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342B1 - Lin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Lin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4342B1 KR100554342B1 KR1020040088281A KR20040088281A KR100554342B1 KR 100554342 B1 KR100554342 B1 KR 100554342B1 KR 1020040088281 A KR1020040088281 A KR 1020040088281A KR 20040088281 A KR20040088281 A KR 20040088281A KR 100554342 B1 KR100554342 B1 KR 100554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ncrete
- plates
- perforated plate
- perfor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빔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용접부위를 줄여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복공판의 연결구조를 단순화시켜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use of the beam to minimize the damage by reducing the welding site, to secure the rigidity and durability can be lowered the manufacturing cost,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connection work by simplify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rforated plate To reduce the
이에 본 발명은 양 측면을 이루는 측판과, 양 측판 사이에 부착설치되어 바닥을 이루고 요철형 단면구조를 갖는 바닥판, 이 바닥판 내에 놓여지는 철근구조물, 상기 양 측판과 상기 바닥판 내부에 채워져 경화되는 콘크리트, 상기 측판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내에 묻히도록 된 스터드,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판, 상기 복공판과 이웃하는 복공판의 연결을 위해 상기 측판 외측면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복공판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de plate and the side plate constituting both sides, the bottom plate is attached between the two side plate to form a bottom, having a concave-convex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reinforcing structure placed in the bottom plate, the both side plates and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is hardened Concrete is installed, the studs are protruded at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buried in the concret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vertically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for connecting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adjacent perforated plate It provides a perforated plate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installed on the side plate outer surface.
측판, 바닥판, 콘크리트, 철근구조물, 스터드, 나사축, 커플링 Side plates, bottom plates, concrete, reinforced structures, studs, screw shafts, coupling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views showing some configurations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복공판 20 : 측판10: perforated plate 20: side plate
21,71 : 스터드 22 : 보강판21,71: stud 22: gusset
30 : 바닥판 31 : 데크플레이트30: bottom plate 31: deck plate
40 : 철근구조물 41 : 상부배력근40: reinforcing bar 41: upper reinforcement
42 : 하부배력근 43 : 지지부재42: lower back muscle 43: support member
50 : 콘크리트 51 : 홈50: concrete 51: groove
60 : 나사축 61 : 커플링60: screw shaft 61: coupling
62 : 암나사홀 70 : 전후판62: female thread hole 70: front and rear plate
본 발명은 계속적인 반복 하중 작용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고 제조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ensure structural rigidity against continuous cyclic load action an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e economics.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시설 공사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되거나, 빌딩 등의 철골구조를 갖는 대형 건물에서 철제빔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이루게 된다.In general, double-glazed plates are used to cover roads to minimize the impact on traffic volume when digging roads or installing temporary bridges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subway construction, or steel beams in large buildings with steel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Installed between them to form a top plate.
이러한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예컨대 노면을 복개하는 경우 하부구조물 위에 철제빔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이 철제빔 사이에 수십 내지 수백 개가 평평하게 배열되도록 시공되며, 그 위로 차량 등이 지나가게 되므로 강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Such a perforated plate has a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 example, when the road surface is covered, steel beams are installed on the substructure at intervals and are arranged such that dozens or hundreds are arranged evenly between the steel beams, and the vehicle passes over them. And durability is required.
따라서 종래의 복공판은 강철로 이루어지며 크게 상판과, 상판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측판, 상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리브판, 이 리브판 하부에 고정되는 보강판이 서로 용접으로 부착되어 일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태의 판재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is made of steel, and the upper plate and the side plates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 plurality of rib plat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late, and the reinforcement plates fixed to the lower rib plate are welded to each other. It is attached and forms a rectangular board memb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아래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has various problems as follows.
첫째, H형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빔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복공판을 제조함에 따라 용접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이에 따라 용접부위가 파손되어 복공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Firs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welding defects occur due to the production of a perforated plate by connecting various types of beams, such as H-beams, by welding,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perforated plate due to breakage of the welded part.
둘째, 복공판을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빔이 사용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as a plurality of beams are used to manufacture the perforated pl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셋째, 복공판들의 연결이 어려워 연결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심한 경우 복공판들을 연결시키지 않고 단순히 철제빔 위에 나란히 배치하게 되어 복공판으로 시공된 노면의 평탄성이 떨어지고 이는 그 위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줄 뿐만 아니라, 차량의 고장 원인을 제공하고 심할 경우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ird,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perforated plates, so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connect them. In severe cases, the flatness of the road surface constructed by the perforated plates is lowered by simply placing them side by side on the steel beam without connecting the perforated plates. In addition to providing anxiety to the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leads to a traffic accident if it provides a cause of the vehicle failure.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부위를 줄여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forated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reduce the welding area to minimize the damage.
또한, 본 발명은 빔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된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forated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be lowered the manufacturing cost by securing the rigidity and durability while minimizing the use of the beam.
또한, 본 발명은 복공판의 연결구조를 단순화시켜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ous plat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simplif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orous plate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connection oper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공판은 양 측면을 이루는 측판과, 양 측판 사이에 부착설치되어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 이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철근구조물,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plate forming both sides, a bottom plate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is formed between both side plates, the reinforcing structure placed on the bottom plate, concrete poured on the deck plate It includes.
이에 따라 콘크리트를 빔의 상판으로 이용함으로써 빔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콘크리트와 철골구조물을 통해 강성과 내구성을 갖는 복공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by using concrete as a top plate of the bea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erforated plate having rigidity and durability through concrete and steel structures while minimizing the use of the beam.
여기서 상기 양 측판은 I형태의 빔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 plates use a beam of type I.
또한,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는 콘크리트와 측판과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coupling means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ide plate.
또한, 상기 측판은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 보강부재가 더욱 부착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reinforcing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복공판은 이웃하는 복공판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측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an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plate for the connection with the adjacent perforated plate.
상기 연결수단은 측판은 외측면에 부착설치되는 나사축과, 양단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암나사홀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복공판의 각 측판에 형성된 나사축이 결합되는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may include a coupling coupled to the screw shaft is attached to the outer side and the screw shaft formed in each side plate of the adjacent perforated plate is formed with female threaded holes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at both ends.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은 각 측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necting means is preferably installed at each end of each side plate.
상기 바닥판은 상기 양 측판 사이에 부착설치되어 콘크리트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요철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plate is attached between the two side plates to serve as the formwork of the concrete, it is preferably made of a concave-convex cross-sectional structure to minimize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filled.
또한, 상기 바닥판은 복공판의 크기에 맞춰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 형태로 절곡가공되어 있는 다수개의 부재를 서로 용접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may be one member integrally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perforated plate, it may be configured by welding a plurality of members that are bent in the form of a chann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복공판은 상기 측판 사이에 부착되어 전면과 후면에 놓여지는 전판후판을 더욱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erforated plate further includes a front plate thick plate attached between the side plate and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또한, 상기 측판과 마찬가지로 또한,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는 콘크리트와 측판과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like the side plate, the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ide plate.
상기 철근구조물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부배력근과, 이 상부배력근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단면구조를 따라 내부로 연장되는 하부배력근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structure may include an upper reinforcing bar that crosses at a right angle, and a lower reinforcing bar installed along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extending inward alo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ottom plate.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골재의 혼합물로 본 실시예에서는 쇳가루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And the concrete is a mixture of cement and aggreg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contain powder.
또한, 상기 복공판은 경화된 콘크리트의 윗면에 다양한 형태의 홈이 가공되어 상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erforated plate is preferable to be able to prevent the sliding of the top plate by processing a variety of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rdened concrete.
한편, 상기한 구조의 복공판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공판 제조방법은, 양 측판의 내측면에 스터드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외측면에는 나사축을 용접 부착하며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보강판을 용접 부착하는 단계와,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ventilated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ing a ventilated plate of the above structure, the studs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 plates, the outer surface is welded and attached to the screw shaft and the reinforcement a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Welding and attaching the plate,
제작된 측판에 바닥판을 용접부착하여 양 측판과 바닥판을 하나로 연결하는 단계, Connecting both side plates and the bottom plate by welding and attaching the bottom plate to the manufactured side plate,
상기 바닥판 내에 철근구조물을 배치하는 단계, Disposing a reinforcing structure in the bottom plate,
측판과 바닥판을 하나의 거푸집으로 하여 그 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채운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ide plate and the bottom plate as a formwork comprises the step of filling the concrete into the inside and then harden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화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미끄럼 방지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orming a non-slip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ed concr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assembly state of the perforated plate which concerns on this.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공판(10)은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양 측면을 이루는 측판(20)과, 상기 양 측판의 양 선단에 설치되어 전면과 후면을 이루는 전후판(70), 상기 양 측판(20)과 전후판(70) 내에 부착설치되어 바닥을 이루고 요철형 단면구조를 갖는 바닥판(30), 이 바닥판(30) 내에 놓여지는 철근구조물(40), 상기 양 측판(20)과 상기 바닥판(30) 내부에 채워져 각 구성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콘크리트(50), 상기 측판(20)과 전후판(70)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50) 내에 묻히도록 된 스터드(21,71), 상기 측판(20)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수직설치되는 다수개의 보강판(22), 상기 복공판(10)과 이웃하는 복공판(10)의 연결을 위해 상기 측판(20) 외측면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측판(20)은 I형강빔(beam) 또는 H형강빔으로 이루어지는 데, 길이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양 측단이 수직되도록 세워 가운데 판이 내측면과 외측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전후판(70)은 일정 두께(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판(30)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지고 높이는 상기 측판과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사각 판재로 하단은 내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ㄷ" 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측판(20)의 선단에 용접으로 부착된다.In addition, the front and
그리고 상기 측판(20)과 상기 전후판(70)의 내측면에는 콘크리트와 측판(20) 및 전후판(70)과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And the inner side of the
상기 결합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용접부착되는 다수개의 스터드(21,71)와 상기 측판(20) 및 전후판(70)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를 향해 절곡된 결합부재(23,72)로 이루어진다.The coupling means is a plurality of studs (21, 71) to be welded at intervals as shown in Figure 2 and the
이에 따라 측판(20) 및 전후판(70)에 부착된 스터드(21,71) 또는/ 및 상기 결합부재(23,72)가 콘크리트 속으로 묻혀 시공됨으로써 측판 및 전후판과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상기 스터드(21,7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내측면에 수직되게 용접 부착되어 안쪽으로 돌출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스터드(21,71)는 일면이 측판(20)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원기둥 형태의 부재로 자유단에는 볼트머리와 같이 머리가 형성된 구조로 콘크리트(50)에 매설되어 측판(20)과 콘크리트(50)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The
상기 스터드(21,71)의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한편,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일예로 전후판(70)에 설치된 결합부재(72)를 예시하고 있는 데, 상기 결합부재(72)는 "ㄱ"자로 직각절곡되어 상기 전후판(70)의 상단에 내측면에 용접부착되어 절곡된면이 수직으로 내려뜨려져 하부를 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member in more detail as follows. 3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그리고 상기 수직면에는 간격을 두고 호형태의 홈(73)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surfa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73 of an arc shape is formed continuously at intervals.
이에 따라 상기 전후판(70)은 내측면이 스터드에 의해 콘크리트와 일체화됨과 더불어 하방으로 절곡된 상기 결합부재(72)가 콘크리트에 묻히게 됨으로써 콘크리트가 전후판(70)의 상부측 절곡부와 일체화 거동하게 되어 즉, 절곡부를 당기게 되어 상부측 접촉부분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ront and
도 3b는 상기 결합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재(74)는 철근을 직각으로 절곡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Figure 3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이러한 구조 또한 상기 전후판(70)에 부착된 철근이 콘크리트에 묻힘으로써 전후판(70) 상부측 결합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게 된다.This structure also enables the reinforcing bar attached to the front and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전후판(70)에 적용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측판(20)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 only the case where the coupling member is applied to the front and
또한, 상기 측판(20)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판(22)이 더욱 부착설치된다. 상기 보강판(22)은 상기 측판(20)과 동일한 재질 또는 측판(20)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측판(20)에 대한 설치 위치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한편, 상기 바닥판(30)은 콘크리트(50) 타설시 거푸집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콘크리트(50)와 일체로 부착되어 복공판(10)의 상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형태를 이루도록 사다리꼴 단면형태로 절곡된 데크플레이트(31)가 다수개 구비되어 각 데크플레이트(31)의 측단이 상호 용접되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데크플레이트(31)는 상기 전후판(7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측판(20)의 내측 하단에 걸쳐진 상태로 부착설치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31)의 최 외측에 위치한 데크플레이트(31)는 그 측단이 상기 전후판(70)의 하단에 용접으로 부착 고정된다.The
물론,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데크플레이트(31)를 용접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바닥판(30)을 형성하는 구조 이외에, 다수개의 데크플레이트(31)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데크플레이트(31)간의 용접작업을 생략하고 바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바닥판(30)을 바로 측판(20)에 부착설치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forming a
여기서 상기 데크플레이트(31)로 이루어지는 바닥판(30)은 언급한 바와 같이 요철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바닥판(30) 자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양 측판(20)과 전후판(70)에 의해 만들어지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바닥판(30) 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50)의 양을 줄여 복공판(10)의 자중을 어느정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철근구조물(40)은 콘크리트(50)와 같이 매설되어 콘크리트(5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부배력근(41)과, 이 상부배력근(41)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30)의 요철형 단면구조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배력근(42)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철근구조물(40)의 배력근 배열 구조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공판(10)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다양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The reinforced muscl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43)은 바닥판(30)과 상기 철근구조물(40) 사이에 설치되어 철근구조물(40)을 바닥판(30)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43)는 상기 데크플레이트(31) 상에 용접부착되는 스터드볼트로 이루어져 데크플레이트(31)와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그리고 상기 바닥판(3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50)는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쇳가루가 포함된 고강도 콘크리트(50)가 사용된다.And the concrete 50 to be poured on the
상기 콘크리트(50)는 양 측판(20)과 바닥판(30) 내에 채워져 경화되어 상판을 이루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을 이루는 콘크리트(50)의 윗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의 홈(51)이 더욱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concrete 50 is filled in both the
한편,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복공판(10)과 이웃하는 복공판(10)을 서로 연결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공판(10)의 측판(20)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표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축(60)과, 이웃하는 복공판(10)의 각 측판(20)에 설치된 나사축(60)간에 상호 체결되도록 양단에 반대방향의 암나사홀(62)이 가공된 커플링(coupling;61)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ans is for fixing and fixing the
이에 따라 양 복공판(10)의 측판(20)에 형성된 나사축(60)을 각각 커플링(61)의 양단 암나사홀(62)에 체결한 상태에서 커플링(61)을 회전시키게 되면 커플링(61)이 나사축(60)에 조여지면서 양 복공판(10)이 간단히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여기서 상기 나사축(60)의 설치 위치는 연결작업의 편의와 복강판 윗면에 걸리는 하중을 고려하여 측판(20)의 상부에 치우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 나사축(60)의 설치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측판(20)의 외측면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number of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공판(10)의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형강빔 또는 H형강빔을 규정된 치수로 절단하여 측판(20)을 형성하고, 상기 측판(20)의 내측면에 스터드(21)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외측면에는 나사축(60)을 용접 부착한다. 그리고 측판(2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보강판(22)을 용접 부착한다.The
상기와 같이 제작된 측판(20)은 길이방향으로 눕힌 후 측단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후 바닥판(30)을 이루는 데크플레이트(31)가 측판(20)에 직각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하여 바닥판(30)을 측판(20)에 용접부착하여 양 측판(20)과 바닥판(30)을 하나로 연결한다.The
여기서 상기 바닥판(30)은 각각의 데크플레이트(31)를 서로 용접으로 접합시킴으로써 복공판(10)의 크기에 맞는 하나의 바닥판(30)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그리고 양 측판(20)의 각 선단에 전후판(70)을 밀착시켜 측판(20)의 선단에 용접으로 고정시키고, 바닥판(30)의 최 외측에 위치한 데크플레이트(31)의 측단을 상기 전후판(30)에 용접함으로서 측판(20)과 전후판(70) 및 바닥판(30)을 하나로 고정시키게 된다.Then, the front and
상기 전후판(70)은 측판(20)과 마찬가지로 내측면에 스터드(71)가 미리 용접부착된다. The front and
상기와 같이 측판(20)과 바닥판(30) 및 전후판(70)이 부착설치되면 상기 바닥판(30) 위에 철근구조물(40)을 시공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30)의 윗면에 별도의 지지부재(43)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구조물(40)을 지지시킴으로써 철근구조물(40)이 바닥판(30)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다.When the
다음으로 측판(20)과 전후판(70) 및 바닥판(30)을 하나의 거푸집으로 하여 그 내부로 쇳가루가 혼합된 콘크리트(50)를 주입하여 채운 후 경화시킨다.Next,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50)가 경화되면 콘크리트(50)의 윗면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미끄럼 방지용 홈(51)을 형성시킴으로써 하나의 복공판(1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And when the concrete 50 is harden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복공판(10)을 도로 노면 또는 건물 등에 시공함에 있어서 철제빔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복공판(10)은 나사축(60)과 커플링(61)에 의해 간단히 연결조립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above-described prepared
즉, 각 복공판(10)의 측판(20) 외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축(60)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 복공판(10)의 측판(20)에 설치된 나사축(60)을 커플링(61)의 양단 암나사홀(62)에 체결시키고 상기 암나사홀(62)을 일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각 나사축(60)이 암나사홀(62)에 조여지면서 이웃하는 복공판(10)이 서로 연결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공판에 의하면, I형강빔이나 H형강빔 등 철제빔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복공판의 자중을 줄일 수 있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ous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elf-weight of the porous plat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minimizing the use of the steel beam such as the I-beam or H-beam.
또한, 복공판 제조 과정에서 다수의 철제빔을 용접하는 과정을 줄임으로써 용접 불량에 따른 복공판 불량이나 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용접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process of welding a plurality of steel beam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erforated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perforated plate due to the poor welding or deterioration of lif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welding operation.
또한, 복공판의 시공에 있어서 복공판 간의 연결작업이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간단히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시공시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perforated plate is easy to shorten the air, of course, even a non-skilled person can be simply installed to reduce the cost incurred during construction.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8281A KR100554342B1 (en) | 2004-11-02 | 2004-11-02 | Lin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8281A KR100554342B1 (en) | 2004-11-02 | 2004-11-02 | Lin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3266U Division KR200380677Y1 (en) | 2004-11-24 | 2004-11-24 | Lining 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4342B1 true KR100554342B1 (en) | 2006-03-03 |
Family
ID=3717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8281A KR100554342B1 (en) | 2004-11-02 | 2004-11-02 | Lin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4342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936B1 (en) | 2007-08-02 | 2007-11-15 |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 Lining board and method manufacturing of the same |
KR100860850B1 (en) * | 2008-06-30 | 2008-09-29 | 주식회사 누리플랜 | Manufacturing method of plate type temporary paving |
KR100870869B1 (en) * | 2008-06-30 | 2008-11-27 | 주식회사 누리플랜 | Plate type temporary paving |
KR100948389B1 (en) * | 2007-10-05 | 2010-03-19 | 박기태 |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d deck panel type of decreased noise and vibration |
KR100990857B1 (en) | 2008-04-18 | 2010-10-29 | 윤기영 | Deck plate |
KR101225661B1 (en) | 2011-12-02 | 2013-01-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crete shear key strengthened with steel cover plate and tension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KR101886744B1 (en) * | 2018-04-04 | 2018-08-0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Precast Half Deck for Roadway |
KR102239460B1 (en) | 2020-11-06 | 2021-04-14 | 김남룡 | Deck plate with noise absorbing device and its production method |
-
2004
- 2004-11-02 KR KR1020040088281A patent/KR10055434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936B1 (en) | 2007-08-02 | 2007-11-15 |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 Lining board and method manufacturing of the same |
KR100948389B1 (en) * | 2007-10-05 | 2010-03-19 | 박기태 |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ed deck panel type of decreased noise and vibration |
KR100990857B1 (en) | 2008-04-18 | 2010-10-29 | 윤기영 | Deck plate |
KR100860850B1 (en) * | 2008-06-30 | 2008-09-29 | 주식회사 누리플랜 | Manufacturing method of plate type temporary paving |
KR100870869B1 (en) * | 2008-06-30 | 2008-11-27 | 주식회사 누리플랜 | Plate type temporary paving |
KR101225661B1 (en) | 2011-12-02 | 2013-01-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crete shear key strengthened with steel cover plate and tension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KR101886744B1 (en) * | 2018-04-04 | 2018-08-0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Precast Half Deck for Roadway |
KR102239460B1 (en) | 2020-11-06 | 2021-04-14 | 김남룡 | Deck plate with noise absorbing device and its prod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0419B1 (en) |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 |
KR101452940B1 (en) | Functional Deck Plate | |
KR200383505Y1 (en) | Lining board | |
JP4844918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 concrete composit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board | |
KR100812132B1 (en) | Concret slab assembly | |
JP2019199710A (en) | Joint structure for precast composite floor slab in direction perpendicular to bridge axi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 |
KR100554342B1 (en) | Lin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KR200455723Y1 (en) | Hybrid steel ball | |
KR102269141B1 (en) | Deck plate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pavement | |
KR100650411B1 (en) | Tunnel cover plate | |
KR101414254B1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PC column and PC flat plate slab and PC girder | |
KR20100050142A (en) |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735077B1 (en) |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 |
KR20170137295A (en) | Girder With Cross Beam | |
KR100949828B1 (en) | Steel beam and hybrid beam of steel concrete for slim floor | |
KR101639592B1 (en) | Prefabricated lightweight girder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H0782709A (en) | Reinforcing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employing hollow pc steel bar | |
KR20180094673A (en) | Double plate wal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036177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PRC integrating method | |
KR200380677Y1 (en) | Lining board | |
KR101010109B1 (en) | Concrete filled composite lining board of assembly type | |
KR102585526B1 (en) | Composite frame with end-buried girder joint | |
KR20190044763A (en) |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 |
KR101482523B1 (en) |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2013053491A (en) | PCa MEMBER AND PCa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