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571B1 -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571B1
KR101152571B1 KR1020100097885A KR20100097885A KR101152571B1 KR 101152571 B1 KR101152571 B1 KR 101152571B1 KR 1020100097885 A KR1020100097885 A KR 1020100097885A KR 20100097885 A KR20100097885 A KR 20100097885A KR 101152571 B1 KR101152571 B1 KR 101152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pipe
sewage
removal system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163A (ko
Inventor
권용석
홍성창
신시철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텍(주) filed Critical 센텍(주)
Priority to KR102010009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571B1/ko
Priority to PCT/KR2011/007448 priority patent/WO2012047062A2/ko
Priority to CN201180048557.7A priority patent/CN103154392B/zh
Priority to US13/878,285 priority patent/US8834613B2/en
Publication of KR2012003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악취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탈취 장치와, 상기 탈취 장치와 인접하는 하수관로의 내측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하수관로 내의 음압 조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류 차단막과, 기류 차단막을 구성하는 고정용 지지대, 주름 방지대,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후크 및 다수개의 무게 중심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DEORDORIZING SYSTEM FOR DRAIN PIPE}
본 발명은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관로, 하수맨홀 및 오수 배출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및 오수는 하수관로를 따라 정화조에 집수된 후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생활하수 및 오수가 우수(빗물)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합류식 하수관로를 채택하고 있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합류식 하수관로는 하수가 흘러가기 위한 경사가 낮기 때문에 유속이 느리고, 오염물질이 퇴적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잔류하는 오염물질이 부패되어 악취를 야기한다. 이렇게 발생된 악취는 합류식 하수관로의 구조적인 한계로 외부로 배출될 수 밖에 없다. 즉, 합류식 하수관로의 상부에는 우수받이가 설치되는데, 우수받이는 우수의 유입을 위해 개방형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악취가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수받이에 인접한 가정, 상점, 음식점 등에서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판으로 우수받이를 막기도 하지만 악취 제거 효과가 기대만큼 뛰어나지 않고, 비가 올 경우에는 오수가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고무판을 다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악취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로 내에 악취 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담체를 띄워 놓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오수나 우수의 양이 많을 경우 담체가 떠내려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 효과도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최근에는 하수관로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팬을 설치하여 악취를 일방향으로 빼내는 방법도 고안되었으나, 하수관로에는 다수의 가지관이 분기되어 있을 뿐 아니라 우수받이도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악취 제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재 하수관로 내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이를 완전히 정화하여 제거하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긴 길이의 하수관로 내에 오수의 흐름과 무관하게 악취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맨홀과 오수 배출구, 즉, 하수관로의 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까지 일거에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 또는 우수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악취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탈취 장치; 및 상기 탈취 장치와 인접하는 하수관로의 내측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하수관로 내의 음압 조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류 차단막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이 경우, 상기 기류 차단막 조립체는, 하수관로 내측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되는 기류 차단막과; 상기 기류 차단막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 차단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주름 방지대; 및 상기 기류 차단막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수용성 또는 불용성 소재로 이루어진 주머니에 장입되는 무게중심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은, 상기 하수관로로부터 분기되어 지상과 연통되는 하수 맨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에 결합되는 냄새 확산 방지판; 및 상기 경첩에 설치되어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을 탄성적으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은, 상기 하수관로의 단부에 내설되되,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냄새 흡입관이 형성되는 냄새 확산 방지관과;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에 내설되어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분리대와;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의 내측 상단과 상기 분리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오수의 흐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냄새 확산 방지판 및 제 2 냄새 확산 방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로, 하수맨홀 및 오수 배출구에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수 또는 우수의 양이 갑자기 증가하더라도 파손될 염려가 없어 내구성이 우수한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의 요부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맨홀에 설치되는 구성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맨홀에 설치되는 구성의 수직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관로의 단부에 설치되는 구성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관로의 단부에 설치되는 구성의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은 하수관로, 하수맨홀 및 오수 배출구에 설비되어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는 바 이하 설치 위치별로 차례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긴 길이의 하수관로에 설치되어 악취를 제거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100)은 대별하여 탈취 장치(140)와 기류 차단막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류 차단막 조립체는 지지대(110)와, 기류 차단막(120)과, 주름 방지대(150) 및 무게중심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하수관로(10)의 내측 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110)의 설치 간격은 상기 하수관로(10)의 길이, 크기와, 상기 탈취 장치(140)의 개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3”은 우수받이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기류 차단막(120)은 상기 하수관로(10) 내에 퇴적된 오염물질로부터 발생된 악취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지지대(110)에 각각 설치되어 일정한 공간을 구획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류 차단막(120)으로는 비닐, 수지재 또는 천막 등과 같이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젖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폭우 등으로 갑자기 늘어난 우수의 흐름에 훼손되지 않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설치할 때에는 경첩(111)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110)에 상기 경첩(111)을 오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고, 상기 경첩(111)에 상기 기류 차단막(120)의 상단부를 결합시키면, 오수 또는 우수가 갑자기 증가했을 때에도 상기 기류 차단막(120)이 보다 자연스럽게 젖혀지기 때문에 오수의 흐름과 상관없이 악취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찢어지거나 파손될 염려도 없어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오수의 영향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면 오수 내에 큰 부피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쉽게 빠져나갈 수 있고, 상기 기류 차단막(120)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소정의 기류 차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전히 악취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분할하여 구성할 때에는 주름 방지대(15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기류 차단막(120)이 분할되어 있으면 기류나 오수에 의해 꼬여 기류 차단이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주름 방지대(150)는 상기 기류 차단막(120)의 중간 높이(150a)와 하단(150b)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꼬임 방지에 효과적이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로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기류 차단막(120)은 통상 오수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설치되나, 오수 및 우수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여름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릴 경우에는 우수가 불어나기 때문에 상기 기류 차단막(120)이 수압에 의해 찢겨 악취가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수관로(10)의 내측벽에는 걸쇠(160)를 설치하고, 상기 주름 방지대(150)의 양측에는 후크(161)를 형성하여 상기 후크(161)를 상기 걸쇠(160)에 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높이 조절을 가능케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겨울철에는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내린 상태로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상기 후크(161)와 상기 걸쇠(160)를 결합하여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올린 상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강수량에 따라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인 상기 무게중심추(130)는 상기 기류 차단막(120)을 수직한 상태로 유지하여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기류 차단막(120)의 하단부에 다수개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무게중심추(130)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기류 차단막(120)에 직접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류 차단막(120)은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쉽게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주름 방지대(15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게중심추(130)의 설치 개수와 무게는 상기 하수관로(10)의 크기, 오수의 양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무게중심추(130)는 수용성 소재로 이루어진 주머니(131)에 장입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무게중심추(130)를 상기 주머니(131)에 장입한 후 연결용 끈(132)으로 상기 기류 차단막(120)에 연결함으로써 강수량의 증가시 상기 주머니(131)가 우수에 용해되어 상기 무게중심추(130)가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상기 무게중심추(130)가 분리되면 상기 기류 차단막(120)은 우수의 흐름에 따라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갑자기 증가한 우수의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머니(131)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수용성 소재라면 무엇이든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지막 구성인 상기 탈취 장치(140)는 상기 기류 차단막(120)에 의해 확산이 차단된 악취 가스를 흡입 및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수관로(10)의 상부에 관통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탈취 장치(140)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10)와 인접하는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 간격은 대략 1km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취 장치(14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형태의 다양한 탈취 장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관로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계속하여 하수맨홀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맨홀에 설치되는 구성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맨홀에 설치되는 구성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100)은, 상기 하수관로(10)로부터 분기되어 지상과 연통되는 하수맨홀(1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경첩(170)과, 상기 경첩(170)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냄새 확산 방지판(172) 및 상기 경첩(170)에 설치되어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172)을 탄성적으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17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수관로(10)에서 발생한 악취가 상기 탈취 장치(140)로 이송되는 기류 흐름을 만들어 주며, 이에 따라 미처 정화되지 못한 악취가 지상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172)이 상기 스프링(171)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악취의 확산을 차단하고, 비가 오거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될 경우에는 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프링(171)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172)이 상기 경첩(17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물이 유입된다. 이후, 물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7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17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악취의 확산을 다시 차단한다.
이 경우,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172)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하수맨홀(11)과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172)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173)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맨홀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계속하여 하수관로의 단부에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관로의 단부에 설치되는 구성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에서 하수관로의 단부에 설치되는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100)은 상기 하수관로(10)의 단부(12)에 내설되며,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냄새 흡입관(181)이 형성되는 냄새 확산 방지관(180)과,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180)의 내부 중간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180)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분리대(182)와,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180)의 내측 상단과 상기 분리대(182)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지지대(183a)와 제 2 지지대(183b) 및 상기 제 1 지지대(183a)와 상기 제 2 지지대(183b)에 각각 설치되어 오수의 흐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냄새 확산 방지판(184a)과 제 2 냄새 확산 방지판(184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하수관로(10)를 통해 정화조 또는 하수 처리장 등으로 최종 유입되기 직전의 오수에 잔류하는 악취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수 배출구, 즉, 상기 하수관로(10)의 단부(12)에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180)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180)의 끝부분에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오수의 배출시에만 개방되는 상기 제 1 냄새 확산 방지판(184a) 및 상기 제 2 냄새 확산 방지판(184b)을 경첩(도면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하로 설치함으로써 악취의 확산을 방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적은 양의 오수가 배출될 때에는 상기 제 2 냄새 확산 방지판(184b)만이 개방되고, 많은 양의 오수가 배출될 때에는 상기 제 1 냄새 확산 방지판(184a)까지 개방되어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대(182)에 의해 하부의 악취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악취 차단 효과는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냄새 흡입관(181)에는 전술한 상기 탈취 장치(140)를 추가 설치하여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180)에 잔류하는 악취를 흡입,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하수관로와, 하수관로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하수맨홀은 물론 오수의 최종 배출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악취까지 완전하게 차단함으로써 쾌적한 도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수관로 11 : 하수맨홀
12 : 하수관로의 단부 13 : 우수받이
100 :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110 : 지지대 111 : 경첩
120 : 기류 차단막 130 : 무게중심추
131 : 주머니 132 : 연결용 끈
140 : 탈취 장치 150 : 주름 방지대
150a, 150b : 주름 방지대 160 : 걸쇠
161 : 후크 170 : 경첩
171 : 스프링 172 : 냄새 확산 방지판
173 : 기밀용 패킹 180 : 냄새 확산 방지관
181 : 냄새 흡입관 182 : 분리대
183a, 183b : 지지대 184a, 184b : 냄새 확산 방지판

Claims (4)

  1. 하수관로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악취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탈취 장치와, 상기 탈취 장치와 인접하는 하수관로의 내측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하수관로 내의 음압 조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류 차단막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기류 차단막 조립체는,
    상기 하수관로의 내측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되는 기류 차단막;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차단막 조립체는,
    상기 기류 차단막에 설치되어 상기 기류 차단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주름 방지대; 및
    상기 기류 차단막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수용성 또는 불용성 소재로 이루어진 주머니에 장입되는 무게중심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은,
    상기 하수관로로부터 분기되어 지상과 연통되는 하수 맨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에 결합되는 냄새 확산 방지판; 및
    상기 경첩에 설치되어 상기 냄새 확산 방지판을 탄성적으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은,
    상기 하수관로의 단부에 내설되되,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냄새 흡입관이 형성되는 냄새 확산 방지관과;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에 내설되어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분리대와;
    상기 냄새 확산 방지관의 내측 상단과 상기 분리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에 각각 설치되어 오수의 흐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1 냄새 확산 방지판 및 제 2 냄새 확산 방지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KR1020100097885A 2010-10-07 2010-10-07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KR10115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885A KR101152571B1 (ko) 2010-10-07 2010-10-07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PCT/KR2011/007448 WO2012047062A2 (ko) 2010-10-07 2011-10-07 하수관정 악취제거시스템
CN201180048557.7A CN103154392B (zh) 2010-10-07 2011-10-07 用于污水管的异味去除系统
US13/878,285 US8834613B2 (en) 2010-10-07 2011-10-07 Bad odor removal system for sewage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885A KR101152571B1 (ko) 2010-10-07 2010-10-07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163A KR20120036163A (ko) 2012-04-17
KR101152571B1 true KR101152571B1 (ko) 2012-06-01

Family

ID=4613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885A KR101152571B1 (ko) 2010-10-07 2010-10-07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5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477A1 (ko) * 2016-12-27 2018-07-05 센텍(주) 밀폐형 관로에 대한 환기량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90015872A (ko) 2017-08-07 2019-02-15 센텍(주) 개방형 악취원용 탈취시스템
KR101933006B1 (ko) 2017-06-22 2019-03-15 센텍(주)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KR20210006789A (ko) 2019-07-09 2021-01-19 센텍(주) 도심형 하수관거용 유해가스 확산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8552B (zh) * 2021-10-15 2023-05-09 湖北路中宝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用的井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438B1 (ko) * 2006-08-25 2007-07-16 유림환경 주식회사 수처리시설 냄새확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438B1 (ko) * 2006-08-25 2007-07-16 유림환경 주식회사 수처리시설 냄새확산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477A1 (ko) * 2016-12-27 2018-07-05 센텍(주) 밀폐형 관로에 대한 환기량 제어방법 및 장치
US10975561B2 (en) 2016-12-27 2021-04-13 Scentec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entilation amount with respect to sealed pipe
KR101933006B1 (ko) 2017-06-22 2019-03-15 센텍(주) 밀폐형 관로용 탈취시스템 및 장치
KR20190015872A (ko) 2017-08-07 2019-02-15 센텍(주) 개방형 악취원용 탈취시스템
KR20210006789A (ko) 2019-07-09 2021-01-19 센텍(주) 도심형 하수관거용 유해가스 확산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163A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571B1 (ko) 하수관로 냄새 제거 시스템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US7866334B2 (en) Sewer pipe gas exhaust filter apparatus
KR100990483B1 (ko)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CN103154392B (zh) 用于污水管的异味去除系统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CN204163179U (zh) 市政工程道路排水的雨水口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100994795B1 (ko) 하수도 맨홀용 역지변
KR20120073896A (ko) 가변형 빗물 저장 탱크
KR200445730Y1 (ko) 하수관로 생활악취 제거장치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CN111350262A (zh) 一种环保型雨水口
KR101627561B1 (ko) 다기능 하수구 뚜껑
JP3755037B2 (ja) 地下水排除施設用集水管の目詰まり防止装置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20090008698A (ko)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CN206090799U (zh) 一种市政雨水蓄水系统
KR101393094B1 (ko) 하수도 맨홀 및 우수받이에서의 물리적 포집에 의한 악취 제어 장치
KR200367717Y1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20060018026A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CN211948765U (zh) 一种排水管臭气阻隔件及排水管
CN219080556U (zh) 一种园林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