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092B1 -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092B1
KR101937092B1 KR1020180056437A KR20180056437A KR101937092B1 KR 101937092 B1 KR101937092 B1 KR 101937092B1 KR 1020180056437 A KR1020180056437 A KR 1020180056437A KR 20180056437 A KR20180056437 A KR 20180056437A KR 101937092 B1 KR101937092 B1 KR 10193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unit
dust
pipe
collec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준
신재경
이종철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 옥당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옥당산업 filed Critical (주) 옥당산업
Priority to KR102018005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01D50/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 포집에 사용되는 집진기의 상태 및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집진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켜 집진기의 저장용기나 필터의 교체 시기 등을 관리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스크래버로부터 유입되는 분진 중 일부가 중력중심으로 포집되어 저장되는 제1 포집유닛에 결합하여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제1 포집유닛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배관의 길이를 감지하는 단계, 제1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구에 연결된 제2 배관에 결합하여 제1 배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에 의한 흡입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제1 포집유닛의 하류 측에 연결된 제2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관에 연결되며 분진을 다단 필터유닛들에 의해 포집하는 제3 포집유닛 내에서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 또는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RADIOACTIVE CONCRETE DUST COLLECTOR FOR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시에 발생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을 포집하는데 사용되는 집진기의 상태 및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집진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켜 집진기의 저장용기나 필터의 교체 시기 등을 관리하는,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시설 건축물에는 내부 벽면, 바닥, 천정 등의 콘크리트 면에 도장되는 에폭시나 건축물 몸체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금속 자재의 표면에 부착된 유성 도료, 그리스(grease) 등의 방사능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염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제염장치는 SUS 316 계열이나 유리 글래스, 중탄산나트륨 등을 투사제로 사용하여 방사능 오염체에 고압 분사하여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분진의 비산에 의해 2차 방사능 오염이 발생되어 오히려 방사능을 확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분진의 비산에 의한 2차 방사능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특허출원 제10-2002-77656호에서 제염헤드에 고압의 가스를 분사하는 배출라인 외에 공기를 다시 흡입하는 흡입라인을 구성하여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한 고압을 이용한 표면 방사능 물질의 제염 및 집진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염 및 집진장치는 고압발생장치, 집진장치, 원심분리기, 저장탱크, 드럼, 액체여과필터 등의 크기가 크고 많은 개수의 장치로 구성되어 전체 시설 규모가 커서 단일 물품으로 유통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체 시설이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 집진장치부분만을 별도로 유통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집진 대상, 집진 설비, 집진 장소에 따라 흡입측 또는 배출측 구성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사용분야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제염 대상물에서 이탈된 방사능 입자가 흡입라인을 통해 집진장치로 유입되는데, 이 때 입도가 큰 방사능 입자가 진공펌프를 막아버려 필터를 굉장히 자주 교환해야 하고, 그에 따라 집진장치의 가동이 자주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펌프가 물 집진기 내부에 저장된 물 속에서 압력을 가하여 미세 방사능 입자를 집진하므로 물 집진기의 상부에서는 공기의 유속이 약해 제습기에서의 제습 효율이 저하되고 제습된 공기의 배출력이 떨어져 여과기에서의 여과 효율이 동시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방사능 물질 제염 및 집진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방사능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가동율이 향상되고 운용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방사능 물질 집진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력중심으로 1차로 포집하고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큰 방사능 입자를 2차로 집진하고 미세 방사능 입자를 다중 필터 구조를 통해 3차적으로 집진하여 방사능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단계 집진 유닛들의 개별 구조뿐 아니라 집진 유닛들 간의 연결 구조를 최적화한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의 집진 장치를 모니터링하거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스크래버(scrabber)에 의해 연마되는 콘크리트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스크래버로부터 유입되는 분진 중 일부가 중력중심으로 포집되어 저장되는 제1 포집유닛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배관의 길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구에 연결된 제2 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배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에 의한 상기 흡입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집유닛의 하류 측에 연결된 제2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진 내 먼지를 다단 필터유닛들에 의해 포집하는 제3 포집유닛 내에서 상기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 또는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상기 흡기팬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유입관과 상기 제1 배관 간의 연결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모터 구동 결합부와 상기 저장용기의 유출관과 상기 제2 배관 간의 연결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모터 구동 결합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저장용기를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 및 상태에 대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포집유닛의 일부 케이싱과 함께 프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의 유입구 측 또는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의 유출구 측 또는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차압에 따라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에 포함된 프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교환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흡기팬을 게재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포집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포집유닛으로부터의 분진 일부를 사이클론 효과에 의해 원통형 몸체의 포집탱크 저부에 집적하여 포집하는 제2 포집유닛에서 상기 먼지를 퇴적 또는 침전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포집유닛의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포집탱크 저부에 집적된 분진을 제2 저장용기에 분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제1 배관의 측정 길이에 따라 상기 흡기팬의 흡입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는, 스크래버(scrabber)에 의해 연마되는 콘크리트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스크래버로부터 유입되는 분진 중 일부가 중력중심으로 포집되어 저장되는 제1 포집유닛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배관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로부터 제2 신호 또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구에 연결된 제2 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배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에 의한 상기 흡입력을 측정하는 제3 센서로부터 제3 신호 또는 제3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 입력부; 상기 제1 포집유닛의 하류 측에 연결된 제2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진 내 먼지를 다단 필터유닛들에 의해 포집하는 제3 포집유닛 내에서 상기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 또는 상태를 검출하는 제4 센서로부터 제4 신호 또는 제4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4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 내지 상기 제4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나 메시지, 또는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하는 시기 혹은 시점을 알리기 위한 신호나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제3 필터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의 필터 찢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제5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미리 설정된 영상 처리 절차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카메라 센서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찢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스크래버(scrabber)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중력중심으로 1차 포집하고 사이클론 방식으로 2차 포집하고 다층 필터 박스를 통해 3차 포집하는 집진기의 동작이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의 제염 및 집진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링한 집진기의 동작이나 상태에 따라 집진기의 동작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기초 신호 또는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구현에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장치에서 모니터링한 신호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밸브 동작 제어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집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집진기의 작동 및 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에 채용할 수 있는,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 포집에 사용되는 집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기의 제1 포집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포집유닛의 제1 모터 및 제1 모터 구동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집진기의 제2 포집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집진기의 제3 포집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의 주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의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의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에 채용할 수 있는,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 포집에 사용되는 집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기의 제1 포집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포집유닛의 제1 모터 및 제1 모터 구동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집진기의 제2 포집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집진기의 제3 포집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100)는, 방사능에 오염된 콘크리트 구조물(RCW) 표면을 연마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래이퍼 롤러를 갖춘 전용 툴인 스크래버(Scrabber, 200)에 연결되고, 스크래버(200)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분진을 제염 및 포집하는 장치이다. 집진기(100)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콘크리트 분진 포집을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300)에 고정되거나 탑재될 수 있다. 구조물(300)은 스크래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기(100)는 스크래버(200)에 의해 연마되는 콘크리트의 분진을 제염 및 포집하기 위하여 제1 포집유닛(10), 흡기팬(20), 제2 포집유닛(30) 및 제3 포집유닛(50)을 포함하며, 구현 형태에 따라 배기팬 유닛(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집진기(100)는 복수의 센서들(73 등)을 구비하고 모니터링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장치(도 6의 110 참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집진기(100)의 제1 포집유닛(10)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고 스크래버(200)에 의해 연마되는 콘크리트 분진 중 제1 크기 이상의 분진을 주로 포집한다. 제1 포집유닛(10)의 흡기구 또는 유입구는 스크래버(200)에 연결된다. 제2 포집유닛(30)은 흡기팬(20)을 사이에 두고 제1 포집유닛(10)에 연결되며 사이클론 효과에 의해 포집탱크 저부에 분진을 집적시켜 포집한다. 제3 포집유닛(50)은 포집되는 방사성 콘크리트 분진에 함유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다단 필터유닛들을 구비한다. 제3 포집유닛(50)의 유입구는 제2 포집유닛(30)의 배기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기팬 유닛(60)은 제3 포집유닛(50)의 배기구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진은 최대 1000㎛ 내지 최소 0.1㎛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집진기(100)의 제1 배관(21)이 스크래버의 동작에 따라 움직일 때, 제1 배관(21)에 결합하는 길이 센서(73)에 의해 제1 배관(21)의 연장 길이가 실시간 측정될 수 있다.
길이 센서(73)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구간이나 관절 구간을 구비하는 제1 배관(21)의 연장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 배관(21)의 연장이나 축소에 맞춰 자신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하는 측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길이 센서는 다른 구현으로서 레이저빔 기반의 거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스크래버(200)는 방사성 콘크리트 페기물의 건식처리장치 중 하나로서 방사성 콘크리트 벽의 외표면을 연마롤러에 의해 연마하는 장치이다. 스크래버(200)의 케이싱에는 제1 포집유닛(10)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배관의 말단부가 연결된다. 스크래버 케이싱 내에는 흡기팬(20)에 의한 음압 분위기가 형성된다. 스크래버(2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분진은 음압 분위기에서 제1 배관을 통해 제1 포집유닛(10)으로 흡입된다.
제1 포집유닛(10)은 스크래버(200)에 제1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제2 배관을 통해 흡기팬(20)에 연결된다. 제1 포집유닛(10)은 유입되는 분진을 중력중심으로 포집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포집유닛(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11), 저장용기(13), 제1 모터(15), 제2 모터(16), 제1 모터구동 결합부(17) 및 제2 모터구동 결합부(18)를 구비한다.
제1 포집유닛(10)은 저장용기(13)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71), 저장용기(13)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7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71; 72)는 제어장치(control unit)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카트(11)는 저장용기(13)를 수납하고 이동가능한 형태를 구비한다. 카트(11)의 바닥면에서는 바퀴(12)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바퀴(12)는 카트(11)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와, 회전부를 둘러싸는 고리 모양의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퀴(12)는 구동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바퀴일 수 있다.
또한, 바퀴(12)는 바퀴 어셈블리 형태로 원격제어를 위한 통신모듈을 더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 등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제1 포집유닛(10)을 이동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구현 형태에 따라 바퀴(12)는 카트(11)에 결합되지 않고 저장용기(12)에 직접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저장용기(13)는 카트(11) 상에 수납된다. 저장용기(13)는 내부 공간(13s)에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연마 부산물(W1)을 중력중심으로 포집하여 드럼폐기하기 위한 케이스, 탱크 또는 드럼이다. 저장용기(13)의 상부면에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설치된다.
제1 개구부는 상부측에 플랜지를 가진 제1 유입관(21a)을 포함하고, 제2 개구부는 상부측에 플랜지를 가진 제1 유출관(22a)을 포함한다. 제1 유입관(21a)은 유입구 또는 제1 유입구에 대응하고, 제1 유출관(22a)은 유출구 또는 제1 유출구에 대응한다. 제1 유입관(21a)은 스크래버(scrabber)로부터의 분진을 흡입하고, 제1 유출관(22a)은 제2 포집장치 또는 다음의 구성부(B part)로 흡입된 분진의 일부를 배출한다.
제1 유입관(21a)의 하부측 일단은 저장용기(13)의 내부로 제1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연장 설치되고, 제1 유출관(22a)의 하부측 일단은 저장용기(13)의 내부로 제2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연장 설치된다. 제2 길이는 제1 길이보다 길다. 제2 길이는 제1 길이의 2배 이상 길며, 그에 의해 제1 배관(21)을 통해 흡입된 분진이 바로 제2 배관(2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유출관(22a)의 내부 중공부의 직경(즉, 제2 내경)은 제1 유입관(21a)의 제1 내경보다 크다. 제1 내경은 제2 내경의 3/4의 크기를 가지며, 그에 의해 흡기팬(20)의 흡입력이 저장용기(12)를 거쳐 제1 배관(21)에 연결되는 스크래버 케이싱까지 적절하게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모터(15)는 카트(11)의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또는 플랜지 상에 설치된다. 제1 모터(15)는 제1 유입관(21a)과 제1 배관(21)을 연결하는 제1 커플링유닛(17)에 결합한다. 제1 커플링유닛(17)은 제1 모터(15)의 구동력에 의해 제1 유입관(21a)의 플랜지와 제1 배관(21)의 플랜지를 맞물려 잡고 기밀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모터(15)는 제어장치(control unit)에 연결되어 제어장치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모터(16)는 카트(11)의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또는 플랜지 상에 설치된다. 제2 모터(16)는 카트(11) 상부면 상에서 제1 모터(15)의 반대편에서 제1 모터(15)와 마주하도록 혹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터(16)는 제1 유출관(22a)과 제2 배관(22)을 연결하는 제2 커플링유닛(18)에 결합한다. 제2 커플링유닛(18)은 제2 모터(16)의 구동력에 의해 제1 유출관(22a)의 플랜지와 제2 배관(22)의 플랜지를 맞물려 잡고 기밀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모터(16)는 제어장치(control unit)에 연결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제1 커플링유닛(1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터(15)에 의해 제1 배관(21)과 저장용기(12)와의 결합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커플링유닛(18)은 제2 모터(16)에 의해 제2 배관(22)과 저장용기(12)와의 결합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 형태에서, 제1 및 제2 커플링유닛들(17, 18)은 배관과의 결합이 모터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 구동 결합부로서 동작할 뿐 아니라 배관 내부의 개도를 개방 또는 폐쇄 등으로 제어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커플링유닛(1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유닛 몸체에 개도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유닛(17a)과, 차단유닛(17a)에 연결되어 제1 모터(15)의 구동축에 결합하고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차단유닛(17a)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유닛(17b)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구동축은 봉 형태를 구비하고 그 표면에 구동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어유닛(17b)은 한 쌍의 너트 바 형태를 구비하고 구동축에 소정의 이격 거리들 두고 결합되어, 구동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한 쌍의 너트 바들의 이격 거리가 좁혀져 차단유닛(17a)이 개도를 개방하도록 동작하고, 구동축이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한 쌍의 너트 바들의 이격 거리가 넓혀져 차단유닛(17a)이 개도를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모터 구동 결합부의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치는 중력 센서 또는 무게 센서(71)이나 압력 센서(72 참조)의 감지 신호를 토대로 저장용기(12) 내에 일정 무게나 일정 압력의 방사성 콘크리트 벽의 연마 부산물이 포집된 것으로 판단되면, 흡기팬(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1 배관(21)과 제2 배관(22)을 커플링유닛들(17, 18)로 폐쇄한 상태에서 제1 유입관(21a)과 제1 유출관(22a)을 분리함으로써 제1 유입관(21a)과 제1 유출관(22a)이 결합된 저장용기(12)가 새로운 빈 저장용기(12)로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전동 배관 분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빈 저장용기(12)는 새로운 카트에 실린 상태로 카트와 함께 교체될 수 있다.
전술한 모터 구동 결합부의 구성에 의하면, 모니터링 장치는, 저장용기(13)의 교체시 제1 및 제2 커플링유닛들(17, 18)의 동작이나 상태를 제어하여 제1 배관(17)의 개도를 막은 상태에서 제1 유입관(21a)과 제1 배관(17) 간의 결합을 해제하고, 제2 배관(18)의 개도를 막은 상태에서 제1 유출관(22a)과 제2 배관(18)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그 경우, 제1 배관(21)이나 제2 배관(22)을 통해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이 작업 공간에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역으로, 제1 및 제2 커플링유닛들(17, 18)에 의해 저장용기(12)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배관들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저장용기(12) 내부를 기밀하게 막은 상태로 저장용기(12)를 교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커플링유닛들(17, 18)은 방사능 유출방지 캡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포집유닛(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팬(20)을 게재하고 제2 배관을 통해 제1 포집유닛(10)에 연결된다. 흡기팬(20)의 흡기구에는 제1 배관의 하류측 말단부(22b)가 연결되고, 흡기팬(20)의 배기구는 제2 포집유닛(30)의 원통형 몸체(31)의 상단부 일측면에 연결된다. 흡기팬(20)의 동작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제1 배관 내 압력이나 제2 포집유닛(30) 내 분진의 유속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원통형 몸체(31)의 몸체 하단부(31a)는 역삼각형 형태 또는 깔때기(funnel) 형태를 구비한다. 몸체 하단부(31a)의 하부측 말단부에는 밸브(32)가 설치된다. 밸브(32)는 로터리 밸브(rotory value)일 수 있다. 원통형 몸체(31)의 하부측에는 제2 저장용기(33)가 연결된다. 원통형 몸체(31)는 지지프레임(34)에 의해 지지되고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몸체(31)에는 원통형 몸체(31)의 상단부에서 삽입되어 원통형 몸체(31)의 내부 공간에서 이중관 형태를 형성하는 배기관(35)이 연결된다. 배기관(35)의 일단부(35a)는 원통형 몸체(31)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깔때기 형태의 몸체 하단부(31a)의 바로 윗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배기관(35)의 타단부는 하류의 다른 구성요소(C part)인 제3 포집유닛에 연결된다.
배기관(35)의 내경은 원통형 몸체(31)의 내경의 약 1/3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몸체(31)의 중력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서의 길이는 몸체 하단부(31a)의 수직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사이즈는 제2 포집유닛(30) 내에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것이다.
전술한 제2 포집유닛(30)의 구조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분진이나 먼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가스나 공기와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흡기팬(20)을 통해 유입되는 함진 유체가 원통형 몸체(31)의 내부 공간에서 나사 운동을 할 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진이나 먼지는 원통형 몸체(31)의 내벽 측으로 이동한 후 몸체 하단부(31a)에 침전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가스나 공기는 나사 운동을 끝마치고 배기관(35)을 통해 제2 포집유닛(3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포집유닛(30)은 싸이클론(cyclone) 형식이나 회전 형식을 이용하는 집진기로서 동작하며, 싸이클론 형식으로는 접선유입식이나 축류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포집유닛(30)에서의 분진 포집 시, 침전된 분진은 레벨 센서(74)에 의해 감시된다. 레벨 센서(74)의 센싱값이 일정값 혹은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장치는 밸브(32)를 제어하여 몸체 하단부(31a)에 침전되어 있는 분진을 제2 저장용기(33)에 분리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포집유닛(30)의 구조에서 원통형 몸체(31)와 몸체 하단부(31a)는 제2 포집유닛(30)의 바디프레임에 대응하고, 제2 저장용기(33)는 바디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바디프레임의 내부 하단부에 퇴적되고 밸브(32)를 통해 배출되는 먼지나 분진을 저장하여 처리하기 위한 분진저장유닛 또는 분진배출유닛에 대응할 수 있고, 원자력폐기물 수거함(BX)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포집유닛(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또는 사각박스 형태의 단면적을 가지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하는 제1 길이를 구비하는 중공형의 메인 프레임(51), 및 메인 프레임(5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구비하고 메인 프레임(51)의 중간부나 말단부에 유체유동 방향에서 기재된 순서대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리 필터(pre filter) 유닛(53),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유닛(54) 및 헤파 필터(HEPA filter) 유닛(55)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51)은 제3 포집유닛(50)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으로서 그 흡기구에는 제2 배관의 말단부(35b)가 연결된다. 흡기구 또는 흡기구 부분(51a)은 제2 배관의 말단부(35b)와 동일한 내경에서 점진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원추형(cone) 형태의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흡기구 부분(51a)의 일측의 제1 내경은 타측의 제2 내경의 절반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 부분(51a)의 구성에 의하면, 제2 배관을 통해 제3 포집유닛(50)에 유입되는 함진 가스의 속도를 늦추면서 제3 포집유닛(50)의 메인 프레임(51)의 내부 공간에 함진 가스를 확산시킬 수 있다.
흡기구 부분(51a)에 이어지는 메인 프레임(51)의 내부 공간은 함진 가스가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적어도 직경 사이즈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에서의 확산 공간부(51b)를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51)의 일부 내부 공간인 확산 공간부(51b)에는 제1 센서(52)가 설치된다. 제1 센서(52)는 확산 공간부(51b)에서 확산되는 함진 가스의 속도, 가스에 함유된 분진입자량 등을 검출할 수 있다.
확산 공간부(51b)의 하류 측에는 프리 필터(53a), 멤브레인 필터(54a) 및 헤파 필터(55a)가 기재된 순서대로 함진 가스의 흐름을 따라 배치된다.
프리 필터(53a)는 메인 프레임(51)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51)에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리 필터(53a)는 5㎛ 이하의 분진을 포집하도록 필요한 재료를 사용하여 준비될 수 있다. 프리 필터(53a)는 섬유 필터일 수 있다. 함진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프리 필터(53a)의 폭은 약 50㎛일 수 있다.
프리필터(53a)는 다단 필터 구조의 제1 필터로서, 섬유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섬유 재질과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리필터(53a)의 섬유 재질은 금속제 메쉬(mesh)로 지지될 수 있다. 금속제 메쉬는 흡기팬이나 배기팬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풍력에 고속으로 유입되는 방사성 콘크리트 분진에 의해 프리필터(53a)가 손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금속제 메쉬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제 매쉬의 철선의 외경은 1.6㎜이고, 인접한 철선들 사이의 간격은 약 6㎜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제 메쉬는 스테인레스 재질 외에 일반 철(Fe) 재질의 표면에 아연(Zinc) 또는 크롬 도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54a)는 메인 프레임(51)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51)에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멤브레인 필터(54a)는 1㎛ 이하의 분진을 포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함진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멤브레인 필터(54a)의 폭은 약 50㎛일 수 있다.
또한, 헤파 필터(55a)는 메인 프레임(51)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51)에 직접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헤파 필터(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55a)는, 클린룸(clean room) 수준으로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고성능 필터이다. 헤파 필터(55a)는 0.3㎛ 이하의 분진을 여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함진 가스의 흐름 방향에서 헤파 필터(53)의 폭은 약 50㎛일 수 있다.
헤파 필터 유닛(55)의 하류 측에는 배기 공간(56)이 설치되고, 배기 공간(56)에는 배기팬 박스(6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배기 공간(56)에는 제2 센서(58)가 설치되어 다단 필터들을 통과한 공기 내의 먼지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신호나 데이터가 제2 센서(58)에서 제어장치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다단 필터 구조에 의하면, 프리 필터 유닛(53), 멤브레인 필터 유닛(54) 및 헤파 필터 유닛(55) 각각을 제3 포집유닛(50)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필터 등을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중력중심의 분진 포집 단계와 싸이클론 효과에 의한 분집 포집 단계를 거친 함진 가스를 제3 포집유닛(50) 내에서 확산시켜 다단 필터 구조를 통해 단계적으로 분진을 포집함으로써 방사성 콘크리트 분진과 방사능 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청정한 공기를 배출(exhaust)할 수 있다.
한편, 제3 포집유닛(50)은 다단 필터 구조에서 필터의 찢어짐 등의 손상을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75)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75)는 프리 필터(53a), 멤브레인 필터(54a) 및 헤파 필터(55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찢어짐 등의 물리적인 손상을 이미지를 통해 감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카메라 센서(75)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장치로 전송되고 제어장치에서 실행되는 미리 설정된 영상 처리 절차나 프로그램에 의해 필터 찢어짐 등의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방법이 적용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의 작동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크래버 등의 전용 툴에 의해 방사능에 오염된 콘크리트 구조물(RCW)의 표면을 깎아 낼 때, 집진 장치의 흡기팬(20)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스크래버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은 제1 포집유닛(10)으로 유입된다. 흡기팬(20)의 흡입력은 제1 배관 내 풍속을 기준으로 5m/s 내지 30m/s를 가변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관(21)은 수직 방향으로 10m 내지 20m를 연장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도 10m 내지 20m를 연장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흡입된 분진 중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분진은 1차적으로 제1 포집유닛(10)에서 중력중심으로 포집되고, 나머지 분진은 제2 배관(22)을 통해 제2 포집유닛(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분진은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입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포집유닛(30)으로 이동하는 분진의 입도는 최대 1000㎛일 수 있다. 이러한 분진의 최대 입도는 제1 포집유닛(10) 내에 제1 배관(21)보다 깊게 삽입되는 제2 배관(22)의 연장 길이에 의해 어느 정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21) 즉 포집관의 길이와 흡기팬(20)의 흡입력은 작업 환경에 따라 포집하는 분진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포집관 내 풍속 5m/s 이상에서는 입경 10㎛ 이하의 부유 분진을 포집할 수 있고, 40M 포집관에서 10m/s의 풍속 발현 시 입경 40㎛ 이하의 부유 분진을 포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작업 환경에 따라 포집관의 길이와 흡기팬의 흡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서 작업 초기와 중기 및 후기에 발생하는 분진의 최대 입자 크기에 따라서 혹은, 포집관의 길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흡입력으로 자동 제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포집장치(30)에 유입된 분진 중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진은 원심력에 의해 원통형 몸체(31)의 내벽을 따라 침전하여 원통형 몸체(31)의 하부에 쌓이고, 밸브(32)를 통해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제2 저장용기(33)에 분리 저장하게 된다. 제2 포집장치(30)는 분진 내 입도 약 3㎛ 이상의 입자들을 침전시키도록 작동 환경이 설정될 수 있다. 작동 환경은 흡기팬(20)의 흡입력과, 원통형 탱크(31)의 내경, 원통형 탱크(31)의 수직 길이, 배기관(35)의 내경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포집장치(50)는 배기관(35)을 통해 유입된 분진을 분진 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여과한다. 여기에서, 제3 포집장치(50)에 설치되는 프리필터 유닛(53), 멤브레인 필터 유닛(54) 및 헤파 필터 유닛(55) 각각은 제3 포집장치(50)의 하우징 즉 메인 프레임(51)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제작되고, 그에 의해 제3 포집장치(50)의 외부에서 직접 필터 유닛을 분리하여 새로운 필터 유닛으로 교환하거나 필터 유닛의 필터 내부를 청소한 후 바로 필터 유닛을 다시 제3 포집장치(50)에 장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헤파 필터(55a)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일정 수준 이상의 청정 공기이며, 이러한 무방사능 청정 공기는 배기 공간(56)과 배기팬 박스(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배기 공간(56)에 설치되는 제2 센서(58)는 청정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고, 제어장치는 제1 센서(52) 및 제2 센서(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흡기팬(2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필터 유닛을 교체하거나 혹은 필터 유닛에 대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 포집 장치에 의하면, 필터 조합에 따른 회수율, 작업성, 내구성을 고려한 최적의 필터 조합을 제공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연마 방식에 의하 제염 및 포집 처리 시, 콘크리트 분진의 입자 크기에 관계없이 공기 중으로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사능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청정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여 2차 피폭을 근복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기팬 유닛(60)을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팬 유닛(60)이 제3 포집유닛(50)과 단일 하우징 형태로 결합하는 형태 등과 같이 제3 포집유닛(50)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의 주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의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7의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이하 간략히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 또는 '모니터링 장치'라고 한다)는 집진기의 제1 포집유닛, 제2 포집유닛, 제3 포집유닛 등에 설치되는 센서들로부터 압력 등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 데이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알람 등을 위한 신호,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구현에 따라서 알람 등에 대응하는 조치를 위해 집진기에 설치된 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 구동 결합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모터, 제2 포집유닛에 설치되는 밸브, 흡기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어장치(110), 저장장치(120) 및 입력장치(130)를 구비하고, 구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입력장치(130) 내 제1 입력부 내지 제4 입력부 또는 그 이상의 입력부들을 통해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복수의 센서들은 길이 센서, 압력 센서, 무게 센서, 중력 센서, 레벨 센서, 농도 센서, 유속 감지 센서, 먼지 센서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얻은 신호나 데이터를 토대로 집진기의 동작이나 상태를 비교하거나 분석하고,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생성모듈(112)를 통해 신호,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데이터 또는 메시지는 알람 신호, 알람 데이터 또는 알람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논리회로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120)는 제어장치(11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장치(120)는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는 일련의 절차 또는 이러한 일련의 절차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장치(120)는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장치(130)는 제1 입력부 내지 제4 입력부 등의 입력부들을 포함한다. 입력장치(130)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고, 구현에 따라서 증폭기나 디지털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입력부는 대응 센서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집진기의 모니터링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제어장치(110)에서 제공하는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Dust Collector Monitor'의 타이틀의 화면(142)에 센서 데이터의 신호 파형과 해당 신호 파형을 출력하는 특정 센서명(Sensor1, Sensor2)이 표시된다.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142)에는 메뉴(file) 아이콘, 센서 관리창을 불러오기 위한 버튼, 센서 데이터 그래프, 왼쪽 세로축 기준으로 그래프 출력 또는 숨김용 체크박스, 오른쪽 세로축 기준으로 그래프 출력 또는 숨김용 체크박스, 그래프 표시 색상, 센서 이름, 마지막에 수집된 값(value) 표시부, 정상(normal) 또는 알람에 대한 센서 상태(Status) 표시부, 화면 오른쪽 하단의 알람 발생 표시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이 화면(142)에서 왼쪽 중간 이하 부분에 표시되는 실시간 그래프는 일정 시간의 데이터(예컨대, 1시간 이내의 데이터)만을 표시하고 스크롤 처리된 것이다.
또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센서 관리 화면(144)은 등록된 센서의 목록(list)을 표시하는 메뉴, 선택된 센서의 정보나 속성(properties)을 표시하는 메뉴, 새로운(new) 센서를 등록하기 위한 메뉴 또는 버튼, 선택된 센서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띄우기 위한 버튼, 선택된 센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 센서 관리 창을 닫기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센서 추가(new sensor) 화면(145)이나 센서 수정(edit sensor) 화면(146)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추가 화면(145)은 새로운 센서를 추가하기 위한 팝업창이고, 센서 수정 화면(146)은 선택된 센서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팝업창이다.
센서 추가 화면(145)나 센서 수정 화면(146)은 센서의 이름(name)을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입력창, 센서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입력창, 센서의 포트(port)를 입력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입력창을 구비한다. 화면에서 소정의 센서 관련 정보가 입력되거나 수정된 후 사용자는 확인(OK) 버튼을 눌러 입력 또는 수정 사항을 저장하거나 취소(cancel) 버튼을 눌러 센서 추가 또는 수정 작업을 종료하고 화면이 센서 관리 창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센서 시뮬레이터 화면(148)은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1 집진유닛에 설치된 센서(sensor 1)의 설정 정보, 제2 집진유닛에 설치된 센서(sensor 2)의 설정 정보, 제3 집진유닛에 설치된 센서(sensor 3)의 설정 정보를 표시하고, 각 센서의 시작(start) 버튼에서의 신호 입력에 응하여 센서 동작 결과를 화면 하단에 표시하고 각 센서의 동작 정지(stop) 버튼에서의 신호 입력에 응하여 센서 동작 결과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센서는 실제 센서이거나 가상 센서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의 주요 작동 원리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는, 스크래버로부터 유입되는 분진 중 일부가 중력중심으로 포집되어 저장되는 제1 포집유닛에 결합하여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S71).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기준치 이상이면, 흡기팬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현에 따라서 흡기팬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유입관과 제1 배관 간의 연결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모터 구동 결합부와 저장용기의 유출관과 제2 배관 간의 연결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모터 구동 결합부를 제어하여 제1 배관과 제2 배관으로부터 저장용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저장용기를 교체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더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포집유닛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배관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S72). 그리고,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구에 연결된 제2 배관에 결합하여 제1 배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에 의한 상기 흡입력을 측정할 수 있다(S73).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는 제1 배관의 측정 길이에 따라 흡기팬의 흡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흡기팬을 게재하고 제2 배관을 통해 제1 포집유닛과 연결되며 제1 포집유닛으로부터의 분진 일부를 사이클론 효과에 의해 원통형 몸체의 포집탱크 저부에 집적하여 포집하는 제2 포집유닛 내의 분진 퇴적 또는 침전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S74). 이 경우, 제어장치는 레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2 포집유닛의 밸브를 제어하여 포집탱크 저부에 침전된 분진을 제2 저장용기에 분리 저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는 제1 포집유닛의 하류 측에 연결된 제2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관에 연결되며 분진 내 먼지 등을 다단 필터유닛들에 의해 포집하는 제3 포집유닛 내에서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유체의 농도 또는 오염도 등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S75).
이 경우,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는, 제3 포집유닛에서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와 유출되는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3 포집유닛의 일부 케이싱과 함께 프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는, 다단 필터유닛들의 유입구 측 또는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센서와 다단 필터유닛들의 유출구 측 또는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차압에 따라 다단 필터유닛들에 포함된 프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교환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각 단계는 임의의 프로세서의 시작 단계가 될 수 있고, 또한 다른 단계의 시작에 대한 임의의 프로세서의 마지막 단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단계들의 임의로 조합되는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크래버(200) 등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중력중심으로 1차 포집하고 사이클론 방식으로 2차 포집하고 다층 필터 박스를 통해 3차 포집하는 구조의 집진기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방사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연마 방식에 의하여 제염 및 포집 처리를 하는 장치에서, 콘크리트 분진이 공기 중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사능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청정한 공기만을 대기중으로 배출하여 2차 피폭을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 포집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에서는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의 1차 포집을 위한 제1 포집유닛과, 2차 포집을 위한 제2 포집유닛과, 3차 포집을 위한 제3 포집유닛 자체에서의 구조, 예컨대 모터 구동 결합 구조나 부분 케이싱 일체형 필터유닛들 등의 구조와, 포집유닛들 간이나 포집유닛과 연결 배관 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분진의 무게나 입경에 따른 실질적 5단 필터링 구조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집진기의 동작이나 상태를 모니티링하여 집진기가 우수한 성능을 가지면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기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이나 장치를 사용자는 경우에는 각 포집유닛의 저장용기나 필터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에 대한 작업 시 작업 중지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작업 연속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이면서 방사화 분진의 제염 및 포집에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자력 발전소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시 발생하는 방사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분진 포집 장치를 효과적으로 운영 및 관리함으로써, 처분 비용 관점에서 사업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이다.(No.20161510300420)

Claims (7)

  1. 스크래버(scrabber)에 의해 연마되는 콘크리트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스크래버로부터 유입되는 분진 중 일부가 중력중심으로 포집되어 저장되는 제1 포집유닛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배관의 길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구에 연결된 제2 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배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에 의한 상기 흡입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집유닛의 하류 측에 연결된 제2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진 내 먼지를 다단 필터유닛들에 의해 포집하는 제3 포집유닛 내에서 상기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 또는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상기 흡기팬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유입관과 상기 제1 배관 간의 연결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모터 구동 결합부와 상기 저장용기의 유출관과 상기 제2 배관 간의 연결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모터 구동 결합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저장용기를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 및 상태에 대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3 포집유닛의 일부 케이싱과 함께 프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의 유입구 측 또는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의 유출구 측 또는 하류 측에 설치되는 제2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한 차압에 따라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에 포함된 프리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헤파 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교환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을 게재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제1 포집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포집유닛으로부터의 분진 일부를 사이클론 효과에 의해 원통형 몸체의 포집탱크 저부에 집적하여 포집하는 제2 포집유닛에서 상기 먼지를 퇴적 또는 침전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포집유닛의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포집탱크 저부에 집적된 분진을 제2 저장용기에 분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의 측정 길이에 따라 상기 흡기팬의 흡입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7. 스크래버(scrabber)에 의해 연마되는 콘크리트의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스크래버로부터 유입되는 분진 중 일부가 중력중심으로 포집되어 저장되는 제1 포집유닛에 결합하여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이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 배관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로부터 제2 신호 또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입력부;
    상기 제1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구에 연결된 제2 배관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배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기팬에 의한 상기 흡입력을 측정하는 제3 센서로부터 제3 신호 또는 제3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3 입력부;
    상기 제1 포집유닛의 하류 측에 연결된 제2 포집유닛의 유출구 또는 배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진 내 먼지를 다단 필터유닛들에 의해 포집하는 제3 포집유닛 내에서 상기 제3 포집유닛에 유입되는 분진의 농도 또는 상태를 검출하는 제4 센서로부터 제4 신호 또는 제4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4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 내지 상기 제4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4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나 메시지, 또는 상기 다단 필터유닛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하는 시기 혹은 시점을 알리기 위한 신호나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장치.
KR1020180056437A 2018-05-17 2018-05-17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93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37A KR101937092B1 (ko) 2018-05-17 2018-05-17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437A KR101937092B1 (ko) 2018-05-17 2018-05-17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092B1 true KR101937092B1 (ko) 2019-01-09

Family

ID=6501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437A KR101937092B1 (ko) 2018-05-17 2018-05-17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0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1207A (zh) * 2019-11-12 2020-01-14 徐州杰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离心式商砼污水过滤装置
KR102169511B1 (ko) * 2020-02-26 2020-10-23 (주) 옥당산업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포집 공조 시스템
WO2021188998A1 (en) * 2020-03-20 2021-09-23 Donaldson Company, Inc. Active precleaner system and methods of use
FR3122338A3 (fr) * 2021-04-28 2022-11-04 Sb Filtres Et Techniques Solution de telesurveillance, d’analyse et d’alerte sur le fonctionnement d’un systeme de depoussierrage et de traitement de fumees
KR102470578B1 (ko) * 2021-11-04 2022-11-25 주식회사 대본테크 원전 해체용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공법
KR102470577B1 (ko) * 2021-10-29 2022-11-25 주식회사 대본테크 원전 해체용 콘크리트 구조물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우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921B1 (ko) 2002-12-0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287402B1 (ko) 2012-12-10 2013-07-19 현병식 지붕형 산업용 집진시스템
KR101637034B1 (ko) 2016-02-05 2016-07-07 지티앤피주식회사 산업용 표면 연마 및 집진 로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921B1 (ko) 2002-12-0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287402B1 (ko) 2012-12-10 2013-07-19 현병식 지붕형 산업용 집진시스템
KR101637034B1 (ko) 2016-02-05 2016-07-07 지티앤피주식회사 산업용 표면 연마 및 집진 로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1207A (zh) * 2019-11-12 2020-01-14 徐州杰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离心式商砼污水过滤装置
KR102169511B1 (ko) * 2020-02-26 2020-10-23 (주) 옥당산업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포집 공조 시스템
WO2021188998A1 (en) * 2020-03-20 2021-09-23 Donaldson Company, Inc. Active precleaner system and methods of use
FR3122338A3 (fr) * 2021-04-28 2022-11-04 Sb Filtres Et Techniques Solution de telesurveillance, d’analyse et d’alerte sur le fonctionnement d’un systeme de depoussierrage et de traitement de fumees
KR102470577B1 (ko) * 2021-10-29 2022-11-25 주식회사 대본테크 원전 해체용 콘크리트 구조물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우 절단장치
KR102470578B1 (ko) * 2021-11-04 2022-11-25 주식회사 대본테크 원전 해체용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092B1 (ko)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집진기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05698279B (zh) 一种多功能环保型室内空气净化装置
KR102032900B1 (ko) 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집진기 시스템
US10814257B2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KR102025512B1 (ko) 제염 발생분진 제거 시스템
CN111871082A (zh) 一种用于电气自动化设备的除尘装置
CN208404395U (zh) 一种旋风分离装置
KR102470578B1 (ko) 원전 해체용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공법
KR101346219B1 (ko) 바이패스터널용 집진장치
KR101999061B1 (ko)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 포집 장치
CN109091926A (zh) 一种化学化工废液的一体化处理装置
KR102169511B1 (ko)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포집 공조 시스템
KR102461154B1 (ko) 방사화 콘크리트 분진 포집장치
CN208011916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KR20160138747A (ko) 비유동식 수벽을 이용한 원심분리식 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174586A (ja) 放射性ダストの捕集方法および捕集装置
CN209003815U (zh) 吸尘器
CN208700819U (zh) 一种工业污水净化处理装置
KR100657202B1 (ko) 물 집진기를 이용한 방사능 집진장치
JP3188416B2 (ja) ヒューム粉塵類の回収機
KR20200093990A (ko)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CN216731073U (zh) 光纤陀螺环过渡工装设备
CN107626169A (zh) 自启动式空气净化器
CN108662694A (zh) 一种壁挂式无尘室空气净化器
CN218297721U (zh) 一种建筑安全检测用建筑灰尘取样检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