톨(photoanethole)이 약리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상기 페뉴그릭(Trigonella Foenum-Graecum)은 콩과에 속해 있는 1년초로서 30 내지 60㎝로 자라며 잎이 크로버를 잘게 한 것 같은 3장의 잔잎이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 빛을 띠며 3출 복엽으로 거치가 있다. 꽃은 6~8월에 엽액에 나비 모양의 흰꽃이 1, 2송이씩 피며 열매는 5 내지 7.5㎝ 길이의 가느다란 콩 꼬투리가 새 주둥이처럼 구부러진다. 그 속에 결명자 씨처럼 모가 진 씨가 10여개 생기는데 익으면 황갈색이 된다. 포기 전체에 향기가 있지만 특히 씨에 강한 향기가 있고 씨는 물에 젖으면 끈적인다.
상기 페뉴그릭은 인도나 중국 동남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이집트 수단 모로코 파키스탄 미국 레바논 아르헨티나 등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이 종자 추출물에는 천연 아미노산 중 하나인 4-히드록시이소루이신(4-hydroxyisoleucine)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이 성분이 생리 활성에 관여하는 주요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이에 관한 논문들이 다양하게 발표되고 있다. 눈에 띠는 기능으로는 인슐린 분비 및 내성에 관한 효능 및 혈당 조절에 직접 관여, 궁극적으로 제2형 당뇨에 탁월한 효과에 관한 연구가 눈에 띄게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페뉴그릭 추출물은 항당뇨 등 효과 외에도 항산화 효과("Effect of fenugreek seeds on blood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s in diabetic rats." Phytotherapy Research 13, 197-201, 1996) 항염증 효과 ("Trigonella foenum graecum (fenugreek) seed extract as an antineoplastic agent." Phytotherapy Research 15, 257-259, 2001), 면역력 증진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enugreek extract in mice".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3 (2003) 257-265) 등에 대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성이 연구돼 있어 차세대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소재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페뉴그릭 종자 추출물은 안전성 면에 있어서도 매우 우수한 물질이다. 지난 1999년 인디아 국립식품연구소의 라메시 교수팀에 따르면 페뉴그릭 종자 추출물로 쓴맛을 제거한 물질을 대상으로 알비노 랫드 및 알비노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실험 결과 단회 투여량 2g/㎏ 내지 5g/㎏ 상당의 물질 투여 시 아무런 독성적 병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실시된 아급성 독성 실험 결과 0, 1, 5 및 10% 농도의 페뉴그릭 종자 추출물 용액을 90일간 연속 투여한 결과에서도 하루 식이량 및 성장 (Daily Food Intake and Growth)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페뉴그릭 종자 추출물의 높은 안전성이 입증되기도 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사료에 존재하는 전염성 물질,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타 균류에 대한 항균성을 향상시키고, 특유의 향과 맛을 갖고 있어 가축의 사료 섭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들은 소화 호르몬과 비슷한 분자구조를 가져 가축의 소화작용을 활발하게 유도하고, 소화기관 내의 미생물 발효를 조절하여 영양소의 소화와 신진대사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메탄 등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도 항산화 효과를 가져 가축의 건강을 개선하고 항생제를 대체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아니스 추출물 또는 페뉴그릭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보다 상승적인 항염, 항산화, 면역력 증가, 호르몬 조절 효과 및 항균 활성 효과가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니스 추출물 또는 페뉴그릭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용매에 아니스 또는 페뉴그릭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purge & trap 장치를 이용하여 휘발되는 성분을 흡착하거나, sdteam distillation extraction(SDE)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여도 무방하다. 또는 헥산과 같은 유기용매를 가한 후, 일정 온도에서 장기간 추출한 후 이를 감압 농축하여도 좋다.
상기 추출방법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추출방법은 먼저 아니스 잎과 페뉴그릭 씨앗을 분쇄하는 단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니스 잎과 페뉴그릭 씨앗은 10 내지 2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 용매의 일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디메틸설폭사이드),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분쇄된 천연물에 물을 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60시간 정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유효성분의 지나친 파괴를 막고 충분하게 유효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분쇄된 천연물에 유기용매를 가하고, 실온 또는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온도 및 시간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1 내지 60시간 정도 방치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이 끝난 용매는 여과하여 고체의 천연물을 제거한 후, 용매를 증발 또는 가열함으로써 유효성분을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은 혼합물의 상태로 투입되되, 상기 혼합물은 전체 첨가제 조성물 100 중량% 중 각각 15 내지 4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의 혼합물이 15 중량% 미만 첨가되는 경우 가축의 사료 섭취량이 저하하고, 소화 기능 개선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며, 4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아니스 추출물과의 혼합에 따른 제반 효과의 상승이 미비하고, 설사와 소화불량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여 증체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축우의 장내 미세균총의 활성 증가, 유해 미생물의 생육 억제, 백혈구의 감소 면역물질인 IgG의 감소 등을 통한 육우의 소화력 증가 및 사료비용 절감, 젖소의 착유 횟수 및 우유 산출량을 증가하고 항생제 대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테르페노이드는 주로 에센셜 오일의 구성성분으로 식물, 특히 허브에 널리 존재하며, 대부분이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으나, 알콜, 알데히드, 케톤과 같은 산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테르페노이드는 하나 이상의 C5H8 탄화수소 단위를 가지며 많은 산업, 특히 고분자 수지, 향수, 방향제 등에 유용한 유기화합물이다.
상기 테르페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박테리아나 다른 세균들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또한 축우의 혈액순환을 개선하며, 항생제나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는 병원균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테르페노이드는 그 구조에 따라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등의 접두어가 붙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테르페노이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더욱 상세하게는 모노테르페노이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및 페닐프로파노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테르페노이드는 일반적으로 강력한 살균효과를 가지며, 항염, 항균, 활력 증진 등의 효과를 가진다. 허브류의 에센셜 오일에는 모노테르페노이드가 대략 90% 이상 함유되어 있다.
상기 모노테르페노이드(monoterpenoid)의 예를 들면, 게라니올(Geraniol), 투존(thujone), 캠퍼(camphor), 티몰(thymol), 보르네올(borneol), 카바크롤(cabacrol), 리나룰(linalool), 씨네올(cineol), 시트랄(citral), 리모넨(limonene) 및 페릴릴 알콜(perillyl alcoho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항균, 항염효과 이외에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세스퀴테르페노이드(sesquiterpenoid)는 담즙 생성에 영향을 주고, 항염, 항암 효과 이외에 축우를 진정, 이완하는 효과를 가진다. 허브류에는 카모마일과 클로브, 라벤더 오일의 주성분이다.
상기 세스퀴테르페노이드의 예를 들면, 휴물렌(humulene),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네롤리돌(nerolidol), 파르네센(farnesene), 산타놀(santanol), 레티놀(retinol), 카페스톨(cafestol), 게라닐게라닐피로인산(geranyl-geranyl pyrophosphate), 징코라이드(zincoride), 토릴린(torilin), 구아이올(guaiol) 및 진지베렌(zingibere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는 기본적으로 항균성, 항진균성 및 항바이러스성을 가지며, 세포의 수용체 부위에 끼어 있는 노폐물을 청소하여 사료의 효율을 높이고 축우의 체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예를 들면, 신남산(cinnamic acid), p-쿠마르산(coumaric acid), 페룰릭산(ferul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 시나핀산(sinapic acid), 캡사이신(capsaicin), 아네톨(anethole) 및 유게놀(eugeno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페노이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효과의 상승을 위해 둘 이상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테르페노이드의 원료를 한정하지 않으나, 과일, 허브, 약용 식물, 차, 채소 및 향신료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은 하기와 같은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의 예를 들면, 아지웨인(Ajwain), 캐럼 씨(carom seeds)(트라키스퍼멈 아미(Trachyspermum ammi)), 아쿠드주라(Akudjura)(솔라넘 센트랄레(Solanum centrale)), 알렉산더스(Alexanders)(스미늄 올루사트럼(Smyrnium olusatrum)), 알카넷(Alkanet)(알카나 틴크토리아(Alkanna tinctoria)), 엘리게이터 페퍼(Alligator pepper), 몽고 향신료(mbongo spice)(몽고초비)(mbongochobi), 헤퍼 페퍼(hepper pepper)(아프라모멈 다니엘리, A. 시트라텀, A. 엑스카펌(Aframomum danielli, A. citratum, A. exscapum)), 올스파이스(Allspice)(피멘타 디오이카(Pimenta dioica)), 안젤리카(Angelica)(안젤리카 아르칸젤리카(Angelica archangelica)), 아니시드 머틀(Aniseed myrtle)(시지지움 아니사텀(Syzygium anisatum)), 안나토(Annatto)(빅사 오렐라나(Bixa orellana)), 애플 민트(Apple mint)(멘타 수아베올렌스(Mentha suaveolens)),아위(Asafoetida)(페룰라 아사포에티다(Ferula assafoetida)), 아사라바카(Asarabacca)(아사럼 유로파음(Asarum europaeum)), 뱀무(Avens)(지엄 어바넘(Geum urbanum)), 아보카도 잎(Avocado leaf)(페레시 아메리카나(Peresea americana)), 바베리(Barberry)(버베리스 불가리스 및 기타 버베리스 종(Berberis vulgaris and other Berberis spp.)), 바질, 스위트(Basil, sweet)(옥시멈 바질리컴(Ocimum basilicum)), 바질, 레몬(Basil, lemon)(옥시멈 x 시트리오도럼(Ocimum x citriodorum)), 바질, 타이(Basil, Thai) O. 바실리컴 바르. 티르시플로라(O. basilicum var. thyrsiflora)), 바질, 홀리(Basil, Holy)(옥시멈 테누이플로럼(Ocimum tenuiflorum)), 베이 잎(Bay leaf) (라우러스 노빌리스(Laurus nobilis)), 베이 잎, 인디언, 테즈팻, 말라바트럼(Bay leaf, Indian, tejpat, malabathrum), 볼도(Boldo)(퓨머스 볼더스(Peumus boldus)), 보리지(Borage)(보라고 오피시날리스(Borago officinalis)), 블랙 카다멈(Black cardamom)(암모멈 수불라텀, 암모멈 코스타텀(Amomum subulatum, Amomum costatum)), 블랙 머스타드(Black mustard)(브라시카 니그라(Brassica nigra)), 블루 멜리로트(blue melilot)(트리고넬라 카에룰레아(Trigonella caerulea)), 브라운 머스타드(Brown mustard)(브라시카 준세아(Brassica juncea)), 캐러웨이(Caraway)(캐럼 카비(Carum carvi)), 카다멈(Cardamom)(엘레타리아 카다모멈(Elettaria cardamomum)), 캐럽(Carob)(세라토니아 실리쿠아(Ceratonia siliqua)), 캐트닙(Catnip)(네페타 카타리아(Nepeta cataria)), 카시아(Cassia)(신나모멈 아로마티컴)(Cinnamomum aromaticum), 카이엔 페퍼(Cayenne pepper)(카스피컴 아늄 (Capsicum annuum)), 샐러리 잎(Celery leaf)(아피움 그라베올렌스(Apium graveolens)), 샐러리 씨(Celery seed)(아피움 그라베올렌스(Apiumgraveolens)), 처빌(Chervil)(안트리스커스 세레폴리움(Anthriscus cerefolium)), 치커리(Chicory)(치커리움인티버스(Cichorium intybus)), 고추(Chili pepper)(카프시컴 종(Capsicum spp.)), 차이브(Chives)(알리움 스코에노프라섬(Allium schoenoprasum)), 시슬리(Cicely), 스위트 시슬리(sweet cicely)(미리스 오도라타(Myrrhis odorata)), 실란트로(Cilantro), 코리앤더 그린스(coriander greens), 코리앤더 허브(coriander herb)(코리앤드럼 사티범(Coriandrum sativum)), 인도네시아 시나몬(Cinnamon, Indonesian)(신나모멈 버만니, 카시아 베라(Cinnamomum burmannii, Cassia vera)), 사이공 또는 베트남 시나몬(Cinnamon, Saigon or Vietnamese)(신나모멈 로우레이로이(Cinnamomum loureiroi)), 참 시나몬 또는 세일론 시나몬(Cinnamon, true or Ceylon)(신나모멈 베럼, C. 제일라니컴(Cinnamomum verum, C. zeylanicum)), 화이트 시나몬(Cinnamon, white)(카넬라 윈터라나(Canella winterana)), 머틀 시나몬(Cinnamon myrtle)(백하우지아 미르티폴리아(Backhousia myrtifolia)), 클레리(Clary), 클레리 세이지(Clary sage)(살비아 스클라레아(Salvia sclarea)), 정향(Clove)(시지지움 아로마티컴(Syzygium aromaticum)), 코리앤더 씨(Coriander seed)(코리앤드럼 사티범(Coriandrum sativum)), 코스트마리(Costmary)(타나세텀 발사미타(Tanacetum balsamita)), 쿠바 오레가노(Cuban oregano)(플렉트라터스 암보이니커스(Plectranthus amboinicus)), 큐베브 후추(Cubeb pepper)(피퍼 큐베바(Piper cubeba)), 풀솜나무(Cudweed)(그나팔리움 종(Gnaphalium spp.)), 쿨란트로(Culantro), 쿨랑고트(culangot), 롱 코리앤더(long coriander)(에린지움 포에티덤(Eryngium foetidum)), 큐민(Cumin)(큐미넘 시미넘(Cuminum cyminum)), 커리 잎(Curry leaf)(머라야 코에니기(Murraya koenigii)), 커리 식물(Curry plant)(헬리크리섬 이탈리컴(Helichrysum italicum)), 딜 씨(Dill seed)(아네텀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딜 허브 또는 위드(Dill herb or weed)(아네텀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엘더플라워(Elderflower)(삼버커스 종(Sambucus spp.)), 에파조트(Epazote)(디스파니아 암브로시오이데스(Dysphania ambrosioides)), 회향(Fennel)(포에니컬럼 불가레(Foeniculum vulgare)), 필레 파우더(File powder), 검보 필레(gumbo file)(사사프라스 알비덤(Sassafras albidum)), 핑거루트(Fingerroot), 크라카이, 테뮤 컨트지(krachai, temu kuntji)(보에센버지아 로툰다(Boesenbergia rotunda)), 갈랑갈 그레이터(Galangal, greater)(알피니아 갈랑가(Alpinia galanga)), 레서갈랑갈(Galangal, lesser)(알피니아 오피시나럼(Alpinia officinarum)), 갈링갈(Galingale)(시퍼러스 종(Cyperus spp.)), 부추(Garlic chives)(알리엄 튜버로섬(Allium tuberosum)), 마늘(Garlic)(알리엄 사티범(Allium sativum), 코끼리 마늘(Garlic, elephant)(알리엄 암펠로프라섬 바르. 암펠로프라섬(Allium ampeloprasum var. ampeloprasum)), 생강(Ginger)(징지버 오피시날레(Zingiber officinale)), 토치 생강(Ginger, torch), 벙가 시안탄(bunga siantan)(에틀린제라 엘라티어(Etlingera elatior))(인도네시아), 골파, 페르시아 호그위드(Golpar, Persian hogweed)(헤라클레움 퍼시컴(Heracleum persicum))(이란), 그래인 오브 파라다이스(Grains of paradise)(아프라모멈 멜레구에타)(Aframomum melegueta), 그래인 오브 셀림(Grains of Selim), 카니 페퍼(Kani pepper)(자일로피아 아에티오피카(Xylopia aethiopica)), 서양 고추냉이(Horseradish)(아모라시아 러스티카나(Armoracia rusticana)), 휴튜이니아 코다타(Houttuynia cordata)(베트남), 후아카태이(Huacatay), 멕시코 메리골드(Mexican marigold), 민트 메리골드(mint marigold)(타게테스 미누타(Tagetes minuta)), 히솝(Hyssop)(히소푸스 오피시날리스(Hyssopus officinalis)), 인도네시아 월계수 잎(Indonesian bay leaf), 다운 살람(daun salam)(시지지움 폴리안텀(Syzygium polyanthum)), 자스민 꽃(Jasmine flowers)(자스미넘 종(Jasminum spp.)), 짐부(Jimbu)(알리엄 힙시스텀(Allium hypsistum))(네팔),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주니퍼러스 코뮤니스(Juniperus communis)), 카피르라임 잎(Kaffir lime leaves), 매크루드 라임 잎(Makrud lime leaves)(시러스 히스트릭스(Citrus hystrix))(동남아시아), 칼라 지라(Kala zeera 또는 Kala jira), 블랙 큐민(black cumin)(버니움 퍼시컴(Bunium persicum))(남아시아), 카와카와 씨(Kawakawa seeds)(마크로피퍼 엑셀섬(Macropiper excelsum))(뉴질랜드), 켄커, 갈랑갈, 켄처(Kencur, galangal, kentjur)(카엠프페리아 갈랑가(Kaempferia galanga)), 켈루악, 클루왁, 케파양(Keluak, kluwak, kepayang) (팡지움 에듈(Pangium edule)), 킨 지오이, 베트나메즈 밤(Kinh gioi, Vietnamese balm)(엘스홀트지아 실리아타(Elsholtzia ciliata)), 코캄 씨(Kokam seed)(가르시니아 인디카(Garcinia indica))(인도 과자류(Indian confectionery)), 코라리마(Korarima), 이디오피아 카다멈(Ethiopian cardamom), 폴스 카다멈(false cardamom)(아프라모멈 코로리마(Aframomum corrorima))(에리트레아), 코세렛 잎(Koseret leaves)(리피아 아도엔시스(Lippia adoensis))(이디오피아), 라벤더(Lavender)(라반둘라 종(Lavandula spp.)), 레몬 밤(Lemon balm)(멜리사 오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레몬그래스(Lemongrass)(심보포곤 시트라터스, C. 플렉수오서스, 및 기타 심보포곤 종(Cymbopogon citratus, C. flexuosus, and other Cymbopogon spp.)), 레몬 유칼립투스 나무(Lemon ironbark)(유칼립투스 스타이게리아나(Eucalyptus staigeriana))(호주), 레몬 머틀(Lemon myrtle)(백하우지아 시트리오도라(Backhousia citriodora))(호주), 레몬 버베나(Lemon verbena)(리피아 시트리오도라(Lippia citriodora)), 렙토테스 비칼라(Leptotes bicolor)(파라과이 및 브라질 남부(Paraguay and southern Brazil)), 레서 칼라민트(Lesser calamint)(칼라민타 네페타(Calamintha nepeta)), 니피텔라, 네피텔라(nipitella, nepitella)(이태리), 리커리쉬, 리코리스(Licorice, liquorice)(글리시리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라임 꽃(Lime flower), 린덴꽃(linden flower)(틸라 종(Tilia spp.)), 러비지(Lovage)(레비스티컴 오피시널(Levisticum officinale)), 메이스(Mace)(미리스티카 프라그란스(Myristica fragrans)), 말랍, 세인트 루이스 체리(Mahlab, St. Lucie cherry)(프러너스 마할렙(Prunus mahaleb)), 마조람(Marjoram)(오리가넘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머쉬맬로우(Marsh mallow)(알타데아 오피시날리스(Althaea officinalis)), 마스틱(Mastic)(피스타시아 렌티스커스(Pistacia lentiscus)), 민트(Mint)(멘타 종(Mentha spp.)) 25종, 수백 개의 변종, 마운틴 호로피토(Mountain horopito)(슈도윈테라 콜로라타(Pseudowintera colorata)) '페퍼-식물(Pepper-plant)'(뉴질랜드), 머스크 맬로우(Musk mallow), 아벨모스크(abelmosk)(아벨모스커스 모스카터스(Abelmoschus moschatus)), 머스타드 블랙, 머스타드 식물, 머스타드 씨(Mustard, black, mustard plant, mustard seed)(브라시카 니그라(Brassica nigra)), 머스타드 브라운, 머스타드 식물, 머스타드 씨(Mustard, brown, mustard plant, mustard seed)(브라시카 준세아(Brassica juncea)), 머스타드 화이트, 머스타드 식물, 머스타드 씨(Mustard, white, mustard plant, mustard seed)(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나스터튬(Nasturtium)(트로파에올룸 마저스(Tropaeolum majus)), 니겔라(Nigella), 카롱지 블랙 카라웨이, 블랙 오니온 씨(kalonji, black caraway, black onion seed)(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느장사, 드잔상(Njangsa, djansang)(리시노덴트론 후델로티(Ricinodendron heudelotii))(서아프리카), 너트맥(Nutmeg)(미리스티카 프라그란스(Myristica fragrans)), 님, 올리다(Neem, Olida)(유칼립투스 올리다(Eucalyptus olida)(호주), 오레가노(Oregano)(오리가넘 벌가레, O. 헤라클레오티컴, 및 기타 종들(Origanum vulgare, O. heracleoticum, and other species)), 오리스 뿌리(Orris root)(아이리스 저마니카, I. 플로렌티나, I. 팔리다(Iris germanica, I. florentina, I. pallida)), 판단 꽃(Pandan flower), 케우라(kewra)(판다너스 오도라티시머스(Pandanus odoratissimus)), 판단 잎(Pandan leaf), 스크류핀(screwpine)(판다너스 아마릴리폴리우스(Pandanus amaryllifolius), 파프리카(Paprika)(카프시컴 아늄(Capsicum annuum)), 파라크레스(Paracress)(스필란테스 아크멜라, 솔레라시아(Spilanthes acmella, Soleracea)(브라질), 파슬리(Parsley)(페트로셀리넘 크리스펌(Petroselinum crispum)), 페퍼(Pepper): 블랙, 화이트 및 그린(black, white, and green)(피퍼 니그럼(Piper nigrum)), 페퍼 도리고(Pepper, Dorrigo)(태스매니아 스티피타타(Tasmannia stipitata)(호주), 페퍼 롱(Pepper, long)(피퍼 롱검(Piper longum)), 페퍼마운틴, 코니쉬 페퍼 잎(Pepper, mountain, Cornish pepper leaf)(타스만니아 란세올라타(Tasmannia lanceolata)), 페퍼민트(Peppermint)(멘타 피페라타(Mentha piperata)), 페퍼민트 검 잎(Peppermint gum leaf)(유칼립투스 디베스(Eucalyptus dives)), 페릴라, 쉬소(Perilla, shiso)(페릴라 종(Perilla spp.)), 페루비안 페퍼(Peruvian pepper)(쉬너스 몰레(Schinus molle)), 판다너스 아마릴리폴리우스(Pandanus amaryllifolius), 브라질 페퍼(Brazilian pepper) 또는 핑크 페퍼(Pink pepper)(쉬너스 테레빈트폴리우스(Schinus terebinthifolius)), 쿼시아(Quassia)(쿼시아 아마라(Quassia amara))(반주 및 일부 맥주 및 보강 와인에서 쓴맛의 향신료), 람손스(Ramsons), 우드 갈릭(wood garlic)(알리움 우르시넘(Allium ursinum)), 라이스패디 허브(Rice paddy herb)(림노필라 아로마티카(Limnophila aromatica))(베트남), 로즈마리(Rosemary)(로즈마리너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류(Rue)(루타 그라베올렌스(Ruta graveolens)), 홍화(Safflower)(카르타머스 틴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황색용 사프론(for yellow color, Saffron)(크로커스 사티버스(Crocus sativus)), 세이지(Sage)(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사이공 시나몬(Saigon cinnamon)(신난모멈 로우레이로이(Cinnamomum loureiroi)), 샐러드 버넷(Salad burnet)(상귀소바 마이너(Sanguisorba minor)), 살레프(Salep)(오치스 마스큘라(Orchis mascula)), 사사프라스(Sassafras)(사사프라스 알비덤(Sassafras albidum)), 사보리, 섬머(Savory, summer)(사추레자 호텐시스(Satureja hortensis)), 사보리, 윈터(Savory, winter)(사추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실피움(Silphium), 실피온(silphion), 레저(laser), 레저피시움(laserpicium), 라사피시움(lasarpicium)(고대 로마 큐진, 고대 그리스 큐진), 쉬소(Shiso)(페릴라 프루테스센스(Perilla frutescens)), 소렐(Sorrel)(루멕스 아세토사(Rumex acetosa)), 소렐, 쉬프(Sorrel, sheep)(루멕스 아세토셀라(Rumex acetosella)), 스피어민트(Spearmint) (멘타 스피카타(Mentha spicata)), 스피케나드(Spikenard)(나도스타키스 그란디플로라(Nardostachys grandiflora) 또는 N. 자타만시(N. jatamansi)), 스타 아니스(Star anise)(일리시움 베럼(Illicium verum)), 수맥(Sumac)(러스 코리아리아(Rhus coriaria)), 스위트 우드드러프(Sweet woodruff)(갈륨 오도라텀(Galium odoratum)), 스제추안 페퍼(Szechuan pepper), 시추안 페퍼(Sichuan pepper)(잔톡실럼 피페리텀(Zanthoxylum piperitum)), 타라곤(Tarragon)(아르테미시아 드라커널러스(Artemisia dracunculus)), 백리향(Thyme)(티머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백리향 레몬(Thyme, lemon)(티머스 x 시트리오도러스(Thymus x citriodorus)), 튜머릭(Turmeric)(커큐마 롱가(Curcuma longa)), 바닐라(Vanilla)(바닐라 플라니폴리아(Vanilla planifolia)), 베트남 시나몬(Vietnamese cinnamon)(신나모멈 로우레이로이(Cinnamomum loureiroi)), 베트남 코리앤더(Vietnamese coriander)(퍼시카리아 오도라타(Persicaria odorata)), 보트시페리퍼리(Voatsiperifery)(피퍼 보보넨스(Piper borbonense)), 와사비(Wasabi)(와사비아 자포니카(Wasabia japonica)), 물-고추(Water-pepper), 스마트위드(smartweed)(폴리고넘 히드로피퍼(Polygonum hydropiper)), 워터크레스(Watercress)(로리파 나스터튬-아쿠아티카(Rorippa nasturtium-aquatica)), (호주 아카시아의 약 120종의) 와틀시드(Wattleseed), 화이트 머스타드(White mustard)(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야생 베틀(Wild betel)(피퍼 사멘토섬(Piper sarmentosum))(동남아시아), 야생 백리향(Wild thyme)(티머스 세르필럼(Thymus serpyllum)), 윌로우 허브(Willow herb)(에필로븀 파르비플로럼(Epilobium parviflorum)), 윈터 사보리(Winter savory)(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윈터그린(Wintergreen)(가울테리아 프로컴벤스(Gaultheria procumbens)), 우드 어벤스(Wood avens), 허브 베넷(herb bennet)(지움 어바넘(Geum urbanum)), 우드러프(Woodruff)(갈륨 오도라텀(Galium odoratum)), 웜우드(Wormwood), 압생트(absinthe)(아르테미시아 압싱티움(Artemisia absinthium)), 옐로우 머스타드(Yellow mustard)(브라시카 히타(Brassica hirta) = 시나피스 알바(Sinapis alba)), 예바 부에나(Yerbabuena), 4가지 다른 종들 중 어느 것, 다수의 관련이 없는 자아타르(Za'atar)(오리가넘(Origanum), 칼라민타(Calamintha), 티머스(Thymus), 및/또는 사추레자(Satureja) 속의 허브), 제도아리(Zedoary)(커큐마 제도아리아(Curcuma zedoari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은 추출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열수추출법, 증기추출법, 레이저추출법, 환류냉각, 고온가압추출법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반복 수행하여 추출물의 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은 농축을 통해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는 판매되는 조성물의 형태, 보관 조건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산화방지제, 부형제, 미네랄, 비타민, 기타 약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첨가되는 아니스 추출물, 페뉴그릭 추출물 및 기타 허브 추출물의 변질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 자체로도 활성산소에 의한 축우의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일반적인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나, 플라반-7-올 유도체가 2개 이상 결합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반-7-올 유도체의 예를 들면,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카테킨, 갈로에피카테킨, 플라바놀, 플라보놀, 플라반-3,4-디올, 류코시아니딘 및 안토시아니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 복수를 중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다양한 식물, 특히 성장의 목질 습성을 갖는 것에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차, 신선차 잎, 포도씨, 포도 종피, 아선약, 홍조류 및 이들의 추출물에 포함되며, 이들의 추출방법은 상기 아니스 또는 페뉴그릭의 추출방법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프로안토시아니딘 이외에도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에톡시퀸,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BHT), 크립토크산틴, 루테인, 라이코펜, 제아크산틴, 알파-리포산 등을 더 첨가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형제는 상기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품의 형태로 만들어 주기 위한 일종의 담체로, 적당한 굳기나 형상을 주기 위해, 또는 주성분인 아니스 추출물 또는 페뉴그릭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일정 용량 또는 중량을 주어 취급하기 쉬운 크기로 만들기 위한 목적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일예로는 스테아린산칼슘, 인산칼슘, 탄산칼슘, 석회석 등의 무기물 이외에도 대두, 밀, 옥수수, 해바라기씨, 볏짚, 왕겨, 곤충 등의 분말, 전분, 골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미네랄은 필수 영양소로서, 축우의 항상성(homeostasis) 및 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특히 미네랄은 결핍 시 여러 가지 증상이 발현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좋다.
상기 미네랄의 일예로는 칼슘, 인, 칼륨, 코발트, 마그네슘, 나트륨, 아연, 철, 구리, 코발트, 요오드, 망간, 몰리브덴, 셀레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미네랄은 상기 금속의 염, 예를 들어 칼슘 아세테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클로라이드, 칼슘 옥사이드, 코발트 카보네이트, 코발트 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망간 글루코네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철 포스페이트, 아연 설페이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타민은 축우의 항균성과 항바이러스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 정상적인 대사기능, 성장, 번식기능 및 건강 유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할 유기화합물을 통칭한다.
상기 비타민의 일예로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비타민 B1, 비타민 B2, 판토텐산, 니아신, 비오틴, 콜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또는 복수가 첨가되어도 좋다.
상기 약초는 축우의 면역 증강, 성장률 향상,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면역력 상승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육질의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일반적인 한약 또는 약재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약초의 일예로는 정향, 미나리, 천궁, 당귀, 계지, 인동초, 목향, 소엽, 청파, 후박, 모과, 향부자, 인진, 창출, 길경, 감초, 맥아, 갈근, 송진, 오갈피, 엉겅퀴, 구기자, 황기 등이며 이들 이외에도 사료용 첨가제로 사용되는 모든 약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의 첨가량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각각 1 내지 5 중량% 및 5 내지 15 중량%이므로, 상기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이 첨가된 후의 잔량을 상기 첨가제로 할당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아니스 잎과 페뉴그릭 씨앗을 세척하고 선별한 후, 이를 각각 파쇄하고 파쇄된 물질을 감압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물과 첨가제, 기타 성분을 정해진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분말, 펠렛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축우용 사료에 첨가되는 일종의 프리믹스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육우용 사료 1㎏ 대비 0.15 내지 0.3 g의 비율로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에멀전화제, 곡물, 부산물, 단백질, 무기성분 등을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군)
축우 사양실험은 평균체중 325±50㎏의 한우 거세우(평균 14월령) 총 45두를 공시하였으며, 실험은 150일간 실시하였다. 환경조건으로, 공시한 한우 45두를 완전 임의 배치하여 실험하였으며, 축산업 허가제 시설 기준에 따라 단위 면적당 한우 사육두수(7㎡/두)를 고려하여 사육공간을 배정하였다.
(측정 항목)
축우 사육 시 3개의 상이한 연령, 즉 개시 직후(0일차), 중간일(76일차), 종료일(150일차) 시점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 항목은 체중, 일당증체량(ADG), 사료소비량(ADFI), 사료전환율을 계산하였다.
(사료)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사료 조성물 및 첨가제 조성물은 하기 표 1 및 2와 같다. 급여 사료는 두당 일일 14㎏ 공급하였으며, 공급 시간은 오전 6시와 오후 6시 2회에 나누어 급여하였고, 물은 자유 채식시켰다.
[표 1]
Figure 112018055981810-pat00001
[표 2]
Figure 112018055981810-pat00002
(실시예 1) - 사료 첨가제 첨가량에 따른 축우 성장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의 첨가량에 따른 축우의 성장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Figure 112018055981810-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사료와 함께 급여 시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사료 섭취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의미한 정도의 체중 증가를 보이고 있다. 특히 사료 내 첨가제 조성물의 첨가량이 0.015 중량%인 T3의 경우 다른 실험군 또는 대조군에 비해 가장 우수한 증체량을 보이고 있다.
(실시예 2) - 사료 첨가제의 조성에 따른 축우 성장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사료 첨가제의 첨가량에 따른 축우의 체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이때 사료 첨가제의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112018055981810-pat00004
[표 5]
Figure 112018055981810-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첨가되는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의 조성비에 따라 증체량, 사료섭취량 등의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아니스 추출물과 페뉴그릭 추출물이 각각 5 중량%, 15 중량% 첨가된 T2는 가장 우수한 증체량 및 가장 높은 사료 효율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상기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 중 아니스 추출물 및 페뉴그릭 추출물의 혼합물을 15 내지 45 중량% 함유하며,
    상기 조성물은 아니스 추출물과 페뉴그릭 추출물이 중량비 기준으로 1 : 1로 혼합되며,
    게라니올, 투존, 캠퍼, 티몰, 보르네올, 카바크롤, 리나룰, 씨네올, 시트랄, 리모넨 및 페릴릴 알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모노테르페노이드가 함유되며,
    상기 조성물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 중 0.01 내지 0.02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미노산, 셀레늄, 바나듐, 게르마늄, 부형제 및 비타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180065580A 2018-06-07 2018-06-07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194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80A KR101940544B1 (ko) 2018-06-07 2018-06-07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80A KR101940544B1 (ko) 2018-06-07 2018-06-07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44B1 true KR101940544B1 (ko) 2019-04-10

Family

ID=6616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580A KR101940544B1 (ko) 2018-06-07 2018-06-07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993A (ja) * 2001-06-13 2002-12-24 Bussan Biotech Kk ハーブを含む免疫賦活剤
KR100899712B1 (ko) * 2008-11-04 2009-05-28 주식회사 일신웰스 바나바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WO2011100763A2 (en) * 2010-02-15 2011-08-18 Alltech, Inc. Ruminant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KR101710589B1 (ko) 2014-05-08 2017-03-0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993A (ja) * 2001-06-13 2002-12-24 Bussan Biotech Kk ハーブを含む免疫賦活剤
KR100899712B1 (ko) * 2008-11-04 2009-05-28 주식회사 일신웰스 바나바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WO2011100763A2 (en) * 2010-02-15 2011-08-18 Alltech, Inc. Ruminant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KR101710589B1 (ko) 2014-05-08 2017-03-0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lle Zotte et al. Herbs and spices inclusion as feedstuff or additive in growing rabbit diets and as additive in rabbit meat: A review
KR101950919B1 (ko) 캡슐화된 가축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Peter et al. Introduction to herbs and spices: Definitions, trade and applications
CN102349640B (zh) 复合食用调味料
Kintzios Oregano
KR101951434B1 (ko) 반추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TW201625285A (zh) AGEs(糖化終產物)分解劑及其用途
AU2020201643A1 (en) Oral anti-parasitic composition
Niazi et al. Date palm: composition, health claim and food applications
Akeem et al. Comparative phytochemical analysis and use of some Nigerian spices
Sugiharto Herbal supplements for sustainable broiler production during post antibiotic era in Indonesia-an overview
KR101168632B1 (ko) 천연 항균성 및 기능성 가축사료
Sugasini et al. Indian culinary ethnic spices uses in foods are palate of paradise
Sim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ocal medicinal herbs (Curcuma longa L., Persicaria odorata L. and Eleutherine palmifolia L.) as potential layer feed additives for the production of healthy eggs
Mohanasundari et al. Effects of Illicium verum Hook. f.(Chinese herb) enriched diet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disease resistance in Catla catla [Hamilton] fingerlings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KR101940539B1 (ko)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1940544B1 (ko) 축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Rani et al. Nutritional benefits of herbs and spices to the human beings
Majewska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Lemon verbena (Lippia citriodora) Essential Oil–A Review
Rahimi et al. Effects of garlic powder and Satureja Khuzestanica essential oil on male ross 308 chickens performance, blood lipid profile, immune responses, intestinal microflora, and morphology
Khosravifar et al. Effect of some medicinal plants as feed additive on total coliform count of ileum in Japanese quails (Coturnix coturnix japonica).
Chowlu et al. Use of cinnamon in diet of broiler chicken—A Review
Odhaib et al. Utilization of Herbal Remedies to Improve Ruminant Performance: A Review.
Mohammed et al. Nigella sativa: Properties, processing and food applications
KR100650508B1 (ko) 가축용 음용수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