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469B1 - 적층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469B1
KR101935469B1 KR1020170118309A KR20170118309A KR101935469B1 KR 101935469 B1 KR101935469 B1 KR 101935469B1 KR 1020170118309 A KR1020170118309 A KR 1020170118309A KR 20170118309 A KR20170118309 A KR 20170118309A KR 101935469 B1 KR101935469 B1 KR 101935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ing
container members
li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성
Original Assignee
영농조합법인 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농조합법인 광수 filed Critical 영농조합법인 광수
Priority to KR102017011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4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5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upper (top) wal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용기에 관한 것으로, 서로 적층되어 내용물을 담는 용기부재들; 상기 용기부재들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재들이 적층되면 서로 일치되는 관통공들; 및 상기 용기부재들이 적층됨으로써 일치된 상기 관통공들을 가로질러 삽입 설치되는 봉부를 포함하여 적층된 상기 용기부재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 용기{LAMINATED CONTAINER}
본 발명은 적층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이 쉽고 휴대가 용이한 적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찬합과 같는 적층 용기는 다수의 용기들을 적층하여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음식물, 채소, 과일 등)을 간편하게 담아 운반한다. 이러한 적층 용기는 손잡이가 없는 경우 보자기로 쌓아 운반하거나 각 용기에 손잡이에 결합되는 돌기를 설치하여 용기가 이탈되지 않게 운반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공보 실1997-0004217호 "야외용 찬합" 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야외용 찬합에서 부설된 손잡이를 가이드부와 파지부로 대분 구성하고, 가이드부에는 홀더를 형성하여 수납함체가 휴대 이동시 임의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파지부에는 슬라이드 블록을 형성하여 가이드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더를 따라 슬라이드 승강되도록 함으로서 작동상의 신뢰성 제공은 물론, 다수개의 수납함체로 이루어진 찬합의 휴대 및 수납 보관상의 편익을 주고 있다.
실용신안공보 실1997-0004217호 "야외용 찬합"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들의 적층과 고정이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적층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적층되어 내용물을 담는 용기부재들; 상기 용기부재들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재들이 적층되면 서로 일치되는 관통공들; 및 상기 용기부재들이 적층됨으로써 일치된 상기 관통공들을 가로질러 삽입 설치되는 봉부를 포함하여 적층된 상기 용기부재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재들은 상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내용물을 담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개폐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에는 원통형의 제1 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관부와 대향하는 원통형의 제2 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상기 덮개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 관부가 대향하여 상기 관통공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관부는 서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봉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봉부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봉부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적층된 상기 용기부재들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손잡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와 대면하는 상기 용기부재에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더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의 봉부에 용기부재들을 단순히 끼움으로서 적층이 쉽고, 고정부를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면 적층된 용기부재들이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용기부재들의 적층과 고정이 쉽다. 또한, 고정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파지하여 적층된 용기부재들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부재가 PET수지 재질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을 구분해서 담아 유통 판매할 수 있고, 소비자는 이를 구매하여 즉시 나들이 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 용기를 나타낸 분리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부재에서 덮개부가 수용부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의 봉부로부터 용기부재들을 빼내기 위해 고정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용기는 용기부재들(100)과, 용기부재들(10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들(200)과,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용기부재들(100)은 서로 적층되어 내용물을 담는다. 용기부재들(100)은 PET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용물이 투시되게 투명하게 형성되어 소비자들이 내용물의 종류, 품질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부재들(100)은 내용물을 담는 수용부(110)와, 수용부(110)를 덮어 개폐하는 덮개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10)는 상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내용물을 담고, 덮개부(120)는 수용부(1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개폐하여 수용부(110)에 담긴 내용물을 보호한다.
수용부(110)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에는 스커트 모양으로 경사지게 하향하는 환형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고, 덮개부(120)의 둘레에는 덮개부(120)가 수용부(1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으면 환형돌기(111)를 감싸는 스커트(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커트(121)의 내벽면에는 환형돌기(111)에 걸려 수용부(1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은 덮개부(12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돌기들(123)이 스커트(121)의 내주연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에는 끼움홈부(125)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부(125)는 적층되는 수용부(110)의 하부를 끼우며, 수용부(110)는 덮개부(120)의 끼움홈부(125)에 끼워지며 좌우 이동없이 견고히 적층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의 내부 바닥에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제1 관부(116)가 돌출 형성되어 수용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덮개부(120)에는 제1 관부(116)와 대향하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제2 관부(1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관부(116)(126)가 서로 대향하여 접하면 관통공(200)이 형성된다.
수용부(110)의 바닥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제1 관부(116)는 그 구멍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하단이 개구되고, 덮개부(120)에도 구멍이 형성되고, 제2 관부(126)는 그 구멍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단이 개구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관부(116)(126)는 서로 끼움 결합되어 관통공(20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관부(116)(126) 중 어느 하나의 관부(116 또는 126)가 다른 하나의 관부(116 또는 126)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관부(116)(126)가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관통공(20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관부(116)가 제2 관부(126)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덮개부(120)가 수용부(110)를 덮으면, 제2 관부(126)가 제1 관부(116)에 끼워짐으로써 관통공(200)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길이를 갖는 봉부(301)를 포함하여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을 고정한다. 고정부재(300)는 용기부재들(100)이 적층됨으로써 일치된 관통공들(200)을 가로질러 삽입 설치된 봉부(301)를 고정하여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을 견고한 고정한다.
고정부재(300)는 봉부(301)의 하단에 관통공(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용기부재(100)에 걸리는 판형의 지지부(303)를 형성하여 봉부(301)가 관통공(20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고, 봉부(301)의 상단에는 판형의 고정부(305)를 탈착되게 설치하여 봉부(301)에 끼워져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봉부(301)의 상단에는 나사(301a)가 형성되고, 고정부(305)에는 봉부(301)의 나사(301a)와 결합되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며, 고정부(305)가 회전하여 나사(301a)에 결합된 나사홈을 조이면, 봉부(301)에 끼워져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봉부(301)에 고정부(305)의 나사 결합으로 용기부재들(100)이 고정되면, 덮개부(120)가 수용부(110)에 밀착 고정되어 분리되는 일이 없고, 수용부(110)에 담긴 내용물들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5)가 반대로 회전하여 나사(301a)에 결합된 나사홈을 풀면, 봉부(301)로부터 고정부(305)가 쉽게 분리되고, 고정부(305)가 분리된 봉부(301)로부터 용기부재들(100)을 빼내, 덮개부(120)를 열면 수용부(110)로부터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5)에는 손잡이(307)가 설치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7)는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끝단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끝단이 고정부(305)의 외주연에 형성된 홈(309)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됨으로써 고정부(305)에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307)는 고정부(305)에 의해 적층 상태가 고정된 용기부재(100)를 간편하게 파지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303)와 대면하는 용기부재(100)에는 지지부(303)가 삽입되는 홈부(115)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5)는 지지부(303)와 대면하는 용기부재(110)의 수용부(110) 하부에 형성되며, 수용부(110)의 하부와 동일면을 이루도록 지지부(303)를 삽입 수용하여,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이 바닥에 안정되게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303)는 봉부(301)의 하단에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3)는 상부에 나사돌기(303a)를 돌출 형성하고, 봉부(301)의 끝단에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나사돌기(303a)가 나사홈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지지부(303)가 봉부(301)의 하단에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봉부(301)는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길이가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부(301)는 낚시대와 같이 대경부와 소경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경부로부터 소경부가 출몰함으로써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조절된 길이는 소경부로부터 탄력적으로 출몰하는 돌기가 대경부에 배열된 어느 하나의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300)의 봉부(301)에 용기부재들(100)을 단순히 끼움으로서 적층이 쉽고, 고정부(305)를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면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이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용기부재들(100)의 적층과 고정이 쉽다. 또한, 고정부(305)에 설치된 손잡이(307)를 파지하여 적층된 용기부재들(100)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부재(100)가 PET수지 등의 재질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과일이나 채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신선식품을 구분해서 담아 유통 판매할 수 있고, 소비자는 이를 구매하여 즉시 나들이 갈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기부재 110: 수용부
111: 환형돌기 115: 홈부
116: 제1 관부 120: 덮개부
121: 스커트 123: 걸림돌기
125: 끼움홈부 126: 제2 관부
200: 관통공 300: 고정부재
301: 봉부 301a: 나사
303: 지지부 303a: 나사돌기
305: 고정부 307: 손잡이
309: 홈

Claims (6)

  1. 서로 적층되어 내용물을 담는 용기부재들(100);
    상기 용기부재들(10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재들(100)이 적층되면 서로 일치되는 관통공들(200); 및
    상기 용기부재들(100)이 적층됨으로써 일치된 상기 관통공들(200)을 가로질러 삽입 설치되는 봉부(301)를 포함하여 적층된 상기 용기부재들(10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하며,
    상기 용기부재들(100)은 내부가 투시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재들(100)은 상면만이 개구된 통체를 이루어 내용물을 담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개폐하는 덮개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 바닥에는 원통형의 제1 관부(11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0)에는 상기 제1 관부(116)와 대향하는 원통형의 제2 관부(1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0)에 상기 덮개부(120)가 결합되면 상기 제1 및 제2 관부(116)(126)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들(20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110)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에는 경사지게 하향하는 환형돌기(111)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0)의 둘레에는 상기 환형돌기(111)를 감싸는 스커트(121)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121)의 내벽면에는 상기 환형돌기(111)에 걸려 상기 수용부(110)에 상기 덮개부(120)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들(12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120)에는 상기 수용부(110)의 하부를 끼워 고정하는 끼움홈부(125)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봉부(30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봉부(301)가 상기 관통공들(20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303)와, 상기 봉부(301)의 상단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적층된 상기 용기부재들(100)을 고정하는 고정부(30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05)는 상기 봉부(301)의 상단과 나사 결합되어 탈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303)의 상부에는 나사돌기(303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봉부(301)의 하단에는 상기 나사돌기(303a)와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03)가 상기 봉부(301)의 하단에 탈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부재(100)의 수용부(110)에는 상기 지지부(303)를 삽입하는 홈부(115)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05)의 외주연에는 홈(309)이 형성되고,
    상기 홈(309)에는 ㄷ자 형상의 손잡이(307)가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307)는 끝단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끝단을 상기 홈(309)에 끼움 결합하여 설치되며,
    상기 봉부(301)는 대경부에 소경부가 끼워져 소경부가 대경부로부터 출몰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18309A 2017-09-15 2017-09-15 적층 용기 KR101935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09A KR101935469B1 (ko) 2017-09-15 2017-09-15 적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09A KR101935469B1 (ko) 2017-09-15 2017-09-15 적층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469B1 true KR101935469B1 (ko) 2019-04-03

Family

ID=6616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309A KR101935469B1 (ko) 2017-09-15 2017-09-15 적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4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217B1 (ko) 1992-01-31 1997-03-26 가부사키가이샤 도시바 반도체장치
JP3814121B2 (ja) * 2000-04-18 2006-08-23 太陽誘電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収納容器
JP2012101810A (ja) * 2010-11-08 2012-05-31 Reiko Matsumoto 容器
JP2012126405A (ja) * 2010-12-13 2012-07-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保管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217B1 (ko) 1992-01-31 1997-03-26 가부사키가이샤 도시바 반도체장치
JP3814121B2 (ja) * 2000-04-18 2006-08-23 太陽誘電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収納容器
JP2012101810A (ja) * 2010-11-08 2012-05-31 Reiko Matsumoto 容器
JP2012126405A (ja) * 2010-12-13 2012-07-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保管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983B1 (en) Tubular container
US7946422B1 (en) Dispensing and disposing container system
RU2475169C2 (ru) Футляр для предметов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содержащий крышку с отделением для зубной нити
US9143180B2 (en) Cell phone charger holder
US11939561B2 (en) Process for assembling packaging for a flexible container
US20150041471A1 (en) Bottle cap
US20150305496A1 (en) Storage container with goose neck mirror
KR101935469B1 (ko) 적층 용기
KR101866698B1 (ko) 상품포장 비닐봉투용 쓰레기통 덮개
US20150257557A1 (en) Modular, knock-down drinking vessel
JP2021065181A (ja) クーラーボックス
US20120007391A1 (en) Tackle Bucket
US5366076A (en) Container for fishing rod and reel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210022270A (ko)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KR200491317Y1 (ko) 기립구조로 파지 및 휴대가 용이한 피자포장박스
KR101757152B1 (ko) 전시 기능을 갖는 포장용 상자
KR101376694B1 (ko) 그림용품 통합 세트
KR200465430Y1 (ko) 수납형 상자 손잡이
KR20210121447A (ko) 마스크팩 포장용기
KR101536407B1 (ko) 휴대용 구획 종이상자
JP2012229076A (ja) ケーブル収納ボックス
KR101715068B1 (ko) 꼬치용 포장상자
KR102709436B1 (ko)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CN205686764U (zh) 蔬果保鲜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