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343B1 -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343B1
KR101940343B1 KR1020137030705A KR20137030705A KR101940343B1 KR 101940343 B1 KR101940343 B1 KR 101940343B1 KR 1020137030705 A KR1020137030705 A KR 1020137030705A KR 20137030705 A KR20137030705 A KR 20137030705A KR 101940343 B1 KR101940343 B1 KR 101940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braking surface
rotor
electric motor
fri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507A (ko
Inventor
요시히로 야스다
마코토 오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비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비케이
Publication of KR20140026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pen sliding surfaces, e.g.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6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6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 F16D65/6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3/00Multiple operation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8Self-amplifying or de-amplifying mechanisms
    • F16D2127/10Self-amplifying or de-amplifying mechanisms having wed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제동면(4a)을 가진 로터(4)와, 캘리퍼와, 제동면(4a)에 대향하여 배치된 아우터 패드 및 이너 패드(43)와, 양 패드를 제동면(4a)에 압압하는 작동을 행하게 하는 제동 작동 기구를 갖는다. 제동 작동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35)와, 이너 패드(43)를 유지하는 쐐기 플레이트(37)와, 베이스 플레이트(35)에 대하여 쐐기 플레이트(37)를 제동면(4a)에 평행인 로터(4)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제동면(4a)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운동 변환 기구와,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전동 모터 유닛(24)과, 전동 모터 유닛(24)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쐐기 플레이트(37)를 제동면(4a)에 평행인 로터(4)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운동 변환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DISK BRAKE DEVICE}
[0001]본 발명은 차량 등에 사용되어 마찰에 의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차량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고,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밟는 조작에 따라 휠과 동시에 회전하는 로터에 패드를 압압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로터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유압력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로터에 대하여 패드를 압압하는 타입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나, 유압력 대용으로 압축 공기를 이용하고 레버를 작동시키는 타입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0003] 예를 들면 유압력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의 경우,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조작력을 증폭시키는 배력 장치나, 배력 장치에 의하여 증폭된 조작력을 액압으로 변환하는 마스터 실린더 등의 장치가 필요해져 장치 구성이 복잡하게 되기 쉬웠다. 그래서 최근에는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조작에 따라 전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키고, 이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로터에 패드를 압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타입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을 참조). 이 특허 문헌1과 같은 구성을 이용하면, 배력 장치나 마스터 실린더 등을 줄이고 심플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0004] 일본 특허공표 2008-516169호 공보
[0005] 그런데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로터에 패드를 압압하는 압압력(押壓力)으로 변환하기 위한 운동 변환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충분히 큰 압압력으로 패드를 압압하려면 이 운동 변환 기구가 대형화 되기 쉽고, 그것에 따라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의 주변에 설치된 다른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가 압박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0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 모터를 이용한 구성이지만 컴팩트하면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7]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제동 대상인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반(円盤, disk) 모양의 제동면을 가진 로터; 상기 로터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치된 캘리퍼(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캘리퍼 어셈블리(10)); 상기 로터의 제동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마찰 패드(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아우터 패드(outer pad, 41), 이너 패드(inner pad, 43)); 상기 캘리퍼에 장착되어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제동면에 압압하는(pressing) 작동을 행하게 하는 제동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 작동 기구는, 상기 캘리퍼에 장착된 베이스 부재(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35))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마찰 패드를 유지하는 슬라이드 부재(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쐐기 플레이트(37))와,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동면에 평행인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동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운동 변환 기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어 전력을 받아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전동 모터 유닛과,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동면에 평행인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운동 변환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 및 이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제1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상기 제동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제동면에 압압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0008]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제동 조작을 수행하도록 된 제동 조작 수단(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92))과, 상기 제동 조작 수단이 수행하는 제동 조작에 의한 제동력 요구치를 검출하는 제동력 요구치 검출 수단(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답력(踏力=밟는힘, stepping force) 검출 센서(92a))과,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제동면에 압압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을 검출하는 제동력 검출 수단(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31))과,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모터 구동 제어 유닛(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91))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구동 제어 유닛은, 상기 제동력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제동력이 상기 제동력 요구치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제동력 요구치에 대응한 값을 갖도록,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9] 또한,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회전 방향 검출 수단(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방향 검출 센서(93))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구동 제어 유닛은,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제1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동면에 꽉 눌리도록,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 상기 제1 운동 변환 기구는, 상기 제동면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서로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표면 각각에 형성되되, 각각은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편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 V자 모양의 복수 쌍의 쐐기 홈; 서로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복수 쌍의 상기 쐐기 홈 내에 협지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롤러; 상기 복수 개의 롤러의 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기 복수 개의 롤러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는 롤러 유지 부재(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지(45)); 및 상기 롤러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복수 쌍의 상기 쐐기 홈 사이에 협지되어 유지되는 상기 롤러를 상기 쐐기 홈 사이에 협지되어 유지되는 방향으로(협지 방향으로) 압압력을 부여하는 쐐기 바이어싱 부재(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39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1] 상기 제2 운동 변환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고 설치된 캠 부재 또는 인벌류트 형상의 피니언 이 부재(pinion teeth member);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캠 부재 또는 피니언 이 부재와 맞물리는 래크 이(rack teeth)(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래크측 맞닿음면(rack-side abutment surface, 37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전동 모터 유닛에 의하여 상기 캠 부재 또는 피니언 이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래크 이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2] 또한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동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기구(adjustment mechanism,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기 본체부(32), 조절기 통상체(adjustor tubular body, 33), 조절용 구동 기어(38))를 통해서 상기 캘리퍼에 장착되고, 상기 마찰 패드의 마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제동면과 상기 마찰 패드 간의 간극의 증가는 상기 조절기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제동면에 더 근접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 가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3]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는,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제동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운동 변환 기구와, 전동 모터 유닛과,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운동 변환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 결과, 제2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하여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력을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변환한 다음, 또한 제1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동면에 마찰 패드를 압압하기 위한 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제2 운동 변환 기구 및 제1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하여 증폭된 제동력을 제동면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이용하여 로터에 마찰 패드를 압압하는 구성이면서, 컴팩트하면서도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0014]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 검출된 실제의 제동력이 제동력 요구치에 대응하는 값으로 되도록 모터 구동 제어 유닛이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의도한 제동력을 정확하게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5]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 마찰 패드가 제1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하여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제동면에 꽉 눌리도록, 모터 구동 제어 유닛이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방향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로터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제동면에 꽉 눌리는 구성으로 한 경우, 로터와 마찰 패드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마찰 패드가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압압력이 자동적으로 증폭된다. 그 때문에, 마찰력에 의한 마찰 패드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압압력을 자동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큰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0016]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 제1 운동 변환 기구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된 V자 모양의 쐐기 홈과, 이 쐐기 홈 내에 협지된 롤러와, 그 쐐기 홈 내에 롤러를 협지한 상태에서 협지 방향으로 압압력을 부여하는 쐐기 바이어싱 부재(wedge biasing memb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단지 쐐기 홈에 롤러를 끼워 넣어 협지한다는 간단한 구성이면서, 압압력을 자동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7]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 제2 운동 변환 기구가, 전동 모터 유닛의 출력 회전축에 설치된 캠 부재 혹은 피니언 이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고 캠 부재 혹은 피니언 이 부재와 맞물리는 래크 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있어, 캠 부재 혹은 피니언 이 부재를 인벌류트 형상으로 함으로써 래크 이와의 사이의 미끄럼을 절감할 수 있고,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출력을 효율 좋게(전달 손실이 적게)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8] 상술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 베이스 부재가 조절기구를 통해 제동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마찰 패드가 마모하여 제동면과 마찰 패드 사이의 간극이 증가하여도 이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그 간극을 좁히도록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면과 마찰 패드와의 간극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0019]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있어서 Ⅱ-Ⅱ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패드 및 쐐기 플레이트 부분(케이지 및 바이어싱 유닛을 생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패드 및 쐐기 플레이트 부분(케이지 및 바이어싱 유닛을 포함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패드 및 쐐기 플레이트 부분(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쐐기 플레이트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이너 유닛 부분을 확대한 도면에 제어 구성을 추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쐐기 플레이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전동 모터의 제어에 관한 플로차트이다.
[0020]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일례로서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의 사시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차량의 좌우 외측을 아우터 측(an outer side), 이것과는 반대로 차량의 좌우 내측을 이너 측(an inner side)이라고 칭한다.
[0021]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것처럼 이너 측의 이너 공간(11a) 안에 이너 유닛(20)을 수용함과 동시에, 아우터 측의 개구부(12a)에 이너 패드(43) 및 아우터 패드(41)를 수용하여 구성된 캘리퍼 어셈블리(10)가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로터(4)의 단부를 양측에서 끼우도록 배치된다. 캘리퍼 어셈블리(10)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 핀(9)에 의하여 로터(4)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캐리어(6)에 장착되고, 이 캐리어(6)는 차축(2)에 고정된 서포트 플레이트(5)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0022] 이너 유닛(20)은 도2에 나타낸 것처럼 전동 모터 유닛(24), 전동 모터 유닛(24)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조절 유닛(30), 전동 모터 유닛(24)의 아우터 측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5), 베이스 플레이트(35)에 대향하여 설치된 쐐기 플레이트(37), 베이스 플레이트(35)와 쐐기 플레이트(37)의 사이에 협지된 원기둥 형상의 롤러(36), 이 롤러(36)를 유지하는 케이지(45), 그리고 쐐기 플레이트(37)를 베이스 플레이트(35)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유닛(39)(도 4 ~ 도 6을 참조)을 포함한다.
[0023] 전동 모터 유닛(24)은 전력 공급을 받아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전동 모터(25), 이 전동 모터(25)의 출력축에 장착된 캠 부재(27) 그리고 전동 모터(25)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각 센서(28)를 포함한다. 캠 부재(27)는 도3에 나타낸 것처럼 전동 모터(25)의 출력축에 장착된 본체부(27a)와, 이 본체부(27a)에 연결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양 측면에 예를 들면 인벌류트 형상의 캠측 맞닿음면(cam-side abutment surfaces, 27b)이 형성된 맞물림 이(engaging teeth, 27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동 모터 유닛(24)은 전동 모터(25)의 구동축이 제동면(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5)에 장착되어 있다.
[0024] 조절 유닛(30)은 도2 및 도7에 나타낸 것처럼 센서(31), 조절기 본체부(32), 조절기 통상체(an adjustor tubular body, 33) 및 조절용 구동 기어(38)를 포함한다. 센서(31)는 도7에 나타낸 것처럼 제동면(4a)에 대하여 이너 패드(43)가 꽉 눌릴 때의 압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조절기 통상체(33)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 모양의 통측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통부(33a)와, 이 통부(33a)의 이너측 단부에 형성된 조정용 종동 기어(33b)를 포함한다. 조절기 본체부(32)의 외주면에는 통부(33a)에 형성된 통측 나사와 맞물린 나선 모양의 본체측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통측 나사와 본체측 나사가 맞물려 조절기 통상체(33)가 조절기 본체부(32)에 장착되어 있다. 조절용 구동 기어(38)는 양 조절 유닛(30)의 조정용 종동 기어(33b)와 맞물린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절 유닛(30)에 의하여, 브레이크 조작이 행해질 때마다 로터(4)의 제동면(4a)과 이너 패드(43) 간의 간극이 소정 간격이 되도록 조정된다.
[0025] 베이스 플레이트(35)는 도6에 나타나듯이 쐐기 플레이트(37)에 대향하는 면에 롤러(36)를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V자형 단면형상의 쐐기 홈(35a)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쐐기 플레이트(37)는 도4 및 도6에 나타나듯이 대략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5)에 대향하는 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5)의 쐐기 홈(35a)에 대응한 위치에 롤러(36)를 끼워넣어 유지하기 위한 V자형 단면형상의 쐐기 홈(37a)이 2개 형성되어 있다.
[0026] 쐐기 플레이트(37)의 중앙 부분에는, 도3에 나타낸 것처럼, 제동면(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캠 부재(27)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3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공간(37b)의 상부의 본체부(27a)의 측방에 위치한 부분에는, 쐐기 플레이트(37)가 측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본체부(27a)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요부(37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 공간(37b)의 하부에는 캠 부재(27)의 캠측 맞닿음면(27b)과 맞닿는 래크측 맞닿음면(37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동 모터(25)가 회전 구동되어 캠 부재(27)가 회전하면, 쐐기 플레이트(37)가 캠 부재(27)의 회전 방향으로 압박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5)에 대향한 상태 그대로 캠 부재(27)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래크측 맞닿음면(37d)의 측방에는 한 쌍의 나사 구멍(37e)이 형성되어 있다.
[0027] 케이지(45)는 도4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베이스부(45a)에 대하여 롤러(36)를 수용시켜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롤러 유지부(45b)와, 중앙 부분에 위치 결정용 개구부(45c)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롤러(36)는 이 롤러 유지부(45b)에 수용됨으로써 상하, 로터(4)의 회전 방향 및 제동면(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위치 결정용 개구부(45c)는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39a)에 대응시켜서 개구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부재(39a)는 이 위치 결정용 개구부(45c)에 끼워져 가이드 된 상태에서 앞뒤로 슬라이드 되게 되어 있다.
[0028] 바이어싱 유닛(39)은 도 4∼ 도 6에 나타냈듯이 쐐기 플레이트(37)에 장착된 베이스 부재(39a)와, 이 베이스 부재(39a)에 장착된 지지축(39c)과, 스프링(39d)과, 스프링 누름부(39e)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39a)에는 한 쌍의 나사 삽입 구멍(39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 삽입 구멍(39b)에 삽입된 체결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쐐기 플레이트(37)의 나사 구멍(37e)에 체결함으로써, 베이스 부재(39a)가 쐐기 플레이트(37)에 장착된다. 스프링(39d)은 지지축(39c)에 삽입되어 수축된 상태에서 스프링 누름부(39e)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39d)에 의한 이너 측으로의 바이어싱 힘이 항상 쐐기 플레이트(37)에 작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바이어싱 유닛(39)에 의하여, 롤러(36)는 이너 측으로 바이어싱 된 쐐기 플레이트(37)(쐐기 홈(37a))와 베이스 플레이트(35)(쐐기 홈(35a))에 의하여 협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0029] 아우터 패드(41)(마찰 부재로도 불림)에는 아우터 측에 슈 플레이트(shoe plate, 42)가 고정되어 있고, 이너 패드(43)(마찰부재로도 불림)에는 이너 측에 슈 플레이트(44)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패드(41)에 슈 플레이트(42)(이너 패드(43)에 슈 플레이트(44))를 고정한 것을 패드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0030]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는 제동면(4a)에 꽉 눌림으로써 압압력에 따른 마찰력을 발생시켜 로터(4)(제동면(4a))에 대하여 로터(4)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동력을 작용시킨다. 아우터 패드(41)는 슈 플레이트(42)와 일체가 되어 캘리퍼 어셈블리(10)의 아우터 부분에 형성된 브리지부(12c)와 로터(4)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이너 패드(43)는 슈 플레이트(44)와 일체가 되어, 쐐기 플레이트(37)와 로터(4)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0031]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차량에는 전동 모터(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1)가 마련되어 있고, 이 컨트롤러(91)에는 센서(31)로 검출되는 제동면(4a)에 대하여 이너 패드(43)가 꽉 눌릴 때의 압압력과, 회전각 센서(28)로 검출되는 전동 모터(25)의 회전각이 입력된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조작을 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92)이 마련되어 있고, 이 브레이크 페달(92)에는 브레이크 페달(92)에 대한 답력(브레이크 조작력)을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답력 검출 센서(92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답력 검출 센서(92a)로 검출되는 전기 신호는 컨트롤러(91)로 출력된다. 또한, 컨트롤러(91)에는 답력 검출 센서(92a)로 검출된 브레이크 조작력과, 그 브레이크 조작력에 대응한 이너 패드(43)의 압압력이 미리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0032] 또한, 차량에는 로터(4)의 회전 방향(전진 방향(f) 또는 후진 방향(r))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 방향 검출 센서(93)가 마련되어 있고, 이 회전 방향 검출 센서(93)로 얻어진 검출 결과는 컨트롤러(91)에 출력된다.
[0033] 그런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가 반복하여 로터(4)의 제동면(4a)에 꽉 눌려 마모되면,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와 제동면(4a) 간의 간극이 그 마모된 만큼 커진다. 그렇게 되면, 브레이크 페달(92)이 밟힌 시점부터 실제로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가 제동면(4a)을 꽉 누르기까지의 시간차가 커져 브레이크 조작의 응답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의 마모에 의하여 간극이 커진 경우에는, 조절용 구동 기어(38)가 자동적으로 회전 구동되어,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와 제동면(4a) 간의 간극이 소정 간격이 되도록 좁혀지는 조정이 행해져 브레이크 조작의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4] 여기까지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의 전체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의 작동에 관하여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서 도9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차량이 전진 주행 또는 후진 주행하면서 브레이크 페달(92)에 대하여 밟는 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92)이 밟는 조작이 된 경우의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0035] 먼저, 도9에 나타낸 단계 S110에 있어서 회전 방향 검출 센서(93)로 검출된 로터(4)의 회전 방향(전진 방향(f) 또는 후진 방향(r))이 컨트롤러(91)에 입력된다. 다음에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답력 검출 센서(92a)로 검출된 브레이크 페달(92)에 대한 브레이크 조작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컨트롤러(91)에 입력된다. 계속해서 단계 S130로 나아가서, 센서(31)로 검출된 제동면(4a)에 대한 이너 패드(43)의 압압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컨트롤러(91)에 입력된다.
[0036] 후속 단계 S140에서, 컨트롤러(91)는 단계 S110에서 입력된 로터(4)의 회전 방향이 전진 방향(f)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판정의 결과 로터(4)의 회전 방향이 전진 방향(f)인 경우에는 전진 방향(f)을 향하여 쐐기 플레이트(3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전동 모터(25)에 대하여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51).
[0037] 이 구동 신호가 입력되어 전동 모터(25)가 회전 구동되고, 전동 모터(25)의 회전 구동력이 감속되어 캠 부재(27)에 전달되어 캠 부재(27)가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캠 부재(27)의 캠측 맞닿음면(27b)이 쐐기 플레이트(37)의 래크측 맞닿음면(37d)을 압박하여 캠 부재(27)의 회전 방향(이 경우는 전진 방향(f))으로 쐐기 플레이트(37)가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전동 모터(25)의 회전각은 전동 모터(25)에 인접하여 설치된 회전각 센서(28)에 의하여 검출되어 컨트롤러(91)에 입력된다.
[0038] 이처럼,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된 캠측 맞닿음면(27b)을 래크측 맞닿음면(37d)에 접합시켜 쐐기 플레이트(3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캠 부재(27)가 회전 구동될 때에 캠측 맞닿음면(27b)과 래크측 맞닿음면(37d)의 사이에 생기는 미끄럼을 억제하여, 캠 부재(27)의 회전 구동력을 효율 좋게 쐐기 플레이트(37)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0039] 도 7에는 이와 같이 하여 쐐기 플레이트(37)가 전진 방향(f)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슈 플레이트(44) 및 이너 패드(43)가 일체가 되어 전진 방향(f)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2점 쇄선으로 쐐기 플레이트(37f), 슈 플레이트(44f) 및 이너 패드(43f)로서 도시되어 있다.
[0040] 또한, 도8에는 전진 방향(f)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쐐기 플레이트(37f), 슈 플레이트(44f) 및 이너 패드(43f)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쐐기 플레이트(37)가 전진 방향(f)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V자 모양의 쐐기 홈(37a) 안에서 후진 방향 측의 경사면에 대하여 롤러(36)가 꽉 눌리고, 롤러(36)에 대하여 쐐기 플레이트(37)(쐐기 플레이트(37)와 일체가 된 슈 플레이트(44) 및 이너 패드(43))가 이 경사면의 경사에 연(沿)하도록 상대적으로 아우터 측(제동면(4a) 측)으로 압출된다.
[0041] 한편, 단계 S140에서는 판정의 결과 로터(4)의 회전 방향이 후진 방향(r)인 경우에는, 후진 방향(r)을 향하여 쐐기 플레이트(3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컨트롤러(91)로부터 전동 모터(25)에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152). 그렇게 함으로써 캠 부재(27)의 캠측 맞닿음면(27b)이 쐐기 플레이트(37)의 래크측 맞닿음면(37d)을 압박하고, 캠 부재(27)의 회전 방향(이 경우는 후진 방향(r))으로 쐐기 플레이트(37)가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 7에는, 이와 같이 하여 쐐기 플레이트(37)가 후진 방향(r)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의 쐐기 플레이트(37), 슈 플레이트(44) 및 이너 패드(43)의 위치를 각각 점선으로 쐐기 플레이트(37r), 슈 플레이트(44r) 및 이너 패드(43r)로서 나타내고 있다.
[0042]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캠 부재(27)의 회전 각도에 따라 쐐기 플레이트(37)가 전진 방향(f) 또는 후진 방향(r)으로 슬라이드 이동됨과 동시에 제동면(4a)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되면, 어느 시점에서 이너 패드(43)가 제동면(4a)에 꽉 눌린다. 그 결과, 제동면(4a)으로부터 이너 패드(43)에 작용하는 반력(反力)이 슈 플레이트(44), 쐐기 플레이트(37), 롤러(36), 베이스 플레이트(35) 및 조절 유닛(30)을 통하여 캘리퍼 어셈블리(10)에 작용하여 캘리퍼 어셈블리(10)가 이너 측으로 압박된다.
[0043] 캘리퍼 어셈블리(10)가 이너 측으로 압박되면, 슬라이드 핀(9)에 의해 캐리어(6)에 대하여 캘리퍼 어셈블리(10)가 이너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 결과, 아우터 측에 형성된 브리지부(12c)에 의하여 슈 플레이트(42) 및 아우터 패드(41)가 일체적으로 이너 측에 압박되어 아우터 패드(41)가 제동면(4a)에 꽉 눌린다. 이와 같이,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 각각을 제동면(4a)에 압압하고 로터(4)를 협지함으로써, 로터(4)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44] 이 때,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35), 롤러(36), 쐐기 플레이트(37)에 의하여 제동면(4a)에 이너 패드(43)를 압압하는 압압력이 자동적으로 증폭되는(자기 배력(自己倍力)을 발생시킨다)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관하여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동면(4a)과 이너 패드(43) 간의 마찰 계수를 μ로 하여 설명한다.
[0045]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제동면(4a)에 대하여 이너 패드(43)가 압압력 F로 꽉 눌리는 경우, 이너 패드(43)에는 전진 방향(f)으로 F×μ의 마찰력이 작용한다. 이 때, 이너 패드(43)와 일체를 이루는 쐐기 플레이트(37)에도 이 마찰력 F×μ가 작용함과 동시에, 쐐기 플레이트(37)에 형성된 쐐기 홈(37a)과 롤러(36)와의 맞닿음 부분에 마찰력 F×μ가 작용한다. 이 맞닿음 부분에서는, 마찰력 F×μ의 경우 제동면(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분력의 반력이 제동면(4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 F'으로서 쐐기 플레이트(37)에 작용하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이너 패드(43)는 원래의 압압력F에 이 반력 F'를 더한 압압력으로 제동면(4a)에 꽉 눌리고, 이들을 합한 압압력(F+F')에 대응하는 마찰력 (F+F')×μ 가 이너 패드(43)에 작용하게 된다.
[0046] 이너 패드(43)에 대하여 전진 방향(f)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이 F×μ에서 (F+F')×μ 로 증폭되면, 그에 따라 이너 패드(43), 슈 플레이트(44) 및 쐐기 플레이트(37)가 전진 방향(f)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쐐기 플레이트(37)는 롤러(36)로부터 또한 큰 반력을 받게 되고, 이에 의해 이너 패드(43) 또한 큰 압압력으로 제동면(4a)에 꽉 눌린다. 이와 같이, 마찰력에 의하여 이너 패드(43)가 전진 방향(f)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과, 더 큰 압압력으로 이너 패드(43)가 제동면(4a)에 꽉 눌리는 작동이 반복됨으로써, 제동면(4a)에 대한 이너 패드(43)의 압압력이 자동적으로 증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47] 이처럼, 베이스 플레이트(35), 롤러(36) 및 쐐기 플레이트(37)를 이용하고 자기 배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쐐기 기구)을 취함으로써, 비교적 소형의 전동 모터(25)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충분히 큰 압압력으로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를 제동면(4a)에 압압하여 로터(4)에 충분한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비교적 소형의 전동 모터(25)를 이용하고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휠 주변에 설치된 다른 구성 부품의 설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0048] 또한, 자기 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1)에서는, 단계 S151 또는 단계 S152에 있어서, 로터(4)의 회전 방향으로 향하여 쐐기 플레이트(3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전동 모터(25)의 회전 구동이 행해진다.
[0049] 계속하여 단계 S160으로 나아가, 이와 같이 하여 로터(4)에 제동력이 작용할 때, 컨트롤러(91)에서는 센서(31)로 검출된 이너 패드(43)의 압압력이 답력 검출 센서(92a)로 검출된 브레이크 조작력에 대응하는 압압력보다도 큰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
[0050] 단계 S160에서, 검출된 압압력이 검출된 브레이크 조작력에 대응한 압압력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71로 나아가서 압압력을 약하게 하는 방향으로 쐐기 플레이트(37)를 이동(이너 측으로 쐐기 플레이트(37)를 이동)시키도록 컨트롤러(91)에서 전동 모터(25)로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
[0051] 한편, 검출된 압압력이 검출된 브레이크 조작력에 대응된 압압력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72에 나아가서 압압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쐐기 플레이트(37)를 이동(아우터 측으로 쐐기 플레이트(37)를 이동)시키도록 컨트롤러(91)에서 전동 모터(25)로 구동 신호가 출력된다.
[0052] 이와 같이 압압력을 피드백시켜 단계 S160, S171 및 S172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92)에 가해진 브레이크 조작력에 대응하는 압압력으로 제동면(4a)에 이너 패드(43)를 압압하도록 전동 모터(25)의 회전 구동 제어가 행해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의도하는 제동력을 로터(4)에 작용시켜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다.
[0053]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2쌍의 쐐기 홈(35a), (37c)에 2개의 롤러(36)를 협지시킨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런 구성예로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베이스 플레이트(35)에 대향한 상태에서 쐐기 플레이트(37)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이면 되고, 예를 들면 쐐기 플레이트(37)의 크기 등에 따라 쐐기 홈(35a), (37c) 쌍의 수를 설정 가능하다.
[0054]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센서(31)를 이용하여 이너 패드(43)의 압압력을 검출하고, 이 압압력을 피드백시켜 전동 모터(25)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구성례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례로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너 패드(43)의 압압력을 검출하는 대신에 제동면(4a)에 이너 패드(43)를 압압함으로써 생기는 브레이크 토오크를 검출하여 피드백하거나 또는 차량의 감속도(減速度)를 검출하여 피드백하는 것으로 전동 모터(25)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구성도 좋다.
[0055]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맞물림 이(27c)를 가진 캠 부재(27) 및 이 단일의 맞물림 이(27c)와 맞물리는 단일의 래크를 구비한 삽입 공간(37b)이 형성된 쐐기 플레이트(37)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맞물림 이를 가진 캠 부재, 및 이 복수 개의 맞물림 이와 동시에 맞물리는 복수 개의 래크를 구비하는 캠 삽입공간이 형성된 쐐기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구성도 좋다. 또한, 본체부(27a)와 맞물림 이(27c)로 구성된 캠 부재(27)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런 구성의 캠 부재(27)를 대신하여, 전동 모터(25)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이를 구비하여 형성된 피니언 이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0056]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패드(41) 및 이너 패드(43)와 제동면(4a) 간의 간극에 따라 조절용 구동 기어(38)가 자동적으로 회전 구동되어 이 간극이 조정되는 구성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구성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조절용 구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조절용의 전동 모터를 별도 설치하여 이 조절용의 전동 모터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함으로써 패드와 제동면 간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1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4   로터
4a  제동 면
10  캘리퍼 어셈블리(캘리퍼)
24  전동 모터 유닛
27  캠 부재, 피니언 이 부재
31  센서(제동력 검출 수단)
32  조절기 본체부(조절기구)
33  조절기 통상체(筒狀體)(조절기구)
35  베이스 플레이트(베이스 부재)
35a 쐐기 홈
36  롤러
37  쐐기 플레이트(슬라이드 부재)
37a 쐐기 홈
37d 래크측 맞닿음면(래크 이)
38  조절용 구동 기어(조절기구)
39d 스프링(쐐기 바이어싱 부재)
41  아우터 패드(마찰 패드)
43  이너 패드(마찰 패드)
45  케이지(롤러 유지 부재)
91  컨트롤러(모터 구동 제어 유닛)
92  브레이크 페달(제동 조작 수단)
92a 답력 검출 센서(제동력 요구치 검출 수단)
93  회전 방향 검출 센서(회전 방향 검출 수단)

Claims (6)

  1. 제동 대상인 회전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반(円盤, disk) 모양의 제동면을 가진 로터;
    상기 로터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치된 캘리퍼;
    상기 로터의 제동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마찰 패드; 및
    상기 캘리퍼에 장착되어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제동면에 압압하는(pressing) 작동을 행하게 하는 제동 작동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동 작동 기구는, 상기 캘리퍼에 장착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마찰 패드를 유지하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동면에 평행인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운동을 상기 제동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1 운동 변환 기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어 전력을 받아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전동 모터 유닛과,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운동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제동면에 평행인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2 운동 변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운동 변환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어 설치된 캠 부재 또는 인벌류트 형상의 피니언 이 부재(pinion teeth member);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캠 부재 또는 상기 피니언 이 부재와 맞물리는 래크 이(rack teeth)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모터 유닛에 의하여 상기 캠 부재 또는 상기 피니언 이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래크 이를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운동을 상기 제1운동 변환기구에 의하여 변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마찰패드를 상기 제동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마찰패드를 상기 제동면에 압압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래크 이를 형성하기 위한 래크 형성공간이 상기 제동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부재 또는 상기 피니언 이 부재는 상기 래크 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래크 형성공간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동 조작을 수행하도록 된 제동 조작 수단;
    상기 제동 조작 수단이 수행하는 제동 조작에 의한 제동력 요구치를 검출하는 제동력 요구치 검출 수단;
    상기 마찰 패드를 상기 제동면에 압압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을 검출하는 제동력 검출 수단; 및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모터 구동 제어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구동 제어 유닛은, 상기 제동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제동력이 상기 제동력 요구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제동력 요구치에 대응하는 값을 갖도록,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회전 방향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구동 제어 유닛은,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제1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동면에 꽉 눌리도록, 상기 전동 모터 유닛의 회전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동 변환 기구는,
    상기 제동면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서로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되, 각각이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편 서로 대향하게 형성된 V자 모양의 복수 쌍의 쐐기 홈;
    서로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복수 쌍의 쐐기 홈 내에 각각 협지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롤러;
    상기 복수 개의 롤러의 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기 복수 개의 롤러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는 롤러 유지 부재; 및
    상기 롤러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복수 쌍의 쐐기 홈 사이에 협지되어 유지되는 각각의 상기 롤러를 상기 쐐기 홈 사이에 협지되어 유지되는 방향으로(협지 방향으로) 압압력을 부여하는 쐐기 바이어싱 부재(wedge biasing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동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절기구를 통해 상기 캘리퍼에 장착되고,
    상기 마찰 패드의 마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제동면과 상기 마찰 패드 간의 간극의 증가는 상기 조절기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제동면에 더 근접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1020137030705A 2011-05-12 2012-05-02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101940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7678 2011-05-12
JP2011107678A JP2012237408A (ja) 2011-05-12 2011-05-12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PCT/JP2012/002970 WO2012153502A1 (ja) 2011-05-12 2012-05-02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507A KR20140026507A (ko) 2014-03-05
KR101940343B1 true KR101940343B1 (ko) 2019-01-18

Family

ID=4713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05A KR101940343B1 (ko) 2011-05-12 2012-05-02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83804A1 (ko)
EP (1) EP2708770A1 (ko)
JP (1) JP2012237408A (ko)
KR (1) KR101940343B1 (ko)
CN (1) CN103518074A (ko)
WO (1) WO2012153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1384A1 (en) * 2012-07-05 2015-05-13 TBK Co., Ltd. Disc brake device
CN104863999A (zh) * 2014-02-21 2015-08-26 廖志贤 电子式驻车卡钳
CN107810343B (zh) * 2015-04-27 2020-07-03 福乐尼·乐姆宝公开有限公司 电磁操作的制动钳的锁定设备、包括所述钳的制动钳、操作所述钳的方法
WO2018042673A1 (ja) * 2016-09-05 2018-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レーキ
CN109163031B (zh) * 2018-09-26 2024-01-02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amt中间轴制动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5325A (ja) 2001-05-21 2004-08-19 イーストップ・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ゼロバックラッシュ作動する電気機械式ブレーキ
US20050247527A1 (en) * 2002-02-21 2005-11-10 Severinsson Lars Mattis Disc brake
JP2009168239A (ja) * 2008-01-21 2009-07-30 Akebono Brake Ind Co Ltd 自己倍力可変式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6542C2 (nl) * 1997-07-10 1999-01-12 Skf Ind Trading & Dev Remklauw met slijtagecompensatie.
SE0200495D0 (en) * 2002-02-21 2002-02-21 Haldex Brake Prod Ab A disc brake
DE10328244A1 (de) * 2003-06-24 2005-01-13 Robert Bosch Gmbh Scheibenbremse mit Selbstverstärkung
DE102005030621A1 (de) * 2004-10-13 2006-04-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 selbstverstärkender Bauart und Ansteuerverfahren für eine selbstverstärkende Bremse
CN101065596B (zh) * 2004-10-13 2010-09-22 克诺尔商用车制动系统有限公司 按自行增力的结构形式的盘式制动器
DE102005030618A1 (de) * 2004-10-13 2006-04-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 selbstverstärkender Bauart und Ansteuerverfahren für eine selbstverstärkende Bremse
DE102006001133A1 (de) * 2006-01-09 2007-07-12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 Reibungsbremse
JP4959438B2 (ja) * 2007-06-21 2012-06-20 日信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897941B1 (ko) * 2007-09-12 2009-05-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보조력 생성 타입 단일 모터 전자 웨지브레이크 시스템
KR100897942B1 (ko) * 2007-09-17 2009-05-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차 제동력 고정 타입 단일 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시스템
DE102007055637A1 (de) * 2007-11-21 2009-05-28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 Reibungsbremse
KR101098144B1 (ko) * 2008-12-11 2011-1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 제동 기능을 갖춘 제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5325A (ja) 2001-05-21 2004-08-19 イーストップ・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ゼロバックラッシュ作動する電気機械式ブレーキ
US20050247527A1 (en) * 2002-02-21 2005-11-10 Severinsson Lars Mattis Disc brake
JP2009168239A (ja) * 2008-01-21 2009-07-30 Akebono Brake Ind Co Ltd 自己倍力可変式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3804A1 (en) 2014-03-27
WO2012153502A1 (ja) 2012-11-15
KR20140026507A (ko) 2014-03-05
JP2012237408A (ja) 2012-12-06
CN103518074A (zh) 2014-01-15
EP2708770A1 (en)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343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101836628B1 (ko) 전동식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404858B2 (ja) 自己倍力式の電気機械式車両ブレーキ
WO2014058015A1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561452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90050122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060733A (ko) 볼 스크루 타입 전동식 브레이크
WO2014006657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WO2014006658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WO2014006659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01208367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201302911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0104590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4891164B2 (ja) サーボ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1343038A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197471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제어를 위한 웨지 기준위치인식 방법
KR101045911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200418369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10125124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40947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1197473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웨지위치 인식 방법
KR20100023665A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
JP2013015210A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120125679A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090006968A (ko) 솔레노이드와 모터 연동을 통한 부가 기능 구현 타입 단일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