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808B1 -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808B1
KR101936808B1 KR1020170068891A KR20170068891A KR101936808B1 KR 101936808 B1 KR101936808 B1 KR 101936808B1 KR 1020170068891 A KR1020170068891 A KR 1020170068891A KR 20170068891 A KR20170068891 A KR 20170068891A KR 101936808 B1 KR101936808 B1 KR 10193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member
metal
electric field
loca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254A (ko
Inventor
안상훈
Original Assignee
안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훈 filed Critical 안상훈
Priority to KR102017006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0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2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for therapeutic purposes

Landscapes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는, 제1 금속(m1)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제1 링부재 (r1); 및 상기 제1 금속(m1)과는 이온화경향, 평형전위 또는 자연전위가 다른 제2 금속(m2)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제2 링부재(r2);가 서로 단부끼리 이어맞춰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링형체(r)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링부재(r1)와 상기 제2 링부재(r2) 사이에 국부전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CONTACTING ACCESSORY WITH LOCAL ELECTRIC FIELD}
본 발명은,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경혈이나 피부, 근육, 신경 등을 국부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전력선 생성용의 국부전계를 생성하는 접촉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를 포함하는 동양의학에서는, 인체의 오장육부를 조절하기 위해 경락에 자극을 가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경락은, 몸통 뿐 아니라 사지와 머리 등 온 몸에 산재한다.
한편, 수지침술에서는, 손을 인체의 축소판으로서 보고, 손목, 손바닥 및 손가락의 각 부분을 인체의 오장육부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이 손의 새로운 경락인 345개의 자극처를 자극하여 인체의 오장육부를 조절하는 방식을 취한다. 경락의 자극에는 주로 침을 이용하지만, 뜸, 압봉, 약돌 등도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경락의 자극을 위해 자석이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합성 수지제로 성형되는 소정크기의 고정판(1)에 철판(2)을 부착시켜 양측으로 안내홈(3)(3a)을 만들고 안내홈에서 철판(2) 표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안내편(5)이 있는 두개의 자석 고정구(4)를 장치하여 그 속에 영구자석(6)(6a)을 내장하여 내측단이 철판(2)에 부착되도록하고 양측 영구자석의 외측단은 극성이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이를 수지기맥이나 신체 경혈(8)에 근접시켜 자력을 공급케 한 자력을 이용한 인체 기맥(경혈)조절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내주면(22)을 갖고, 상기 손가락에 끼워졌을 때 손등 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내주면(22)으로 개구되는 한쌍의 홈(26)이 형성되는 본체(20) 및; 금이 도금된 도금층을 갖는 N극과 은이 도금된 도금층(44)을 갖는 S극 중 한 극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한쌍의 홈(26)에 결합되되, 서로 동일한 극이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자석 보사(4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0)는 내주면(2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손가락에 끼워졌을 때 손바닥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지압 돌기(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보사를 이용한 기능성 반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보 1993-0011484 특허공보 10-1532082
그런데, 인체의 경혈은, 자력선에 의해서도 자극이 될 수 있지만, 나아가서 다른 물리적 에너지, 특히 전력선에 의해서도 자극이 될 수 있다. 서양의학 쪽의 의료계에서는 전력선에 의한 치료나 상태개선, 미용 등을 위한 많은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이러한 전력선은 동양의학 쪽의 경혈의 자극에도 당연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력선은 전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고, 도전율이 공기 중에서는 급격히 떨어지므로 자력선처럼 공기 속을 통해서 전파되지 않는다는 단점에 있지만, 오히려 이러한 단점은 특정한 원하는 곳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미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으로 장점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력선은, 경혈의 자극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 더 깊이는 근육이나 신경의 자극에도 이용되어 유용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허문헌 1 및 2의 종래기술은, 자석의 자력선이 경혈을 자극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전력선에 의한 경혈 등의 자극을 도모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손가락에 자력선을 작용시키는 반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자석을 보유하는 반지 본체는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전력선에 의한 경혈 등의 자극을 도모하는 반지 등 액세서리는 개시된 바가 없다.
액세서리 중에는 브로치(brooch)나 단추처럼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 종류도 있지만, 반지처럼 신체에 접촉하는 종류도 있다. 이렇게 신체와 접촉하는 액세서리를 접촉형 액세서리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접촉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접촉형 액세서리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반지 외에도, 손목이나 팔에 끼워지는 팔찌, 발목이나 다리에 끼워지는 발찌, 귀에 끼워지는 귀걸이, 목에 끼워지는 목걸이, 머리카락에 끼워지는 헤어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반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동일원리에 의해 구현되는 다른 형태의 접촉형 액세서리에는 반지에서의 설명이 인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력선에 의해 경혈이나 피부, 근육, 신경 등을 국부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전력선 생성용 국부전계를 생성하는 접촉형 액세서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는, 제1 금속(m1)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제1 링부재 (r1); 및 상기 제1 금속(m1)과는 이온화경향, 평형전위 또는 자연전위가 다른 제2 금속(m2)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제2 링부재(r2);가 서로 단부끼리 이어맞춰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링형체(r)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링부재(r1)와 상기 제2 링부재(r2) 사이에 국부전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형체(r)에는, 1 이상의 자석(p1~p4)이 내장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제1 링부재(r1) 및 상기 제2 링부재(r2) 중 일방에 내장된 1 이상의 자석(p1, p2)은, 상기 링형체(r)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외향 자계방향(mf)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링부재(r1) 및 상기 제2 링부재(r2) 중 타방에 내장된 1 이상의 자석(p3, p4)은, 상기 링형체(r)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내향 자계방향(mf)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선에 의해 경혈이나 피부, 근육, 신경 등을 국부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전력선 생성용 국부전계를 생성하는 접촉형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의 사시도로서, 두 금속(m1, m2)의 접합양상과 자석의 배치양상을 나타내며, 전계방향(ef)과 자계방향(mf)에 있어서 (a)는 동일방향, (b)는 반대방향인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국부전계 형성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확대 예시도로서, 반지를 형성하는 제1 금속과 제2 금속이 각각 예컨대 금(Au)과 은(Ag)일 경우에, 신체인 손가락(f) 피부의 땀 등의 전해질(e)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전류루프(i)와 전계방향(ef)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기본구성>
도 1,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는, 제1 링부재(r1)제2 링부재(r2)가 서로 단부끼리 이어맞춰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링형체(r)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제1 링부재(r1)와 상기 제2 링부재(r2) 사이에 국부전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링부재(r1)는, 제1 금속(m1)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2 링부재(r2)는, 상기 제1 금속(m1)과는 이온화경향, 평형전위 또는 자연전위가 다른 제2 금속(m2)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1 링부재(r1)와 상기 제2 링부재(r2)는, 도면에는 하나의 단일체로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제1 링부재(r1)와 상기 제2 링부재(r2) 중 적어도 하나가 체인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제1 금속(m1)이나 제2 금속(m2)에 대해서는, 접촉형 액세서리의 재질로서 적합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으로서, 금과 은, 금과 백금, 백금과 은, 금과 동, 백금과 알루미늄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링부재(r1)와 제2 링부재(r2)는, 둘다 접촉형 액세서리를 이루는 링형의 일부를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예컨대 둘 다 반원링, 반타원링, 반원 분량의 체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절반일 필요는 없으므로, 예컨대 하나는 1/3 링 형태, 다른 하나는 2/3 링 형태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제1 링부재(r1)와 제2 링부재(r2)는, 서로 단부끼리 이어맞춰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링형체(r)가 된다. 이때 단부끼리 이어맞춰야 매끄러운 원형 링형상이 된다. 결합 및 일체화의 방식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브레이징이나 용접 등 용융방식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기계적으로 밀착시켜서 구부려서 단조하는 방식이나, 리베팅과 같이 다른 재질의 추가에 의해 연결되어 유지되는 방식도 포함하여, 내부적으로 전하의 통로가 유지되고, 외부적으로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정도로 형태적 견고성 및 도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이면 족하다.
이처럼 상기 제1 링부재(r1)와 제2 링부재(r2)를 서로 단부끼리 이어맞춰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링형체(r)는, 신체, 예컨대 손가락(f)에 착용됨으로써 손가락(f) 피부에서 발생된 땀이나 유지 수분 등의 전해질(e)과 작용하여, 상기 제1 링부재(r1)와 상기 제2 링부재(r2) 사이에 국부전계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 상술한다.
<국부전계의 형성>
도 2를 참조하면, 신체, 예컨대 손가락(f)에 링형체(r), 예컨대 반지가 끼워진 경우에, 이 링형체(r)를 이루는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경계 부근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이 예컨대 금(Au)과 은(Ag)이라고 하면, 이들은 물성 자체에서 이온화경향, 평형전위 또는 자연전위가 서로 다르다. 그리고 링형체(r)가 손가락(f)에 끼워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손가락(f)의 피부에는 땀이나 유지 수분 등의 발생되고, 이는 전해질(e)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 그리고 전해질(e)에 의해, 국부전지가 생성된다.
이 국부전지에 있어서, 제1 금속(m1)이 캐소드(Cathode, 음극), 제2 금속이 애노드(Anode, 양극)이 되고, 애노드로부터 전류가 전해질(e)을 거쳐 캐소드로 들어오는 순환을 하게 된다. 즉, 손가락(f) 쪽에서 보면, 국부전계(ef)가 도 2와 같이 제2 금속(m2)에서 제1 금속(m1) 쪽으로 형성된 것으로 된다.
이 국부전계(ef)는, 그 자체로서 손가락(f)의 경혈의 자극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링형체(r)에 있어서 국부전계(ef)가 존재하는 곳은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경계 부근이므로, 이 부분을 경혈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경혈의 자극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국부전계(ef)는, 경혈의 자극 뿐 아니라, 손가락(f)의 표피나 진피 쪽으로만 보면 피부의 전기자극에 의한 미용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고, 순시치로서 또는 누적치로서 좀 더 깊이 침투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에는 뼈나 근육, 신경의 자극에도 일조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국부전계(ef)에 의한 경혈, 피부, 뼈, 근육, 신경 등의 자극을 위한 접촉형 액세서리는, 세계최초라고 할 것이다.
<전계와 자계의 공조>
한편, 상기 링형체(r)에는, 1 이상의 자석(p1~p4)이 내장되어도 좋다. 상기 자석(p1~p4)은, 각각 자계방향(mf)이 서로 달라도 상관없을 수 있다. 자계에 의한 경혈의 자극은, 다양한 위치에 따라 효과가 중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특정 경혈, 또는 부위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자계의 집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링부재(r1) 및 상기 제2 링부재(r2) 중 일방에 내장된 1 이상의 자석(p1, p2)은, 상기 링형체(r)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외향 자계방향(mf)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링부재(r1) 및 상기 제2 링부재(r2) 중 타방에 내장된 1 이상의 자석(p3, p4)은, 상기 링형체(r)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내향 자계방향(mf)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 구성은, 도 1에 예시로 나타나 있다. 자석들(p1~p4)의 자계(mf)들은, 모두 링형체(r)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한 원주방향 각도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
<외부 시인성 향상을 위한 구성>
그런데, 이렇게 집중화된 자계의 방향을 둥그런 링형체(r)의 외표면 쪽에서는 눈으로 보아 알기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그래서 링형체(r)의 외표면에는 1 이상의 오목부(s1, s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들 오목부(s1, s2)는 각각, 제1 링부재(r1)의 중앙부와 제2 링부재(r2)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고, 그 부분에서는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이 얇아져 있으므로, 자계(mf)의 자속선의 투과가 용이하다. 따라서 자계(mf)가 약화되지 않는다는 실익이 있다. 물론 이들 오목부(s1, s2)에 서로 다른 컬러의 보석을 내장시킴으로써, 제1 링부재(r1)와 제2 링부재(r2)의 용이한 식별과 함께, 심미적 효과를 가지도록 해도 기능상 저하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는 범위와 그 균등범위까지 본 발명의 변형, 개량등은 모두 속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의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e: 전해질
i: 전류
f: 손가락
m1, m2: 제1, 제2 금속
p1~p4: 자석
s1, s2: 오목부
r1, r2: 제1, 제2 링부재
r: 링형체
mf: 자계
ef: 전계

Claims (3)

  1. 제1 금속(m1)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제1 링부재(r1); 및
    상기 제1 금속(m1)과는 이온화경향, 평형전위 또는 자연전위가 다른 제2 금속(m2)으로 이루어지는 반원링 형태의 제2 링부재(r2);가
    서로 단부끼리 이어맞춰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링형체(r)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링부재(r1)와 상기 제2 링부재(r2) 사이에 국부전계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체(r)에는, 1 이상의 자석(p1~p4)이 내장되며,
    상기 제1 링부재(r1) 및 상기 제2 링부재(r2) 중 일방에 내장된 1 이상의 자석(p1, p2)은, 상기 링형체(r)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외향 자계방향(mf)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링부재(r1) 및 상기 제2 링부재(r2) 중 타방에 내장된 1 이상의 자석(p3, p4)은, 상기 링형체(r)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내향 자계방향(mf)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향 및 내향 자계의 결합자계는, 상기 국부전계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KR1020170068891A 2017-06-02 2017-06-02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KR10193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91A KR101936808B1 (ko) 2017-06-02 2017-06-02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891A KR101936808B1 (ko) 2017-06-02 2017-06-02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54A KR20180132254A (ko) 2018-12-12
KR101936808B1 true KR101936808B1 (ko) 2019-01-09

Family

ID=6467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891A KR101936808B1 (ko) 2017-06-02 2017-06-02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98B1 (ko) * 2021-12-03 2023-12-06 석현택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KR102610297B1 (ko) * 2021-12-03 2023-12-06 석현택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049A (ja) * 1999-05-28 2000-12-05 Koshu Shugyokudou:Kk リング状磁気装身具
JP2002126103A (ja) * 2000-10-20 2002-05-08 Junji Mori 健康身装具
JP2013017618A (ja) * 2011-07-11 2013-01-31 Nagahori Corp 指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049A (ja) * 1999-05-28 2000-12-05 Koshu Shugyokudou:Kk リング状磁気装身具
JP2002126103A (ja) * 2000-10-20 2002-05-08 Junji Mori 健康身装具
JP2013017618A (ja) * 2011-07-11 2013-01-31 Nagahori Corp 指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54A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781B1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팩형 피부 미용 기기
KR101936808B1 (ko) 국부전계 접촉형 액세서리
US5465593A (en) Acupuncture point puncturing needle and pierced earring
KR102335143B1 (ko) 생체전류 활성화기
KR200487759Y1 (ko) 기능성 건강 실리콘 패치
KR102022634B1 (ko) 활용성이 개선된 지압 귀걸이
KR101614663B1 (ko) 손목 착용형 전기자극장치
KR102427417B1 (ko) 자석을 내장한 펜던트
CA2195046A1 (en) Ear mold for stimulating acupuncture points
US20040230228A1 (en) Device for treatment
KR100990078B1 (ko) 이온화 경향을 이용한 금속 코팅 자석 보사
KR102610297B1 (ko) 자기장과 미세전류가 동시 제공되는 신체접촉기구
KR20180096222A (ko) 인체자극구 및 이를 이용한 인체자극장치
AU650188B1 (en) Therapeutic magnetic ear ornament
KR200334453Y1 (ko) 자석을 이용한 팔찌
KR200340161Y1 (ko) 이어폰형 전극 부위가 장치된 초저주파 자극기
JP3208572U (ja) 上衣型磁気治療器
KR200294176Y1 (ko) 반지
KR200307329Y1 (ko) 경혈자극용 귀고리
KR200393688Y1 (ko) 자석팔찌
JP3190384U (ja) 治療具
KR200404561Y1 (ko) 치료용 자석
JPH06154282A (ja) つぼ刺激用イヤリング
JP3103021U (ja) アイマスク
KR200189110Y1 (ko) 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