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032B1 - Girder With Cross Beam - Google Patents

Girder With Cross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032B1
KR101934032B1 KR1020160069214A KR20160069214A KR101934032B1 KR 101934032 B1 KR101934032 B1 KR 101934032B1 KR 1020160069214 A KR1020160069214 A KR 1020160069214A KR 20160069214 A KR20160069214 A KR 20160069214A KR 101934032 B1 KR101934032 B1 KR 10193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filling space
forming part
filling
cros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7295A (en
Inventor
김도학
신명규
박종헌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032B1/en
Publication of KR2017013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2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거더(1, 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거더에 있어서, 거더(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 및 이웃하는 거더(2)와의 일체화를 위한 가로보 형성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웃하는 거더(2)에 형성된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가 결합되어,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연결하는 가로보(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하는 거더를 기초 상부에 거치하는 것만으로 가로보를 시공을 위한 영구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irder for use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irders 1, 2 are combined and formed, comprising: a main body 10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girder 1; And a side beam forming part 200 for integration with the neighboring girder 2. The side beam forming part 200a formed on the adjacent side girder 2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beam forming part 200a and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beam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beam forming part 200a are combined to form a beam 10 connec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permanent form for installation of the girder by merely mounting the adjacent girder on the foundation.

Description

가로보 일체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일체화 공법{Girder With Cross Beam}[0002] Girder With Cross Beam [0003]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보가 일체화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2 이상의 복수의 거더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거더 일체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girder integrated structure for integrating two or more girders using a cross beam integrated girder constructed by pre-casting a cross beam.

일반적으로, 거더교를 시공할 때 교각 위에 거더를 거치 한 후 거치된 거더 상부에 거푸집을 조립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교량용 상판을 형성한다. Generally, when the girder bridges are constructed, the girders are mounted on the bridge piers, and the formers are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girders.

그러나, 상부에 상판을 형성한 거더(상부 플렌지가 확장된 거더를 포함한다)는 상판의 면적이 거더보다 넓어 거더의 전도 위험이 높으며, 넓은 면적의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으로 거더에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girder having the upper plate formed on the upper part (including the girder extended with the upper flange) has a problem that the girder is deformed due to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because the area of the upper plate is larger than that of the girder, Lt; / RTI >

이의 해결을 위하여 거더 측면에 별도의 가로보를 형성하여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웃 거더와 상호 결합함으로써, 거더 상부에 형성된 상판에서 거더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거더의 전도를 방지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beam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irder so as to mutually connect with a neighboring girder disposed adjacent to the girder, thereby dispersing the load transferred to the girder from the upper plate formed on the girder and preventing the girder from being conducted.

하지만, 교각 위에 거치된 거더 상부에 거푸집을 조립하고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법은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날씨와 기상의 영향을 받아 공사기간 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ing the formwork o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on the bridge pier and pouring the concrete on the site takes a long time until the concrete poured in the form is cured and there is a problem of delays due to the weather and weather .

또한, 작업자가 오랜 시간 고가구조물에서 작업하여야 하기에 작업자의 낙하 사고 등의 산업재해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n operator has to work in a high-priced structure for a long time, an industrial accident such as a fall of an operator may occu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교각 위에 거치된 거더에 형성되는 교량용 상판과 거더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로보의 제작을 교각 위가 아닌 현장 부근 지상 또는 공장에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공법 또는 철근콘크리트 공법으로 거더, 상판 및 가로보를 일체로 제작하여 교각 위에 거치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bridge girder which is formed on the girder which is mounted on the bridge pier and the side girder which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irder by using the prestressed concrete (PSC) method or the reinforced concrete method Girder, top plate, and side beam are assembled and mounted on a pier.

그러나 이러한 일체화 공법은 대형 구조물의 양중을 요구하므로 대형 크레인의 사용이 필요하고, 크레인의 용량에 따라 양중 가능한 구조물의 한계가 있어 대형 구조물에 적용되기 어렵다. However, such an integration method requires the use of a large crane because it requires the mass of a large structure,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tructure to a large structure due to limitations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loaded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crane.

또한, 크레인의 수급의 곤란성으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양중 및 거치 작업에 따른 현장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difficulty of supplying and receiving the crane, the construction period is lengthen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fficulty of the site construction due to the buoyant and lumbering work is increased.

상술된 문제점을 갖는 종래의 기술을 기재하면 이하와 같다.
A conventional technique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will be described below.

- 등록실용신안 20-0267736-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67736

- 등록특허 10-0929557- Patent No. 10-0929557

- 등록특허 10-0948896
- Patent No. 10-0948896

상기 기재된 종래의 기술은 도 1 내지 도 3에 대표도면이 예시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되는 도면의 번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 한정되어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설명 시에 사용되는 도면 번호는 아니다.
1 to 3 illustrate the prior arts described above, and the numbers of the drawings used in FIGS. 1 to 3 are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and are used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drawing number.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가로보를 포함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공법과 현장 타설 공법이 조합되어 현장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면서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일체화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girder integration method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gird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the precast method with the on-site casting method to shorten the air while lowering the difficulty of site construction And a girder integ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보 형성을 위한 현장 타설 작업을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거더 상부 프렌지에서 현장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일체화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irder integrated girder and a girder integrated girder which can perform a laying operation in a girder upper flang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 laying work for forming a gird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상판 일체형 거더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의 안전성을 담보하며 공사기간을 최소화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일체화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irder integrated with a girder integrated with a girder which facilitates the construction of a superstructure integrated girder forming a large structure, secures safety of work, and minimizes a construction period.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거더(1, 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거더에 있어서, 거더(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 및 이웃하는 거더(2)와의 일체화를 위한 가로보 형성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웃하는 거더(2)에 형성된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가 결합되어,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연결하는 가로보(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irder for use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irders (1, 2) are combined and formed, comprising: a main body (10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girder (1); And a side beam forming part 200 for integration with the neighboring girder 2. The side beam forming part 200a formed on the adjacent side girder 2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beam forming part 200a and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beam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beam forming part 200a are combined to form a beam 10 connec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 Is provided.

이 경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에는,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의 단부와 접촉되었을 때 현장 타설 충진재가 삽입되는 충진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 형성홈(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In this case, at the end of the beam forming part 200, a filling space 20 for inserting the spotting filling material when the end part of the other beam forming part 200a is contacted is form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또한, 일부가 상기 본체(10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되는 가로보 연결 철근(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The girder may further include a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partially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and exposed to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또한,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거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 beam forming part 20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gird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

또한,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거더(1)에 포함된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과 상기 이웃하는 거더(2)에 포함된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a)이 교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The girder 1 is provided with a girder 1 and a girder 2. The girder 1 is provided with a girder 1 and a girder 2. The girder 1 is provided with a girder 1, And the crossbar reinforcing bars 300a are form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본체(100)는 하부 프렌지(110), 상부 프렌지(120) 및 상기 하부 프렌지(110)와 상기 상부 프렌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를 포함하는 I형 거더이며, 상기 하부 프렌지(110)의 폭(B)보다 상기 상부 프렌지(120)의 폭(A)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is an I-shaped girder including a lower flange 110, an upper flange 120, and an abdomen 130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10 and the upper flange 120, And the width A of the upper flange 120 is larger than the width B of the flange 110. [

또한,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상부 프렌지(120) 하면과 상기 하부 프렌지(110) 상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렌지(120)의 단부까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10 and the end of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The girder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또한,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가 접촉되어 형성되는 상기 충진공간(20)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에 의해 하부가 폐쇄되며, 상부에 상기 충진재가 유입되는 타설공(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The fill space 20 formed by contacting the cross beam forming part 200 with the other cross beam forming part 200a is formed by the cross beam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cross beam forming part 200a, And a piercing hole 30 into which the filler material flows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irder.

또한, 상기 거더(1) 및 상기 이웃하는 거더(2)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선 제작되어 설치되며, 상기 충진재는 콘크리트로서, 현장에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re prefabricated and installed, and the filler is concrete, which is laid in the field.

또한, 일부가 상기 본체(10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된 체결 철근(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 철근(500)은 상기 이웃하는 거더(2)의 체결 철근(500a)과 체결 수단(51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The reinforcing bar 500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bar 500 partially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and exposed to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And is coupled by the fastening means (500a) and the fastening means (510).

또한, 상기 체결 철근(500)은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Further, the reinforcing bar 500 may exten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또한, 상기 체결 수단(510)은 고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일 수 있다.
Further, the fastening means 51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가로보 일체형 거더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일체화시키는 거더 일체화 공법에 있어서,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키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타설공(30)을 통해 상기 충진공간(20)에 상기 충진재를 충진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irder integration method for integra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by using a beam-integrated girder, wherein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re integrally formed, A first step S100 of bring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lling the filler material into the filler space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30) (S200).

또한,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충진재를 충진하기 전에 상기 충진공간(20) 내부에 상기 충진공간(2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 철근(4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일 수 있다.
Furth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ing bar 400 install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lling space 20 in the filling space 20 before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in the second step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루프형으로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되며, 상기 보강 철근(400)은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의 루프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일 수 있다.
The reinforcing bar 400 is exposed to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n a loop shape and inserted into a loop of the cross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 It may be an integrated method.

또한,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루프형으로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되며, 일부가 상기 본체(10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된 체결 철근(500)이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 철근(500)은 상기 이웃하는 거더(2)의 체결 철근(500a)과 체결 수단(51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일 수 있다.
The cross 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300 are exposed in the loop forming space 210 and are partly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The reinforcing bars 30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reinforcing bars 300, The reinforcing bar 500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and the reinforcing bar 500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500a of the adjacent girder 2 by the fastening means 510. [ The girders may be integrated.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공법과 현장 타설 공법이 조합되어 현장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면서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ecas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site installation method can be combined to shorten the air while lowering the difficulty of site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보 형성을 위한 현장 타설 작업을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거더 상부 프렌지에서 현장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on-site work in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work of putting on the spot for forming the beam.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상판 일체형 거더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의 안전성을 담보하며 공사기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plate integral type girder forming the large structure,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 and minimize the construction period.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가로보를 포함하는 거더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가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충진공간 형성홈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가 결합된 상태의 타설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프렌지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를 이용한 거더 일체화 공법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일체형 거더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투시 사시도.
도 1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투시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of a conventional gird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crossbeam-integrated girder is enga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top view of a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of a cross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top surface of an upper flange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ercing hole in a state where a girder integrated with a girder is enga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are views showing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girder integration method using a beam integrated type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of a transverse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bar-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 일체화 공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ir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는 복수의 거더(1, 2)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사용된다. The cross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girders (1, 2).

구체적으로 거더가 포함된 구조물의 형성에 있어, 교각이나 기둥과 같은 기초 구조물의 상부에 거더를 거치하고 거더 상부에 상판을 형성함이 일반적이다. Specifically, in the formation of a structure including a girder, it is common to mount a girder on the upper part of a foundation structure such as a pier or a pillar, and to form a top plate on the girder.

다만, 상판이 형성되는 현장은 고지대인 것이 보통이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 등의 현장작업의 수행에 있어 높은 난이도를 갖는 작업의 수행될 것이 요구되고 이 과정에서 추락 사고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ite where the top plate is formed is usually a high place, it is required to perform a work having a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the field work such as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and the casting of concrete. In this process, Lt; / RTI >

또한, 상판의 형성을 위한 사전 시공 작업과 콘크리트의 양생 작업 시간이 소요되므로 공사기간이 장기화 되어 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Also, since the pre-construction work for forming the upper plate and the curing work for the concrete are required,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and the cost of air is increased.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교각이나 기둥 상부에 거치되는 거더(1)의 본체(100) 구조를 하부 프렌지(110), 상부 프렌지(120) 및 하부 프렌지(110)와 상부 프렌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를 포함하는 I형 거더로 형성하되, 하부 프렌지(110)의 폭(B)보다 상부 프렌지(120)의 폭(A)을 더 크도록 하여, 기초 상부에 거치된 복수의 거더의 이웃하는 상부 프렌지(120)가 접촉되록 하는 구조를 제시한다(도 6).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girder 1 mounted on a pier or a column is divided into a lower flange 110, an upper flange 120 and a lower flange 110, Shaped girder including an abdomen 130 connecting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flange 110 so that the width A of the upper flange 120 is larger than the width B of the lower flange 110, The adjacent upper flanges 120 of the girders of the first and second gird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ig. 6).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기초 상부에 거더(1, 2)를 거치하는 것만으로 이웃하는 거더(1, 2)의 상부 프렌지(120, 120a)가 접촉되므로 자연스레 상판이 형성될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the upper flanges 120 and 120a of the adjacent girders 1 and 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merely by mounting the girders 1 and 2 on the foundation, so that the upper plate can be naturally formed.

이에 따라 상판 형성을 위한 별도의 현장 작업의 수행이 요구되지 않고, 거더(1, 2)의 상부 프렌지(120, 120a) 상면에 포장 시공 등만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포장 시공이나 별도의 상부 작업을 상부 프렌지(120)에서 바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Therefore, it is not required to carry out a separate site work for forming the upper plate. It is sufficient to perform only the pavement construction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flanges 120 and 120a of the girders 1 and 2,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directly on the upper flange 120. [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상부 프렌지(120)의 폭이 하부 프렌지(110) 보다 크므로, 무게 중심이 상승되어 거더(1)가 전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120 is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flange 11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pper flange 120 may be raised to cause the girder 1 to overturn.

이러한 거더(1) 전복의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이웃하는 2 개의 거더(1, 2)의 측부를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가로보(10)의 형성이 요구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overturning of the girder 1, it is required to form the beam 10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of two adjacent girders 1 and 2 by connecting them.

다만, 가로보(10)는 거더(1, 2)의 측부를 연결하는 구조물이므로, 가로보(10) 형성을 위한 작업은 거더(1, 2)의 상부 프렌지(120, 120a) 하면에서 수행될 것이 요구된다. Since the beam 10 is a structure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of the girders 1 and 2, it is required that the work for forming the beam 10 be per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s 120 and 120a of the girders 1 and 2 do.

이러한 가로보(10)의 시공 위치는 비계와 같은 별도의 임시 구조물의 형성이 요구되며, 상술된 상판 시공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이 동일하게 수반되므로 상판 작업 생략에 따라 얻은 이점을 상쇄시킬 수 있다.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rossbeam 10 is required to form a separate temporary structure such as a scaffold, and the problems that may occur in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of the top plate are equally involved, so that the advantages obtained by omitting the work of the top plate can be offset .

본 발명은 이러한 가로보(10) 설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로보(10)가 일체화된 가로보 일체형 거더를 제안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stallation of the cross bar 10,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ross bar integrated girder in which the cross bar 10 is integrated.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보(10)의 형성을 위한 가로보 형성부(200)를 포함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이며, 이웃하는 2개의 거더(1, 2)가 접촉되는 경우 가로보 형성부(200)에 의해 가로보(10)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More specifically, it is a cross-beam type girder including a beam forming portion 200 for forming the beam 10. When the two adjacent girders 1 and 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permanent mold for the formation of the permanent mold is formed naturally.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girder integrated with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는 거더(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 및 이웃하는 거더(2)와의 일체화를 위한 가로보 형성부(200)를 포함한다(도 4). The cross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girder 1 and a cross beam forming part 200 for integration with the adjacent girder 2 (FIG. 4).

가로보 형성부(200)는 2 이상의 거더(1, 2)가 기초(40)의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가로보(10)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을 형성한다. The beam forming part 200 forms a permanent form for forming the beam 10 when two or more girders 1, 2 are mounted on the top of the foundation 40.

따라서, 이웃하는 두 개의 거더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보 형성부(200, 200a)를 갖게되며, 이를 위해 본체(100)의 측부에서 이웃하는 거더(2)의 측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 형성된다(도 4, 도 6).
Accordingly, the two neighboring girders have the beam forming portions 200 and 200a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side of the adjacent girder 2 4 and 6).

본체(100)가 하부 프렌지(110), 상부 프렌지(120) 및 하부 프렌지(110)와 상부 프렌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를 포함하는 I형 거더의 형상을 갖는 경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부 프렌지(120) 하면과 하부 프렌지(110)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도 4). When the main body 100 has the shape of an I-shaped girder including the lower flange 110, the upper flange 120, and the abdomen 130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10 and the upper flange 120, (200)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10 (FIG. 4).

2 개의 이웃하는 거더(1, 2)가 기초(40) 상부에 거치되면 양 거더(1, 2)의 상부 프렌지(120, 120a)가 접촉되어 상판을 형성함과 아울러, 양 거더(1, 2)의 측부에 형성된 가로보 형성부(200, 200a)가 접촉되어 가로보(10) 형성을 위한 영구거푸집이 형성되어야 한다. When two adjacent girders 1 and 2 are mounted on the foundation 40, the upper flanges 120 and 120a of the girders 1 and 2 contact each other to form an upper plate, And a permanent mold for forming the cross beam 1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cross beam forming parts 200 and 200a.

이에 따라 상부 프렌지(120)의 단부까지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an end portion of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is forme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20 (FIG.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의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에는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의 단부와 접촉되었을 때 양 거더(1, 2)의 상부 프렌지(120) 사이에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충진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블록 아웃 방식으로 형성된 충진공간 형성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도 8).
The end of the beam forming part 200 of the beam integrated type gir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concrete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flanges 120 of the girders 1, A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formed in a block-out manner may be formed so that a filling space 20 into which the semiconductor device 200 is injected may be formed (FIGS. 4 and 8).

2 개의 거더(1, 2)가 접촉되어 형성되는 충진공간(20)은 가로보 형성부(200)와 이웃하는 거더(2)에 포함된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에 의해 하부가 폐쇄되며, 상부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타설공(30)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도 8). The filling space 20 formed by contacting the two girders 1 and 2 is closed by the other beam forming portion 200a included in the girder 2 adjacent to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See FIG. 4 and FIG. 8).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부 프렌지(120, 120a)의 상면에 형성된 타설공(30)을 통해 충진공간(20)으로의 콘크리트 주입이 가능하므로, 현장 타설 작업의 안정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such a structure is adopted, concrete can be injected into the filling space 20 through the placement holes 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flanges 120 and 120a, so that the stability and easiness of the site casting operation can be secured have.

충진공간(20) 내부에는 가로보(10)의 형성을 위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로보 연결 철근(300)이 설치될 수 있다. A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filling space 20 to serve as a shear key for forming the beam 10.

이를 위해 가로보 연결 철근(300)의 일부를 본체(100)에 매설하고, 일부는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내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도 8).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beam connecting ribs 300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and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s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FIGS. 5 and 8).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내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가로보 연결 철근(300)의 형상은 루프형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8). The shape of the beam connecting ribs 300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s preferably a loop shape (FIG. 8).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거더(1)에 포함된 가로보 연결 철근(300)과 이웃하는 거더(2)에 포함된 가로보 연결 철근(300a)이 교차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6). The cross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s 300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bar reinforcing bars 300 included in the girder 1 and the crossbar reinforcing bars 300a included in the adjacent girder 2 can be intersected (FIG. 6).

충진공간(20)의 내부에는 충진공간(20)의 횡방향을 따라 보강 철근(4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A reinforcing bar 40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filling space 20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lling space 20.

이 경우 보강 철근(300)은 가로보 연결 철근(300)의 직교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bar 30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ross bar connecting bar 300.

또한, 가로보 연결 철근(300)의 루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위치 고정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inside of the loop of the cross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from the viewpoint of position fix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위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공장에서 선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The integrated beam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unit segment forming a structure, and can be installed in a factory by pre-casting and installed in the field.

이 경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이 매립되며 가로보 연결부(200)가 형성된 복수의 가로보 일체형 거더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선 제작하고, 기초(40)의 상부에 거치시킨 후 타설공(30)을 통하여 충진공간(20)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작업만으로 가로보(10)에 의해 이웃하는 양 거더(1, 2)가 연결된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beam integrated type girders in which the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s 300 are embedded and the beam connecting portions 200 are formed are pre-casted and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40,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ructure in which the girders 1 and 2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by the beam 10 only by filling the concrete in the space 20. [

가로보(10)의 형성으로 인하여 거더(1, 2)의 상부 플렌지(120, 120a)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거더(1, 2)의 상부 플렌지(120, 120a)의 연결로 인해 상판이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취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s 120 and 120a of the girders 1 and 2 can be increased by forming the beam 10 so that the upper flanges 120 and 120a of the adjacent girders 1 and 2 And 120a,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plate can be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보 형성부(200)는 거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forming part 200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 [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로보 형성부(200)는 거더(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ross beam forming part 200 can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girder 1 in plural.

특히 3 이상의 거더(1)가 연결되는 경우 중앙에 위치되는 거더(1)는 양측의 이웃하는 거더(1)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거더(1)의 양측에 가로보 형성부(200)가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Particularly, when three or more girders 1 are connected, the girder 1 positioned at the center should be connected to the adjacent girders 1 on both sides, Is requi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가 본체(100)에 매설됨과 아울러,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된 체결 철근(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3, 도 1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 500 may be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and exposed to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FIGS. 13 and 14).

체결 철근(500)은 이웃하는 거더(2)의 체결 철근(500a)과 체결 수단(510)에 의해 결합된다. The fastening reinforcement 500 is joined to the fastening reinforcement 500a of the adjacent girder 2 by the fastening means 510.

체결 철근(500)은 본체(100)의 횡방향으로 매설되되, 체결 수단(510)과의 결합의 용이성 및 결합부의 증대를 위해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3). The fastening reinforcement 500 may be embed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exten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n order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fastening means 510 and increase of the engaging portion (Fig. 13).

이 경우 체결 수단(510)은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철근(500) 및 이웃하는 거더(2)에 형성된 체결 철근(500a)의 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양 체결 철근(500)을 일체화 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astening means 510 can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can be inserted from the ends of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s 500 formed on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s 500 and the adjacent girders 2 to integrate the double fastening reinforcing bars 500 have.

체결 수단(510)은 필요에 따라 복수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astening means 510 can be inserted in a plurality as requir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보 일체형 거더를 이용한 거더 일체화 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integrating a girder using a beam-integrated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거더 일체화 공법은 기초(50, 50a)의 상부에 2개의 거더(1, 2)를 거치시켜 거더(1)와 이웃하는 거더(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1 단계(S100)에서 형성된 충진공간(20)에 보강 철근(400)을 설치함과 아울러 타설공(30)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irder integ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step of placing two girders 1 and 2 at the top of bases 50 and 50a and bring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tep S200 of installing a reinforcing bar 400 in the filling space 20 formed in the first step S100 and injecting and curing concrete through the putting hole 30 .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거더
2 : 이웃하는 거더
10: 가로보
20 : 충진공간
30 : 타설공
40 : 기초
100 : 본체
200 : 가로보 형성부
300 : 가로보 연결 철근
400 : 보강 철근
1: girder
2: Neighboring girder
10: Rear beam
20: filling space
30: Casting ball
40: Foundation
100:
200:
300: Reinforcing bars
400: Rebar

Claims (16)

복수의 거더(1, 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거더에 있어서,
거더(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 및
이웃하는 거더(2)와의 일체화를 위한 가로보 형성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이웃하는 거더(2)에 형성된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가 결합되어,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연결하는 가로보(10)를 형성하되,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에는,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의 단부와 접촉되었을 때 현장 타설 충진재가 삽입되는 충진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 형성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내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 상부를 향해 개방되며,
일부가 상기 본체(10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되는 가로보 연결 철근(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가 접촉되어 형성되는 상기 충진공간(20)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에 의해 하부 및 측부가 폐쇄되고,
상기 충진공간 상부에는 상기 충진재가 유입되는 타설공(30)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거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루프형으로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되고,
상기 본체(100)는 하부 프렌지(110), 상부 프렌지(120) 및 상기 하부 프렌지(110)와 상기 상부 프렌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를 포함하는 I형 거더이며,
상기 하부 프렌지(110)의 폭(B)보다 상기 상부 프렌지(120)의 폭(A)이 더 크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상부 프렌지(120) 하면과 상기 하부 프렌지(110) 상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렌지(120)의 단부까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더(1)의 상기 상부 프렌지(120)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의 상부 프렌지(120a)의 상면이 접촉되며,
상기 거더(1)에 포함된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과 상기 이웃하는 거더(2)에 포함된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a)이 교차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20) 내부에 상기 충진공간(2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 철근(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철근(400)은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의 루프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거더(1) 및 상기 이웃하는 거더(2)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선 제작되어 설치되며,
상기 충진재는 콘크리트로서, 현장에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
A girder used for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irders (1, 2) are combined,
A main body 10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girder 1; And
And a beam forming part (200) for integration with a neighboring girder (2)
The beam forming part 20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correspondence with another beam forming part 200a formed on the adjacent girder 2,
The beam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beam forming part 200a are combined to form a beam 10 connec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t the end of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A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s formed to form a filling space 20 into which the spot filling material is inserted when the end of the other side beam forming portion 200a is contacte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s formed flat,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s open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beam forming part 200,
And a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partially buried in the main body 100 and exposed to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filling space 20 formed by contacting the crossbar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crossbar forming part 200a is formed by the crossbar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crossbar forming part 200a, Closed,
A filling hole (30) through which the filling material flows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lling space,
The beam forming part 200 is form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
The cross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cross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is exposed in the loop-shaped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main body 100 is an I-shaped girder including a lower flange 110, an upper flange 120, and an abdomen 130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10 and the upper flange 120,
The width A of the upper flange 120 is larger than the width B of the lower flange 110,
The crossbar forming unit 200 includes:
A lower flange 120 and a lower flange 110,
An end portion of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is forme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20,
The upper flange 120 of the girder 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a of the adjacent girder 2,
The cross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included in the girder 1 and the cross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a included in the adjacent girder 2 are crossed,
A reinforcing bar 400 installed in the filling space 20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lling space 20;
Further included,
The reinforcing bar 400 is inserted inside the loop of the cross bar connecting bar 300,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re prefabricated and installed in advance,
Wherein the filling material is concrete, and is laid in the field.
복수의 거더(1, 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거더에 있어서,
거더(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 및
이웃하는 거더(2)와의 일체화를 위한 가로보 형성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이웃하는 거더(2)에 형성된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와 대응되어 상기 본체(100)의 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가 결합되어,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연결하는 가로보(10)를 형성하되,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에는,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의 단부와 접촉되었을 때 현장 타설 충진재가 삽입되는 충진공간(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 형성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내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 상부를 향해 개방되며,
일부가 상기 본체(10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되는 가로보 연결 철근(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가 접촉되어 형성되는 상기 충진공간(20)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와 상기 다른 가로보 형성부(200a)에 의해 하부 및 측부가 폐쇄되고,
상기 충진공간 상부에는 상기 충진재가 유입되는 타설공(30)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거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보 연결 철근(300)은 루프형으로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되고,
상기 본체(100)는 하부 프렌지(110), 상부 프렌지(120) 및 상기 하부 프렌지(110)와 상기 상부 프렌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를 포함하는 I형 거더이며,
상기 하부 프렌지(110)의 폭(B)보다 상기 상부 프렌지(120)의 폭(A)이 더 크며,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는,
상기 상부 프렌지(120) 하면과 상기 하부 프렌지(110) 상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프렌지(120)의 단부까지 상기 가로보 형성부(200)의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더(1)의 상기 상부 프렌지(120)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의 상부 프렌지(120a)의 상면이 접촉되며,
일부가 상기 본체(100)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으로 노출된 체결 철근(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 철근(500)은 상기 이웃하는 거더(2)의 체결 철근(500a)과 체결 수단(51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체결 철근(500)은 상기 충진공간 형성홈(210)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 수단(510)은 고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더(1) 및 상기 이웃하는 거더(2)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선 제작되어 설치되며,
상기 충진재는 콘크리트로서, 현장에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보 일체형 거더.
A girder used for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irders (1, 2) are combined,
A main body 10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girder 1; And
And a beam forming part (200) for integration with a neighboring girder (2)
The beam forming part 20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correspondence with another beam forming part 200a formed on the adjacent girder 2,
The beam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beam forming part 200a are combined to form a beam 10 connec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t the end of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A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s formed to form a filling space 20 into which the spot filling material is inserted when the end of the other side beam forming portion 200a is contacte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s formed flat,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is open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beam forming part 200,
And a beam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partially buried in the main body 100 and exposed to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filling space 20 formed by contacting the crossbar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crossbar forming part 200a is formed by the crossbar forming part 200 and the other crossbar forming part 200a, Closed,
A filling hole (30) through which the filling material flows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illing space,
The beam forming part 200 is form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
The cross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crossbar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is exposed in the loop-shaped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main body 100 is an I-shaped girder including a lower flange 110, an upper flange 120, and an abdomen 130 connecting the lower flange 110 and the upper flange 120,
The width A of the upper flange 120 is larger than the width B of the lower flange 110,
The crossbar forming unit 200 includes:
A lower flange 120 and a lower flange 110,
An end portion of the beam forming portion 200 is forme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20,
The upper flange 120 of the girder 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a of the adjacent girder 2,
(500) partially embedded in the main body (100) and exposed to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fastening reinforcement 50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reinforcement 500a of the adjacent girder 2 by fastening means 510,
The fastening reinforcing bar 500 is extend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lling space forming groove 210
The fastening means 51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re prefabricated and installed in advance,
Wherein the filling material is concrete, and is laid in the field.
제1항의 가로보 일체형 거더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일체화시키는 거더 일체화 공법에 있어서,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키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타설공(30)을 통해 상기 충진공간(20)에 상기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
A girder integral method for integra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by using the cross beam integrated girder of claim 1,
A first step (S100) of contac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tep (S200) of filling the concrete in the filling space (20) through the placement hole (30);
Wherein the girder is integrally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콘크리트를 충진하기 전에 상기 충진공간(20) 내부에 상기 충진공간(20)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강 철근(4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
The method of claim 3,
Installing a reinforcing bar (400) install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lling space (20) inside the filling space (20) before filling the concrete in the second step;
Wherein the girders are integrally formed.
제2항의 가로보 일체형 거더를 이용하여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일체화시키는 거더 일체화 공법에 있어서,
상기 거더(1)와 상기 이웃하는 거더(2)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시키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타설공(30)을 통해 상기 충진공간(20)에 상기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
In the girder integrated method for integra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by using the cross beam integrated girder of claim 2,
A first step (S100) of contacting the girder (1) and the adjacent girder (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tep (S200) of filling the concrete in the filling space (20) through the placement hole (30);
Wherein the girder is integrally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콘크리트를 충진하기 전에 상기 체결 철근(500)과 상기 이웃하는 거더(2)의 체결 철근(500a)을 상기 체결 수단(510)에 의해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 일체화 공법.
6. The method of claim 5,
(500a) of the adjacent girder (2) by the fastening means (510) before filling the concrete in the second step;
Wherein the girders are integrally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69214A 2016-06-03 2016-06-03 Girder With Cross Beam KR101934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14A KR101934032B1 (en) 2016-06-03 2016-06-03 Girder With Cross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214A KR101934032B1 (en) 2016-06-03 2016-06-03 Girder With Cross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295A KR20170137295A (en) 2017-12-13
KR101934032B1 true KR101934032B1 (en) 2018-12-31

Family

ID=6094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14A KR101934032B1 (en) 2016-06-03 2016-06-03 Girder With Cross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0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322B1 (en) * 2021-12-10 2022-10-24 (주)브릿지팩토리 Psc girder in which the strand distribution apparatus is applied to and psc girder bridg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914B1 (en) * 2018-09-18 2019-03-15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multi-girder bridge using grid PSC girder, Grid PSC girder, and multi-girder bridge using the same
KR101958915B1 (en) * 2018-10-17 2019-03-15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composite rahmen bridge and Girder composite rahmen bridge
KR102306839B1 (en) * 2019-02-13 2021-09-30 우도영 Installation method of support axis over the wa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456A (en) * 2003-07-29 2005-02-24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Arcuate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segment having loop joint
KR101545936B1 (en) * 2015-04-14 2015-08-20 김성 Precast wall structure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456A (en) * 2003-07-29 2005-02-24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Arcuate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segment having loop joint
KR101545936B1 (en) * 2015-04-14 2015-08-20 김성 Precast wall structure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322B1 (en) * 2021-12-10 2022-10-24 (주)브릿지팩토리 Psc girder in which the strand distribution apparatus is applied to and psc girder bridg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295A (en)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921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ylon using precast concrete beam
KR101934032B1 (en) Girder With Cross Beam
KR10200913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Girder Bridge
KR101034185B1 (en) Bridge for bike-lan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34405B1 (en)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60512B1 (en) Method for reinforcing cross section installation of ground and underwater structure using integral mold module
KR101339946B1 (en) Precast bridge post
KR20150005300A (en) Permanent form preventing interference of reinforcing ba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ping
KR100704055B1 (en) continuous steel bridge having precast concret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82599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KR20140120481A (en)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00050142A (en)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50385B1 (en) Pier with Vertical Split type Precast Concrete Unit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113356370A (en) Mutual anchoring connection construction method for shear wall, frame column and concrete beam bracket
KR100990967B1 (en) Assembled bridge and method for constucting an assembled bridge
KR10153076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two slabs and rigid-frame bridge manufacturing method having the same
JP2000204643A (en) Method for constructing box culvert and concrete block therefor
KR100554342B1 (en) Lin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482523B1 (en)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93266B1 (en) Hybrid girder
KR101293646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 support connection member
JP3841493B2 (en) Construction method of viaduct using PCa concrete member
KR101211334B1 (en)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Steel Girder and Precast Panel
KR10079444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Slab Bridge Using Composite Truss Girder
KR100997450B1 (en) Temporary bridge and method for constucting an temporary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