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505B1 -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505B1
KR101940505B1 KR1020170064637A KR20170064637A KR101940505B1 KR 101940505 B1 KR101940505 B1 KR 101940505B1 KR 1020170064637 A KR1020170064637 A KR 1020170064637A KR 20170064637 A KR20170064637 A KR 20170064637A KR 101940505 B1 KR101940505 B1 KR 10194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ute
climbing
control unit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282A (ko
Inventor
배일한
Original Assignee
배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한 filed Critical 배일한
Publication of KR2017013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은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서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확인과정과 상기 중앙제어부가 수신한 위치정보와 매칭 되는 암벽등반 루트정보를 저장부에서 독출하는 루트독출과정 및 상기 중앙제어부가 독출한 루트정보를 송신부를 통해서 송신하여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information service method for rock climbing root}
본 명세서는 대체로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 속에 전국 주요 산악 영역데이터와 속성정보를 갖고 있는 산악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DB) 및 그 운영 실행 프로그램을 담아 사용자에게 주요 산악의 등산안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등산안내 보조단말기의 운영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가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위치좌표 및 산악의 영역을 검출하여 등산로, 등산로 코스, 암벽등반 루트 등에 대한 음성안내 및 화면안내 그리고 경유지, 대피소, 고도 정보 등의 등산 테마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할 수 있도록 등산 안내 정보 기능을 갖는 휴대용 등산안내 보조단말기 및 그 운영 프로그램과 산악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의 형식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암벽등반 루트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 5일 근무제의 도입에 따른 자유시간의 증가와 웰빙 산업의 발달을 가져와 각종 스포츠의 활동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웰빙 산업 및 레저 문화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양한 정보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그 운영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등산 스포츠 활동 영역에서 등산안내의 컨텐츠 즉 산악용 전자지도 및 그 운영 실행 프로그램은 깊은 산속에서의 조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휴대용 등산안내에 의한 최단거리 및 최적거리 등산로 및 등산로 코스와 주요 산악 시설물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정확한 목적지까지의 음성 안내와 화면 안내로 등산 경로이탈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등산 안내용 단말기와 산악용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산악용 전자지도들은 등산 시 목적지까지의 음성안내 및 등산 코스 안내와 목적지까지 거리 및 예상 시간 등을 안내하기 위한 항법 정보의 등산 네트워크 속성과 주요 산악의 영역을 검출할 수 있도록 영역 데이터를 산악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전혀 포함 시키지 않고, 단지 순수한 종이지도처럼 또는 그 종이지도를 단말기 화면에 표출하기 위하여 산악 전자지도 데이터를 단순하게 구성시킨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사용자들에게 등산 안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등산 안내를 하는 방법들이 일부 제안되고 있다.
그 중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2155호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위성을 통해 촬영된 산악지형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산악 지역의 수치지도 및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등산용 3차원 영상을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 등의 무선랜 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제공하여 등산로를 찾아갈 수 있도록 등산용 3차원 영상 제공 장치가 있으나,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등산하고자 하는 산악지역의 영상 정보와 수치지도가 이미 특정 서버에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휴대용 단말장치는 무선랜 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특정 서버와 언제나 항시 접속할 수 있어야 하는 제약적인 환경과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한 후 경로탐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등산로와 일반도로를 연계한 탐색을 할 수 없고, 안내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1726호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등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 단말 위치 정보, 이동 단말 위치의 방위 정보, 이동 단말 위치의 고도, 이동 단말 위치의 기압 정보, 이동 단말 위치의 온도 정보 등의 이동 단말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 장치에서 등산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등산 정보 서버를 통해 등산 경로 정보를 이동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역시 이동 단말 장치가 언제 어디서나 항시 무선 통신 상태가 등산 정보 서버와 접속하여야 하는 제약적인 환경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등산 코스 및 목적지 안내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4199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등산로 안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등산하고자 하는 산의 지도에서 등산 출발지와 목적지를 선택하여 복수의 등산로 탐색결과를 사용자가 하나의 등산로를 선택할 경우 그 선택된 등산로를 따라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하는 방법으로서 실질적으로 여러 형태의 등산 코스별 안내 정보와 사용자가 임의 경유지(Way Point) 변경에 대한 등산 안내 정보 등 해당 산악의 등반 안내 서비스 제공에 제한이 되어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산악 등반을 위하여 자신의 주거지에서 또는 일반 도로를 기준으로 출발지를 설정하고 특정 산악의 정상 또는 산악 시설물을 목적지로 설정하게 되었을 때에 연속해서 일반 차량의 주행 경로 안내 또는 보행자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 받은 후에 특정 산악의 진입로 또는 매표소의 영역을 검출하게 되면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등산로 코스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기의 등산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등산안내 보조 단말기와 산악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간편하고 보편적인 휴대용 등산안내 서비스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과 그 운영 방법에 대한 기술적 해결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루트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에는 루트정보 DB를 기반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중앙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서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확인과정과 상기 중앙제어부가 수신한 위치정보와 매칭 되는 암벽등반 루트정보를 저장부에서 독출하는 루트독출과정 및 상기 중앙제어부가 독출한 루트정보를 송신부를 통해서 송신하여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제어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는 루트갱신과정을 포함하되, 루트갱신과정은 중앙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서 갱신루트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정보수신과정과 중앙제어부가 갱신루트정보를 송신부를 통해서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로 송신하여 출력하는 갱신정보출력과정, 중앙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서 루트정보의 갱신승인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승인과정 및 중앙제어부가 수신된 갱신승인정보에 따라서 저장부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거나 기존 루트정보를 유지하는 갱신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승인된 갱신루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포인트지급과정(S500)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출력과정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루트정보를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프로젝트과정을 포함하고, 프로젝트과정은 중앙제어부가 출력과정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둘 이상 저장하는 다중루트저장과정와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루트정보에 관한 일정정보를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하는 일정수신과정, 중앙제어부가 루트정보와 일정정보를 결합한 프로젝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젝트저장과정 및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일정정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루트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젝트출력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사용자의 등반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과정을 포함하고, 히스토리과정은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생성하는 등반정보생성과정와 중앙제어부가 생성된 등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등반저장과정 및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등반정보출력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일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등반정보는 등반을 완료한 루트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GPS정보, 암벽의 이름,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암벽등반이 가능한 루트정보, 사용자정보가 저장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루트정보는 암벽등반 루트의 높이, 특성, 등급, 주소, 그레이드, 등급, 등반지 스타일, 루트 사진, 대중교통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암벽등반 경력, 암벽등반 기술 숙련도, 나이, 이름, 신체 치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위치확인과정만으로 원하는 루트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루트를 간편하게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루트갱신과정을 통해서 루트정보 DB를 기반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 사용자들로부터 검증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히스토리과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완등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완등 이력을 관리 할 수 있으며, 히스토리과정을 통해서 생성된 등반정보를 통해서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루트를 추출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프로젝트과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다수의 루트를 공략할 수 있는 계획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루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동기화를 통해서 오프라인 상황에서도 암벽 정보, 프로젝트, 히스토리 정보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갱신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지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히스토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갱신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지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히스토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을 위한 하드웨어를 도 1을 참조 하여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상의 단말기로 구성된 사용자단말기(300)와 관리자가 사용하는 통상의 단말기로 구성된 관리자단말기(400),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와 관리자단말기(400) 및 저장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 및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에 따라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00)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00)에 저장된 정보는 암벽등반이 가능한 루트정보, 사용자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루트정보는 암벽등반 루트의 높이, 특성, 등급, 주소, 그레이드, 등급, 등반지 스타일, 루트 사진, 대중교통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암벽등반 경력, 암벽등반 기술 숙련도, 나이, 이름, 신체 치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루트정보는 세부루트정보로 분할 될 수 있는데, 세부루트정보는 하나의 암벽에 존재하는 홀드의 크기와 거리 등에 의한 경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확인과정(S100)과 상기 중앙제어부(100)가 수신한 위치정보와 매칭 되는 암벽등반 루트정보를 저장부(200)에서 독출하는 루트독출과정(S200) 및 상기 중앙제어부(100)가 독출한 루트정보를 송신부(120)을 통해서 송신하여 사용자단말기(300)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는 출력과정(S30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제어부(100)가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는 루트갱신과정(S400)을 포함하되, 루트갱신과정(S400)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갱신루트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정보수신과정(S410)과 중앙제어부(100)가 갱신루트정보를 송신부(120)를 통해서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400)로 송신하여 출력하는 갱신정보출력과정(S420),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루트정보의 갱신승인정보를 관리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승인과정(S430) 및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된 갱신승인정보에 따라서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거나 기존 루트정보를 유지하는 갱신과정(S440)을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제어부(100)가 승인된 갱신루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포인트지급과정(S500)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제어부(100)가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루트정보를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프로젝트과정(S600)을 포함하고, 프로젝트과정(S600)은 중앙제어부(100)가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둘 이상 저장하는 다중루트저장과정(S610)와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루트정보에 관한 일정정보를 수신부(110)를 통해서 수신하는 일정수신과정(S620), 중앙제어부(100)가 루트정보와 일정정보를 결합한 프로젝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200)에 저장하는 프로젝트저장과정(S630) 및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일정정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루트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젝트출력과정(S640)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의 등반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과정(S700)을 포함하고, 히스토리과정(S700)은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생성하는 등반정보생성과정(S710)와 중앙제어부(100)가 생성된 등반정보를 저장부(200)에 저장하는 등반저장과정(S720) 및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출력하는 등반정보출력과정(S7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일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등반정보는 등반을 완료한 루트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GPS정보, 암벽의 이름,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200)는 암벽등반이 가능한 루트정보, 사용자정보가 저장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루트정보는 암벽등반 루트의 높이, 특성, 등급, 주소, 그레이드, 등급, 등반지 스타일, 루트 사진, 대중교통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암벽등반 경력, 암벽등반 기술 숙련도, 나이, 이름, 신체 치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위치확인과정(S100)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한 위치확인과정(S100)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서 암벽등반이 가능한 암벽의 명칭으로 구성된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암벽의 명칭이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서 수신부(110)로 전송되는 과정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로 암벽의 명칭이 전송되면 중앙제어부(100)가 암벽의 명칭을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서의 위치확인과정(S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암벽의 명칭을 기준으로 하는 암벽의 위치정보를 중앙제어부(100)에 요청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단말기(200)에 입력되는 정보는 암벽등반이 가능한 명칭 또는 주소, 지역명 등으로 설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일 실시 예를 실시하기 위해서 저장부(200)에는 암벽등반이 가능한 암벽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저장된 암벽의 정보는 사용자단말기(300)기로 입력되는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확인과정(S100)은 사용자단말기(200)의 GPS정보가 수신부(110)로 전송되는 과정 구성할 수 있다. 수신부(110)로 GPS정보가 전송되면 중앙제어부(100)가 GPS정보를 입력되는 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서의 위치확인과정(S100)은 사용자단말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암벽의 위치정보를 중앙제어부(100)에 요청하는 것이다.
한편, 본 일 실시 예를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단말기(300)에는 통상의 GPS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본 일 실시 예에서의 GPS정보를 대체하여, 암벽의 입구 또는 주변에 설치된 통상의 비콘 또는 NFC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 예들에서의 위치확인과정(S100)은 적어도 입력장치로 입력할 수 있는 정보 또는 현재의 위치를 감지한 정보를 기준으로 암벽의 위치정보를 중앙제어부(100)에 요청하는 것이다.
루트독출과정(S200)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된 위치정보와 매칭 되는 암벽등반 루트정보를 저장부(200)에서 독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한 루트독출과정(S200)은 수신부(110)로 수신된 위치정보를 중앙제어부(100)에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중앙제어부(100)가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루트독출과정(S200)은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저장부(200)에 저장된 특정 루트를 독출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를 실시하기 위해서 저장부(200)에는 암벽 등반이 가능한 암벽의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루트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루트정보는 암벽등반 루트의 높이, 특성, 등급, 그레이드, 등급, 등반지 스타일, 루트 사진, 대중교통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과정(S300)은 중앙제어부(100)가 독출한 루트정보를 송신부(120)을 통해서 송신하여 사용자단말기(300) 화면에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한 출력과정(S300)은 중앙제어부(100)가 독출한 루트정보를 송신부(120)를 통해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된 루트정보가 사용자 단말기(300)가 수신 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받은 루트정보가 사용자단말기(300)의 화면에 출력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서의 출력과정(S300)은 사용자단말기(300)에 루트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
루트갱신과정(S400)은 중앙제어부(100)가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3을 참조한 루트갱신과정(S400)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갱신루트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정보수신과정(S4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갱신루트정보를 송신부(120)를 통해서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400)로 송신하여 출력하는 갱신정보출력과정(S4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루트정보의 갱신승인정보를 관리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승인과정(S4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된 갱신승인정보에 따라서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거나 기존 루트정보를 유지하는 갱신과정(S4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갱신정보수신과정(S410)의 갱신루트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적어도 암벽등반 루트의 높이, 특성, 등급, 주소, 그레이드, 등급, 등반지 스타일, 루트 사진, 대중교통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갱신승인과정(S430)의 갱신승인정보는 관리자단말기(400)를 통해서 갱신루트정보의 승인과 비승인 정보를 포함한다.
갱신정보수신과정(S410)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갱신루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된 갱신루트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갱신정보수신과정(S410)은 사용자단말기(300)기로부터 송신된 갱신루트정보를 중앙제어부(100)가 입력 받는 것이다.
갱신정보출력과정(S420)은 중앙제어부(100)가 갱신루트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루트정보를 저장부(200)에서 독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는 루트정보와 갱신루트정보가 결합된 임시적인 또 다른 갱신루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임시적인 갱신루트정보를 송신부(120)를 통해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400)로 송신하여 출력하는 갱신정보출력과정(S420)을 포함할 수 있다. 갱신정보출력과정(S420)은 중앙제어부(100)에 수신된 갱신루트정보가 관리자가 확인 또는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갱신승인과정(S430)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부(110)를 통해서 루트정보의 갱신승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된 갱신승인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을 포함한다.
갱신과정(S440)은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된 갱신승인정보에 승인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임시적인 갱신루트정보를 반영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된 갱신승인정보에 비승인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유지하는 유지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지급과정(S500)은 중앙제어부(100)가 승인된 갱신루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도록 구성된다. 포인트지급과정(S500)은 상기 설명된 루트갱신과정(S400)과 함께 실시된다. 포인트지급과정(S500)은 저장부(200)에 저장된 루트정보가 사용자들에 의해서 암벽의 루트에 관한 변화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4를 참조한 포인트지급과정(S500)은 중앙제어부(100)가 승인된 갱신루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를 독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독출된 사용자에 포인트를 할당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할당된 포인트정보를 송신부(120)를 통해서 사용자단말기(300)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송신된 포인트정보가 사용자단말기(30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 예를 실시하기 위해서 저장부(200)에는 사용자에 인적사항으로 구성된 사용자정보가 저장되어야 하고, 포인트할당 기준이 저장되어야 한다. 루트갱신과정(S400)에서의 갱신루트정보에는 사용자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프로젝트과정(S600)은 중앙제어부(100)가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루트정보를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젝트과정(S600)은 둘 이상의 루트를 하나의 카테고리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계획적으로 단계별 암벽을 등반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를 참조한 프로젝트과정(S600)은 중앙제어부(100)가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둘 이상 저장하는 다중루트저장과정(S6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루트정보에 관한 일정정보를 수신부(110)를 통해서 수신하는 일정수신과정(S6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루트정보와 일정정보를 결합한 프로젝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200)에 저장하는 프로젝트저장과정(S6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일정정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루트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젝트출력과정(S640)을 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트과정(S600)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단말기(300)에 프로젝트과정(S600)에 사용되는 버튼이 구성되어야 한다. 루트정보를 둘 이상 저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명된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루트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버튼이 눌러지면, 출력된 루트정보가 선택된다. 그 후, 다시 위치확인과정(S100)과 루트독출과정(S200) 및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출력된 다른 루트정보를 버튼을 통해서 선택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300)는 상기 일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정정보는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에 사용자가 등반을 원하는 날짜를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히스토리과정(S700)은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의 등반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등반한 암벽들의 정보를 사용자가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등반에 관한 성취욕을 충족시킬 수 있고, 등반한 암벽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한 히스토리과정(S700)은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생성하는 등반정보생성과정(S7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생성된 등반정보를 저장부(200)에 저장하는 등반저장과정(S7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사용자단말기(300)에 출력하는 등반정보출력과정(S7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스토리과정(S700)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단말기(300)에 히스토리과정(S700)에 사용되는 또 다른 버튼이 구성되어야 한다. 버튼의 작동을 통해서 완등과 비완등 및 히스트로리로 구분되는 명령이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설명될 출력과정(S300)을 통해서 사용자단말기(300)에 루트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다.
등반정보생성과정(S710)은 중앙제어부(100)가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신부(110)를 통해서 수신 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 받은 명령을 입력 받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에 완등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적어도 사용자정보와 루트정보가 결합된 등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 받은 명령에 비완등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등반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중앙제어부(100)가 수신 받은 명령에 히스토리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등반정보출력과정(S730)을 통해서 저장된 등반정보가 일괄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반정보는 등반을 완료한 루트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암벽등반 경력, 암벽등반 기술 숙련도, 나이, 이름, 신체 치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히스토리정보를 통해서 등반완료가 가장 많은 루트를 도출하여,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선호도를 루트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한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위치확인과정(S100)만으로 원하는 루트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루트를 간편하게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루트갱신과정(S400)을 통해서 루트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00)(통상의 DB)를 기반하여 사용자들에 의해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 사용자들로부터 검증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히스토리과정(S700)을 통해서 사용자가 완등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완등 이력을 관리 할 수 있으며, 히스토리과정(S700)을 통해서 생성된 등반정보를 통해서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루트를 추출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프로젝트과정(S600)을 통해서 사용자가 다수의 루트를 공략할 수 있는 계획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루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단말기(300)와의 동기화를 통해서 오프라인 상황에서도 암벽 정보, 프로젝트, 히스토리 정보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중앙제어부
110 : 수신부
120 : 송신부
200 : 저장부
300 : 사용자단말기
400 : 관리자단말기
S100 : 위치확인과정
S200 : 루트독출과정
S300 : 출력과정
S400 : 루트갱신과정
S410 : 갱신정보수신과정
S420 : 갱신정보출력과정
S430 : 갱신승인과정
S440 : 갱신과정
S500 : 포인트지급과정
S600 : 프로젝트과정
S610 : 다중루트저장과정
S620 : 일정수신과정
S630 : 프로젝트저장과정
S640 : 프로젝트출력과정
S700 : 히스토리과정
S710 : 등반정보생성과정
S720 : 등반저장과정
S730 : 등반정보출력과정

Claims (10)

  1. 중앙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서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확인과정과 상기 중앙제어부가 수신한 위치정보와 매칭 되는 암벽등반 루트정보를 저장부에서 독출하는 루트독출과정 및 상기 중앙제어부가 독출한 루트정보를 송신부를 통해서 송신하여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표출되도록 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는 루트갱신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루트갱신과정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서 갱신루트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정보수신과정과 상기 중앙제어부가 갱신루트정보를 송신부를 통해서 관리자의 관리자단말기로 송신하여 출력하는 갱신정보출력과정, 상기 중앙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서 루트정보의 갱신승인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갱신승인과정 및 상기 중앙제어부가 수신된 갱신승인정보에 따라서 저장부에 저장된 루트정보를 갱신루트정보로 갱신하거나 기존 루트정보를 유지하는 갱신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부가 승인된 갱신루트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포인트지급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가 출력과정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루트정보를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프로젝트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젝트과정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출력과정을 통해서 출력된 루트정보를 둘 이상 저장하는 다중루트저장과정과 상기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루트정보에 관한 일정정보를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하는 일정수신과정, 상기 중앙제어부가 루트정보와 일정정보를 결합한 프로젝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젝트저장과정 및 상기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일정정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루트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젝트출력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가 사용자의 등반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히스토리과정은 상기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생성하는 등반정보생성과정과 상기 중앙제어부가 생성된 등반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등반저장과정 및 상기 중앙제어부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등반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하는 등반정보출력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등반정보는 등반을 완료한 루트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GPS정보, 암벽의 이름,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저장부는 암벽등반이 가능한 루트정보와 사용자정보가 저장된 것을 포함하는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루트정보는 암벽등반 루트의 높이, 특성, 등급, 주소, 그레이드, 등급, 등반지 스타일, 루트 사진, 대중교통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의 암벽등반 경력, 암벽등반 기술 숙련도, 나이, 이름, 신체 치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KR1020170064637A 2016-05-25 2017-05-25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KR101940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3839 2016-05-25
KR1020160063839 2016-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82A KR20170133282A (ko) 2017-12-05
KR101940505B1 true KR101940505B1 (ko) 2019-01-21

Family

ID=6092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637A KR101940505B1 (ko) 2016-05-25 2017-05-25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625B1 (ko) * 2020-10-31 2022-06-28 신호원 클라이밍 플랫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96B1 (ko) * 2010-10-12 2012-05-1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등산 도우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0872A (ko) * 2012-11-28 2014-06-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산로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82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2443B2 (en) Navigation server and program
CN102460075B (zh) 导航装置、导航系统及其操作方法
CN107532920A (zh) 获得兴趣点数据的方法
US20070276585A1 (en) Navigation apparatus, vehicle lending system, and vehicle lending method
JP2010102685A (ja) 広告情報提供サーバとその移動体端末
JP2018528415A (ja) ナビゲーション参照点特定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装置並びに記憶媒体
TW201100757A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JP2009174864A (ja) 配信システム及び車載器
JP615429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電子機器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93384A (ja) Poi検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poi検索方法
JP2007089879A (ja) オンラインゲー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オンラインゲーム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オンラインゲーム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WO2010023819A1 (ja) 車載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車載機器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2102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940505B1 (ko)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JP7450007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23758A (ja) 車載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車載機器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18838B1 (ko) 휴대용 등산안내 보조단말기 및 그 운영 방법
KR20160119880A (ko) 암벽등반 루트 정보 안내 서비스 방법
JP4837545B2 (ja) 携帯用電話端末装置、携帯用電話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現在位置測定開始方法
JP2005190001A (ja) タクシー利用システム、タクシー利用方法、情報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946202B1 (ko) 사용자 참여형 건축물정보 서비스 플랫폼 서버
JP6694781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34918A (ja) 交通手段情報提供システム
WO2024105728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8040727A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