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433B1 -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433B1
KR101933433B1 KR1020120083066A KR20120083066A KR101933433B1 KR 101933433 B1 KR101933433 B1 KR 101933433B1 KR 1020120083066 A KR1020120083066 A KR 1020120083066A KR 20120083066 A KR20120083066 A KR 20120083066A KR 101933433 B1 KR101933433 B1 KR 101933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group
setting
alarms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041A (ko
Inventor
문경춘
김준우
지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433B1/ko
Priority to EP13178266.6A priority patent/EP2701016B1/en
Priority to US13/954,567 priority patent/US9405560B2/en
Publication of KR2014001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acting at a number of different tim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복수의 알람들을 일괄적으로 종료할 수 있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은, 복수의 알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알람에 대한 종료를 상기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LARM OPERATION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복수의 알람들을 일괄적으로 종료할 수 있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알람기능은 알람기간 및 주기를 설정하여 비활성화 시키면, 알람시간이 되었을 때 알람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스누즈(snooze)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정해 놓은 시간간격마다 정해놓은 횟수만큼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누즈(snooze)기능 만으로 부족함을 느끼는 사용자의 경우 하나의 목적을 위해 복수의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목적을 위해 복수의 알람을 설정하여 활성화시키는 경우, 복수의 알람이 다 발생하기 전에 목적이 이루어지고 나면, 나머지 알람들은 이후 계속 발생되기 때문에, 나머지 설정된 알람들을 일일이 비활성화 시키나 또는 발생시점 마다 알람을 종료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복수의 알람을 일괄적으로 종료할 수 있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서 그룹화된 복수의 알람에 대한 종료를 그룹의 종료에 대응되게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은, 복수의 알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알람에 대한 종료를 상기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장치가, 복수의 알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알람에 대한 종료를 상기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알람을 일괄적으로 종료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알람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 -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종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알람에 대한 종료를 상기 복수의 알람이 포함된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자동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포함된 모든 알람그룹을 일괄적으로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알람그룹을 저장하고, 각 알람그룹은 복수의 알람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해당문자에 대응되는 복수의 그룹을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알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알람에 대한 종료를 상기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알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알람이 시간순서대로 발생하는 동안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될 때, 발생 중인 알람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후에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종료하도록 자동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알람그룹 설정이 선택될 때, 이미 존재하는 복수의 알람그룹 중 해당 알람그룹에 새로운 알람을 추가하거나, 또는 새롭게 추가된 해당 알람그룹에 새로운 알람을 추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 소그룹이 선택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에 새로운 알람 추가 및 알람발생에 대한 동작으로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여부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이미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표시하고, 수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해당 알람그룹 또는 해당 알람의 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표시하고,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각각에 기록된 내용을 검색하고, 상기 내용에 포함된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을 검색하며, 상기 표시 중인 각 알람을 해당 내용에 포함된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자동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상기 알람그룹으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이 존재할 때, 수동으로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새로운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알람이 발생될 때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알람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알람 중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후에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동안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알람 소그룹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알람 소그룹이 존재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설정을 체크하며,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제외가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알람그룹에서 상기 알람 소그룹을 제외한 모든 알람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알람 소그룹을 제외한 모든 알람은,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서 상기 알람 소그룹을 제외한 알람들 중 상기 발생된 알람 및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후부터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포함한다.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전에 알람들은 이미 시간적으로 알람발생된 이후 이기 때문에, 알람이 종료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알람 소그룹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포함된 모든 알람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제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포함된 모든 알람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알람그룹에 속하는 모든 알람은,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서 상기 발생된 알람 및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후부터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포함한다.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전에 알람들은 이미 시간적으로 알람발생된 이후 이기 때문에, 알람이 종료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알람이 발생하는 동안 알람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을 종료하고, 상기 알람 발생 중 스누즈(snooze)가 선택될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을 종료하고 일정간격마다 일정횟수만큼 알람을 발생시키는 스누즈 기능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종료된 알람 중 반복주기가 일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을 일회성 알람그룹으로 이동하고, 종료된 알람 중 반복주기가 다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에 대한 알람종료를 다음날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람이 발생될 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알람종료의 종류 즉, 그룹알람종료, 알람종료 및 스누즈(snooze)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에서 알람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 2 -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 도 4에서는 해당 알람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알람의 종료를 상기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자동으로 설정하는 동작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알람그룹의 설정동작을 설명하면, 단말기에서 알람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알람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알라모드에서 알람 그룹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알람그룹 설정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단말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추가된 복수의 알람그룹의 종류를 표시한다. 상기 복수의 알람그룹 중 사용자에 의해 해당 알람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선택된 알람그룹에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알람을 추가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알람그룹 중 “아침기상”의 목적으로 설정된 알람그룹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알람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은 상기 “아침기상”의 목적으로 설정된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추가된다.
또는 상기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새로운 알람그룹을 추가하기 위해 알람그룹 추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목적으로 설정된 새로운 알람그룹을 추가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새로운 알람그룹이 선택된 이후 새로운 알람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새롭게 설정된 알람을 새로운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추가하는 2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알람그룹 모드에서 해당 알람그룹에 알람을 추가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알람 소그룹 추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알람 소그룹에서 설정되는 새로운 알람을 상기 알람 소그룹의 알람으로 추가하고, 알람발생에 대한 동작으로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여부를 설정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이미 존재하는 알람그룹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알람 소그룹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음으로, 알람 소그룹을 선택하여 새로운 알람을 추가할 수 있다.
하나의 알람그룹에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 소그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 소그룹은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여부 설정에 따라, 상기 알람 소그룹이 포함된 해당 알람그룹에 대한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될 때 포함되어 삭제되거나 삭제가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목적으로 설정된 알림이지만, 예외적으로 삭제되지 않아야 하는 알림이거나, 특정 날짜에 발생되기 위해 반복주기를 일회성으로 설정한 알람의 경우, 상기 알림 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고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제외를 설정함으로써,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으로써 일괄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알람그룹의 설정동작을 설명하면, 단말기에서 알람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알람모드로 전환하고, 이미 개별적으로 설정된 알람이 존재할 경우, 상기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된 알람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3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개별적으로 설정된 알람들을 표시하는 동안, 수동 알람그룹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동 알람그룹 설정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수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개별 알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알람들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미 존재하는 복수의 그룹의 종류를 표시한다. 이때 각 알람그룹에 포함된 알람 소그룹의 종류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알람그룹 중 해당 알람그룹 또는 해당 알람 소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5단계에서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 알람을 상기 선택된 해당 알람그룹 또는 해당 알람 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는 306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수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개별 알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알람들이 선택된 이후 새로운 알람그룹 추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목적을 가지는 새로운 알람그룹을 추가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알람을 새로운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는 309단계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알람그룹의 설정동작을 설명하면, 단말기에서 알람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알람모드로 전환하고, 이미 개별적으로 설정된 알람이 존재할 경우, 상기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된 알람들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4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개별적으로 설정된 알람들을 표시하는 동안, 자동 알람그룹 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404단계에서 상기 표시 중인 개별 알람들 각각에 기록된 내용을 검색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알람그룹 중 상기 검색된 내용에 포함된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을 검색하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중인 개별 알람들 각각을 해당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는 406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알람그룹의 설정된 개별알람들은 알람그룹으로 이동하여 개별 알람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 중인 개별 알람들 중 알람그룹으로 설정되지 않은 알람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알람그룹으로 설정되지 않은 알람이 존재함을 메시지로 표시한다.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새로운 그룹 추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목적을 가지는 새로운 알람그룹을 추가하고, 상기 알람그룹으로 설정되지 않은 알람을 새로운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수동 알람그룹 설정되면, 상기 알람그룹으로 설정되지 않은 알람을 사용자가 직접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기능을 설정할 때 사용자는 알람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개별 알람에 기록된 내용을 검색하고, 예를 들어 특정 개별알람에 “기상시간”이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면,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알람그룹 중 “기상”문자에 대응되는 알람그룹을 검색하고, 특정 개별알람을 “기상”문자에 대응되는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알람그룹 각각은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나, 하나의 목적을 위해 대응되는 복수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닝콜 목적을 가지는 알람그룹의 경우, “기상”및“아침”등과 같이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편집될 수 있다.
상기 도 2 - 상기 도 4와 같이 알람그룹으로 그룹화된 복수의 알람은, 이후 시간순서대로 알람을 발생하는 동안 알람종료가 발생될 때, 현재시간에 발생 중인 알람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알람그룹 종료가 발생될 시점 이후에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일괄적으로 종료할 수 있도록 자동설정된다.
상기 도 2 - 도 4를 통해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이 설정된 이후,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알람의 종료동작을 하기 도 5a - 도 5b를 통해 설명한다.
상기 도 5a - 상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알람그룹을 종료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a - 상기 도 5b를 참조하면, 단말기에서 설정된 알람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발생되는 알람을 종료하기 위한 알람종료의 종류를 표시하는 5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알림종료의 종류는 “알람그룹 종료” "알람종료“ 및 ”스누즈“을 포함하며, ”알람그룹 종료“는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의 모든 알람을 일괄적으로 종료할 수 있며, ”알람종료“는 발생된 알람만을 종료할 수 있으며, ”스누즈“는 발생된 알람종료와 함께 일정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알람이 발생될 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발생되는 알람이 특정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되면, “알람그룹 종료”를 포함한 알람종료의 종류를 표시하고, 상기 발생되는 알람이 특정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이 판단되면, “알람그룹 종료”를 포함하지 않은 알람종료의 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알람이 발생될 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발생되는 알람에 스누즈(snooze)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이 판단되면, “스누즈”를 포함한 알람종료의 종류를 표시하고, 상기 발생되는 알람에 스누즈(snooze)기능이 설정되어 있음이 판단되면, “스누즈”를 포함하지 않은 알람종료의 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이 발생하는 동안 표시되는 알람종료의 종류 중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알람 소그룹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알람 소그룹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5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설정을 체크하는 5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알람 소그룹에 대한 삭제제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5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서 상기 알람 소그룹에 포함된 알람을 제외한 모든 알람을 일괄 종료하는 507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아침기상”의 목적으로 설정된 알람그룹에 “오전 5:00 알람”, “오전 5시 10분 알람”, “오전 5시 20분알람” 및 “오전 5시 30분 알람 및 “아침기상-1로 설정된 소그룹”이 포함되어 있을 때, “오전 5시 10분” 알람이 발생되어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되면, “오전 5시 10분”알람종료와 함께 이후에 발생될 “오전 5시 20분 알람” 및 “오전 5시 30분 알람”을 일괄적으로 종료한다. 이때 “오전 5:00 알람”은 이미 알람이 발생된 이후이기 때문에 알람이 종료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오전 5:00 알람”에 대한 종료해제가 되어있을 경우 “오전 5:00 알람”에 대한 종료 또는 종료제외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알람 소그룹에 대해 삭제제외가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5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의 모든 알람을 일괄 종료하는 508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아침기상”의 목적으로 설정된 알람그룹에 “오전 5:00 알람”, “오전 5시 10분 알람”, “오전 5시 20분알람” 및 “오전 5시 30분 알람 및 “아침기상-1로 설정된 소그룹”이 포함되어 있을 때, “오전 5시 10분” 알람이 발생되어 “알람그룹 종료”가 선택되면, “오전 5시 10분”알람종료와 함께 이후에 발생될 “오전 5시 20분 알람” 및 “오전 5시 30분 알람” 및 “아침기상-1로 설정된 소그룹”을 일괄적으로 종료한다.
또는 상기 알람이 발생하는 동안 표시되는 알람종료의 종류 중“알람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발생된 알람만을 종료하는 510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알람이 발생하는 동안 표시되는 알람종료의 종류 중“스누즈”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발생된 알람만을 종료하고 이후 일정간격마다 일정횟수만큼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누즈 기능을 설정하는 51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512단계에서 상기 스누즈 기능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일정간격 및 일정횟수가 설정되거나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일정간격 및 일정횟수가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503 단계 - 상기 512단계를 통해 발생되는 알람에 대한 종료처리가 완료된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종료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에 설정된 반복주기를 체크하는 51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종료 처리된 알람은 “알람그룹 종료”로 알람이 종료되었을 경우, 상기 501단계에서 발생된 알람을 포함하여,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의 알람들을 포함한다.
상기 종료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에 설정된 반복주기를 체크한 결과, 상기 종료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다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다회성으로 반복주기가 설정된 알람에 대한 알람종료를 다음날 해제하는 515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알람의 반복주기가 매주 월요일 - 금요일 까지, “오전 5시”,“ 오전 5시 30분” 및 “오전 6시”에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월요일 오전 5시 에 알람이 발생되어 “알람그룹 종료”의 선택을 통해 알람그룹의 모든 알람(오전 5시, 오전 5시 30분 및 오전 6시)을 일괄종료처리 하더라도, 화요일이 도래하면 “오전 5시”, “오전 5시 30분” 및 “오전 6시”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알람종료를 해제한다.
또는 상기 종료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에 설정된 반복주기를 체크한 결과, 상기 종료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일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5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일회성으로 반복주기가 설정된 알람을 일회성 알람그룹으로 이동하는 516단계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일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은 알람이 발생된 후 비활성화 된 상태로 사용자가 삭제하지 않은 이상 그대로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일회성 반복주기로 설정된 알람이 발생되면, 일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으로 특정 알람그룹 즉 일회성 알람그룹으로 이동시켜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 삭제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한번에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Claims (25)

  1.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알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복수의 알람들의 종료를 설정하는 과정과,
    알람이 발생되는 동안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알람 소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알람그룹에 상기 알람 소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포함된 모든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알람들이 시간 순서대로 발생하는 동안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될 때, 발생 중인 알람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된 시점 이후에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종료하도록 자동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은,
    알람모드에서 알람그룹 설정이 선택되면, 해당 알람그룹에 새로운 알람을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 소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알람 소그룹에 새로운 알람을 추가하고, 알람발생에 대한 동작으로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여부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은,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표시하는 과정과,
    수동 알람그룹 설정이 선택되면, 수동 알람그룹 설정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수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해당 알람그룹 또는 해당 알람의 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은,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표시하는 과정과,
    자동 알람그룹 설정이 선택되면,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각각에 기록된 내용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내용에 포함된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해당 내용에 포함된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자동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상기 알람그룹으로 설정되지 않은 알람이 존재하면, 수동으로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새로운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이 발생되는 동안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발생된 알람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알람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알람 중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된 시점 이후에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은,
    상기 알람 소그룹이 존재하면,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설정을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제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알람그룹에서 상기 알람 소그룹을 제외한 모든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제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포함된 모든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이 발생되는 동안 알람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발생된 알람을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알람이 발생되는 동안 스누즈(snooze)가 선택되면, 상기 발생된 알람을 종료하고 일정간격마다 일정횟수만큼 알람을 발생시키는 스누즈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람이 종료되면, 상기 종료된 알람에 설정된 반복주기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종료된 알람 중 반복주기가 일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이 존재하면, 상기 반복주기가 일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을 일회성 알람그룹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종료된 알람 중 반복주기가 다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이 존재하면, 상기 반복주기가 다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에 대한 알람종료를 다음날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13. 알람동작 제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알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알람그룹의 종료와 대응되게 복수의 알람들의 종료를 설정하고, 알람 발생 동안에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알람 소그룹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알람그룹에 상기 알람 소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의 모든 알람들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알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람그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알람들이 시간 순서대로 발생하는 동안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발생될 때, 발생 중인 알람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후에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종료하도록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알람모드에서 알람그룹 설정이 선택될 때 해당 알람그룹에 새로운 알람을 추가하고, 상기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 소그룹이 선택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에 새로운 알람 추가 및 알람발생에 대한 동작으로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여부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표시하고, 수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해당 알람그룹 또는 해당 알람의 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알람모드에서 개별적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표시하고, 자동 알람그룹 설정모드에서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각각에 기록된 내용을 검색하고, 상기 내용에 포함된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을 검색하며, 상기 표시 중인 각 알람을 해당 내용에 포함된 문자와 대응되는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자동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중인 적어도 하나의 알람 중 상기 알람그룹으로 설정되지 않은 알람이 존재할 때, 수동으로 해당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새로운 알람그룹의 알람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발생 동안에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발생된 알람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알람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알람 중 상기 알람그룹종료가 발생된 시점 이후에 발생될 적어도 하나의 알람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소그룹이 존재할 때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설정을 체크하며,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제외가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알람그룹에서 상기 알람 소그룹을 제외한 모든 알람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21. 삭제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소그룹의 삭제제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이 속하는 알람그룹에 포함된 모든 알람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23.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발생 동안에 알람종료가 선택될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을 종료하고, 상기 알람이 발생되는 동안 스누즈(snooze)가 선택될 때 상기 발생된 알람을 종료하고 일정간격마다 일정횟수만큼 알람을 발생시키는 스누즈 기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2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료된 알람 중 반복주기가 일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을 일회성 알람그룹으로 이동하고, 상기 종료된 알람 중 반복주기가 다회성으로 설정된 알람에 대한 알람종료를 다음날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동작 제어장치.
  25. 제1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83066A 2012-07-30 2012-07-30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93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66A KR101933433B1 (ko) 2012-07-30 2012-07-30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EP13178266.6A EP2701016B1 (en) 2012-07-30 2013-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larm operation in a terminal
US13/954,567 US9405560B2 (en) 2012-07-30 2013-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larm operation in a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66A KR101933433B1 (ko) 2012-07-30 2012-07-30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41A KR20140016041A (ko) 2014-02-07
KR101933433B1 true KR101933433B1 (ko) 2018-12-31

Family

ID=4891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66A KR101933433B1 (ko) 2012-07-30 2012-07-30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05560B2 (ko)
EP (1) EP2701016B1 (ko)
KR (1) KR101933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9967B2 (en) 2015-07-27 2017-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ferring appointment alarms
CN105867778B (zh) * 2016-03-28 2020-01-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653617B2 (en) * 2016-10-05 2020-05-19 Paul B. Trost Compositions of additives to ginger-curcumin to facilitate growth of fibroblasts and collagen
KR102527896B1 (ko) * 2017-10-24 2023-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911465B1 (en) * 2018-03-29 2021-02-02 United State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ulti-stage intrusion detection system alarm ranking system
US11626010B2 (en) * 2019-02-28 2023-04-11 Nortek Security & Control Llc Dynamic partition of a security system
CN111092748B (zh) * 2019-11-14 2023-01-10 远景智能国际私人投资有限公司 物联网设备的告警规则设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03396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아이센스 교정 알람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9881A1 (en) * 2007-03-30 2008-10-02 Sanyo Electric Co., Ltd. Clock provided with function of raising alarm at more than one time and alarm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192A (ja) * 1996-06-04 1997-12-16 Casio Comput Co Ltd アラーム時計
KR20030041567A (ko) 2001-11-20 2003-05-27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의 스누즈 알람방법
KR100624824B1 (ko) * 2004-11-23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별 알람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100754653B1 (ko) * 2005-07-08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알람 설정 방법
US20070268784A1 (en) * 2006-05-17 2007-11-22 Hongtao Xu Alarm Clock Having Triple Weekly Alarms
KR101508698B1 (ko) * 2008-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알람 제어 장치 및 방법
US8554714B2 (en) * 2009-05-11 2013-10-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volume alarm management system
CN102081346A (zh) * 2009-11-27 2011-06-0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智能型闹钟管理系统及方法
CN102340593A (zh) * 2010-07-20 2012-02-01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终端闹钟延时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9881A1 (en) * 2007-03-30 2008-10-02 Sanyo Electric Co., Ltd. Clock provided with function of raising alarm at more than one time and alarm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1016B1 (en) 2020-12-02
KR20140016041A (ko) 2014-02-07
US9405560B2 (en) 2016-08-02
US20140032895A1 (en) 2014-01-30
EP2701016A3 (en) 2018-01-24
EP2701016A2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433B1 (ko) 단말기의 알람동작 제어방법 및 장치
US11853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 electronic device
AU20142009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ssenger service in a terminal
KR101718999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장치 및 방법
US113304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telephone number in a terminal
US201303397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switch
KR20140016050A (ko) 단말기의 데이터전송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6533110A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装置
JP2016533110A5 (ko)
US201500111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user permissions in terminal
JP2016537748A (ja) メッセージ送信方法、メッセージ送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16728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assistance in a wireless terminal employing an avatar
CN103220405A (zh) 用于在无线终端中终止音乐再现的设备和方法
KR101735836B1 (ko) 휴대단말기의 메뉴실행 장치 및 방법
KR102067644B1 (ko) 메시지 수신 음 출력 장치 및 방법
US201501163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in electronic device
US20140189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terminal
KR10184398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20017272A (ko) 휴대단말기의 띄어쓰기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120002703A (ko)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KR20120134649A (ko) 휴대단말기의 일정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