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03A -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703A
KR20120002703A KR1020100063346A KR20100063346A KR20120002703A KR 20120002703 A KR20120002703 A KR 20120002703A KR 1020100063346 A KR1020100063346 A KR 1020100063346A KR 20100063346 A KR20100063346 A KR 20100063346A KR 20120002703 A KR20120002703 A KR 20120002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earch
screen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평규
박영식
송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703A/ko
Publication of KR2012000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1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ing his telephone line, e.g. dial-up connection, Internet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12Details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 for telephone networks; Arrangements which combine a telephonic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computer, i.e.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PI] arrangements
    • H04M7/0021Details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 검색방법이, 검색 창에 제1 문자가 입력된 이후 구분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검색대상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자 다음에 제2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2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통화수단 이외에 문자메시지, DMB, 연락처, 캘린더, 사진/동영상 및 MP3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구현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메뉴구조가 복잡해지고, 휴대단말기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양도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일일이 검색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해아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때까지 검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 검색방법이, 검색 창에 제1 문자가 입력된 이후 구분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검색대상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자 다음에 제2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2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 검색장치가, 검색 창에 검색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 구분자 및 검색조건인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자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검색 창에 상기 제1 문자, 구분자 및 상기 제2 문자가 순서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며,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다양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편리하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분자 이전에 입력된 문자를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구분자 이후 입력되는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검새모드의 검색 창에 제1 문자가 입력된 이후 구분자 예를 들어, “*”또는“@”등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구분자 다음에 입력되는 제2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을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검색대상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연락 처, 캘린더, 사진앨범, 문자메시지, MP3 및 이메일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검색대상인 상기 제1 문자는 상기 검색 창의 검색대상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색대상인 제1 문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또는 최근 사용된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사용빈도가 높은 소정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문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일 때, 상기 검색 창의 상기 검색대상 위치에는 연락처를 나타내는“연” 또는 연락”또는 “연락처”가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대상으로 연락처와 문자 메시지를 입력할 경우 “연락, 문자”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문자가 최근 사용된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일 때, 상기 검색대상의 위치에 "R3"이 입력되면, 최근 사용된 3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대상이 된다.
또한 상기 제1 문자가 사용빈도가 높은 소정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일 때, 상기 검색대상의 위치에 “ F4"가 입력되면, 사용빈도가 가장 큰 4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검색대상이 된다.
또한 상기 제1 문자가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문자일 때, 상기 검색대상의 위치에 “all"또는 ”*“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검색대상이 된다.
상기 검색조건은 검색결과 데이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써, 알파벳, 숫자 및 글자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창의 상기 검색조건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선에 해당하는 검색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중 선택된 검색결과 데이터의 해당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검색결과 데이터의 해당정보 화면을 표시 중 이전화면 표시가 선택되면 이전 검색결과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이전화면 표시는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일정 위치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이터 검색과정 동안 화면마다 표시되는 이전 화면 선택 아이콘의 선택을 통해 이전 화면으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색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검색결과 데이터들 각각에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가 추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색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검색결과 데이터들 중 등록된 서비스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는 MSN, Face book, Twitter등과 같은 Social N/W service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가 추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가 등록된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 데이터 검색모드에서, 먼저 입력되는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구분자를 자동으로 표시하며, 상기 구분자 다음에 입력되는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색모드의 상기 검색 창에 상기 구분자가 입력된 이후 상기 제1 문자와 제2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상기 검색 창에 상기 검색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 상기 구분자, 및 상기 검색조건인 제2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색 창에 상기 구분자, 상기 검색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 및 상기 검색조건인 제2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색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검색결과 데이터에 해당 어플리케이션 또는/및 등록된 서비스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검색동작을 도 2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검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검색모드인 202단계에서 검색 창에 제1 문자가 입력된 이후, 구분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된 제1 문자를 검색대상으로 인식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구분자 다음에 제2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제2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고,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동 데이터 검색모드에서 상기 제1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된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구분자를 자동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구분자 다음에 상기 제2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되는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고,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상기 206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검색 창에 상기 구분자가 입력된 이후 상기 제1 문자와 제2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여,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상기 206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검색대상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들로써, 상기 제1 문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또는 최근 사용된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사용빈도가 높은 소정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대상인 제1 문자는 상기 검색 창의 상기 검색대상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구분자는 "*" 또는 “@”등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색조건이 제2 문자는 상기 검색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검색결과 데이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로써, 알파벳, 숫자 및 글자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창의 상기 검색조건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06단계의 검새결과 화면에 표시되는 검색결과 데이터들 각각에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가 추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에 등록된 서비스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206단계의 검색결과 화면에서 해당 검색결과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검색결과 데이터의 해당 상세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8단계의 해당 검색결과 데이터의 해당 상세정보를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이전화면 선택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전 검색결과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206단계의 검색결과 화면에서 표시되는 검색결과 데이터들 중 해당 검색결과 데이터가 추출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206단계의 검색결과 화면에서 표시되는 검색결과 데이터들 중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검색 창에 “연락, 문자 & 길동,123”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검색대상인 “연락처 어플리케이션”과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검색조건인 “길동”과 “123”을 포함하는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Claims (16)

  1. 데이터 검색방법에 있어서,
    검색 창에 제1 문자가 입력된 이후 구분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검색대상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자 다음에 제2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2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대상인 상기 제1 문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또는 최근 사용된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사용빈도가 높은 소정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인 상기 제2 문자는,
    검색결과 데이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이며, 상기 검색 창의 검색조건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화면에서 해당 검색결과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결과 데이터의 해당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검색결과 데이터의 해당정보 화면을 표시 중 이전화면 표시가 선택되면, 이전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들 각각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등록된 서비스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자동 데이터 검색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구분자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구분자 다음에 상기 제2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창에 상기 구분자가 입력된 이후 상기 제1 문자와 제2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방법.
  9. 데이터 검색장치에 있어서,
    검색 창에 검색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제1 문자, 구분자 및 검색조건인 적어도 하나의 제2 문자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검색 창에 상기 제1 문자, 구분자 및 상기 제2 문자가 순서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문자를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며, 상기 검색대상에서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대상인 상기 제1 문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또는 최근 사용된 소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사용빈도가 높은 소정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조건인 상기 제2 문자는,
    검색결과 데이터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이며, 상기 검색 창의 검색조건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결과 화면에서 선택된 검색결과 데이터에 대한 해당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검색결과 데이터의 해당정보 화면을 표시 중 이전화면 표시가 선택되면 이전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들 각각에 대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등록된 서비스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 데이터 검색모드에서, 입력되는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구분자를 자동으로 표시하며, 상기 구분자 다음에 입력되는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창에 상기 구분자가 입력된 이후 상기 제1 문자와 제2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문자를 상기 검색대상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검색조건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장치.

KR1020100063346A 2010-07-01 2010-07-01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KR20120002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46A KR20120002703A (ko) 2010-07-01 2010-07-01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46A KR20120002703A (ko) 2010-07-01 2010-07-01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03A true KR20120002703A (ko) 2012-01-09

Family

ID=4560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346A KR20120002703A (ko) 2010-07-01 2010-07-01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1354A (zh) * 2016-08-26 2017-01-11 商客通尚景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短信信息提取与分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1354A (zh) * 2016-08-26 2017-01-11 商客通尚景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短信信息提取与分析方法
CN106331354B (zh) * 2016-08-26 2019-06-04 商客通尚景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短信信息提取与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20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718999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403155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nchecked messages in a terminal
KR10079017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94055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larm operation in a terminal
US104890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user identity
KR20150055926A (ko)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감정상태 결정 방법
EP1770489A2 (en) Data control method using mouse functions in a wireless terminal
KR1007249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폰 북 데이터 저장 방법
AU20132246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se conversion
KR20120002703A (ko) 데이터 검색방법 및 장치
US8219150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apable of displaying candidate of scene based on frequency information
KR100630165B1 (ko)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120063092A (ko) 모스트 뷰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130080947A (ko) 휴대단말기의 리스트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35414B1 (ko)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2007000026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89526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KR20120065770A (ko) 휴대단말기의 메뉴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20017272A (ko) 휴대단말기의 띄어쓰기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50053887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235794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미확인 메시지 표시방법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05921B1 (ko)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사용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