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278B1 -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278B1
KR101936278B1 KR1020170006907A KR20170006907A KR101936278B1 KR 101936278 B1 KR101936278 B1 KR 101936278B1 KR 1020170006907 A KR1020170006907 A KR 1020170006907A KR 20170006907 A KR20170006907 A KR 20170006907A KR 101936278 B1 KR101936278 B1 KR 10193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
us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189A (ko
Inventor
김영탁
Original Assignee
김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탁 filed Critical 김영탁
Priority to KR102017000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2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해당 사용자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 및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에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각 감정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각 감정 표시장치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와 해당 사용자와 연계된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들을 지정된 각 사용자의 감정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지정된 각 사용자들이 자신의 감정 상태와 타인의 감정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Emotion delivery system between users}
본 발명은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된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의 사용자들 중 지정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들을 지정된 각 사용자의 감정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히 발전하는 현대화 사회에서 혼자 살거나 정신적으로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살률의 증가와 함께 정신적 질환(우울증, 조울증 등)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9862호에는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밑판과, 그 밑판의 측면 양측에 위치하여 스마트폰의 측면을 감싸는 측판과, 그 측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덮는 구조를 이루고, 일정 위치에 관통 형성된 빛 투과홀이 구비된 덮개, 및 상기 빛 투과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스마트폰의 정보 입력을 통해 변화되는 스마트폰의 액정 라이트(Light)를 상기 빛 투과홀을 통해 전달받고, 정보수신 종류에 따라 다른 색상의 조명을 외부로 발산하여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발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정보 수신 종류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시각적인 알림 기능을 제공하고, 테이블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심미적·감성적인 효과를 얻고자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은 스마트폰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단지 다른 색상의 조명을 외부로 발산하여 알림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정보수신 종류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시각적인 심미감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사용자 상호 간의 감정 상태를 표현하고 이를 서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할 수 없는 기술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 상호 간의 감정 상태를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사용자 간이 서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9862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된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의 사용자들 중 지정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들을 지정된 각 사용자의 감정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해당 사용자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 및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에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각 감정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각 감정 표시장치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와 해당 사용자와 연계된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에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구분된 감정 유형에 따른 표시제어정보를 각 감정 표시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표시제어정보는 감정 기호, 감정 색상, 감정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선호/비선호 정보와 이의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선호/비선호 정보 및 유지시간을 토대로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적합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모듈은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선호 정보이고, 이의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비선호 정보인 경우,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멘토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는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위급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들을 지정된 각 사용자의 감정 표시장치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지정된 각 사용자들이 자신의 감정 상태와 타인의 감정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수단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수단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1)은 감정 표시장치(10), 서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정 표시장치(1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해당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별로 구분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로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해당 감정 표시장치(10)와 연계된 타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당 감정 표시장치(10)로 전송하여 해당 감정 표시장치(10)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와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원 공급부(11), 입력부(12), 통신부(13), 표시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1)는 감정 표시장치(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감정 표시장치(10)와 연결되는 외부전원일 수도 있으며, 감정 표시장치(10) 내부에 수용되는 일반적인 건전지일 수 있다.
입력부(12)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감정 표시장치(10) 외면에 별도로 구비되는 입력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감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사용자 감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3)로부터 사용자 감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통신부(13)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해당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20)로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해당 감정 표시장치(10)와 연계된 타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4)는 해당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감정 표시장치(10)와 연계된 타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해당 감정 표시장치(10)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감정 정보의 유형은 선호적인 감정인 사랑, 기쁨 또는 비선호적인 감정인 슬픔, 분노, 화남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위급 상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해당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와, 해당 감정 표시장치(10)와 연계된 타 감정 표시장치(10)로 입력되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유형별로 구분되게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감정 표시장치(10)는 독립형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부착형으로 제작하여 다른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서버(20)는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각 감정 표시장치(10)에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구분된 감정 유형에 따른 표시제어정보를 각 감정 표시장치(10)로 전송함과 아울러, 각 감정 표시장치(10)에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선호/비선호 정보 및 이의 유지시간을 산출하며, 산출된 선호/비선호 정보 및 이의 유지시간을 토대로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적합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신모듈(21), 수집모듈(22), 분석모듈(23) 및 서비스 제공모듈(24)을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제어정보는 감정 기호, 감정 색상, 감정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통신모듈(21)은 네트워크를 통해 각 감정 표시장치(10)로부터 사용자 감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감정 정보를 연계된 각 감정 표시장치(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수집모듈(22)은 각 감정 표시장치(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감정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심리 치료 또는 진단 데이터 및 연애상담 데이터 등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분석모듈(23)은 각 감정 표시장치(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호 연계된 각 감정 표시장치(10)의 사용자들 간의 선호/비선호 정보와 이의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제공모듈(24)은 상호 연계된 각 감정 표시장치(10)의 사용자들 간의 선호/비선호 정보 및 유지시간을 토대로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적합한 서비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서비스 제공모듈(24)은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선호 정보이고, 이의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비선호 정보인 경우에는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멘토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이 연인이고, 사용자 감정 정보가 사랑을 표현하는 정보인 경우, 이의 유지시간을 체크하여 각 사용자 단말(30)로 100일 또는 200일 기념일에 대한 쿠폰 또는 경품 정보를 생성하여 지급할 수 있다.
반면,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이 연인이고, 사용자 감정 정보가 화남, 분노 등의 비선호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 각 사용자 단말(30)로 연애상담 멘토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연애상담 멘토링 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30)로 외부로부터 수집된 연애상담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연애상담 전문가 단말과 연결해주는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슬픔 등의 비선호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 각 사용자 단말(30)로 위로 또는 응원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거나, 심리치료 또는 진단 멘토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심리치료 또는 진단 멘토링 정보는 각 사용자 단말(30)로 심리치료 또는 진단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심리치료 전문가 단말과 연결해주는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20)는 각 감정 표시장치(10)로부터 수집한 사용자 감정 정보,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한 심리 치료 또는 진단 데이터, 연애상담 데이터, 분석모듈(23)을 통해 분석된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선호/비선호 정보 및 이의 유지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모듈(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예와 흐름도를 통해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상태 전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감정 표시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와 연결되는 제 1 감정 표시장치(10a)와 제 2 감정 표시장치(10b)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감정 표시장치(10)는 좌우 영역으로 구획된 하트 형상의 화분으로 제작하여 실내에서 공기 청정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식물이 주는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게에 제품이 살아 있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각 감정 표시장치(10)는 재질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좌우 영역 각각의 내부에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LED를 설치하여 사용자 감정 정보를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감정 표시장치(10)의 외면에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10aa, 10ba)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버튼(10aa, 10ba)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감정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각각의 색상과 대응되게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입력버튼(10aa, 10ba)을 하나로 형성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감정 정보 유형과 대응되는 각각의 색상이 버튼의 순차적인 누름조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 1 사용자가 제 1 감정 표시장치(10a)의 제 1 입력버튼(10aa)을 통해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를 입력하면, 제 1 감정 표시장치(10a)는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제 1 감정 표시장치(10a)의 좌측에 형성된 제 1 표시부(10ab)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 때, 제 1 감정 표시장치(10a)는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의 타입 또는 일련번호 등을 포함하는 헤드 패킷과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 유형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20)는 헤드 패킷을 분석하여 제 1 감정 표시장치(10a)의 타입 또는 일련번호를 추출하고, 데이터 패킷을 분석하여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 유형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 1 감정 표시장치(11)의 타입 또는 일련번호 및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 유형은 저장모듈(25)로 저장한다.
이 때, 서버(20)는 제 1 감정 표시장치(10a)로부터 헤드 패킷과 데이터 패킷이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제 1 감정 표시장치(10a)로 “OK” 신호를 전송하고, 헤드 패킷과 데이터 패킷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고 에러가 발생되면, 제 1 감정 표시장치(10a)로 “NO”신호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서버(20)는 제 1 감정 표시장치(10a)의 일련번호와 매칭되는 일련번호를 가지는 제 제 2 감정 표시장치(10b)를 미리 저장된 제품 리스트에서 추출한 후,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를 제 2 감정 표시장치(10b)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 2 감정 표시장치(10b)는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를 제 1 사용자 감정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제 2 감정 표시장치(10b)의 우측에 형성된 제 4 표시부(10bc)를 점등시키게 된다.
한편, 제 2 감정 표시장치(10b)를 통해 제 2 사용자 감정 정보를 제 1 감정 표시장치(10b)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 2 감정 표시장치(10b)를 통해 입력되는 제 2 사용자 감정 정보는 제 2 감정 표시장치(10b)의 좌측에 형성된 제 3 표시부(10bb)와 제 1 감정 표시장치(10a)의 우측에 형성된 제 2 표시부(10ac)를 점등 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1)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각 사용자의 감정 표시장치(10)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와 연결된 각 감정 표시장치(10)를 통해 자신의 감정 상태와 지정된 상대방의 감정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10 : 감정 표시장치
10a : 제 1 감정 표시장치 10b : 제 2 감정 표시장치
11 : 전원 공급부 12 : 입력부
13 : 통신부 14 : 표시부
15 : 제어부 20 : 서버
21 : 통신모듈 22 : 수집모듈
23 : 분석모듈 24 : 서비스 제공모듈
25 : 저장모듈 30 : 사용자 단말

Claims (5)

  1. 사용자 감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별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자신의 감정 정보에 해당하는 색상이 점등되는 제 1 표시부와, 해당 사용자와 연계된 다른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해당하는 색상이 점등되는 제 2 표시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와;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에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각 감정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선호/비선호 정보와 이의 유지시간을 산출하는 분석모듈과, 상기 선호/비선호 정보 및 유지시간을 토대로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적합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감정 표시장치에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를 감정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구분된 감정 유형에 따른 표시제어정보를 각 감정 표시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표시제어정보는 감정 기호, 감정 색상, 감정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모듈은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선호 정보이고, 이의 유지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 간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비선호 정보인 경우, 상호 연계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로 멘토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는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위급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KR1020170006907A 2017-01-16 2017-01-16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KR10193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07A KR101936278B1 (ko) 2017-01-16 2017-01-16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07A KR101936278B1 (ko) 2017-01-16 2017-01-16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189A KR20180084189A (ko) 2018-07-25
KR101936278B1 true KR101936278B1 (ko) 2019-01-08

Family

ID=6305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07A KR101936278B1 (ko) 2017-01-16 2017-01-16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404A (ko) 2022-08-30 2024-03-07 김민희 감정 표시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0813A (ja) 2012-03-30 2013-10-10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端末装置、感情情報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49285B1 (ko) * 2012-08-03 2014-01-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식 기반 사용자 감성인지를 통한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862A (ko) 2013-08-16 2015-02-25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0813A (ja) 2012-03-30 2013-10-10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端末装置、感情情報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49285B1 (ko) * 2012-08-03 2014-01-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식 기반 사용자 감성인지를 통한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404A (ko) 2022-08-30 2024-03-07 김민희 감정 표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189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8511B2 (en) Caregiver and staff information system
US20220337693A1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CN208985034U (zh) 带有传感器和显示设备的电子设备
US8270894B2 (en) Response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d between audience members
CN108009893B (zh) 一种美容装置
TWI694411B (zh) 情緒交互裝置及方法
KR20180110472A (ko) IoT기반 입체 감성조명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140045A (zh) 在增强和替代通信系统中支持感知和对话处理量
KR101936278B1 (ko) 사용자 간 감정 전달 시스템
WO2018075523A1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KR20190110988A (ko) 매장에서 사용되는 고객 디바이스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27281B1 (ko)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반의 고객 요청 사항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405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ersonnel identification
JP7117777B2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KR20140109276A (ko) 감성 조명 및 사운드 연동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식당 테이블 시스템
KR20140011598A (ko) 도서 위치 안내 시스템
US20200301470A1 (en) Intelligent wearable apparatus
JP6579537B1 (ja) 社会適応支援システム及び感情育成プログラム
KR102271103B1 (ko) 멀티 미로공간과 선택형 ar 콘텐츠를 이용한 성격 진단 시스템
KR20170073976A (ko)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134533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ウエアラブルデバイス
Camargo et al. The Importance of Personalization and Household Dynamics for Notifications in the TV Ecosystem
CN117237026A (zh) 评价信息的展示方法及装置、评价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KR20190110512A (ko) 매장 서비스 품질 정보 통계 시스템
KR20150027574A (ko)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