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944B1 -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944B1
KR101939944B1 KR1020180052163A KR20180052163A KR101939944B1 KR 101939944 B1 KR101939944 B1 KR 101939944B1 KR 1020180052163 A KR1020180052163 A KR 1020180052163A KR 20180052163 A KR20180052163 A KR 20180052163A KR 101939944 B1 KR101939944 B1 KR 101939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yer
dressing material
chitosan
hemosta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학
Original Assignee
이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학 filed Critical 이근학
Priority to KR102018005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 A61F13/00008
    • A61F13/00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4Radio-opaqu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72Plasters use haemostatic with chem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8Agents promoting blood coagulation, blood-clotting agents, embolising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산이 담지된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혈 드레싱재는 상처에 대한 압박 효과 및 혈액 흡수 효과와 함께 키토산의 혈액 응고 작용으로 인한 지혈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HEMOSTATIC DRESSING MEMB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키토산이 담지된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각한 출혈 상처에는 거즈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심각한 출혈 상처를 지혈시킬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외과 수술에서 지혈 붕대로 사용하는 콜라겐 드레싱의 경우에는 심각한 출혈의 지혈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충분한 접착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강도가 약하여 압력을 받거나 구부릴 경우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키토산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물질로서 게, 새우의 껍질과 오징어의 뼈, 곰팡이 및 세균 등의 미생물의 세포벽에 함유되어 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수득되는 화합물이다.
관련된 특허기술로 미국 등록특허 제4,532,134호(Method of achieving hemostasis, inhibiting fibroplasia, and promoting tissue regeneration in a tissue wound,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는 키토산 용액 또는 물에 용해된 키토산을 상처 조직에 접촉시켜 섬유증식증을 저해시키고, 조직 재생을 촉진시킨다고 설명하여 키토산의 지혈 효과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34346호(키토산계 미세다공성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는, 키토산계 고분자 및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시켜 미세다공성 폼으로 동결 건조시킨 키토산계 미세다공성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문헌 2의 경우는 제조방법상에서 적어도 두 가지의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해야 하고, 겔 조성물로 가교결합시키기 위해 방사선 조사 공정을 거쳐야 하며, 겔 조성물을 스펀지 형태로 동결건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고, 겔 조성의 폼 드레싱재이므로 드레싱재의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4,532,1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4346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혈 효과, 흡수성, 유연성 및 강도가 모두 우수한 지혈 드레싱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제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을 물에 담근 후 꺼내어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인 제3 기재층을 위치시킨 후, 이들을 합지하고, 압축건조하는 단계;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키토산 담지를 위한 직경이 0.01mm 내지 0.5mm인 다수의 홀 또는 홈을 롤러로 형성하여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레싱재를 10분 내지 240분 동안 키토산 수용액에 담그어서 키토산을 담지시키는 단계; 상기 키토산을 담지시킨 이후에, 50℃ 내지 85℃에서 드레싱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X선 조영 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200℃ 내지 250℃에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고, 겔 형태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드레싱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X선 조영 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200℃ 내지 250℃에서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끈 부재는 제1 기재층의 상면 또는 제2 기재층의 하면의 일부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X선 조영 물질은 황산바륨, 이미도트리조산, 아이옥시글산, 아이옥탈람산, 아이옥트로시트산, 아이오트롤산, 아이오파노산, 아이오파미돌, 아이오헥솔, 나트륨아이오포데이트, 아이오드아미드 및 아이오독삼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키토산을 담지시키는 단계 이전에,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하나 이상에 키토산 담지를 위한 다수의 홀 또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홀 또는 홈의 너비는 0.01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층의 중량비는 50:50 내지 75: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 각각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이고, 지혈 드레싱재의 두께는 0.3mm 내지 3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제1 기재층: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제3 기재층;을 포함하는 겔 형태가 아닌 드레싱재이고,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의 표면 또는 내부에 키토산을 담지하며,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하나 이상에 키토산 담지를 위한 직경이 0.01mm 내지 0.5mm인 다수의 홀 또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X선 조영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는 인장강도가 4N/mm2 이상이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흡수력이 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흡수력 = (30분 동안 물에 담근 후의 무게-초기 무게)/초기 무게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는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X선 조영 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에서 상기 끈 부재는 제1 기재층의 상면 또는 제2 기재층의 하면의 일부에 접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에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의 중량비는 50:50 내지 75: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서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두께는 0.3mm 내지 3mm 이고,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 각각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는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키토산 담지를 위한 다수의 홀 또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 또는 홈의 직경이 0.01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는 상처에 대한 압박 효과 및 혈액 흡수 효과와 함께 키토산의 혈액 응고 작용으로 인한 지혈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는 종래의 겔 형태의 드레싱재가 아니므로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장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중 (a)는 뇌 수술시에 종래의 드레싱재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을 물에 담근 후 꺼내어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크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인 제3 기재층을 위치시킨 후, 이들을 합지하고, 압축건조하는 단계;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키토산 담지를 위한 다수의 홀(hole) 또는 홈(groove)을 형성하여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레싱재를 10분 내지 240분 동안 키토산 수용액에 담그어서 키토산을 담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키토산을 담지시킨 이후에, 50℃ 내지 85℃에서 드레싱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이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이고, 제3 기재층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이 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이고, 제3 기재층이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이 면 섬유와 레이온 섬유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일 수도 있고, 면과 레이온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일 수도 있다. 이때, 제3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단독이거나, 나일론 섬유 단독이거나, 폴리아미드 섬유 단독이거나, 폴리아크릴 섬유 단독이거나, 이들 중 2 이상의 섬유가 혼합되거나, 2이상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부직포나 직물은 물에 30분 내지 6시간 정도 담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물에 1시간 이상, 3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담글 수 있다. 30분 미만으로 담그면 부직포나 직물이 충분히 불어나지 않아서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6시간을 초과하여 물에 담그는 경우 부직포나 직물이 너무 불어나서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적절히 분리하기가 어렵고 조각조각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분리하는 것은 물에 젖은 상태에서 분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홀(hole) 또는 홈(groove)을 형성하여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홀 또는 홈의 직경은 0.01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상기 홀이나 홈은 제1 기재층 및/또는 제2 기재층에 섬유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섬유 표면에 키토산을 골고루 코팅할 수 있게 하고, 그로 인해 더욱 효과적으로 드레싱재에 키토산을 담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싱재의 통기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고, 드레싱재의 유연성을 더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드레싱재를 1분 내지 240분 동안 키토산 수용액에 담그어서 키토산을 담지시키는 단계에서, 함침 시간은 더욱 구체적으로 3분 이상일 수 있고, 120분 이하, 60분 이하, 30분 이하일 수 있다. 함침 시간이 충분해야 키토산이 고르게 담지 또는 코팅될 수 있고, 지혈 효과가 더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 수용액은 수용액 내의 키토산 함량이 5% 내지 9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키토산을 담지시킨 이후에, 50℃ 내지 85℃에서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건조 온도는 더욱 구체적으로 60℃ 이상, 7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 시간은 30분 내지 12시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1시간 이상, 10시간 이하, 8시간 이하, 6시간 이하, 4시간 이하일 수 있다. 건조 온도가 50℃ 미만이거나, 건조 시간이 30분 이하이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을 수 있고, 건조 온도가 85℃를 초과하거나, 건조 시간이 12시간을 넘어가면 너무 과도하게 건조되어 지혈 드레싱재의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에서,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드레싱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X선 조영 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200℃ 내지 250℃에서 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에서 접합할 때, 접합력이 제일 우수하다.
상기 끈의 길이는 뇌수술이나 척추수술에서 사용하는 용도를 고려하여 15 cm 이상 30cm 이하 정도가 적절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끈의 소재는 합성사 또는 천연사로 만든 끈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끈 부재는 어느 한 끝 부분은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드레싱재의 표면 또는 내부에 접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끈 부재는 구체적으로 제1 기재층의 상면의 일부 또는 제2 기재층의 하면의 일부에 접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끈 부재는 상기 드레싱 부재의 내부에 접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재층과 제3 기재층의 사이에 접합될 수도 있고, 제3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접합될 수도 있다.
상기 X선 조영 물질은 황산바륨, 이미도트리조산, 아이옥시글산, 아이옥탈람산, 아이옥트로시트산, 아이오트롤산, 아이오파노산, 아이오파미돌, 아이오헥솔, 나트륨아이오포데이트, 아이오드아미드 및 아이오독삼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층의 중량비는 50:50 내지 75:25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의 중량보다 제3 기재층의 중량이 더 큰 경우에는 키토산 담지 효과가 떨어져서 충분한 지혈 효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층의 중량비가 75:25를 초과하여 제3 기재층의 중량이 25%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약해져서 드레싱재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 각각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이고, 지혈 드레싱재의 총 두께는 0.3mm 내지 3mm일 수 있다. 상기 드레싱재의 총 두께가 0.3mm 미만인 경우에는 수술시 충분한 압박 효과와 혈액 흡수 효과를 내지 못하게 될 수도 있고, 3mm 초과인 경우에는 키토산 담지 효과가 떨어져서 충분한 지혈 효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제1 기재층: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하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크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제3 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의 표면 또는 내부에 키토산을 담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는 인장강도가 4N/mm2 이상일 수 있고, 흡수력이 크면 클수록 좋다. 상기 인장강도는 건조시의 인장 강도일 수 있다. 인장 강도가 4N/mm2 이상이어야 수술시 충분한 압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처부위에 따라 접촉시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흡수력이 5 이상이고, 크면 클수록 좋다.
[수학식 1]
흡수력 = (30분 동안 물에 담근 후의 무게-초기 무게)/초기 무게
상기 물은 드레싱재가 충분히 잠길 정도의 충분한 양의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력이 5이상이어야 충분한 혈액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는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X선 조영 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끈의 길이는 뇌수술이나 척추수술에서 사용하는 용도를 고려하여 15 cm 이상 30cm 이하 정도가 적절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끈의 소재는 합성사 또는 천연사로 만든 끈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끈 부재는 어느 한 끝 부분은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드레싱재의 표면 또는 내부에 접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끈 부재는 구체적으로 제1 기재층의 상면의 일부 또는 제2 기재층의 하면의 일부에 접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끈 부재는 상기 드레싱 부재의 내부에 접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재층과 제3 기재층의 사이에 접합될 수도 있고, 제3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접합될 수도 있다.
상기 X선 조영 물질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 드레싱재는 X선 조영 등에 의해 체내에서의 존재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수술 후에 X선 촬영을 하는 등해 남겨진 드레싱재의 존재 유무 및 남겨진 드레싱재의 잔존 위치의 확인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에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의 중량비는 50:50 내지 75:25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의 중량보다 제3 기재층의 중량이 더 큰 경우에는 키토산 담지 효과가 떨어져서 충분한 지혈 효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층의 중량비가 75:25를 초과하여 제3 기재층의 중량이 25%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약해져서 드레싱재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에서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 각각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이고, 지혈 드레싱재의 총 두께는 0.3mm 내지 3mm일 수 있다. 상기 드레싱재의 총 두께가 0.3mm 미만인 경우에는 수술시 충분한 압박 효과와 혈액 흡수 효과를 내지 못하게 될 수도 있고, 3mm 초과인 경우에는 키토산 담지 효과가 떨어져서 충분한 지혈 효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는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된 키토산 담지를 위한 다수의 홀(hole) 또는 홈(groove)을 포함하고, 상기 홀 또는 홈의 너비가 0.01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상기 홀이나 홈은 제1 기재층 및/또는 제2 기재층에 섬유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섬유 표면에 키토산을 골고루 코팅할 수 있게 하고, 그로 인해 더욱 효과적으로 드레싱재에 키토산을 담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싱재의 통기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고, 드레싱재의 유연성을 더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크기는 세로 5 mm 내지 60mm, 가로 5mm 내지 100mm일 수 있고, 압박 성능, 지혈 성능, 흡습 성능, 유연성 및 강도가 우수하여 뇌 수술이나 척추 수술과 같이 미세한 부분에 대해 수술을 행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크기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따라서 적용 부위도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출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레이온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물에 2시간 담근 후 꺼내서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분리한 후 그 사이에 폴리에스테르를 투입시켜 제3 기재층을 위치시킨 후, 이들을 합지하고 압축 건조기로 압축 건조한 후 제1 기재층의 상면에 직경 0.01mm의 다수의 홀을 형성하여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의 중량비는 65:35였고,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두께는 0.25mm, 제3 기재층의 두께는 0.2mm였다. 상기 제조된 드레싱재를 5분 동안 10%의 키토산 수용액에 담그어서 키토산을 담지시킨 후 70℃의 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지혈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의 지혈 드레싱재에 20cm 길이의 황산바륨이 코팅된 끈 부재를 200℃의 열을 가하여 접합시켜서 지혈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인장강도 시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드레싱재를 가로 10mm, 세로 80mm의 크기로 자른 후 모델명 Instron/5569의 정적만능재료시험기에 고정한 후 100mm/min의 속도로 인장력을 가하여 파손될 때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강도는 4.6N/mm2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흡수력 시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드레싱재를 가로 40mm, 세로 40mm의 크기로 제작하여 페트리디쉬에 놓고 무게(W1)를 재었다. 그리고, 37±1℃의 증류수를 ±0.5g까지 측정하여 드레싱재 무게의 40배를 첨가하고, 37±1℃의 항온기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핀셋을 이용하여 30초간 매단 후 드레싱재의 무게(W2)를 재었다. 하기 수학식 1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흡수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흡수력은 5.5로 측정되었다.
[수학식 1]
흡수력 = (W2-W1)/W1
W1 : 초기 무게(g)
W2 : 30분 후의 드레싱재의 무게(g)
[실시예 3] 지혈 실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드레싱재를 가로 40mm, 세로 40mm의 크기로 제작하여 뇌 수술시 사용하였다. 종래의 드레싱재를 사용한 비교예를 도 5(a)에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드레싱재를 사용한 예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비교예의 드레싱재는 면 100%로 된 드레싱재이다. 도 5(a)의 경우 드레싱재가 혈액을 흡수하였음에도 불구하여 지혈이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 5(b)를 살펴보면, 지혈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지혈 드레싱재 100: 부직포
110: 제1 기재층 120: 제2 기재층
130: 제3 기재층 140: 홀
150: 끈 200: 물
310: 합지 320: 건조
400: 홀 형성 500: 키토산 수용액
600: 건조기

Claims (15)

  1.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을 물에 담근 후 꺼내어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나 직물인 제3 기재층을 위치시킨 후, 이들을 합지하고, 압축건조하는 단계;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키토산 담지를 위한 직경이 0.01mm 내지 0.5mm인 다수의 홀 또는 홈을 롤러로 형성하여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드레싱재를 10분 내지 240분 동안 키토산 수용액에 담그어서 키토산을 담지시키는 단계;
    상기 키토산을 담지시킨 이후에, 50℃ 내지 85℃에서 드레싱재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X선 조영 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200℃ 내지 250℃에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겔 형태가 아닌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끈 부재는 제1 기재층의 상면 또는 제2 기재층의 하면의 일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영 물질은 황산바륨, 이미도트리조산, 아이옥시글산, 아이옥탈람산, 아이옥트로시트산, 아이오트롤산, 아이오파노산, 아이오파미돌, 아이오헥솔, 나트륨아이오포데이트, 아이오드아미드 및 아이오독삼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층의 중량비는 50:50 내지 7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 각각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이고,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총 두께는 0.3mm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6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
  9.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제1 기재층:
    면, 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진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과 제2 기재층의 사이에 위치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제3 기재층;을 포함하는 겔 형태가 아닌 드레싱재이고,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의 표면 또는 내부에 키토산을 담지하며,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중 하나 이상에 키토산 담지를 위한 직경이 0.01mm 내지 0.5mm인 다수의 홀 또는 홈을 구비하고,
    지혈 드레싱재의 단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된 X선 조영물질이 포함된 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혈 드레싱재는
    인장강도가 4N/mm2 이상이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흡수력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
    [수학식 1]
    흡수력 = (30분 동안 물에 담근 후의 무게-초기 무게)/초기 무게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끈 부재는 제1 기재층의 상면 또는 제2 기재층의 하면의 일부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 : 제3 기재층의 중량비는 50:50 내지 7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혈 드레싱재의 총 두께는 0.3mm 내지 3mm이고,
    상기 제1 기재층 내지 제3 기재층 각각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드레싱재.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52163A 2018-05-04 2018-05-04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63A KR101939944B1 (ko) 2018-05-04 2018-05-04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63A KR101939944B1 (ko) 2018-05-04 2018-05-04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944B1 true KR101939944B1 (ko) 2019-04-11

Family

ID=6616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163A KR101939944B1 (ko) 2018-05-04 2018-05-04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9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134A (en) 1981-04-06 1985-07-30 Malette William Graham Method of achieving hemostasis, inhibiting fibroplasia, and promoting tissue regeneration in a tissue wound
KR950011474B1 (ko) * 1992-12-29 1995-10-05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서비스 교환기(SSP)의 No.7 신호방식의 문답처리기능응용부의 재시동 방법
KR20060134346A (ko) 2005-06-22 2006-12-28 한국원자력연구소 키토산계 미세다공성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9746A (ko) * 2008-05-02 2011-05-12 프로비던스 헬스 앤드 서비시즈, 오레곤 상처 드레싱 기구 및 방법
KR20160135293A (ko) * 2014-03-19 2016-11-25 메드트레이드 프로덕츠 리미티드 상처 처치제
KR101700107B1 (ko) * 2016-03-15 2017-01-26 주식회사 엔도비전 키토산 기반의 지혈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134A (en) 1981-04-06 1985-07-30 Malette William Graham Method of achieving hemostasis, inhibiting fibroplasia, and promoting tissue regeneration in a tissue wound
KR950011474B1 (ko) * 1992-12-29 1995-10-05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서비스 교환기(SSP)의 No.7 신호방식의 문답처리기능응용부의 재시동 방법
KR20060134346A (ko) 2005-06-22 2006-12-28 한국원자력연구소 키토산계 미세다공성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9746A (ko) * 2008-05-02 2011-05-12 프로비던스 헬스 앤드 서비시즈, 오레곤 상처 드레싱 기구 및 방법
KR20160135293A (ko) * 2014-03-19 2016-11-25 메드트레이드 프로덕츠 리미티드 상처 처치제
KR101700107B1 (ko) * 2016-03-15 2017-01-26 주식회사 엔도비전 키토산 기반의 지혈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9601B2 (en) Hemostatic devices
JP2641428B2 (ja) 微生物多糖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ES2388688T3 (es) Apositos y materiales adecuados para su utilización en los mismos
CA2677606C (en) Clay-based hemostatic agent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thereof
US9579411B2 (en) Hydrogel wound dressings exhibiting reduced fiber losses in use
JP2006110393A (ja) 外傷包帯
MX2010011297A (es) Material rapidamente humectable que contiene hidrocoloide, metodo para su produccion y tambien el uso del mismo.
KR20160135293A (ko) 상처 처치제
KR20190121630A (ko) 키토산 섬유성 스폰지 구조의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RU135921U1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е медицинское изделие
KR101939944B1 (ko) 지혈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RU280636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емоста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на основе хитозана
CN117481910A (zh) 一种纳米银抗菌创可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