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403B1 -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403B1
KR101938403B1 KR1020160179705A KR20160179705A KR101938403B1 KR 101938403 B1 KR101938403 B1 KR 101938403B1 KR 1020160179705 A KR1020160179705 A KR 1020160179705A KR 20160179705 A KR20160179705 A KR 20160179705A KR 101938403 B1 KR101938403 B1 KR 10193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evice
hot water
mat
operation stop
abnorm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845A (ko
Inventor
윤태원
신현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6017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4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가동을 상호 연동시켜, 난방기기 또는 온수매트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 난방 공백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난방기기와 온수매트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방기기는, 온수매트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난방기기 통신부; 실내 난방을 제공하는 보일러부; 상기 온수매트의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상기 온수매트의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온수매트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보일러부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난방기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수매트는, 난방기기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매트 통신부;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난방기기의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상기 난방기기의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열부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매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Heating apparatus interlocked with hot water matt, Hot water matt interlocked with hea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난방기기 또는 온수매트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 나머지 하나를 가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난방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매트와 난방기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온수를 매트에 내장된 온수관을 따라 순환시킴으로써 난방을 실시하는 난방용 매트를 말한다.
이와 같은 온수매트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난방방식인 온돌방식을 채용한 것으로써 전기발열선으로 구성된 기존의 전기 매트가 가진 문제점인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의 발생 및 전기발열선에 의한 화재나 감전 등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온수매트는 물을 가열하기 위해 히터가 내장된 보일러부와 상기 보일러부에서 가열된 온수가 순환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매트부로 이루어져 있다.
난방기기는 실내 난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닥난방을 수행하는 보일러, 실내공기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보일러에서 만든 증기를 통해서 난방하는 증기난방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난방기기는 실내 바닥 또는 공기의 난방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는지 여부에 따라 난방기기의 가동/정지가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방법으로 난방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난방기기와 온수매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난방기기에 온도조절기(룸콘트롤러)가 구비되어 있고, 온수매트에도 보일러부에 사용자가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기가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난방기기와 온수매트 중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거나, 난방기기와 온수매트를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다. 난방기기와 온수매트 중 어느 하나를 가동시키는 경우, 가동 중인 난방기기 또는 온수매트가 고장 등에 의해 정상적인 가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사용자에게 난방 공급이 중단되는 난방 공백 상태가 발생한다.
특히 취침 중에 난방기기 또는 온수매트가 고장나서 가동이 정지되면 사용자가 고장 상황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난방 공백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온수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1706호 "온수매트의 히터 제어 방법 및 그 히터 제어 방법을 적용한 온수매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온수매트만 단독으로 온도조절하여 가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난방기기와 온수매트를 상호 연동시켜 난방 공백 상태를 방지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가동을 상호 연동시켜, 난방기기 또는 온수매트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 난방 공백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난방기기와 온수매트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는, 온수매트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난방기기 통신부; 실내 난방을 제공하는 보일러부; 상기 온수매트의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상기 온수매트의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온수매트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보일러부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난방기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매트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온수매트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 또는 상기 온수매트를 순환하는 물이 부족하다는 물부족신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에는, 상기 보일러부를 가동하기 위한 가동조건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가동조건을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는, 난방기기의 통신부와 통신하는 매트 통신부;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난방기기의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상기 난방기기의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열부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매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난방기기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매트 제어부에는, 상기 가열부를 가동하기 위한 가동조건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가동조건을 상기 매트 제어부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의 제어방법은, a) 온수매트의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온수매트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를 통해 난방기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c)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수신되면, 난방기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매트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온수매트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 또는 상기 온수매트를 순환하는 물이 부족하다는 물부족신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온수매트가 취침모드로 가동되던 중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온수매트가 취침모드임을 나타내는 가동상태정보가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수매트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에서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c)단계에서 난방기기가 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의 제어방법은, a) 난방기기의 난방기기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난방기기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난방기기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를 통해 매트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c) 상기 매트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수신되면, 온수매트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난방기기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일 수 있다.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에서 발생한 경우에만 상기 c)단계에서 온수매트가 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가동을 상호 연동시키고, 난방기기와 온수매트 중 어느 하나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를 가동시켜 사용자에게 난방 공백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 사용자를 한기(寒氣)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1)와 난방기기(2)는 통신에 의해 상호 연동하여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난방기기(2)는 바닥 난방을 수행하는 보일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난방기기(2)는, 매트 통신부(110)와 통신하는 난방기기 통신부(11)와 실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온도센서(13)와 상기 실내온도센서(13)에서 측정한 실내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보일러부(20)를 제어하는 난방기기 제어부(12)를 포함하는 난방기기 온도조절기(10), 상기 난방기기 온도조절기(10)의 제어에 의해 난방수를 생성하는 보일러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난방기기 온도조절기(10)는 실내에 구비된 룸 콘트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난방기기 온도조절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실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내온도센서(13)는 상기 난방기기 온도조절기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일러부(20)에서는 열원과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를 난방소요처(30)에 공급하고, 상기 난방소요처(3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난방수는 온도가 하락된 상태로 보일러부(20) 내부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온수매트(1)의 가동 중에 온수매트(1)가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면 그 온수매트(1)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매트 통신부(110)와 난방기기 통신부(11)의 통신에 의해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12)에 수신된다. 이 경우 난방기기 제어부(12)는 난방 공백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보일러부(20)를 가동시킨다.
또한, 난방기기(2)의 가동 중에 난방기기(2)가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12)는 비정상적 가동정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매트 통신부(110)와 난방기기 통신부(11)의 통신에 의해 매트 제어부(120)로 송신되도록 한다.
상기 난방기기(2)와 연동되는 온수매트(1)는, 물을 가열하기 위해 가열부(150; 히터)가 내장된 보일러부(100)와, 상기 보일러부(100)에서 가열된 온수가 순환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매트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수매트(1)의 보일러부(100)는, 실내 난방을 제공하는 난방기기의 난방기기 통신부(11)와 통신하는 매트 통신부(110),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부(150), 상기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매트부(200)로 공급하는 순환펌프(140), 상기 순환펌프(140)에 의해 순환되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물 온도센서(130), 상기 가열부(150)와 순환펌프(140)의 동작을 제어하여 매트부(200)에 온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매트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부(200)에는 상기 순환펌프(140)에 의해 공급된 물이 이동하도록 순환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150)에서 가열된 온수는 상기 순환배관 내부를 따라 유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난방을 제공한다.
상기 난방기기(2)의 가동 중에 난방기기(2)가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면 그 난방기기(2)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매트 통신부(110)와 난방기기 통신부(11)의 통신에 의해 상기 매트 제어부(120)에 수신된다. 이 경우 매트 제어부(120)는 난방 공백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부(150)를 가동시킨다.
또한, 온수매트(1)의 가동 중에 온수매트(1)가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면 상기 매트 제어부(120)는 비정상적 가동정지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매트 통신부(110)와 난방기기 통신부(11)의 통신에 의해 난방기기 제어부(12)로 송신되도록 한다.
상기 난방기기 통신부(11)와 매트 통신부(110)는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수매트(1)와 난방기기(2)의 가동은 리모컨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온수매트(1)와 난방기기(2)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온수매트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온수매트(1)가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된 경우 난방기기(2)를 가동시키는 제어방법이 나타나 있다.
단계 S10은 온수매트(1)가 가동되고, 난방기기(2)가 가동정지상태로 이루어진 단계이다.
상기 난방기기(2)의 가동정지상태란 보일러부(20)에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고, 난방기기 통신부(11)는 매트 통신부(110)와 통신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단계 S11은 온수매트(1)의 가동 중에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온수매트(1)에 구비된 센서, 순환펌프(140), 가열부(150) 등의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여 온수매트(1)의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온수매트(1)를 순환하는 물이 부족한 경우 온수매트(1)의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온수매트(1)에서 부품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물이 부족하게 되면 각각의 상황에 대응하는 에러코드(Error Code)가 생성된다. 상기 매트 제어부(120)는 상기 에러코드로부터 온수매트(1)의 가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수매트(1)의 가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상황인 경우에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생성하여 매트 통신부(110)와 난방기기 통신부(11)의 통신에 의해 난방기기 제어부(12)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온수매트(1)의 가동이 정지되는 상황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버튼을 조작하여 가동을 정지시킨 경우에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기 에러코드에 의해 정상적인 가동정지인지 비정상적인 가동정지인지 구분할 수 있다.
단계 S12는 온수매트(1)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면, 매트 제어부(120)는 순환펌프(140)와 가열부(150)가 작동을 정지시켜 온수매트(1)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3은 난방기기(2)를 가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12)는 상기 온수매트(1)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수신되면 보일러부(20)를 작동시켜 난방기기(2)를 가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난방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취침 중 온수매트(1)의 가동이 중단되면 난방 공백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온수매트(1)에는 사용자의 취침 중 온도제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취침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매트(1)가 취침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에만 단계 S13의 난방기기(2)를 가동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취침 시간으로 예상되는 시간(예를 들어, 밤 10시부터 새벽 7시까지)을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로 하여 매트 제어부(120)에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에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만 난방기기(2)를 가동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계 S14는 난방기기(2)의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온도조절기(10)에서 원하는 설정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온도를 온도조절기(10)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온도를 지나치게 낮게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비정상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난방기기(2)를 가동시키는 아니라 난방기기 제어부(12)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난방기기(2)를 가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설정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도 3에는 난방기기(2)가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된 경우 온수매트(1)를 가동시키는 제어방법이 나타나 있다.
단계 S20은 온수매트(1)가 대기운전모드이고, 난방기기(2)가 가동되는 단계이다.
상기 온수매트(1)에서 대기운전모드란 온수매트(1)에 전원이 인가되어 매트 통신부(110)가 난방기기 통신부(11)와 통신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기운전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단계 S21은 난방기기(2)의 가동 중에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난방기기(2)에 구비된 센서, 펌프 등의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여 난방기기(2)의 가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난방기기(2)에서 부품의 고장이 발생하면 각각의 상황에 대응하는 에러코드(Error Code)가 생성된다.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12)는 상기 에러코드로부터 난방기기(2)의 가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난방기기(2)의 가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상황인 경우에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를 생성하여 매트 통신부(110)와 난방기기 통신부(11)의 통신에 의해 매트 제어부(120)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난방기기(2)의 가동이 정지되는 상황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버튼을 조작하여 가동을 정지시킨 경우에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기 에러코드에 의해 정상적인 가동정지인지 비정상적인 가동정지인지 구분할 수 있다.
단계 S22는 난방기기(2)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면, 난방기기 제어부(12)는 보일러부(20)의 작동을 정지시켜 난방기기(2)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23은 온수매트(1)를 가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매트 제어부(120)는 상기 난방기기(2)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수신되면 순환펌프(140)와 가열부(150)를 작동시켜 온수매트(1)를 가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난방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24는 온수매트(1)의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매트 제어부(12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입력되어 있는 설정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미리 입력되어 있는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수매트(1)와 난방기기(2)의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를 포함하여 가동조건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상기 매트 제어부(120) 또는 난방기기 제어부(12)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가동조건을 직접 설정하여 등록하면, 사용자별로 원하는 사용량을 등록 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난방기기가 보일러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난방기기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 온수매트 2 : 난방기기
10 : 난방기기 온도조절기 11 : 난방기기 통신부
12 : 난방기기 제어부 13 : 실내온도센서
20 : 보일러부 30 : 난방소요처
100 : 보일러부 110 : 매트 통신부
120 : 매트 제어부 130 : 물 온도센서
140 : 순환펌프 150 : 가열부
200 : 매트부

Claims (15)

  1. 온수매트의 매트 통신부와 통신하는 난방기기 통신부;
    실내 난방을 제공하는 보일러부;
    상기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온수매트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단계,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에서 발생한 경우 상기 보일러부를 가동시키는 단계로 제어하는 난방기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2. 온수매트의 매트 통신부와 통신하는 난방기기 통신부;
    실내 난방을 제공하는 보일러부;
    상기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온수매트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단계, 상기 온수매트가 취침모드로 가동되던 중 상기 비정상 가동 정지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보일러부를 가동시키는 단계로 제어하는 난방기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매트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온수매트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 또는 상기 온수매트를 순환하는 물이 부족하다는 물부족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에는, 상기 보일러부를 가동하기 위한 가동조건인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가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를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에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5. 난방기기의 난방기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매트 통신부;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난방기기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난방기기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난방기기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단계,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에서 발생한 경우 상기 가열부를 가동시키는 단계로 제어하는 매트 제어부;
    를 포함하는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난방기기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제어부에는, 상기 가열부를 가동하기 위한 가동조건인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가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를 상기 매트 제어부에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8. a) 온수매트의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온수매트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를 통해 난방기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c)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에서 발생한 경우 난방기기를 가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의 제어방법
  9. a) 온수매트의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온수매트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매트 통신부와 난방기기 통신부를 통해 난방기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c)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매트가 취침모드로 가동되던 중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한 경우 난방기기를 가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의 제어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매트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온수매트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 또는 상기 온수매트를 순환하는 물이 부족하다는 물부족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온수매트가 취침모드로 가동되던 중 상기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온수매트가 취침모드임을 나타내는 가동상태정보가 상기 난방기기 제어부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매트의 가동 정지가 정상적인 가동 정지인 경우에는 상기 비정상 가동 정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의 제어방법
  13. a) 난방기기의 난방기기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 사이에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b) 상기 난방기기가 가동 중 비정상적으로 가동이 정지되는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상기 난방기기 통신부와 매트 통신부를 통해 매트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c) 상기 매트 제어부는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비정상 가동정지 시간범위에서 발생한 경우, 온수매트를 가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기기의 비정상 가동정지신호는, 상기 난방기기가 고장난 것임을 나타내는 고장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기기의 가동 정지가 정상적인 가동 정지인 경우에는 상기 비정상 가동 정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KR1020160179705A 2016-12-27 2016-12-27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KR10193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05A KR101938403B1 (ko) 2016-12-27 2016-12-27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705A KR101938403B1 (ko) 2016-12-27 2016-12-27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45A KR20180075845A (ko) 2018-07-05
KR101938403B1 true KR101938403B1 (ko) 2019-01-15

Family

ID=6292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705A KR101938403B1 (ko) 2016-12-27 2016-12-27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4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472A (ja) * 2000-09-20 2002-06-14 Tokyo Gas Co Ltd 温水式暖房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リモコン
JP3908602B2 (ja) * 2002-06-05 2007-04-25 株式会社コロナ 暖房装置
KR101030998B1 (ko) 2008-12-04 2011-04-25 대화기전 주식회사 발열 매트의 온도조절방법
KR101260296B1 (ko) 2010-10-29 2013-05-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취침 운전 제어 방법
KR101460287B1 (ko) 2013-05-08 2014-11-13 주식회사 삼진 통신 단말 장치, 온수 난방 시스템, 온수 난방 장치에 대한 온도 설정 방법, 그를 기록한 저장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570U (ko) * 1995-08-11 1997-03-29 인공지능을 적용한 가정용 보일러
JPH11173633A (ja) * 1997-12-09 1999-07-02 Sanyo Electric Co Ltd 暖房システム
KR19990049467A (ko) * 1997-12-13 1999-07-05 윤홍구 보일러의 고장 발생시 안전 제어 장치
KR100663967B1 (ko) * 2005-11-09 2007-01-02 고영호 온수매트용 온수가열장치
JP5944223B2 (ja) * 2012-05-07 2016-07-05 東邦瓦斯株式会社 暖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472A (ja) * 2000-09-20 2002-06-14 Tokyo Gas Co Ltd 温水式暖房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リモコン
JP3908602B2 (ja) * 2002-06-05 2007-04-25 株式会社コロナ 暖房装置
KR101030998B1 (ko) 2008-12-04 2011-04-25 대화기전 주식회사 발열 매트의 온도조절방법
KR101260296B1 (ko) 2010-10-29 2013-05-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취침 운전 제어 방법
KR101460287B1 (ko) 2013-05-08 2014-11-13 주식회사 삼진 통신 단말 장치, 온수 난방 시스템, 온수 난방 장치에 대한 온도 설정 방법, 그를 기록한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45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03B1 (ko)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JP2015081725A (ja) 空気調和機
JP6816448B2 (ja) 燃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焼装置システム
JP5827865B2 (ja) 給湯器
KR101899400B1 (ko)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ITPD20100301A1 (it) Generatore mobile di calore
US10731872B2 (en) Water heating system
KR101582083B1 (ko)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스위치 온 고장 시 안전 제어방법
KR20170069098A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응급 운전 제어방법
EP3687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auna stove
JP5840526B2 (ja) 暖房システム
WO2013099184A1 (ja) 温水暖房機
KR101899401B1 (ko)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난방기기,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난방기기와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KR20180074031A (ko) 난방기기와 연동되는 온수매트 및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JP2011106735A (ja) 浴室暖房装置における誤配管検知システム
JP2014103782A (ja) 熱源機
KR102248318B1 (ko) 온수매트 및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JP2002357361A (ja) 給湯装置
JP2002236983A (ja) 人体異常検出装置
KR101125546B1 (ko)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JP3964603B2 (ja) 給湯装置のデータ補完方法及び給湯装置
KR101679680B1 (ko) 보일러의 동결방지 운전제어방법
JP2019041157A (ja) 住宅設備機器の運転制御システム
JP5173778B2 (ja) 予防・保安システム
JP2022176767A (ja) 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