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390B1 -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390B1
KR101938390B1 KR1020170074391A KR20170074391A KR101938390B1 KR 101938390 B1 KR101938390 B1 KR 101938390B1 KR 1020170074391 A KR1020170074391 A KR 1020170074391A KR 20170074391 A KR20170074391 A KR 20170074391A KR 101938390 B1 KR101938390 B1 KR 10193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control module
fluid
plan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737A (ko
Inventor
이주영
김형석
이운석
권만재
박수현
양중석
이택성
노주원
오상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7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39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생육이나 육묘에 필요한 온도 조건을 식물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있어서, 식재홀이 구비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가 형성된 가온부재; 및 상기 가온부재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온부재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설치되는 육모판을 포함하고, 상기 육모판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상기 육모판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식재홀형성부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TEMPERATURE CONTROL MODULE FOR PLANTING AN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F STRAWBERRY ROOTS USING IT}
본 발명은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생육이나 육묘에 필요한 온도 조건을 식물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육묘장에서 딸기 자묘를 육묘한 다음 딸기 자묘를 다시 시설 하우스로 옮겨 심는 방법으로 재배한다. 이를 위해 딸기 열매를 수확한 딸기 어미포기를 육묘장으로 옮겨 심은 다음 런너의 발생시키고 육묘포트판의 포트에 런너에 형성된 생장점을 심어서 자묘를 생산한다.
그리고, 자연상태에서 딸기는 봄에 이르게 되면 꽃눈 분화가 일어나고, 봄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생육이 왕성해지고 꽃이 피어 열매를 맺게 되지만, 근래에는 대부분 온실에 재배하고 있으므로 재배시기 조절이나 생산량의 증가를 위해서는 자묘를 적절하게 육성 및 관리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딸기 자묘의 뿌리인 관부는 대략 6℃ 이하에서 잠을 자지만 6 내지 10 ℃의 온도조건에서 꽃눈 분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적절한 온도관리를 수행하여 딸기 재배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농가에서 딸기 자묘의 육성 및 관리방식을 살펴보면 다수의 자묘를 용기에 담거나 종이지 등으로 싸서 벌크 형태로 보관함에 따라 꽃눈 분화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없고 이로 인해 딸기 재배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2337호(등록일자:2008.10.23)에는 딸기 재배용 발열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딸기 재배용 발열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땅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0)에 의하여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전열선(40)을 구비하고, 상기 전열선(40)은 발열부와 비발열부로 일정간격 반복적으로 나뉘어 딸기 줄기의 주위에 발열부가 스쳐지나 가도록 형성한 딸기 재배용 발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40)의 발열부는 12㎝로 하고, 비발열부는 18㎝로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딸기 재배용 발열장치는 딸기에 온기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딸기의 재배지에 직접 설치하는 재배용 발열장치로서 꽃눈 분화와 같은 자묘의 육묘용으로는 활용할 수 없고, 딸기 재배지의 전체 토양을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에너지비용이 지나치게 증가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딸기 재배용 발열장치는 전원의 공급시 딸기 뿌리와 근접하는 전열선이 직접 가열되는 방식이므로 딸기의 뿌리가 접촉될 경우 고온의 열기에 의해 죽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고, 뿌리 부위의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337호 '딸기 재배용 발열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645455호 "딸기 제자리육모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기정식 고설재배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645458호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고설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재배방법"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식물의 생육이나 육묘에 필요한 온도 조건을 식물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딸기 자묘의 육묘 및 생육에 필요한 온도 조건을 식물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있어서, 식재홀이 구비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가 형성된 가온부재; 및 상기 가온부재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온부재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온부재는 유체가 수용되는 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온부재작동수단은 상기 가온부재에 권취되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가온부재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 상기 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열선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있어서, 식재홀이 구비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가 형성된 가온부재; 상기 가온부재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온부재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온부재는 유체가 유동되는 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온부재작동수단은 상기 가온부재에 접속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가온부재의 일단에 접속되는 공급측연결배관, 상기 가온부재의 타단에 접속되는 회수측연결배관, 상기 공급측연결배관과 상기 회수측연결배관이 접속되는 유체수용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가열부는, 상기 유체수용조의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가온부재의 가온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가온부재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값과 비교하여 상기 유체가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공급부는 가열된 유체를 상기 가온부재로 공급, 순환시키는 순환펌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상기 가온부재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설치되는 육모판을 포함하고, 상기 육모판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상기 육모판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식재홀형성부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설치되는 육모판을 포함하고, 상기 육모판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식재부가 하방,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의 가온부재는 상기 식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식재홀형성부가 배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의하면, 가온부재작동수단으로부터 열기를 전달받는 가온부재의 식재홀에 식물이 일정 간격으로 식재되므로 식물의 생육이나 육묘에 필요한 온도 조건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서 식물의 재배나 육모를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의하면, 뿌리 주변 토양을 국부적으로 가온 및 냉각하는 방식이므로 식물이 가온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서 식물에 악영향이 초래되지 않고, 필요한 부위만 가온하므로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딸기 재배용 발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8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은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재홀(112)이 마련되도록 굴곡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111)가 구비된 가온부재(11)와, 이 가온부재(11)가 열기를 발산하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가온부재작동수단(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온부재(11)는 가온부재작동수단(12)으로부터 인가되는 열기에 의해 가온된 후 열기를 주변부로 확산하는 구성요소로서,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식재홀형성부(111)의 성형이 용이하다면 구조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 없이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로서 공기가 수용되는 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온부재(11)는 비교적 열전도도가 우수한 동이나 알루미늄 소재의 소구경 파이프를 굴곡시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가온부재(11)는 설치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막대 형상의 지지다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온부재작동수단(12)은 가온부재(11)에 권취되는 발열선(121), 이 발열선(1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2), 가온부재(11)와 근접하여 설치되고 온도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온도감지수단(123), 온도감지수단(123)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발열선(121)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1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온부재작동수단(12)은 가온부재(11)의 온도 또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홀형성부(111) 주변의 온도를 특정 온도로 가열 되도록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25)가 구비된 것으로, 이 입력부(125)는 키버튼, 다이얼식 스위치,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의 작용을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가온부재(11) 부분을 가온이 필요한 식물의 재배지에 매설하고 식재홀형성부(111)의 식재홀(112) 부분에 재배 식물을 식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24)의 제어하에 전원부(122)로부터 발열선(121)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가열되면, 발열선의 열기가 가온부재(11)로 열전도 되고 가온부재(11)의 내부 공기층이 열기를 보유하면서 식재홀형성부(111) 주변의 토양으로 열기를 확산, 가온하게 된다. 이러한, 식재홀형성부(111) 주변의 가온상태는 온도감지수단(123)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24)에 인가되는데, 제어부(124)는 입력부(125)에 의해 설정된 온도 값과 비교하여 전원부(12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면서 식재홀형성부(111) 주변의 온도를 입력부에 의해 입력한 범위로 유지하여 식물이 적절하게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가온부재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은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재홀(112)이 마련되도록 굴곡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111)가 구비된 가온부재(13)와, 이 가온부재(13)가 열기를 발산하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가온부재작동수단(14)으로 구성되되, 물과 같은 액체를 가온하여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가온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가온부재(13)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관부재에 의해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재홀(132)이 마련되도록 굴곡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131)가 구비된 것으로, 식재홀형성부(131)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있다.
이때, 관부재는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소구경 호스, 동이나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소구경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온부재작동수단(14)은 가온부재에 접속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141), 이 유체공급부(14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141)는 가온부재(13)의 일단에 접속되는 공급측연결배관(141a), 가온부재(13)의 타단에 접속되는 회수측연결배관(141b), 공급측연결배관(141a)과 회수측연결배관(141b)이 접속되고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수용조(141c)로 구성되어 있다.
유체가열부(142)는 유체수용조(141c)에 수용되는 히터(142a)와, 이 히터(142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2b), 가온부재(13)나 가온부재 주변의 가온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부(미도시), 가온부재(13)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미도시), 및 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값과 비교하여 유체가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유체공급부(141)는 히터(142a)에 의해 가열된 유체를 가온부재(13)로 공급,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41d)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순환펌프(141d)는 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작동되어 가열된 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가온부재(13)의 온도 상승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은 유체가열부(142)에 의해 가열된 유체를 순환펌프(141d)에 의해 가온부재(13)로 순환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차이점이 있으나,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과 마찬가지로 제어부의 제어하에 식재홀형성부(131) 주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이 적절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은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재홀(112)이 마련되도록 굴곡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111)가 구비된 가온부재(13)와, 이 가온부재(13)가 열기를 발산하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가온부재작동수단(14)으로 구성되되, 필요시 가온부재(13)을 냉각하는 냉각수단(16)이 더 구성되어 있다.
가온부재(13)는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관부재에 의해 식물의 식재를 위한 식재홀(132)이 마련되도록 굴곡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131)가 구비된 것이고, 가온부재작동수단(14)은 가온부재에 접속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141), 이 유체공급부(14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142)로 구성된 것으로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냉각수단(16)는 유체공급부(14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면 통상의 냉동기에서 적용하고 있는 냉동유닛이나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방식 등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161)를 이용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기(161)는 유체수용조(141c)에 수용된 유체를 열교환펌프(162)가 열교환기본체 내부로 흡입하고 냉각수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되어 냉각수 배출라인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한 열교환작용으로 냉각한 후 다시 유체수용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161)는 냉각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계요소이므로 세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의 작용을 도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가온부재(13)의 가온이 필요할 경우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과 마찬가지로 유체가열부(142)를 작동시켜 식재홀형성부(111) 주변의 온도를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온실이나 재배지의 기온이 계절이나 외부 조건의 변화로 상승할 경우 식물의 적절한 생장을 위해서는 재배지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게 된다. 특히 딸기 자묘의 뿌리인 관부는 6 내지 10 ℃의 온도조건에서 꽃눈 분화가 일어나게 되므로 딸기 재배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을 위해서는 재배지의 온도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열교환기(161)를 작동시켜 유체수용조(141c)에 수용된 유체를 냉각한 후 순환펌프(141d)를 이용하여 가온부재(13)로 공급, 순환함으로써 식재홀형성부(111) 주변의 온도를 식물의 생장에 적절한 온도로 냉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1',1")과, 이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설치되는 육모판(2)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나타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을 적용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의 세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육모판(2)은 재배하는 식물이 식재되는 구성요소로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에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육모판(2)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측벽에 공급측연결배관(141a) 및 회수측연결배관(141b)의 연결부위가 위치하도록 관통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의 가온부재(13)는 전술한 육모판(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식재홀형성부(131)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식재홀(132)의 내경은 딸기 뿌리의 관부가 식재홀형성부와 일정 이격거리를 두고 용이하게 삽입될 정도의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육모판(2)에 가온부재(13)를 설치하고, 공급측연결배관(141a) 및 회수측연결배관(141b)을 가온부재(13)의 일측 접속부 및 타측 접속부에 접속하여 유체공급부(14)를 조립한 다음, 각 식재홀형성부(131)의 식재홀(132) 부분에 재배 식물을 식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하에 유체가열부(142)를 작동시키게 되면 전원부(142a)로부터 히터(142a)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유체수용조(141c)에 수용된 유체가 가열되고 순환펌프(141d)의 작동에 따라 가온부재(13)로 가열된 유체가 공급, 순환되면서 식재홀형성부(131) 주변으로 열기를 발산하여 가온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식재홀형성부 주변의 가온상태는 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에 인가되는데, 제어부는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온도 값과 비교하여 전원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면서 식재홀형성부 주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이 적절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과, 이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설치되는 육모판(3)으로 구성되되, 육모판(3)은 합성수지나 종이지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식재부(32)가 하방, 돌출된 구조의 성형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식재부(32)는 내부에 딸기 뿌리가 식재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것으로, 이 오목홈의 내경은 딸기 뿌리의 관부가 일정 여유공간을 두고 용이하게 삽입될 정도의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의 가온부재(13)는 식재부(32)의 삽입을 위해 식재홀형성부(131)를 식재부(3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한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나타난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중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도7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1')을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1":식물용 온도제어모듈
11,13:가온부재
111,131:식재홀형성부
112,132:식재홀
12,14:가온부재작동수단
16:냉각수단
121:발열선
122:전원부
123:온도감지수단
124:제어부
141:유체공급부
142:유체가열부
2,3:육모판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있어서,
    가온부재; 및 상기 가온부재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온부재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온부재는 유체가 유동되는 관부재로 구성되되, 식재홀이 구비된 복수의 식재홀형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온부재작동수단은 상기 가온부재에 접속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가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가온부재의 일단에 접속되는 공급측연결배관, 상기 가온부재의 타단에 접속되는 회수측연결배관, 상기 공급측연결배관과 상기 회수측연결배관이 접속되는 유체수용조, 및 가열된 유체를 상기 가온부재로 공급,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가열부는, 상기 유체수용조의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가온부재의 가온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부; 상기 가온부재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 상기 온도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값과 비교하여 상기 유체가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온부재를 냉각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유체수용조에 수용된 유체를 열교환펌프가 상기 열교환기본체 내부로 흡입하고 냉각수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되어 냉각수 배출라인으로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한 열교환작용으로 냉각한 후 다시 상기 유체수용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제3항의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설치되는 육모판을 포함하고,
    상기 육모판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은 상기 육모판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식재홀형성부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10.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에 있어서,
    제3항의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에 설치되는 육모판을 포함하고,
    상기 육모판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식재부가 하방,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의 가온부재는 상기 식재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식재홀형성부가 배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온도제어모듈을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KR1020170074391A 2017-06-13 2017-06-13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KR10193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91A KR101938390B1 (ko) 2017-06-13 2017-06-13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91A KR101938390B1 (ko) 2017-06-13 2017-06-13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37A KR20180135737A (ko) 2018-12-21
KR101938390B1 true KR101938390B1 (ko) 2019-01-15

Family

ID=6495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391A KR101938390B1 (ko) 2017-06-13 2017-06-13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650B1 (ko) 2023-05-11 2023-10-19 박경일 딸기 재배용 냉온수 호스 간격 유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844B1 (ko) 2021-06-15 2023-05-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멕신나노닷코어-탄소쉘 다기능성 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265B2 (ja) 1994-11-11 2001-09-10 秀介 伊東 細径鋼管を用いた地耐力増強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1120569A (ja) * 2009-11-12 2011-06-23 Idemitsu Kosan Co Ltd 植物栽培用温度制御方法、植物栽培用温度制御装置、植物栽培用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用プラ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265B2 (ja) 1994-11-11 2001-09-10 秀介 伊東 細径鋼管を用いた地耐力増強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1120569A (ja) * 2009-11-12 2011-06-23 Idemitsu Kosan Co Ltd 植物栽培用温度制御方法、植物栽培用温度制御装置、植物栽培用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用プラ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650B1 (ko) 2023-05-11 2023-10-19 박경일 딸기 재배용 냉온수 호스 간격 유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37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567B1 (ko) 자동 온도 제어가 가능한 작물 재배용 배드 난방시스템
KR200469809Y1 (ko) 원예 재배기
KR101938390B1 (ko)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KR101519571B1 (ko) 자동온도 변온 제어가 가능한 작물 재배용 하이배드 전열선 난방시스템
KR101972900B1 (ko) 작물재배장치
KR101987920B1 (ko) 수경 작물의 연중 재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43699B1 (ko) 물을 주지않는 식물재배기
CN107027404A (zh) 一种用于植物根系温度精确控制的栽培装置
KR102175322B1 (ko) 자체 양액 순환형 생육온도 조절 식물 재배기
KR200408442Y1 (ko) 화분
KR102121023B1 (ko) 식물재배용기를 이용한 재배 시스템
JP2003116355A (ja) 植物栽培容器
CN108174779B (zh) 油麦菜的培养装置
JP2010220486A (ja) 植物栽培装置用局部断熱用囲い
JP7089670B2 (ja) 育苗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220402495U (zh) 一种温控型蝴蝶兰盆
JP2008253186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JP2879950B2 (ja) 植物栽培用給水器
CN209198965U (zh) 种菜机温度控制系统
CN218278153U (zh) 一种控温草莓无土栽培装置及系统
CN217336670U (zh) 一种可对草莓茎、根部加温的种植设备
JP2007275001A (ja) 植物栽培土の温度調節用シート
CN209628215U (zh) 一种植物培育箱
KR20120055025A (ko) 텃밭용 화분
JP2018121527A (ja) 野菜・果実の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