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10B1 - 배터리 팩 보호를 위한 상호연결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보호를 위한 상호연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10B1
KR101938510B1 KR1020177025965A KR20177025965A KR101938510B1 KR 101938510 B1 KR101938510 B1 KR 101938510B1 KR 1020177025965 A KR1020177025965 A KR 1020177025965A KR 20177025965 A KR20177025965 A KR 20177025965A KR 101938510 B1 KR101938510 B1 KR 10193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rotection
bus bar
protection device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401A (ko
Inventor
베르너 졸러
지엔화 첸
Original Assignee
리텔퓨즈 인코퍼레이티드
리텔퓨즈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텔퓨즈 인코퍼레이티드, 리텔퓨즈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텔퓨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01M2/1061
    • H01M2/2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1Bi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각각이 포지티브 전극(25, 27), 네거티브 전극(29, 31), 및 에지(43)를 갖는 제1 배터리 셀(21) 및 제2 배터리 셀(23)이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이 인접하도록 정렬된, 배터리 팩(32)을 보호하는 방법.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의 에지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도전성 버스바(47)는 제1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을 제1 보호 디바이스에, 제2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을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보호 디바이스를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배터리 셀의 네거티브 전극을 제2 배터리 셀의 네거티브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보호를 위한 상호연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이 출원은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는 2015년 2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가 출원번호 62/126,44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발명은 배터리 팩 보호를 위한 상호연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또는 랩탑 컴퓨터 또는 태블렛과 같은 전자 장비는 랩탑 컴퓨터, 태블렛, 및 이외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적절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셀, 또는 다수의 셀을 내포하는 배터리 팩을 종종 포함한다. 리튬-이온 및 리튬-폴리머 배터리(총칭하여 "리튬-배터리")는 이들의 높은 에너지 밀도, 소형 폼팩터, 및 설계 유연성으로 인해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리튬-배터리 팩은 외부 단락, 과도한 충전 상태, 및/또는 잠재적으로 손상을 입힐 과전류 및 과온도 상태를 초래할 수 있는 폭발적 과충전에 의해 야기되는 결함에 민감하다. 열을 야기할 수 있는 과충전, 심방전, 또는 단락 회로 상태는 리튬-배터리 셀을 부풀게 하거나, 파열되게 하거나, 또는 이외 다른 문제가 유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적으로든 아니면 팩으로서 연결되었든, 셀은, 예를 들어, 과전류 및/또는 과온도 상황의 경우에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전류를 차단하는 열 컷오프(TCO) 디바이스 또는 이외 다른 유형의 과전류 및 과온도 디바이스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포지티브 온도 계수(PTC) 디바이스 및 TCO와 같은 보호 디바이스는, 적절한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예를 들면, 직렬로, 병렬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터리 셀 또는 팩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배열은 전자 장비가 더 작아지고 얇아짐에 따라 특별한 문제가 되는 공간과 같은 제약을 받는다. 또한, 연결 및 조립이 용이해야 한다. 배터리를 배열하는 종래의 방법은 한쌍의 배터리 셀 중 제1 배터리의 포지티브 전극을 이 한쌍의 제2 배터리 내 네거티브 전극과 정렬시키고, 보호 디바이스(들)에 그리고 하나의 포지티브 전극으로부터 제2 포지티브 전극에, 그리고 하나의 네거티브 전극으로부터 제2 네거티브 전극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는 회로 내 다양한 구성요소에 납땜 또는 용접되어야 하며, 설치는 배선 배열을 무질서하게 하거나 및/또는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복잡한 배열은 높은 전력 손실, 높은 저항, 및 높은 전압 강하를 갖게 될 긴 길이를 가진 도전성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모두는 전자 장비를 과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열은 장비 내에 귀중한 공간을 차지하여, 종종 보호 디바이스 및 배선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 크기를 커지게 한다. 따라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면서 배열을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면에서, (a) 각각이 (i) 포지티브 전극, (ii) 네거티브 전극, 및 (iii) 에지를 갖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을 제공하는 단계;
(b) 제1 보호 디바이스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c) 쌍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포지티브 전극들을 정렬하는 단계;
(d)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에지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전기적 도전성 버스바를 제공하는 단계;
(e) 제1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을,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2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을,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보호 디바이스를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a) 각각이 (i) 포지티브 전극, (ii) 네거티브 전극, 및 (iii) 에지를 각각 갖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로서,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포지티브 전극들은 쌍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정렬된,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
(b) 제1 보호 디바이스 및 제2 보호 디바이스; 및
(c)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에지 상에 위치되고, 제1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을,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2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을,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보호 디바이스를, 그리고 제2 배터리 셀의 네거티브 전극 셀에 제1 배터리 셀의 네거티브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도전성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 보호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배터리 팩 보호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한쌍의 배터리 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배터리 팩 보호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팩 보호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섹션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배터리 팩 보호 배열의 밑으로부터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배터리 팩 보호 배열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배터리 팩 보호 배열의 개략적인 회로도가 도 1에 도시되었다. 회로(1)는 각 제1 셀(5)의 포지티브 전극(단자라고도 함)(9)이 제2 셀(7)의 네거티브 전극(11)으로부터 바로 맞은편에(또는 제1 및 제2 셀이 함께 샌드위치되었을 땐 그에 인접하여) 정렬되게 위치된 3개의 제1 배터리 셀(5) 및 3개의 제2 배터리 셀(7)을 보여주고 있다. 열 컷오프 디바이스(13)는 각각의 포지티브 전극(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버스바(15) 또는 이외 다른 전기적 연결에 의해 각각의 제1 셀(5)의 포지티브 전극으로부터 각 제2 셀(7)의 포지티브 전극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제1 셀(5) 및 제2 셀(7)로부터의 네거티브 전극 전극(11)은 또한 버스바(17) 또는 이외 다른 전기 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한쌍의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의 네거티브 전극으로부터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의 제2 부분의 포지티브 전극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은 종종 와이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관련 배터리 셀에 연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와이어가 필요할 수 있어, 복잡하고 무질서하게 할 수 있는 상호연결을 제공한다. 이것은 긴 제조 조립 시간을 초래할 수 있다. 상호연결 와이어가 서로 교차하는 경우, 와이어 간에 전기적 접촉 가능성이 있고, 이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전기적 단락을 야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절연이 사용될 수도 있어, 배열 비용 및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배터리 팩 보호 배열(20)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3개의 제1 배터리 셀(21, 21A, 21B)은 각각 포지티브 전극(25) 및 네거티브 전극(29)을 갖는다. 3개의 제2 배터리 셀(23, 23A, 23B)은 각각 포지티브 전극(27) 및 네거티브 전극(31)을 갖는다. 제1 배터리 셀(21)과 제2 배터리 셀(23)의 각각의 조합은 배터리 팩으로도 알려진 쌍(32)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열 컷오프 디바이스(TCO)로서 도시된 제1 보호 디바이스(33)는 연결(37)에 의해 제1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보호 디바이스(35)는 연결(39)에 의해 제2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 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는 연결(4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의 개략적인 분해도에서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 전극(25) 및 네거티브 전극(29)은 제1 배터리 셀(21)의 에지(43) 상에 위치되고, 포지티브 전극(27) 및 네거티브 전극(31)은 제2 배터리 셀(23)의 에지(45) 상에 위치된다. 극성의 정렬이 존재하도록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이 위치되는 것이 중요한데, 각각의 포지티브 전극은 정렬되는 것으로, 즉 도 2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맞은편에 위치된다. 도 3의 선(P)은 포지티브 단자(25, 27)의 이러한 정렬을 나타내며, 선(N)은 네거티브 단자(29, 31)의 정렬을 나타낸다. 이러한 정렬은 본 개시물의 단순화된 상호연결 수법을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
도 4 및 도 5는 버스바(47)를 통해 연결된 3개의 배터리 팩(23, 23A, 23B)을 갖는 배터리 팩 보호 배열을 각각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금속층(49) 및 절연 캐리어 스트립(51)은 하나로 되었을 때 서브-조립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버스바(47)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금속일 수 있을지라도, 금속층(49)은 구리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금속 스트립은 금속층(49)을 형성한다. 일부 응용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 상에 절연층을 제공하여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전기 연결을 형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노출된 금속 영역을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캐리어 스트립(51)은 임의의 적합한 전기적 절연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전기 절연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금속층(49)에 대한 보강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캐리어 스트립(51)은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 요소(53)는, 용접을 위한 적절한 위치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노치(55), 및 금속층(49) 상의 정렬된 구멍(59)을 통해 돌출하여 설치 중에 요소들을 제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포스트(57)인, 캐리어 스트립(51)의 부분이다.
이 실시예에서 3개의 배터리 팩이 도시되어 있지만, 전자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할 때 임의의 수의 팩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섹션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보호 디바이스(35A)는, 예를 들면 용접 또는 땜납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1 금속 단자(61)를 통해 포지티브 단자(27A)에, 그리고 버스바(47)에 부착되도록 작용하는 부착 요소(65)에 제2 금속 단자(63)에 의해 전기적으로 부착된다. 보호 디바이스(33A)가 포지티브 전극(25A) 및 부착 포스트(65')에 연결되어 유사한 연결이 배터리 팩의 반대측에도 이루어진다.
도 7은 버스바(47) 및 3개의 배터리 팩(32)의 밑으로부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부착 포스트(65)에 전기적 연결이 될 수 있게 노치(55)를 통해 접근이 제공됨을 볼 수 있다.
도 8은 조립된 보호 디바이스(20)의 단면도이다.
개시된 배터리 팩 보호 방법은 각각 포지티브 전극 및 네거티브 전극을 갖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은 쌍을 형성하도록 정렬되고, 전기적 도전성 버스바는, 제1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2 배터리 셀의 포지티브 전극,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제1 보호 디바이스, 및 제2 배터리 셀의 네거티브 전극에 제1 배터리 셀의 네거티브 전극의 전기적 연결이 존재하도록 위치된다. 전기적 연결은 용접, 납땜, 도전성 접착제의 사용, 기계적 부착(예를 들면, 스테이플 또는 리벳을 통한), 또는 임의의 이외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는 열 컷오프 디바이스, 예를 들어, 바이메탈 요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양 온도 계수 저항(PTC)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는 리셋가능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디바이스는 Tyco Electronics 사에서 판매하는 MHP-TA 디바이스이며, 이는 폴리머 PTC 구성요소 및 바이메탈 요소를 모두 갖고 있다.
간단한 상호연결 바에 의해 병렬 및 직렬 배열로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상호연결 배터리 보호 레이아웃이 개시된다. 배터리 상호연결 보호 레이아웃은 디자인의 단순성을 실현하기 위해 한 셀에 포지티브 전극을 또 다른 배터리 셀에 포지티브 전극과 정렬하여 배열된 다수 쌍의 배터리 셀 레이아웃을 갖는다. 도 2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6개의 배터리 팩에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 보호 상호연결, 즉, 버스바는 하나의 절연체 스트립에 부착된 노출된 연결 영역을 갖는 4개의 절연된 도전성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금속 스트립은 배터리(21, 23)의 네거티브 전극에 연결된다. 제2 금속 스트립은 배터리(21, 23)의 포지티브 전극 측으로부터 배터리(21A, 23A)의 네거티브 전극 측으로 2개의 회로 보호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제3 금속 스트립은 제2 금속 스트립과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제4 금속 스트립은 2개의 회로 보호 디바이스 및 포지티브 전극에 연결된다. 상호연결 배터리 보호 레이아웃은 병렬/직렬 연결을 갖는 다수의 배터리 셀 및 회로 보호 디바이스에 대한 간단한 설계를 허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또는 본 발명의 특정 부분 또는 측면에주로 또는 전적으로 관련된 구절을 포함한다. 이것은 명확성 및 편리를 위한 것이고 특정한 특징은 단지 개시된 것 이상에 관련될 수 있으며, 본원의 개시 내용은 상이한 구절에서 발견된 모든 정보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 여러 도면 및 이의 설명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되어 있지만, 특정한 특징이 특정한 도면의 맥락으로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특징은 또한 다른 특징과 결합하여, 또는 일반적으로 발명에서, 또 다른 도면의 맥락에서, 적절하게 확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한 장치의 배열 및 이로부터 방법은 단지 원리의 응용을 예시일 뿐이고 이 발명 및 많은 다른 실시예 및 수정은 청구항에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1)

  1. 배터리 팩 보호 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이 (i) 포지티브 전극, (ii) 네거티브 전극, 및 (iii) 에지를 갖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을 제공하는 단계;
    (b) 제1 보호 디바이스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c) 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상기 포지티브 전극들을 정렬하는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상기 에지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전기적 도전성 버스바를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보호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배터리 셀의 상기 포지티브 전극을, 상기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상기 제2 배터리 셀의 상기 포지티브 전극을, 상기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보호 디바이스를, 그리고 상기 제2 배터리 셀의 상기 네거티브 전극 셀에 상기 제1 배터리 셀의 상기 네거티브 전극을, 상기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은 리튬 배터리들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들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열 컷오프 디바이스이고, 상기 열 컷오프 디바이스는 바이메탈 구성요소인,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포지티브 온도 계수(PTC)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들은 PTC 디바이스들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구리이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에 부착된 절연 캐리어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 쌍들의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에 있어서,
    (a) 각각이 (i) 포지티브 전극, (ii) 네거티브 전극, 및 (iii) 에지를 각각 갖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상기 포지티브 전극들은 쌍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정렬된,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
    (b) 제1 보호 디바이스 및 제2 보호 디바이스; 및
    (c)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의 상기 에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보호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배터리 셀의 상기 포지티브 전극을, 상기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상기 제2 배터리 셀의 상기 포지티브 전극을, 상기 제2 보호 디바이스에 상기 제1 보호 디바이스를, 그리고 상기 제2 배터리 셀의 상기 네거티브 전극 셀에 상기 제1 배터리 셀의 상기 네거티브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도전성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 의해 연결된 다수 쌍들의 제1 및 제2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열 컷오프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들 모두가 열 컷오프 디바이스들인,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포지티브 온도 계수(PTC)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 디바이스들은 PTC 디바이스들인,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구리이며,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에 부착된 절연 캐리어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보호 조립체.
KR1020177025965A 2015-02-27 2016-02-26 배터리 팩 보호를 위한 상호연결 KR101938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26441P 2015-02-27 2015-02-27
US62/126,441 2015-02-27
PCT/US2016/019947 WO2016138487A1 (en) 2015-02-27 2016-02-26 Interconnect for battery pack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401A KR20170138401A (ko) 2017-12-15
KR101938510B1 true KR101938510B1 (ko) 2019-01-14

Family

ID=5564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965A KR101938510B1 (ko) 2015-02-27 2016-02-26 배터리 팩 보호를 위한 상호연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9632B2 (ko)
JP (1) JP2018510488A (ko)
KR (1) KR101938510B1 (ko)
CN (1) CN107624201A (ko)
WO (1) WO2016138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414B1 (ko) * 2015-10-22 2019-01-22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
DE102017218578A1 (de) * 2017-10-18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peichereinrichtung zum Speichern von elektrischer Energi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WO2021041554A2 (en) 2019-08-27 2021-03-04 Bourns, Inc. Connector with integrated thermal cutoff device for battery pack
US11509159B2 (en) * 2019-08-28 2022-1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cutoff protection device control from an external compon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1934A1 (en) 2004-06-05 2005-12-08 Kiger William B Battery pack assembly
KR100689574B1 (ko) * 2000-03-14 2007-03-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2차 전지와 그 리드접합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전지전원장치
KR100958647B1 (ko) * 2002-12-18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유니트
EP2515358A1 (en) 2011-04-19 2012-10-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7756A (en) * 1994-11-29 1998-01-13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3511698B2 (ja) * 1994-11-29 2004-03-29 宇部興産株式会社 密閉型非水二次電池
EP1460698B1 (en) * 2001-12-26 2010-12-15 Sony Corporation Battery pack
KR101230495B1 (ko) * 2010-02-01 2013-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용량의 전지팩
WO2015167046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74B1 (ko) * 2000-03-14 2007-03-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2차 전지와 그 리드접합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전지전원장치
KR100958647B1 (ko) * 2002-12-18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유니트
US20050271934A1 (en) 2004-06-05 2005-12-08 Kiger William B Battery pack assembly
EP2515358A1 (en) 2011-04-19 2012-10-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401A (ko) 2017-12-15
CN107624201A (zh) 2018-01-23
JP2018510488A (ja) 2018-04-12
US10199632B2 (en) 2019-02-05
WO2016138487A1 (en) 2016-09-01
US20160254522A1 (en)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9548B2 (ja) 三次元的相互接続構成を有する電源電池装置
US9490465B2 (en) Z-shaped bus bar for a battery pack
TWI482335B (zh) 二次電池組及其製造方法
JP625717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012728B1 (ko) 신규한 구조의 pcm 어셈블리 및 절연성 장착부재를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팩
KR101938510B1 (ko) 배터리 팩 보호를 위한 상호연결
TWI525886B (zh) 具有保護電路模組之二次電池組、包括該二次電池組的裝置、以及用於製造該二次電池組的方法
EP2581967B1 (en) Battery pack and lead plate for a battery pack
US8771851B2 (en) Battery pack
TW200527741A (en) Lead member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with the same
JPWO2011151981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2505615B1 (ko) 배터리 팩
KR101397025B1 (ko) 리드탭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지 모듈
JP7339252B2 (ja) 保護素子実装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保護素子実装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EP2763205B1 (en) Cap cov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0971368B1 (ko) 무용접 접속방식의 전지팩
JP4979422B2 (ja) 電流制限部材及び該電流制限部材を備える電池パック
EP2763212A1 (en) Battery pack
EP2709192A1 (en) Lead plate,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CN107204419B (zh) 二次电池
JP2014022236A (ja) バッテリシステム
KR101440895B1 (ko) 배터리 팩
KR100659829B1 (ko) 배터리 팩의 구조
KR102130827B1 (ko) 배터리 팩
JPWO2020012716A1 (ja) 接続構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