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561B1 -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 - Google Patents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561B1
KR101937561B1 KR1020170055499A KR20170055499A KR101937561B1 KR 101937561 B1 KR101937561 B1 KR 101937561B1 KR 1020170055499 A KR1020170055499 A KR 1020170055499A KR 20170055499 A KR20170055499 A KR 20170055499A KR 101937561 B1 KR101937561 B1 KR 10193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urable
photo
monomer
curab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150A (ko
Inventor
양현승
이우성
박성대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5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도금공정수행이 용이한 3D 프린팅 성형체 제조가 가능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은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Functional materials for 3-dimensional printing}
본 발명은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공정수행이 용이한 3D 프린팅 성형체 제조가 가능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생활 또는 의학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3D 프린터의 기본적인 원리는 얇은 2D 레이어를 쌓아서 3D 물체를 만드는 것이다. 3D 프린팅 기술은 해상도에 따라 성형체의 형상이나 크기를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는 우수ㅎ나 기술이다.
3D 프린팅을 통해서 만든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체 표면을 금속화(Metallization)하게 되면, 성형물이 경량이면서도 전자적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하여 널리 응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3D 프린팅을 통해서 만들어진 웨어러블 밴드에 안테나와 같은 전자적 기능 부여를 하기 위해서는 금속화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3D 프린팅 방식 중, 압출형 방식의 3D 프린팅(Fused Deposition Modeling, FDM)에 사용되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와 같은 소재는 무전해도금을 통해서 성형물 표면을 금속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FDM방식보다 정밀하고 고품질 성형체 획득이 가능한 광경화형 3D 프린팅 방식인 SLA(StereoLithography Appartus)방식과 DLP(Digital Light Processing)방식에 광경화성 고분자를 이용하면, 3D 프린팅 후 성형체의 표면이 매끄럽고 소수성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무전해도금이 잘 이뤄지지 않아 금속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공정수행이 용이한 3D 프린팅 성형체 제조가 가능한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은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한다.
친수성 관능기는 산소를 포함하는 관능기일 수 있다.
친수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경화 반응하여 우레탄 고분자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및 경화물의 상에 형성된 금속도금층;을 포함하는 성형체가 제공된다.
금속도금층은 구리도금층일 수 있다.
경화물 및 금속도금층 사이에는 팔라듐 도금시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광경화성 조성물이 성형된 경화물의 표면에 금속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체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성형단계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터로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광경화성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금속을 도금하는 단계에 소요되는 도금시간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상에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도금공정 수행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3D 프린팅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성형체의 표면성질 제어가 가능하여 도금시간 및 도금품질을 높여 원하는 성질의 성형체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에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된 경우 시간에 따른 발열량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 경우 시간에 따른 발열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도 3b는 표면에 금속시드층이 형성된 경화물, 및 도 3c는 표면에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성형체의 도면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도 4b는 표면에 금속시드층이 형성된 경화물, 및 도 4c는 표면에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성형체의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한 경화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한 경화물에 금속도금층을 형성한 성형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은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화합물은 광경화가능한 화합물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경화성 화합물은 광경화성 모노머 또는 광경화성 올리고머일 수 있다. 특히 광경화성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와 같은 광경화 관능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광경화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광경화형 3D 프린팅 방식에 사용되는 조성물일 수 있다. 광경화형 3D 프린팅 방식에 사용될 수 있는 광경화성 화합물은 광경화형 3D 프린팅 방식이 조성물 적층과 동시 또는 시간차를 두어 광조사가 수행되어 경화되어야 하므로 광경화소요시간이 짧은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화합물에는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가 포함된다. 일반적인 광경화성 화합물이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경우, 광경화성 화합물이 경화되어 성형된 경화물은 표면이 매끄럽고 소수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어 표면에 금속도금층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 광경화성 화합물에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광경화성 화합물의 친수성 관능기가 조성물에 도입되게 되어 3D 프린팅 시 표면이 친수성 특성을 나타내는 경화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경화물의 표면이 친수성 특성을 나타내게 되면 표면에 도금층 형성이 용이하다.
광경화성 모노머의 친수성 관능기는 산소를 포함하는 관능기일 수 있다. 또는 친수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광경화성 관능기인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propyl acrylate, HPA),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4-HBA) 및 네오펜틸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NeopentylglycolHydroxypivalate diacr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경화성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광경화성 화합물에 추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2광경화성 모노머의 존재로 인하여 광경화성 화합물의 광경화반응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는 분자량이 비교적 작고 단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이므로 광경화 반응속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광경화성 화합물은 50 내지 90중량%로,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10 내지 5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광경화성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광경화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제2광경화성 모노머가 불순물로 잔존하여 광경화 속도 저하를 유도할 수 있고 광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물성저하가 문제될 수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광개시제로는 벤조페논계, 벤조인, 벤조인에테르계, 벤질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안트라퀴논계, 티옥소잔톤계 등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개시제는 비스아크릴포스핀 옥사이드(Bisacylphosphine 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면 광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경화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화합물(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및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경화에 의해 우레탄 고분자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및 경화물 상에 형성된 금속도금층;을 포함하는 성형체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성형체는 전술한 광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경화물을 제조하고, 경화물 표면에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성형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은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 광경화 반응으로 광경화성 화합물과 반응하므로 전체 광경화성 조성물에는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되게 되고,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의 표면은 친수성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금공정 수행시 시드층 형성이 용이하므로 금속도금층 형성이 가능하고 고품질의 금속도금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화물 표면에 형성된 금속도금층의 금속은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팔라듐(Pd), 은(Ag), 주석(Sn), 백금(Pt) 및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속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화물 및 금속도금층 사이에 형성되는 도금시드층은 팔라듐 도금시드층 또는 루테늄 도금시드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된 광경화성 조성물 경화물의 표면에 금속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체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성형단계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터로 적층하는 단계; 및 적층된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 제조방법에서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하면, 광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경화물의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의 친수성 특성이 도입됨에 따라, 금속을 도금하는 단계에 소요되는 도금시간은 감소할 수 있다. 즉, 경화물의 표면이 친수성 특성을 나타내므로 금속도금시 도금시드층 형성이 용이하게 되어 도금공정이 빠르게 수행될 수 있고, 형성된 도금층의 품질도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경화성 화합물; 및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상에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도금공정 수행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시험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시험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광경화성 조성물 제조]
광경화성 화합물 I에 제1광경화성 모노머로서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Ethoxylated(3)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를 사용하고,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로서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blended with Isobornyl Acrylate, Sartomer사제, 상표명 CN966J75)를 사용하였다.
광경화성 화합물 II에 제1광경화성 모노머로서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를 사용하고,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로서 저점도 방향족 모노아크릴레이트(Low viscosity Aromatic Monoacrylate, Sartomer사제, 상표명 CN131)를 사용하였다.
제2광경화성 모노머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고, 광개시제로는 비스아크릴포스핀 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광경화속도 측정비교]
광경화성 화합물 I에 제2광경화성 모노머로서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각각 사용하여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속도를 Photo DSC를 통해서 비교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에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포함된 경우 시간에 따른 발열량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 경우 시간에 따른 발열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 경우 모두 제2광경화성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Photo DSC 측정결과이고, 도 2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Photo DSC 결과인데, 그래프를 비교하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동일함량에서 광경화속도가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표면특성변화측정]
광경화성 화합물 I에 제2광경화성 모노머로서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면성질변화는 접촉각 장비를 통해서 측정하였고, 광경화성 화합물 I 및 제2광경화성 모노머의 조성비에 따른 접촉각 측정결과가 표 1에 나타나있다.
조성비(광경화성 화합물 I :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0 : 0 10 : 1 10 : 10
접촉각(도) 85 76 73
표 1에서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조성이 증가할수록 표면에 노출된 히드록시기가 많아지고, 표면특성이 친수성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인 히드록시기가 많이 도입될수록 시드금속이 더 쉽게 흡착되어 도금효율이 향상된다.
[구리도금층 형성: 무전해도금]
광경화성 조성물로 제조한 경화물을 상온에서 1시간 에칭하고, 탈이온화수로 세척한 후 상온에서 1시간동안 팔라듐 이온을 포함하는 도금액에 침지시키고 팔라듐 도금시드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탈이온화수로 세척한 후 구리도금배스에 침지시키고 30분간 무전해도금공정을 수행하여 구리도금층을 얻었다.
도 3a는 광경화성 화합물 I에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도 3b는 표면에 금속시드층이 형성된 경화물, 및 도 3c는 표면에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성형체의 도면들이고, 도 4a는 광경화성 화합물 II에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도 4b는 표면에 금속시드층이 형성된 경화물, 및 도 4c는 표면에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성형체의 도면들이다.
2종류의 광경화성 화합물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도 3a 및 도 4a와 같은 경화물을 얻었고, 표면에 팔라듐 도금시드층을 형성하여 표면색이 변화된 것을 도 3b 및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30분 구리무전해도금공정을 수행하여 도 3c 및 도 4c와 같이 경화물 표면에 구리도금층이 형성된 성형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광경화성 화합물의 종류도 도금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제2광경화성 모노머의 종류 및 친수성 관능기의 종류가 도금공정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형체 제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한 경화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한 경화물에 금속도금층을 형성한 성형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팅에 사용하여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면 3D 프린팅 방식으로 원하는 형상의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에는 광경화성 화합물 I과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조성비가 10 : 1인 경우의 경화물에 도금한 성형체가 나타나있고, 도 7에는 조성비가 10 : 10 인 경우의 경화물에 도금한 성형체가 나타나있다. 도 6의 성형체보다 도 7의 성형체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조성비가 높았고, 이에 따라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의 표면에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히드록시기가 더 많이 도입되어 친수성 특성이 더 나타나 도금층이 균일하고 안정적이어서 품질이 더 우수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된 경화물; 및
    상기 경화물 상에 형성된 금속도금층;을 포함하는 성형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관능기는 산소를 포함하는 관능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경화 반응하여 우레탄 고분자화합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광경화성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도금층은 구리도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및 상기 금속도금층 사이에는 팔라듐 도금시드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9. 제1광경화성 모노머 및 제1광경화성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및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경화 반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이 성형된 경화물의 표면에 금속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체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3D 프린터로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된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광경화성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금속을 도금하는 단계에 소요되는 도금시간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170055499A 2017-04-28 2017-04-28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 KR10193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99A KR101937561B1 (ko) 2017-04-28 2017-04-28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499A KR101937561B1 (ko) 2017-04-28 2017-04-28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50A KR20180121150A (ko) 2018-11-07
KR101937561B1 true KR101937561B1 (ko) 2019-01-11

Family

ID=6436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499A KR101937561B1 (ko) 2017-04-28 2017-04-28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5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097A (ko) 2020-12-11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소재
KR20220083098A (ko) 2020-12-11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소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097A (ko) 2020-12-11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소재
KR20220083098A (ko) 2020-12-11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올리고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용 광경화형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50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Polymer‐Assisted Metal Deposition (PAMD): A Full‐Solution Strategy for Flexible, Stretchable, Compressible, and Wearable Metal Conductors
KR101937561B1 (ko) 기능성 3d프린팅용 소재
JP2020526029A (ja) ニッケルめっき炭素繊維膜、その製造方法、シールド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CN101300284B (zh) 环氧树脂组合物,导电薄膜形成方法,导电图案形成方法,以及多层布线板制造方法
WO2014030753A1 (ja) 異方性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異方性導電フィルム
EP3289604B1 (en) Swellable film for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nanoimprint lithography employing same
CN101035412A (zh) 通过压印制造基板的方法
KR20080028979A (ko) 전기 도전성 회로의 형성 방법
CN102264537A (zh) 表面金属膜材料、表面金属膜材料的制作方法、金属图案材料的制作方法及金属图案材料
KR101572518B1 (ko) 3d 프린팅용 이중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3차원 형상의 전도체 성형물의 제조방법
US20090041941A1 (en) Method for forming a metal pattern on a substrate
CN112223884A (zh) 一种电子产品后壳制作方法
US20080241361A1 (en)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CA2541160A1 (en) Photocurable composition for producing cured articles having high clarity an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N101687400A (zh) 使用嵌入成型用薄膜的树脂成型品
CN111278232B (zh) Pcb板多种表面处理工艺
CN1597194A (zh) 一种梯度材料及零件的制备方法
KR20170120779A (ko)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5697A (ko) 적층체, 그것을 사용한 프린트 배선판, 플렉서블 프린트 배선판 및 성형품
Ryspayeva et al. Multimaterial 3D Printing Technique for Electronic Circuitry Using Photopolymer and Selective Metallization
TW570870B (en) Composite material with improved binding strength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14098178A (ja) 導電膜およびその前駆体膜ならびに導電膜の製造方法
CN214294085U (zh) 基于压印技术的印刷线路板制作用压印模具
US20220025157A1 (en) Stereolithographic resin composition and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
KR20100116398A (ko) 탄소나노튜브 박막 후처리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