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849B1 -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849B1
KR101937849B1 KR1020110145773A KR20110145773A KR101937849B1 KR 101937849 B1 KR101937849 B1 KR 101937849B1 KR 1020110145773 A KR1020110145773 A KR 1020110145773A KR 20110145773 A KR20110145773 A KR 20110145773A KR 101937849 B1 KR101937849 B1 KR 10193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advertisement
setting
frequency
exposur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700A (ko
Inventor
윤정제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8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광고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SEARCH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DVERTISING MANAGEMENT BASED ON EXPOSURE FREQUENCY OF KEYWORD}
본 발명은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워드 광고에 있어서, 키워드가 각종 매체에 노출되는 빈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키워드 노출빈도에 따라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 설정, 키워드 광고 노출 여부 등의 광고설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검색이 일반화되었으며, 근래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이러한 인터넷 검색이 더욱 더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정보통신기기를 조작하여 검색 서버에 접속한 후,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검색 키워드를 검색창에 입력함으로써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검색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검색결과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 일치되는 검색결과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를 확장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 검색결과를 검색/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검색 키워드에 대한 확장이 검색 키워드를 구성하는 형태소 전체에 대해 수행되어 검색 키워드가 수식어와 컨셉 키워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적절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의 중요성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의 종류 역시 계속하여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중 가장 고전적인 형태로서 배너 광고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포털 사이트나 뉴스 사이트 등 사용자들이 많이 방문하는 사이트의 특정 영역인 소위 광고 영역에 배너 형태의 텍스트, 그림 또는 동영상 형식의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배너 광고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하는 배너 광고에 클릭 또는 마우스 오버 등의 액션을 취하면 해당 배너 광고가 활성화되면서 자세한 광고 내용을 제공하거나 또는 광고에 해당하는 웹사이트로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배너 광고의 형태는 사용자의 취미나 취향, 또는 관심사 등과 전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그 광고 효과가 떨어지는 한편, 배너 광고에 사용되는 색상이 다양하고 특히 사이트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배너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고 복잡하게 보이므로 해당 사이트의 미관을 해친다는 단점 역시 존재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배너 광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모델 중 새로운 형태로서 키워드 광고가 각광을 받고 있다. 키워드 광고는 검색 결과 등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등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 매칭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관심도가 더 높을 것이라는 예상에 기초하여, 입력한 검색 키워드와 매칭되는 광고를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또는 배너 형태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키워드 광고의 경우, 광고의 상세한 내용을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자체만으로, 그리고 사용자의 클릭이나 마우스 오버 등의 액션에 의해 자세한 광고 내용을 제공하거나 또는 광고에 해당하는 웹사이트로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뉴스, 블로그,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의 정보매체에는 매일매일 사회적 이슈가 반영된 컨텐츠가 게재되므로, 이러한 정보매체에 게재되는 컨텐츠를 통해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봄이되면 봄에 대한 컨텐츠가 정보매체에 많이 게재되고, 여름 휴가철에는 휴가 관련 컨텐츠가 정보매체에 많이 게재되며, 가을이면 단풍 여행, 겨울이면 스키장 등에 대한 관련 컨텐츠가 정보매체에 많이 게재된다. 또한, 특정 상품이 이슈가 되는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뉴스 컨텐츠나 SNS 게시물의 양도 급증한다. 예를 들어, '아이폰 5'의 출시 시기가 되면 '아이폰 5'에 대한 뉴스 컨텐츠와 SNS 게시물의 양이 증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키워드 광고들 중 특히 시즌성 상품에 키워드 광고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계절에 맞는 상품에 대한 광고 노출 수요가 증가하며, 또한, 새로운 이슈 상품이 생기는 경우 해당 이슈 상품과 관련성을 갖는 상품에 대한 광고 노출 수요가 증가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키워드 광고의 경우, 이러한 계절의 변화, 사회적 이슈 등이 발생되어 광고 노출 수요에 변화가 있는 겨우, 광고주가 직접 파악하여 수동으로 키워드 광고설정(키워드 광고의 노출 제어, 키워드 광고에 대한 광고비 설정 등)을 하거나, 또는 별도의 운용팀을 운영하여 수동으로 키워드 광고설정을 조정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 특허출원 제10-2005-0006113호(인터넷 키워드 광고에서의 자동 입찰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검색 사이트 서버들로부터 직접적으로 입찰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각 검색 사이트 서버로부터 추출된 입찰 정보로부터 각 키워드에 대한 입찰액을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발명이나, 광고주가 설정한 노출 순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발명으로서,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광고주가 설정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하고,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이용하여 키워드 광고의 노출 여부, 키워드 광고에 대한 광고설정 자동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에 따라 키워드 광고 대상이 되는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키워드 광고 대상이 되는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광고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광고서버에 있어서,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자동제어 설정부;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하는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서버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주가 설정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하고,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이용하여 키워드 광고의 노출 여부, 키워드 광고에 대한 광고설정 자동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에 따라 키워드 광고 대상이 되는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키워드 광고 대상이 되는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위한 설정정보의 설정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위한 설정정보의 설정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예 따른 광고서버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과정 중 산출되는 이동평균 노출빈도 대비 이탈비율 그래프를 도시한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에 의해 노출빈도가 측정되는 키워드를 의미하며, 용어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에 의해 광고설정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설정된 광고 키워드를 의미한다.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는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와 동일하거나, 또는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 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용어 "광고설정"은 키워드 광고의 노출 여부, 또는 키워드 광고에 입찰하기 위한 입찰가 등의 각종 설정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용어 "구매 키워드"는 광고주가 키워드 광고를 위해 구매한 키워드 및/또는 구매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서로 의미가 유사한 복수의 구매 키워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용어 "연관 키워드"는 전술한 구매 키워드와 유사한 속성을 가지는 키워드를 의미하는 개념이며, "설정 키워드"는 광고주가 전술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직접 선택한 키워드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또한, 용어 "광고비 설정정보"는 주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 또는 변화량에 따라 광고주의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 구매를 위한 입찰가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찰가, 광고비 총액, 금액정보 및/또는 증감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용어 "이동평균 기준일"은 키워드 노출빈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하여 광고주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기간이며, 용어 "이탈비율"은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량을 의미하는 개념으로서, "이동평균 기준일" 동안의 키워드 노출빈도의 평균값과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대비한 비율을 의미하는 개념이고, 용어 "평가기준"은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량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광고주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기준을 의미한다.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기(100), 네트워크(110), 뉴스서버(120), SNS 서버(124), 광고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주 단말기(100)는 광고주의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110)는 통해 광고서버(130)에 접속하고, 광고서버(130)에서 제공하는 광고주 페이지를 통해 키워드 광고 구매를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고주 단말기(100)는 키워드 광고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조작에 따라 입찰정보(입찰가, 광고기간, 카테고리, 키워드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키워드 광고상품 입찰시행에 필요한 정보로 규정된 것을 의미함)를 광고서버(130)로 전송하여 등록하게 된다. 이러한 키워드 광고 입찰과 관련된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고주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에서 제공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광고주의 조작에 따라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광고서버(130)로 전송하고, 광고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광고서버(13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광고서버(13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는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노출빈도 측정 소스', '이동평균 기준일', '평가기준', '광고비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에 의해 노출빈도가 수집되어 측정될 대상이 되는 키워드로서, 광고주가 구매한 상태이거나 또는 구매할 예정인 '구매 키워드', 광고주가 필요에 따라 노출빈도의 수집을 요청한 '설정 키워드', 구매 키워드와 유사한 속성을 가진 '연관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노출빈도를 측정하는 것은 특정 키워드와 관련된 분야에서의 이슈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므로, 구매 키워드뿐만 아니라 구매 키워드와 관련된 분야에서의 이슈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키워드가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키니'라는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경우, '비키니'라는 키워드가 구매 키워드로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포함되며, 해당 광고주가 '여름'이라는 키워드에 대해서도 노출빈도 측정을 요청하는 경우 '여름'이라는 키워드가 설정 키워드로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포함되고, 구매 키워드, 즉, '비키니'와 연관되거나 유사한 키워드인 '수영복'이 연관 키워드로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연관 키워드 설정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에 의해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수행할 대상이 되는 키워드로서, 기본적으로 구매 키워드가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가 된다. 다만, 복수의 구매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구매 키워드 중 일부의 구매 키워드가 자동제어 대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과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은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설정된 키워드들에 대한 노출빈도 절대값에 기초하여 자동제어 대상으로 설정된 키워드 광고의 노출 여부 및/또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정보이다.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은 키워드 광고의 노출 여부, 광고설정 자동제어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최소한의 키워드 노출빈도값으로서, 노출빈도가 너무 작은 경우 광고 노출 및/또는 광고설정 자동제어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광고주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은 키워드 광고의 노출 여부, 광고설정 자동제어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최대한의 키워드 노출빈도값으로서, 노출빈도가 너무 높은 경우 특정 이슈에 대한 이상 과열 또는 일시적 이슈화 등으로 판단하여 광고 노출 및/또는 광고설정 자동제어가 제한하고자 하는 광고주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정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과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은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정보를 아니며, 실시예를 구성하기에 따라, 또는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정보이다.
'노출빈도 측정 소스'는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대한 노출빈도를 수집할 대상이 되는 소스에 관한 설정정보로서, 도 1에는 뉴스 서버(120)와 SNS 서버(124)가 예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정보매체 제공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광고주는 광고서버(130)에서 노출빈도 수집이 가능한 복수의 정보매체 제공서버 중 자신이 원하는 특정 정보매체 제공서버를 노출빈도 측정 소스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정보가 노출빈도 측정 소스정보로서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는 뉴스 서버(120)와 SNS 서버(124) 중 뉴스 서버(120)만을 노출빈도 측정 소소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가 뉴스 내에 노출되는 빈도만을 수집하여 키워드 노출빈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실시예를 구성하기에 따라, '노출빈도 측정 소스' 설정정보에는 복수의 노출빈도 측정 소스 중 어느 하나에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예에서, 광고주가 SNS 보다 뉴스에 더욱 비중을 두고자 하는 경우, 광고서버(130)는 뉴스 서버(120)에서 수집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SNS 서버(124)에서 수집되는 가중치가 부여되지 않은 키워드 노출빈도와 합산하여 전체 키워드 노출빈도를 산출함으로써 뉴스를 통한 노출에 더욱 비중을 두어 키워드 노출빈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노출빈도 측정 소스별 가중치 정보 또한 '노출빈도 측정 소스' 설정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평균 기준일'은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정보로서, 광고주는 자신이 원하는 소정의 기간을 이동평균 기준일(예를 들어, 7일, 10일, 30일 등)로 설정할 수 있다. '평가기준'은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기준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의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정보이다. 광고주는 자신이 원하는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량(이탈비율)을, 예를 들어, 10%, 30%, 50% 등으로 평가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광고서버(130)는 설정된 평가기준 이상의 이탈비율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광고설정 자동제어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평균 기준일과 평가기준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노출빈도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광고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이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노출빈도의 절대량에만 기초하여 광고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는 정보이다.
'광고비 설정정보'는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 또는 변화량에 기초하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광고비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설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광고비 설정정보에는 기준 광고비,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 또는 변화량에 따른 증감비율(예를 들어 n% 이탈시 m% 광고비 증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4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광고서버(13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를 광고서버(130)로 전송하고, 광고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결과(검색 키워드 매칭에 따른 광고정보 포함)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40)의 구성과 기능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주 단말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140)는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주 단말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14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10)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뉴스서버(120)와 SNS 서버(124)는 각각 뉴스 컨텐츠와 SNS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40) 및/또는 광고서버(13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그 기능 자체는 일반적인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키워드 광고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기능(키워드 광고 입찰 관리, 키워드 노출순위 관리, 키워드 광고 노출, 과금 처리 등)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서버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키워드 광고를 제공하는 기능과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된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키워드 광고 노출, 키워드 광고설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뉴스서버(120) 및 SNS 서버(124)에 연결되어 해당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들 중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설정된 키워드들에 대한 노출빈도를 수집하고,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의 노출 여부 및/또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자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광고서버(130)의 상세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광고서버의 구성과 기능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 자동제어 설정부(202), 키워드 확장부(204) 및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에서의 키워드 광고 노출 및 광고설정 자동제어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가지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고 있는 한 다양한 변형/변용에 불구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하여 3가지 방법으로 광고설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에만 기초하여 광고노출 및 광고설정의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에만 기초하여 광고노출 및 광고설정의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과 변화량 모두에 기초하여 광고노출 및 광고설정의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 구성과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설정부(202)는 광고주의 조작에 따라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광고주 단말기(100)로 제공하며,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의 경우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에만 기초하여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이동평균 기준일', '평가기준'은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설정부(202)는 광고주가 이미 구매한 키워드뿐만 아니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예정 키워드를 구매 키워드로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현재 키워드 광고를 구매하지는 않았으나, 특정 키워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키워드 노출빈도가 상승되면), 해당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가, 구매예정 키워드를 구매 키워드로 설정하여 광고서버(130)에 의해 해당 구매예정 키워드의 노출빈도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광고주가 설정한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키워드 광고 입찰에 자동으로 참가하도록 광고서버(13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설정부(202)는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포함되는 연관 키워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키워드 확장부(204)와 연동하여 구매 키워드와 유사한 속성을 가지는 복수의 유사 키워드를 광고주 단말기(100)로 제공한 후, 광고주가 선택한 유사 키워드를 연관 키워드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확장부(204)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매 키워드와 유사한 키워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유사 키워드 추천 알고리즘 중 하나가 채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확장부(204)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그 전체가 포함되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11-0097523호(컨셉 키워드 확장 데이터 셋을 이용한 검색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제10-2011-0097524호(컨셉 키워드 확장 데이터 셋 생성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개시된 컨셉 키워드 확장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유사 키워드를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워드 확장부(204)에 적용될 수 있는 컨셉 키워드 확장 데이터셋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키워드 그룹으로부터 컨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그룹과 상기 컨셉 키워드 간의 컨셉 키워드별 그룹 연관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컨셉 키워드별 그룹 연관도 점수에 기초하여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지는 복수의 컨셉 키워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컨셉 키워드를 키워드 확장 데이터 셋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확장부(204)는 구매 키워드를 전술한 단계를 수행하여 생성된 키워드 확장 데이터 셋에 적용하여 구매 키워드와 소정의 연관관계를 가지는 복수의 유사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한 노출빈도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뉴스서버(120) 및/또는 SNS 서버(124)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텐츠에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대한 노출횟수를 집계함으로써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산출하게 된다. 물론, 이 외에 다양한 공지된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산출 방법이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주가 키워드 노출빈도를 측정할 특정 매체를 지정한 경우, 지정된 특정 매체에 한하여 키워드 노출빈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를 구성하기에 따라 복수의 매체 중 특정 매체에 노출된 것에 설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뉴스에 노출되는 경우 SNS에 노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0.5배의 가중치를 더하도록 설정한 경우에 있어, 각 매체에 노출된 실제 노출빈도를 수집한 결과, 뉴스에 노출된 노출빈도가 1000회이고, SNS에 노출된 노출빈도가 500회라면,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뉴스에 노출된 노출빈도(1000회)에 0.5배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총 키워드 노출빈도를 2000으로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보다 신뢰성 있는 노출빈도를 수집하기 위하여, SNS 내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함에 있어 리트윗에 따른 노출은 제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단순히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SNS 컨텐츠를 특정 사용자가 리트윗을 통해 노출시키는 경우 이를 노출빈도 측정에서 제외하여, 순수하게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여 생성된 신규 컨텐츠의 수만을 노출빈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리트윗'은 예시적인 용어로 이해되어야 하며,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인용하는 모든 종류의 컨텐츠 노출 행위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함에 있어, 해당 키워드가 포함되는 문맥을 고려하여 노출빈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와 관련된 이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해당 키워드 광고에 대한 광고설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그러나,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가 특정 컨텐츠 내에 노출이 된다고 해서, 그러한 노출이 반드시 유의미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는 키워드가 노출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키워드가 해당 컨텐츠에서 가지는 중요도를 산출하거나, 전후 문맥을 고려하여, 키워드 노출이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키워드가 노출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키워드 노출이 유의미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키워드가 노출된 컨텐츠에서 해당 키워드가 노출된 횟수를 기준으로 유의미한 노출 여부가 판단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해당 컨텐츠의 전체 단어 수 대비 해당 키워드가 노출된 횟수의 비율을 기준으로 유의미한 노출 여부가 판단될 수도 있고,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등의 문서 마이닝 분야에서 이용되는 여러 가지 알고리즘 중 하나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문맥 광고 등에서 이용되는 문맥 내에서의 해당 키워드의 중요도 평가 알고리즘 중 하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설정된 키워드들에 대하여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저장된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광고주의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 절대량에만 기초하여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되는 구간, 예를 들어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사이의 구간이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음)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를 노출하지 않거나, 또는 광고비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미만인 경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를 구매하기 위한 입찰가)를 자동제어 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및/또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자동제어 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속하는 경우,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비 설정정보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광고비 설정정보는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광고주가 설정한 광고비 테이블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광고비 설정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키워드 노출빈도 절대량 광고비
5,000 미만(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입찰하지 않음
5,000 이상 ~ 10,000 미만 500원
10,000 이상 ~ 15,000 미만 700원
15,000 이상 ~ 20,000 이하 1200원
20,000 초과(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입찰하지 않음
이러한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속하는 구간을 판단하고, 해당 구간에 설정된 광고비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표 1에 도시된 광고비 설정정보는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변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 구성과 기능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에만 기초하여 광고노출 및 광고설정의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 키워드 확장부(204)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 2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 설정부(202)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 설정부(202)와 거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나, 제 2 실시예의 경우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량에만 기초하여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은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며, 대신 '이동평균 기준일', '평가기준'이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설정된 이동평균 기준일(예를 들어 7일) 동안의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과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비교하여 이탈비율 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이탈비율이 평가기준 이상인 경우 산출된 이탈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비 설정정보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산출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의 자동제어를 위한 자동제어 설정정보의 일부이다.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비율의 절대값
(이동평균 기준일(7일) 대비 이탈비율)
광고비 증감비율
10% 미만(평가기준 설정값) 변동 없음
10% ~ 30% 15%
30% ~ 60% 45%
60% ~ 90% 75%
90% ~ 100%
표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먼저 설정에 따라 이동평균 기준일(7일) 동안의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을 산출한 후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비교하여 이탈비율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 이탈비율이 미리 설정된 평가기준(표 2에서 10%) 미만인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현재 광고비를 그대로 유지하며, 산출된 이탈비율이 10% 이상인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산출된 이탈비율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현재 광고비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액하거나 또는 감액한다. 예를 들어 산출된 이탈비율이 +20%인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현재 광고비를 15% 증액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로서 재설정하며, 다른 예로서 산출된 이탈비율이 -50%인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현재 광고비를 45% 감액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로서 재설정하게 된다. 표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광고비 설정은 예시적인 설정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비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를 구성하기에 따라, 예를 들어 이탈비율의 5배가 광고비 증감비율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예에서 이탈비율이 +20%인 경우, 현재 광고비가 100% 증액되어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로 설정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만에 기초하여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조정/설정하도록 구성되므로,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의 하한과 상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는 광고주가 설정한 광고비 상한가 및/또는 하한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이탈비율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된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가 설정된 하한가 미만인 경우 설정된 하한가를 광고비로 설정하고, 이탈비율에 따라 조정되어 설정된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가 설정된 상한가를 초과하는 경우 설정된 상한가를 광고비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 구성과 기능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과 변화량 모두에 기초하여 광고노출 및 광고설정의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기능이 혼합되어 구성된 광고서버(130)에 관한 실시예이다.
이하에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인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 키워드 확장부(204)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 3 실시예에 따른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 설정부(202)는 전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 설정부(202)와 거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나, 제 3 실시예의 경우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과 변화량에 기초하여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이동평균 기준일', '평가기준' 등이 모두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노출빈도 절대량
노출빈도 변화비율의 절대값
(이동평균 기준일(7일) 대비 이탈비율)

광고 노출 여부

광고비 증감
5,000 미만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무관

광고 노출 안함

무관


5,000 ~ 20,000

10% 미만(평가기준 설정값)

광고 노출함

변동 없음

10% 이상

광고 노출함

이탈비율의 5배
20,000 초과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무관

광고 노출 안함

무관
표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제어 설정정보의 일부를 도시한 표이다. 이하에서, 표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2단계로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제 1 단계에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을 이용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2 단계에서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이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표 3의 경우 5,000 ~ 20,000회 노출)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표 3의 실시예에서,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5000회 미만이거나 또는 20000회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를 노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를 구성하기에 따라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속하지 않는 경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를 구매하기 위한 입찰가)를 자동제어 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이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속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전술한 제 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된 이동평균 기준일(표 3에서 7일) 동안의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과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비교하여 이탈비율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산출된 이탈비율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산출된 이탈비율의 절대값이 광고주가 설정해 놓은 평가기준(표 3에서 10%)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키워드의 광고비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산출된 이탈비율의 절대값이 10% 이상인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이탈비율의 5배를 광고비 증감비율로서 적용하여 현재 광고비를 조정함으로써 새롭게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산출된 이탈비율이 +20%인 경우,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 이탈비율의 5배인 100%를 광고비 증액 비율로 판단하여, 현재 광고비에서 100% 증액된 광고비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의 설정된 하한가와 상한가를 이용하여 광고비를 조정/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광고서버(130)의 각 구성부(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200), 자동제어 설정부(202), 키워드 확장부(204) 및 광고설정 자동제어부(206))는 하나의 기계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 또는 그 각각이 물리적으로 다른 기계에 구현될 수도 있거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물리적으로 복수 개 존재하는 기계가 병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은 각 구성부가 설치된 기계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개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자동제어 설정정보의 설정과정 예시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위한 설정정보의 설정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위한 설정정보의 설정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광고서버(13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광고주 단말기(100)로 광고설정을 자동제어 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설정정보를 수신/저장하기 위한 과정을 개시한다(S300).
광고서버(1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노출빈도의 측정대상이 되는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를 설정한다(S302). 전술한 바와 같이,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는 구매 키워드, 설정 키워드, 연관 키워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서,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에 해당되는 '비키니'(300)라는 구매 키워드, 광고주가 선택한 키워드에 해당되는 '여름'(302)라는 설정 키워드, 구매 키워드와 연관된 키워드에 해당되는 '수영복'(304)라는 연관 키워드가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로 설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관 키워드를 설정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서버(130)가 구매 키워드와 유사한 속성을 가지는 복수의 유사 키워드를 생성하여 광고주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광고주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유사 키워드 중 적어도 일부를 연관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설정이 완료되면, 광고서버(130)는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최소 노출빈도 설정정보 및/또는 최대 노출빈도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제어에 적용될 최소 노출빈도 설정정보 및/또는 최대 노출빈도를 설정한다(S30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의 경우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만에 기초하여 자동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제 2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S304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설정되는 최소 노출빈도 설정정보 및/또는 최대 노출빈도는 전술한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최소 노출빈도(310)가 일 노출 5,000회로 설정되어, 수집된 노출빈도가 일 5,000회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광고서버(130)에 의한 광고설정 자동제어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최소 노출빈도 설정정보 및/또는 최대 노출빈도의 설정이 완료되면, 광고서버(130)는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이용해 실제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를 조정하기 위한 광고비 자동조정 민감도를 설정하는 과정(광고비 설정정보의 설정)을 수행한다(S306). 전술한 바와 같이, S306 단계에서 설정되는 광고비 자동조정 민감도 설정은 이동평균 기준일의 설정,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절대량 또는 변화량(이탈비율))에 따른 광고비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값, 즉, 이동평균 기준일 동안의 노출빈도 평균값을 산출하기 위한 이동평균 기준일(312)이 7일로 설정되어, 7일 동안의 노출빈도 평균값과 현재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비교하여 이탈비율을 산출하도록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고비 설정(314)이 산출된 이탈비율의 5배로 입찰가를 조정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수행하여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위한 모든 설정정보가 설정되면, 광고서버(130)는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과정을 종료한다(S3308).
광고설정 자동제어 과정의 예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예 따른 광고서버(130)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과정 중 산출되는 이동평균 노출빈도 대비 이탈비율 그래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에서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고서버(130)에 의한 자동제어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광고서버(130)는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노출빈도를 측정하기로 설정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들에 대한 노출빈도를 수집한다(S400). 노출빈도의 수집기준일은 실시예를 구성하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매일 정해진 시각에 일일 키워드 노출빈도를 수집/산출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매체가 노출빈도 수집 소스로 채택될 수 있으며, 특히 뉴스 및 SNS 컨텐츠가 노출빈도 수집 소스로 채택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를 구성하기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의 정보매체 중 일부가 소스로 채택될 수도 있으며, 일부 매체에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산출이 완료되면,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설정된 최소 노출빈도와 최대 노출빈도 사이에 있는지 여부(즉,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 S404).
판단한 결과, 수집된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들에 대한 키워드 노출빈도가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광고서버(130)는 설정된 이동평균 기준일 동안의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들에 대한 노출빈도 평균값(이동 평균값)을 산출한다(S406).
이동 평균값이 산출된 후, 광고서버(130)는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 즉, 이동 평균값 대비 수집된 키워드 노출빈도(이탈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노출빈도 평가값으로 설정한다(S408).
노출빈도 평가값이 산출되면, 광고서버(130)는 노출빈도 평가값과 미리 설정된 광고비 자동조정 민감도 설정정보(평가기준, 광고비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현재 광고비를 조정하고, 조정된 광고비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로 설정한다(S410).
한편, 도 4b는 구매 키워드 '비키니'에 대한 소정의 기간(2011.04.01 ~ 2011.09.28) 동안의 키워드 노출빈도 및 7일 이동대비 비율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일 노출빈도가 5,000회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수행되도록 구성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영역(400)과 영역(430)에서는 일 노출빈도가 최저 노출빈도인 일 5,000회 미만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키워드 광고 자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반면, 영역(410)에서는 7일 이동대비 비율(7일 동안의 평균 노출빈도 대비 현재 수집된 노출빈도의 비율, 이탈비율)이 100%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 영역(410)에서는 노출빈도의 증가된 변화량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가 증액되어 조정된다.
한편, 영역(420)에서는 7일 이동대비 비율(7일 동안의 평균 노출빈도 대비 현재 수집된 노출빈도의 비율, 이탈비율)이 100% 이하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 영역(420)에서는 노출빈도의 감소된 변화량에 따라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가 감액되어 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네트워크
120 : 뉴스서버 124 : SNS 서버
130 : 광고서버 140 : 사용자 단말기
200 :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 202 : 자동제어 설정부
204 : 키워드 확장부 206 : 광고설정 자동제어부

Claims (37)

  1. 광고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광고주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 및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를 포함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1) 적어도 하나의 뉴스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하는 단계;
    (b2) 상기 접속한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컨텐츠들을 수집하는 단계;
    (b3) 상기 수집된 컨텐츠들에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가 노출되는 빈도인 키워드 노출빈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는 상기 광고주가 구매하였거나 또는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는 상기 광고주가 설정한 설정 키워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는 상기 구매 키워드와 연관된 연관 키워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1) 상기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를 상기 구매 키워드로 결정하며, 상기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구매예정 키워드를 상기 구매 키워드로 결정하는 단계;
    (a1-2) 상기 구매 키워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 키워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유사 키워드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a1-3)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유사 키워드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관 키워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뉴스 서버 및 상기 SNS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2) 단계는 상기 접속한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뉴스 컨텐츠들 및 SNS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3) 단계는 상기 수집된 뉴스 컨텐츠들에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가 노출되는 빈도인 뉴스 내 노출빈도, 상기 수집된 SNS 컨텐츠들에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가 노출되는 빈도인 SNS 내 노출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SNS 내 노출빈도는 상기 SNS 서버가 제공하는 리트윗에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가 노출되는 빈도인 리트윗 내 노출빈도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뉴스 내 노출빈도, 및 상기 SNS 내 노출빈도 중 어느 하나에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9. 광고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대한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상기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를 구매하기 위한 입찰가)를 자동제어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대한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상기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키워드 광고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대한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상기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자동제어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a3)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c2)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상기 광고비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의 상기 광고비 설정정보는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 절대량에 따른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 설정정보이며,
    상기 (c2) 단계는,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의 절대량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비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6. 광고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 및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비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 및 상기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광고비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비 설정정보는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상기 키워드 노출빈도의 변화량에 따른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 설정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는,
    (a3-1)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이동평균 기준일을 설정하는 단계;
    (a3-2)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설정 자동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및
    (a3-3) 상기 키워드 노출빈도 변화량에 따른 광고비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2) 단계는,
    (c2-1) 상기 설정된 이동평균 기준일 동안의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의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c2-2)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 평균값과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비교하여, 이탈비율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2-3) 상기 산출된 이탈비율이 상기 평가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산출된 이탈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비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의 광고비를 산출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2)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에 대한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및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가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에 속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c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대상구간은 상기 최소 노출빈도 설정값, 상기 최대 노출빈도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청구항 11, 및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0.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를 수행하는 광고서버에 있어서,
    광고주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 및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를 포함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자동제어 설정부;
    적어도 하나의 뉴스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한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컨텐츠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컨텐츠들에서 상기 노출빈도 측정 키워드가 노출되는 빈도인 키워드 노출빈도를 산출하는 키워드 노출빈도 수집부; 및
    상기 산출된 키워드 노출빈도를 기초로, 상기 광고설정 자동제어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광고주의 상기 자동제어 대상 키워드에 대한 광고설정을 자동제어하는 광고설정 자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서버.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110145773A 2011-12-29 2011-12-29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3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773A KR101937849B1 (ko) 2011-12-29 2011-12-29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773A KR101937849B1 (ko) 2011-12-29 2011-12-29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00A KR20130089700A (ko) 2013-08-13
KR101937849B1 true KR101937849B1 (ko) 2019-01-15

Family

ID=4921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773A KR101937849B1 (ko) 2011-12-29 2011-12-29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57B1 (ko) * 2020-04-24 2020-11-27 고성엽 광고중개서버 및 이의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05B1 (ko) * 2015-04-16 2016-07-27 네이버 주식회사 트래픽 상품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8322436B (zh) * 2017-12-28 2022-05-31 瑞庭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网络请求的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092137A (zh) * 2021-11-10 2022-02-25 北京淘友天下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57B1 (ko) * 2020-04-24 2020-11-27 고성엽 광고중개서버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00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433B2 (en) Dynamic bid pricing for sponsored search
KR101597247B1 (ko) 실시간 키워드 연동형 광고 노출 시스템 및 방법
TWI512508B (zh) Recommende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information
US20210326936A1 (en) Location-based bid modifiers
KR102340463B1 (ko) 샘플 가중치 설정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WO2014105622A2 (en) Selecting an advertisement for a traffic source
WO2010104928A1 (en) Generating user profiles
JP2008508619A (ja) 広告データの統合及び集約の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
JP6334348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KR101937849B1 (ko)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001780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Targeted Location Events
US9734460B1 (en) Adjusting participation of content in a selection process
US201602755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coordination
US10530898B1 (en) Serving a content item based on acceptance of a new feature
WO20151846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coordination
CN116762070A (zh) 用于提供图像推荐的系统、方法、计算平台和存储介质
KR20220003871A (ko) O2o 기반 저장쿠폰을 이용한 맞춤형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6900B1 (ko) 광고 랭킹 방법 및 시스템
JP7010870B2 (ja)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JP680071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602755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coordination
US201602675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coordination
US20170085672A1 (en) Commercial-Interest-Weighted User Profiles
JP6664576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KR101600454B1 (ko) 클릭 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