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006B1 -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3006B1 KR101933006B1 KR1020170079356A KR20170079356A KR101933006B1 KR 101933006 B1 KR101933006 B1 KR 101933006B1 KR 1020170079356 A KR1020170079356 A KR 1020170079356A KR 20170079356 A KR20170079356 A KR 20170079356A KR 101933006 B1 KR101933006 B1 KR 101933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sed
- conduit
- branch
- pipe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관로로부터 악취, 독성물질 등의 유해가스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탈취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취시스템은 탈취장치의 강제배기에 의해 밀폐형 관로 내 음압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a) 상기 밀폐형 관로는 계획영역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와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로 구분되되, 상기 주관로 내에는 만수위 유체 흐름이 간헐적으로 발생되고, (b) 차폐율 조절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계획적 가지관로가 상기 주관로에 연통되어 제공되어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따라 차폐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차폐율이 조절될 수 있는 계획적 가지관로가 도입된 탈취시스템, 또는 차폐율 조절 기능을 갖는 흡기구가 구비된 탈취장치를 통해, 간헐적인 만수위 유체 흐름 등의 영향으로 주관로 내 압력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해당 밀폐형 관로에 예정된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음압 형성을 통해 유해가스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형 관로로부터 악취, 독성물질 등의 유해가스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탈취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건물 등에는 하폐수와 같은 오염유체의 이송 또는 저장처리에 이용되는 밀폐형 관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형 관로는 하나의 주관로로부터 대기 또는 실내 등의 생활 공간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가지관로로 인식될 수 있으며, 주관로 내 오염유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독성물질 등을 포함한 유해가스가 가지관로를 통해 유출되는 경우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거나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종래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아파트, 빌딩 등에 설치된 배수관의 경우, 밀폐형 관로의 가지관로에 해당하는 세대별 배수관의 단부에는 트랩과 같은 봉수수단이 구비되어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밀폐형 관로 내부에 불규칙한 압력 변화 수반시 예컨대 밀폐형 관로의 주관로에 해당하는 공통 배수관에서 만수위 유체 흐름이 간헐적으로 불규칙하게 발생하여 만수위 흐름의 전후단에서 정압 또는 부압의 압력 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트랩에서의 봉수가 파괴되어 트랩 내 봉수가 재충진되기 전까지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종래 악취방지를 위한 트랩에서의 이러한 봉수파괴를 최소화하고 주관로에서의 만수위 배수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통 배수관의 특정 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우회용 통기관이 설치되어 있지만, 자기사이펀 작용, 감압에 의한 흡인작용, 배압에 의한 토출작용 또는 봉수의 증발,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통기관에 의한 봉수파괴 방지 효과는 충분하지 않고 봉수파괴 동안에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은 여전히 상존한다. 나아가, 상기 트랩에서의 봉수 높이가 잘못 설계되어 밀폐형 관로의 운용과정에서의 압력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 시공을 완전히 다시 해야 하는 등의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제10-1152571호에서 밀혜형 관로의 정상적인 운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저비용 설계가 가능한 방법으로서 탈취장치에 부속된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밀폐형 관로 내부에 음압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 바 있고, 나아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80101호에서는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할 계획영역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와 복수의 가지관로로 구분되는 밀폐형 관로 모델을 적용 대상으로 하여 유해가스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환기량 산정식에 관한 기준에 기초하여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환기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출원인은 주관로 내 만수위 유체 흐름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밀폐형 관로에서도 상기 특허들에 따라 밀폐형 관로 내부에 능동적으로 음압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봉수수단이 기능 불능인 상태에서도 유해가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현장 적용을 시도하였으나, 주관로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간헐적인 만수위 유체 흐름 및 이에 따른 압력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환기량으로 단순 배기하는 경우 주관로 내 만수위 흐름 후방으로 기준치를 초과하는 과잉 음압을 발생시켜 정상적인 만수위 유체 흐름을 방해하거나 가지관로 단부측에서의 봉수가 파괴됨으로써 오히려 밀폐형 관로 본연의 기능이 훼손되는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필요성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주관로 내 만수위 액생유체 흐름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밀폐형 관로 본연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관로 내 음압 형성에 의해 유해가스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탈취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상술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음압 형성에 의한 탈취시스템 및 장치를 연구 및 개발하는 과정에서, 주관로 내 만수위 유체 흐름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밀폐형 관로에서 주관로 내 유체흐름을 고려하여 정상적인 만수위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거나 가지관로 단부에서의 봉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탈취장치의 환기량을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인지하고,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차폐율이 조절될 수 있는 계획적 가지관로를 상기 밀폐형 관로에 도입하는 방안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상기한 해결과제에 대한 인식 및 지견에 기초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래와 같다.
(1) 탈취장치의 강제배기에 의해 밀폐형 관로 내 음압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하는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밀폐형 관로는 계획영역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와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로 구분되되, 상기 주관로 내에는 만수위 유체 흐름이 간헐적으로 발생되고, (b) 차폐율 조절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계획적 가지관로가 상기 주관로에 연통되어 제공되어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따라 차폐율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2) 상기 차폐율 조절부는 탈취장치의 동작시 정해진 차폐율로 개폐되는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변동개구율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3) 상기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변동개구율 조절부는 동일한 계획적 가지관로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4) 상기 계획적 가지관로는 상기 탈취장치와 상기 주관로의 연결지점 전방 또는 후방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5) 상기 탈취장치는 강제배기 기능과 함께, 탈취, 정화, 냉각 또는 급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6) 상기 가지관로 단부에는 관로 내 기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7) 상기 탈취장치에 의한 최소 환기량(Qspvm)은, (i) 강제배기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밀폐형 관로의 외부로 발생하는 상기 유기가스의 양압유속의 역속도값을 표준유속(Vspvm)으로 결정하고, (ii) 상기 표준유속(Vspvm)을 상기 밀폐형 관로에 구비된 하나의 주관로 및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에서의 유속으로 일괄적으로 할당한 후, 아래의 환기량 산정식(1)에 따라 상기 주관로 경계단에서의 유량(QMO);과 각 합류지점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QSi)을 보정한 값;의 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i: 주관로와 가지관로의 합류지점, QSPVM : 탈취장치 총 환기량 (m3/min), QMO : 주관로 경계단에서의 유량 (m3/min), Q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 (m3/min), PMi : 합류지점 i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VSPVM : 표준유속 (QMO, QSi, Qsplan 계산시, 주관로, 가지관로 및 계획적 가지관로에 일괄 할당되는 유속), Q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계획적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m3/min), PM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8) 계획영역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와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을 갖는 밀폐형 관로 내 음압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탈취장치로서, 상기 탈취장치의 흡기구에는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따라 차폐율이 조절되는 차폐율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9) 차폐율 조절부는 탈취장치의 동작시 정해진 차폐율로 동작하는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변동개구율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10) 상기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변동개구율 조절부는 동일한 개구부에서 양방향 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11) 상기 흡기구는 일단은 주관로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차폐율 조절부가 장착되는 T형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12) 상기 탈취장치는 강제배기 기능과 함께, 탈취, 정화, 냉각 또는 급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의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차폐율이 조절될 수 있는 계획적 가지관로가 도입된 탈취시스템, 또는 차폐율 조절 기능을 갖는 흡기구가 구비된 탈취장치를 통해, 간헐적인 만수위 유체 흐름 등의 영향으로 주관로 내 압력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해당 밀폐형 관로에 예정된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예컨대 주관로 내 유체의 정상적인 흐름이 방해되거나 가지관로 단부에서의 봉수가 파괴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음압 형성을 통해 유해가스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시스템의 개념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율 조절부를 구비한 흡기구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조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율 조절부의 동작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기량 산정을 위한 밀폐형 관로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도면부호에 대한 색인표.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율 조절부를 구비한 흡기구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조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율 조절부의 동작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기량 산정을 위한 밀폐형 관로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도면부호에 대한 색인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를 포함한 탈취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탈취장치 또는 탈취시스템에서 환기량 산정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A) 탈취장치 및 탈취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시스템(1)의 개념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의 탈취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도 2의 탈취장치(20)의 강제배기에 의해 밀폐형 관로(10) 내 음압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경우, 밀폐형 관로(10)에 대한 모델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시스템(1)이 적용되는 범위, 탈취장치(20)에 의한 환기량 제어 대상 및 범위와 관련된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밀폐형 관로(10)는 유해가스 방출을 억제할 계획영역(PA)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110)와 복수의 가지관로(120)로 구분된다. 상기 계획영역은 밀폐형 관로(10)의 관로 배치도에 기초하여 설계자가 유해가스 방출을 억제할 영역으로 임의 지정하는 영역으로서, 밀폐형 관로(10)의 주관로(110) 선택시 고려되는 요소인 것과 동시에 그 경계는 후술하는 환기량 산정식 적용 과정에서 주관로(110) 및 가지관로(120)에서의 압력손실 계산시 거리변수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 상기 주관로(110)는 상호 교차하는 각 관로의 단면적과 같은 물리적인 형태에 상관없이 계획영역 내에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는 연속된 관로이며, 상기 가지관로(120)는 연장 내지 합류 방향에 상관없이 주관로(110)에 합류되는 개구부 일체일 수 있다. 이러한 밀폐형 관로(10)는 주관로(110) 또는 가지관로(120)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별도 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저류조와 같은 부속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밀폐형 관로(10)에 대한 최소 환기량 산정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밀폐형 관로(10) 모델 중 특히 주관로(110) 내 자연발생의 급격한 압력변화가 예정된 밀폐형 관로(10) 모델을 그 적용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격한 압력변화는 간헐적이지만 밀폐형 관로(10)의 구조 또는 용도상 내부 또는 외부 요인에 의해 반드시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예정한다. 또한, 이러한 밀폐형 관로(10)는 본연의 기능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밀폐형 관로(10)는 급격한 압력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양단이 주관로(110)에 연통되는 통기관(140)과 같은 압력조절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비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대기 또는 실내와 밀폐형 관로(10) 사이에서 기체의 이동 차단할 수 있는 역류차단수단이 가지관로(120) 단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된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는 종관로의 일종인 건물 등의 배수관이 밀폐형 관로(10)로 예시되었으며, 이 경우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공통 배수관이 주관로(110)에 해당되고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공통 배수관에 연통되는 복수의 세대별 배수관이 가지관로(12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주관로(110)의 일단은 계획영역 밖의 지하 하수관으로 연통되며, 타단은 건물 옥상 밖으로 노출되어 강제 배기기능을 갖는 탈취장치(20)에 연결된다. 이 경우 급격한 압력변화는, 복수의 세대별 배수관을 통해 집수된 생활 하수 또는 오수와 같은 유체가 공통 배수관으로 집수되어 중력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주관로(110)의 관경을 거의 가득채운 형태의 만수위 유체 흐름이 유도되는 경우, 만수위 유체 흐름의 전방 및 후방에서는 양압 및 음압의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되는 형태로 일어난다. 이러한 급격한 압력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기변 또는 통기관(140)이 주관로(110)인 공통 배수관의 특정 지점에 상호 연결되어 제공된다. 또한, 가지관로(120)인 세대별 배수관의 단부에는 밀폐형 관로(10) 내부로부터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트랩이 구비된다. 트랩(150)은 세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로 수시로 재충진되며 봉수을 유지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탈취장치(20)는 본체(210), 흡기구(230) 및 배기구(220)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탈취장치(20)의 본체(210)에는 밀폐형 관로(10) 내 음압 형성을 위해 배기 기능을 최소한으로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밀폐형 관로(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탈취, 분해 등의 방식으로 정화할 수 있는 기능과, 처리된 내부 공기를 냉각하거나 밀폐형 관로(10) 내부로 급기할 수 있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도면 미도시). 냉각 및 급기 기능을 통해 밀폐형 관로(10) 내부의 온도를 외부보다 낮추게 되면, 밀폐형 관로(10) 내외 온도차에 의한 자연발생 양압유속이 감소되어 유해가스 방출을 억제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흡기구(230)는 T형 분기관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그 일단은 밀폐형 관로(10)에 대한 강제배기를 위해 주관로(110)에 연결되며, T형 분기관의 반대쪽 타단은 밀폐형 관로 관점에서 계획적 가지관로(130)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탈취장치(20)의 가동 중 밀폐형 관로(10) 내 용이한 음압 형성을 유도하고 이와 동시에 밀폐형 관로(10) 내부의 급격한 압력변화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급격한 압력변화를 완화할 수 있는 차폐율 조절부(30)를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율 조절부(30)를 구비한 흡기구(230)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 4는 도 3의 단면 구조도를,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율 조절부(30)의 동작도를 각각 나타낸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형 관로(10) 내 급격한 압력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환기량으로 탈취장치(20)를 이용해 단순 강제 배기하게 되면, 주관로(110) 내 만수위 유체 흐름의 후방으로 탈취장치(20)에 의한 음압이 부가됨으로써 기준치를 초과하는 과잉 음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만수위 유체의 정상적인 하방 흐름이 방해되거나 트랩 내 봉수가 파괴되는 등 밀폐형 관로(10) 자체에 의도된 본연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는데, 상기 차폐율 조절부(30)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차폐율 조절부(30)는 탈취장치(20)의 흡기구(23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밀폐형 관로(10) 모델 측면에서는 계획적 가지관로(13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할 때, 탈취장치(20)의 흡기구(230)는 건물 등의 옥상으로 노출된 주관로(110)에 연통되도록 장착되며, 차폐율 조절부(30)는 이러한 탈취장치(20)의 T형 분기관 형태의 흡기구(230)의 하부측 일단에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T형 분기관 형태의 흡기구(230)의 상부측 타단을 다양한 관경을 갖는 주관로(110)와 용이하게 연결하게 하기 위해 해당 관경에 대응하는 피팅부를 구비한 레듀서(40)가 사용될 수 있고, T형 분기관 형태의 중간에는 탈취장치(20)의 본체(210)가 연결된다. 이러한 T형 분기관 형태의 흡기구(230)의 연결 상태에서 밀폐형 관로(10) 모델 측면에서 해석하면, T형 분기관 형태의 흡기구(230) 전체가 주관로(110) 끝단에서 이에 연통되되록 인위적으로 설치된 일종의 계획적 가지관로(130)로서 밀폐형 관로(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차폐율 조절부(30)는 이러한 계획적 가지관로(130)에 설치되는 형태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차폐율 조절부(30)는 밀폐형 관로(10) 내부에서의 용이한 음압 형성 및 급격한 압력변화의 완충이라는 서로 다른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차폐율 조절부(30)는 탈취장치(20) 동작시 설정된 차폐율로 동작하는 고정개구율 조절부(310)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차폐율 조절부(30)를 고정개구율 조절부(310)만으로 구성하고 탈취장치(20)에 의한 포집 풍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폐율을 과도하게 크게 하는 경우 밀폐형 관로(10) 내부에서의 급격한 압력변화에 따라 계획적 가지관로(13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속 및 압력 손실이 커져 급격한 압력변화를 완충하는 기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차폐율 조절부(30)의 이러한 역할을 고려하여, 상기 차폐율 조절부(30)는 탈취장치(20) 동작시 설정된 차폐율로 동작하는 고정개구율 조절부(310)에 더하여 밀폐형 관로(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동작하는 변동개구율 조절부(32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차폐율 조절부(30)를 고정개구율 조절부(310)와 변동개구율 조절부(320)로 분리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며,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양방향 댐퍼(30)로 구성하고, 양방향 댐퍼(30)에 구비된 제1 댐퍼(310) 및 제2 댐퍼(320) 각각이 상기 고정개구율 조절부(310) 및 변동개구율 조절부(3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댐퍼(310) 및 제2 댐퍼(320)는 회전축(33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며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유효기류 단면적을 반분하여, 탈취장치(20)의 동작 상태 및/또는 밀폐형 관로(10) 내부에서의 급격한 압력변화에 따라 반분된 각각의 유효기류 단면적에 대한 차폐율 내지 개구율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고정개구율 조절부(310)에 대응하는 제1 댐퍼(310)는 탈취장치(20)의 동작 중단 중에는 하방향으로 위치되어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반분된 유효기류 단면적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에 따라 밀폐형 관로(10) 내부에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외부공기가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를 통해 밀폐형 관로(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압력변화에 따른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도 5의 (a)). 반대로 상기 제1 댐퍼(310)는 탈취장치(20)의 동작 중에는 탈취장치(2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제1 스토퍼(340)에 의해 저지될 때까지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동 위치되어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반분된 유효기류 단면적을 일부 차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를 통한 외부공기 유입이 감소됨으로써 밀폐형 관로(10) 내부에서 음압이 보다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도 5의 (b) 및 (c)). 이 경우, 탈취장치(20)의 동작 중에는 밀폐형 관로(10) 내부에 급격한 압력변화 발생 유무와 상관없이 제1 댐퍼(310)가 제1 스토퍼(340)에 의해 밀착 지지된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며 따라서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반분된 개구측에 대한 차폐율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변동개구율 조절부(320)에 대응하는 제2 댐퍼(320)는 탈취장치(20)의 동작 중단 중에는 제2 스토퍼(35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지지 위치되어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반분된 유효기류 단면적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 경우, 상술한 제1 댐퍼(310)에 의해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또 다른 반분된 유효기류 단면적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밀폐형 관로(10) 내부에 급격한 압력변화에 따른 문제는 최소화될 수 있다(도 5의 (a)). 반대로 상기 제2 댐퍼(320)는 탈취장치(20)의 동작 중 정상상태, 즉 밀폐형 관로(10) 내부에 급격한 압력변화가 없는 상태에서는 여전히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반분된 유효기류 단면적을 완전히 폐쇄한 형태로 유지하지만(도 5의 (b), 밀폐형 관로(10) 내부에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하여 소정의 기준값에 도달하면 순간적인 과잉 음압에 의해 회전축(33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해당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반분된 유효기류 단면적을 일부 또는 전부 개방하게 된다(도 5의 (c)). 이 경우, 제2 댐퍼(320)의 최대 회동 각도는 제3 스토퍼(360)에 의해 억제되어 제2 댐퍼(320)가 의도하지 않게 제1 댐퍼(310) 영역으로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2 댐퍼(320)가 회동할 설계 기준값은 급격한 압력변화에 따른 과잉 음압의 정도, 가지관로(120) 단부에서의 봉수 파괴을 유발하는 임계치 등을 고려하여 제2 댐퍼(320)의 중량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설치환경에서 이러한 설계 기준값이 증가되는 경우 제2 댐퍼(320)에 탈부착 가능한 중량판(322)이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형 관로(10) 내부에 형성된 과잉 음압은 유입된 외부공기에 의해 보상되고, 소정 시간 경과에 따라 정상상태로 회복되면 제2 댐퍼(320)도 초기 상태인 제2 스토퍼(350) 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2 댐퍼(320)는 밀폐형 관로(10) 내부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급격한 압력변화에 따라 제2 스토퍼(350) 및 제3 스포터 사이에서 회동하면서 이러한 급격한 압력변화로 인해 가지관로(120) 단부에 유지되어야 할 봉수가 의도하지 않게 파괴되거나 주관로(110) 내 만수위 유체 흐름이 방해됨으로써 밀폐형 관로(10) 본연의 기능이 저해되는 것을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B) 환기량 산정
본 발명에 따른 탈취시스템(1) 또는 탈취장치(20)에서의 환기량은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8010호에 제시된 방법에 의하여 산정될 수 있고, 도 6는 이러한 환기량 산정을 위한 밀폐형 관로(10)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7은 도 6의 도면부호에 대한 색인표를 나타낸다.
상기 특허출원에 제시된 환기량 산정 방법은, (i) 계획영역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110)와 복수의 가지관로(120)로 구분되고, 별도로 제공되는 탈취장치(20)의 강제배기에 의해 내부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는 밀폐형 관로(10) 모델에 기초하고, (ii) 상기 밀폐형 관로(10)에 대한 강제배기가 없는 상태에서 유해가스는 온도차, 농도차, 관로의 낙차, 굴뚝효과 등에 따른 자연적인 양압유속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에 주목하여, 이러한 자연적인 양압유속의 역속도값을 비교하여 최고값을 표준유속(Vspvm)으로 결정하고, (iii) 상기 표준유속(Vspvm)을 상기 밀폐형 관로(10)에 구비된 하나의 주관로(110) 및 복수의 가지관로(120)에서의 유속으로 일괄적으로 할당한 후, 기본적으로 주관로(110)에 대한 유량과 복수의 가지관로(120)에 대한 유량의 합을 상기 탈취장치(20)의 강제배기에 의한 환기량으로 결정하되, 특히 각 합류지점에서 오직 가지관로(120)에 대한 유량만을 가지관로(120)에 대한 주관로(110)의 압력손실 비에 기초하여 일괄적으로 보정하여 결정함으로써, 상기 탈취장치(20) 설치 지점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주관로(110) 지점에서 유효기류단면적을 통해 유입되는 유속이 0 m/sec를 초과하는 최소값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즉, 탈취장치(20)에 대한 최소 환기량(Qspvm)은 아래의 식 (1)에 따라 주관로(110) 경계단에서의 유량(QMO);과 각 합류지점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120)에 대한 유량(QSi)을 보정한 값;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i: 주관로와 가지관로의 합류지점, QSPVM : 탈취장치의 총 환기량 (m3/min), QMO : 주관로 경계단에서의 유량 (m3/min), Q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 (m3/min), PMi : 합류지점 i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AMO : 주관로 경계단의 유효기류단면적 (m2), ASi : 가지관로 경계단의 유효기류단면적 (m2), VSPVM : 표준유속 (QMO 및 QSi 계산시, 주관로 및 가지관로에 일괄 할당되는 유속)
이 경우, 상기 주관로(110)이 경계단에서의 유량(QMO)과 각 합류지점에서 가지관로(120)에 대한 유량(QSi)은 탈취장치(10)를 이용한 강제배기시 발생되는 유입 유량이며, 유효기류단면적(AMO, ASi)에 임의 할당된 표준유속(VSPVM)의 곱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유효기류단면적(AMO, ASi)은 통상적으로 주관로(110) 및 가지관로(120) 각각의 단면적을 적용하며, 특히 트랩(150)이 구비된 가지관로(120)의 경우 봉수파괴와 상관없이 그 유효기류단면적(Asi) 또한 가지관로(120)의 단면적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합류지점 각각에서 주관로 및 가지관로에서의 압력손실(PMi, PSi)은 계획영역(PA)의 경계로부터 각 합류지점까지의 거리(LMi, LSi)에 의존하는 고유값이며, 계획영역(PA)의 경계는 주관로(110) 및 가지관로(120)에서의 압력손실(PMi, PSi) 계산시 거리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준유속(Vspvm)은 기본적으로 상기 밀폐형 관로(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온도차에 따른 양압유속의 역속도값으로 결정되되, 계획영역 관로에서 농도차, 낙차 또는 굴뚝효과 각각에 따른 해당 양압유속의 역속도값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이 중 가장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고, 이렇게 미리 결정된 표준유속(VSPVM)은 강제배기에 따라 상기 주관로(110) 경계단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QMO) 및 각각의 합류지점에서 가지관로(120)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QSi) 계산시, 주관로(110) 및 가지관로(120)의 유속으로 일괄적으로 임의 할당된다. 이러한 환기량 산정식 (1)은, 종래 일반적인 환기 이론과는 달리, 각 합류지점에서 주관로(110)의 압력손실(PMi)과 가지관로(120)의 압력손실(PSi) 간 크기차에 관계없이 가지관로(120)에 대한 유량만을 보정하여 탈취장치(20)에 의한 (QSPVM)을 결정함으로써 주관로(110)와 가지관로(120)의 합류지점(i) 개수에 상관없이 상기 환기량 산정식 (1)로 일반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환기량 산정식 (1)에 따른 최소 환기량(Qspvm)은 여유 환기량을 가산하여 아래의 환기량 산정식 (2)을 보정하여 결정하되, 상기 여유 환기량은 상기 밀폐형 관로(10)의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 여유 환기량(α) 또는 임의로 지정되는 여유 환기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α: 밀폐형 관로 구조에 따른 여유 환기량 (m3/min), : 임의지정 여유 환기량 (m3/min)
이 경우, 여유 환기량(α)은 예컨대 큰 부피의 저류조와 같이 밀폐형 관로(10)의 부속 구조물이 주관로(110) 경로상에 제공됨으로써 밀폐형 관로(1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더 큰 환기량을 요하는 경우에 고려되는 요소로서 밀폐형 관로(10) 또는 그 부속물의 구조에 따라 고유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여유 환기량 ()는 밀폐형 관로(10)(10)를 포함한 시설의 안전 운전 등을 위해 설계자 또는 사용자 등이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값이다.
상기 환기량 산정식 (1) 및 (2)는 본 발명의 적용대상인 계획적 가지관로(130)를 구비한 밀폐형 관로(10) 모델을 대상으로 아래의 환기량 산정식 (3) 및 환기량 산정식 (4) 각각으로 보정될 수 있다.
Q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계획적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m3/min), PM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Asplan: 계획적 가지관로의 유효기류단면적 (m2)
한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차폐율 조절부(30)를 양방향 댐퍼 즉, 고정개구율 조절부(310)와 변동개구율 조절부(3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계획적 가지관로(130)의 유효기류단면적(Asplan)은 고정개구율 조절부(310)는 설정된 차폐율로 일부 차폐된 상태로, 변동개구율 조절부(320)는 완전히 차폐된 상태로 각각 예정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계획적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QSplan) 계산시 표준유속(Vspvm)은 앞서 주관로 및 가지관로에 일괄 할당되는 유속과 동일하고, 상기 합류지점 plan 주관로 및 계획적 가지관로에서의 압력손실(PMplan, PSplan)은 계획영역(PA)의 경계로부터 합류지점 plan까지의 거리(LMplan, LSplan)에 의존하는 고유값이다.
한편, 밀폐형 관로(10) 내 급격한 압력변화시 동작하는 변동개구율 조절부(320)의 무게는 아래의 식 (5) 에 따라 관내 압력에 따라 설계 및 결정될 수 있다.
G : 변동개구율 조절부 무게 (g), γ: 물의 비중량 (g/cm3), A: 변동개구율 조절부 면적 (cm2), P : 이상압(異狀壓)발생 설계압력 (cmAq)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관로(110) 내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차폐율이 조절될 수 있는 계획적 가지관로(130)가 도입된 탈취시스템(1), 또는 차폐율 조절 기능을 갖는 흡기구(230)가 구비된 탈취장치(20)를 통해, 간헐적인 만수위 유체 흐름 등의 영향으로 주관로(110) 내 압력변화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해당 밀폐형 관로(10)에 예정된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예컨대 주관로(110) 내 유체의 정상적인 흐름이 방해되거나 가지관로(120) 단부에서의 봉수가 파괴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음압 형성을 통해 유해가스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아래와 같은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실시예에서 밀폐형 관로(10)로 종관로의 일종인 건물 등의 배수관을 단순화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관로(10)는 그 용도적인 측면에서 유해가스 또는 이러한 유해가스를 유발하는 액상의 유체를 계획적으로 수집, 이송 또는 저류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으며, 그 형태적인 측면에서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파트, 빌딩, 공장 등과 같은 건물 등의 안팎으로 설치되는 종관로와 지하에 설치되는 하수관로, 우수관로, 폐수관로 등과 같은 횡관로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주관로(110) 내에서 유체의 간헐적인 만수위 흐름 등의 영향으로 주관로(110) 내 압력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예시된 것 외에 다양한 용도 및 형태의 밀폐형 관로(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계펌프장에서는 횡관로의 일종인 하수 압송식 밀폐형 관로(10)가 사용되며, 압송시 발생할 수 있는 만수위 흐름에 의한 주관로(110) 내 압력 변화를 완충하여 대기압과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해 공기변이 설치된다. 이 경우, 만수의 전방에서의 양압에 의해 공기변을 통해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탈취장치(20)를 이용하여 강제배기 및 정화를 수행할 수 있으나, 탈취장치(20)에 의한 단순 배기시 만수위 후방에서 음압을 가중시킴으로써 주관로(110) 내 정상적인 유체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공기변 단부측에 차폐율 조절부(30)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시스템(1) 및 탈취장치(20)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및 관련 도면에서는 해석 및 설명의 편의상 상기 가지관로(120)에 합류되는 부속 가지관로가 없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가지관로(120)에 합류되는 2차 가지관로(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및 관련 도면에서는 해석 및 설명의 편의상 탈취시스템(1)에 하나의 탈취장치(20)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계획영역(PA)을 광역으로 해야 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탈취장치(20)를 복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설계의 편의 및 관련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실시예에서는 차폐율 조절부(30)가 구비된 계획적 가지관로(130)를 주관로(110)의 연결지점 후방에 형성된 예로 하였으나, 그 전방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 따른 탈취장치(20)에서 흡기구(230)의 형상을 T형 분기관으로 하고 차폐율 조절부(30)가 T형 분기관 중 주관로(110)에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예로 하였으나, 다른 형상 및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불구하고, 고정개구율 조절부(310)는 탈취장치(20)의 동작여부와 상관없이 밀폐형 관로(10)의 특성에 따라 일반 댐퍼류, 백드롭 댐퍼 또는 마개 등을 이용해 계획적 가지관로(130)를 소정의 차례율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밀폐형 관로(10) 내 급격한 압력변화로 음압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급격한 압력변화가 양압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탈취장치(20) 동작 중 밀폐형 관로(10) 내 급격한 양압이 발생하는 경우 실시예의 고정개구율 조절부(310)에 해당하는 제1 댐퍼(310)에 의한 차폐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차폐율 조절부(30)의 판형의 댐퍼를 예시하였으나, 그 전부 또는 일부를 버터플라이 밸브 또는 백드롭 댐퍼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차폐율 조절부(30)를 구성하는 고정개구율 조절부(310)와 변동개구율 조절부(320)가 양방향 댐퍼(30)를 이용해 동일한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동일 개구 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서로 다른 계획적 가지관로(130) 또는 흡기구(230)의 서로 다른 개구 측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량 산정식에 적용되는 여유 환기량(α: 밀폐형 관로(10) 구조에 따른 여유 환기량 및 : 임의지정 여유 환기량 (m3/min)과, 표준유속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적용되는 밀폐형 관로(10)의 종류에 따라 그 종류, 중요도 및 값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 탈취시스템
10: 밀폐형 관로
110: 주관로 120: 가지관로
130: 계획적 가지관로 140: 통기관
150: 트랩
20: 탈취장치
210: 본체 220: 배기구
230: 흡기구
30: 양방향 댐퍼 (차폐율 조절부)
310: 제1 댐퍼 (고정개구율 조절부) 320: 제2 댐퍼 (변동개구율 조절부)
322: 중량판 330: 회전축
340: 제1 스토퍼 350: 제2 스토퍼
360: 제3 스토퍼
40: 레듀서
PA: 계획영역
10: 밀폐형 관로
110: 주관로 120: 가지관로
130: 계획적 가지관로 140: 통기관
150: 트랩
20: 탈취장치
210: 본체 220: 배기구
230: 흡기구
30: 양방향 댐퍼 (차폐율 조절부)
310: 제1 댐퍼 (고정개구율 조절부) 320: 제2 댐퍼 (변동개구율 조절부)
322: 중량판 330: 회전축
340: 제1 스토퍼 350: 제2 스토퍼
360: 제3 스토퍼
40: 레듀서
PA: 계획영역
Claims (12)
- 탈취장치의 강제배기에 의해 밀폐형 관로 내 음압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하는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밀폐형 관로는 계획영역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와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로 구분되되, 상기 주관로 내에는 만수위 유체 흐름이 간헐적으로 발생되고, (b) 차폐율 조절부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계획적 가지관로가 상기 주관로에 연통되어 제공되어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따라 차폐율이 조절되고,
상기 탈취장치에 의한 최소 환기량(Qspvm)은, (i) 강제배기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밀폐형 관로의 외부로 발생하는 유기가스의 양압유속의 역속도값을 표준유속(Vspvm)으로 결정하고, (ii) 상기 표준유속(Vspvm)을 상기 밀폐형 관로에 구비된 하나의 주관로 및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에서의 유속으로 일괄적으로 할당한 후, 아래의 환기량 산정식(1)에 따라 상기 주관로 경계단에서의 유량(QMO);과 각 합류지점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QSi)을 보정한 값;의 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i: 주관로와 가지관로의 합류지점, QSPVM : 탈취장치 총 환기량 (m3/min), QMO : 주관로 경계단에서의 유량 (m3/min), Q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 (m3/min), PMi : 합류지점 i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VSPVM : 표준유속 (QMO, QSi, Qsplan 계산시, 주관로, 가지관로 및 계획적 가지관로에 일괄 할당되는 유속), Q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계획적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m3/min), PM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율 조절부는 탈취장치의 동작시 정해진 차폐율로 개폐되는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변동개구율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변동개구율 조절부는 동일한 계획적 가지관로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적 가지관로는 상기 탈취장치와 상기 주관로의 연결지점 전방 또는 후방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는 강제배기 기능과 함께, 탈취, 정화, 냉각 또는 급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관로 단부에는 관로 내 기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 삭제
- 계획영역 내에서 하나의 주관로와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을 갖는 밀폐형 관로 내 음압을 형성하여 유해가스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탈취장치로서,
상기 탈취장치는 상기 주관로에 연통되어 제공되는 흡기구를 구비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따라 차폐율이 조절되는 차폐율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취장치에 의한 최소 환기량(Qspvm)은, (i) 강제배기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밀폐형 관로의 외부로 발생하는 유기가스의 양압유속의 역속도값을 표준유속(Vspvm)으로 결정하고, (ii) 상기 표준유속(Vspvm)을 상기 밀폐형 관로에 구비된 하나의 주관로 및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에서의 유속으로 일괄적으로 할당한 후, 아래의 환기량 산정식(1)에 따라 상기 주관로 경계단에서의 유량(QMO);과 각 합류지점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QSi)을 보정한 값;의 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i: 주관로와 가지관로의 합류지점, QSPVM : 탈취장치 총 환기량 (m3/min), QMO : 주관로 경계단에서의 유량 (m3/min), Q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에 대한 유량 (m3/min), PMi : 합류지점 i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i : 합류지점 i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VSPVM : 표준유속 (QMO, QSi, Qsplan 계산시, 주관로, 가지관로 및 흡기구에 일괄 할당되는 유속), Q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흡기구에 대한 유량(m3/min), PM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주관로 압력손실 (mmAq), PSplan : 합류지점 plan에서 가지관로 압력손실 (mmAq) - 제8항에 있어서, 차폐율 조절부는 탈취장치의 동작시 정해진 차폐율로 동작하는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상기 주관로 내 압력변화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변동개구율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개구율 조절부와 변동개구율 조절부는 동일한 개구부에서 양방향 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일단은 주관로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차폐율 조절부가 장착되는 T형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는 강제배기 기능과 함께, 탈취, 정화, 냉각 또는 급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관로용 탈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356A KR101933006B1 (ko) | 2017-06-22 | 2017-06-22 |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356A KR101933006B1 (ko) | 2017-06-22 | 2017-06-22 |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3006B1 true KR101933006B1 (ko) | 2019-03-15 |
Family
ID=6576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9356A KR101933006B1 (ko) | 2017-06-22 | 2017-06-22 |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300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8078A (ja) * | 1995-06-14 | 1996-12-24 | Sumitomo Forestry Co Ltd | 室内換気装置 |
US20110021134A1 (en) * | 2009-07-23 | 2011-01-27 | Arthur Louis Zwern | Multi-function ventilation and electrical system |
KR20120012903A (ko) * | 2010-08-03 | 2012-02-13 | 주식회사 동호 | 탈취 기능을 갖는 환기 수단이 구비된 하수관거 구조물 |
KR101152571B1 (ko) | 2010-10-07 | 2012-06-01 | 센텍(주) |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
KR101153810B1 (ko) * | 2011-10-06 | 2012-06-13 | 이부규 | 음압을 이용한 옥탑 집중식 통합 배기 시스템 |
-
2017
- 2017-06-22 KR KR1020170079356A patent/KR101933006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8078A (ja) * | 1995-06-14 | 1996-12-24 | Sumitomo Forestry Co Ltd | 室内換気装置 |
US20110021134A1 (en) * | 2009-07-23 | 2011-01-27 | Arthur Louis Zwern | Multi-function ventilation and electrical system |
KR20120012903A (ko) * | 2010-08-03 | 2012-02-13 | 주식회사 동호 | 탈취 기능을 갖는 환기 수단이 구비된 하수관거 구조물 |
KR101152571B1 (ko) | 2010-10-07 | 2012-06-01 | 센텍(주) |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
KR101153810B1 (ko) * | 2011-10-06 | 2012-06-13 | 이부규 | 음압을 이용한 옥탑 집중식 통합 배기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8217536B2 (en) |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 |
KR101933006B1 (ko) |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 |
TWI751117B (zh) | 閥裝置及管道系統 | |
US4918935A (en) | Fluidic flow control | |
EP0948683B1 (en) | A draining gutter | |
KR101751940B1 (ko) | 밀폐형 관로에 대한 환기량 제어방법 및 장치 | |
US7875172B2 (en) | Back-water trap for a floor drain system | |
KR20150117384A (ko) | 낙차/단차를 갖는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을 위한 하수도 설비 | |
US4275766A (en) | Fluid control system | |
JP4044433B2 (ja) | 排水構造 | |
JP4306107B2 (ja) | 通気装置 | |
KR101930482B1 (ko) | 환기 시스템 | |
KR102387766B1 (ko) | 하수관거용 악취방지장치 | |
EP0958000B1 (en) | A device at a building for preventing propagation of fire and/or fire gases | |
JP7414450B2 (ja) | 切換弁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管敷設方法 | |
KR101178358B1 (ko) | 관거 내에 횡단배관이 없는 분류식 하수관거 | |
KR20120006820A (ko) | 파이프 | |
US20070186333A1 (en) | Deodorizing system | |
GB2067228A (en) | Drainage systems in buildings | |
JPH0790895A (ja) | 排水システムの掃除口に取付けられる吸気弁 | |
JP2891285B2 (ja) | 真空式汚水収集装置 | |
US2524201A (en) | Air relief for grease interceptors | |
MX2017010797A (es) | Sistema de optimización de agua para jardín. | |
AU2012203936B2 (en) |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 |
PL240403B1 (pl) | Kanałowa klapa zwrot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