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501B1 -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 Google Patents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501B1
KR101932501B1 KR1020160180490A KR20160180490A KR101932501B1 KR 101932501 B1 KR101932501 B1 KR 101932501B1 KR 1020160180490 A KR1020160180490 A KR 1020160180490A KR 20160180490 A KR20160180490 A KR 20160180490A KR 101932501 B1 KR101932501 B1 KR 10193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ontrol
pest
band
present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248A (ko
Inventor
박지군
강상식
문종욱
허예지
김교태
김동현
강수빈
조수연
이수민
양승우
Original Assignee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5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에 관한 것으로, 실리콘 재료의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는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 소재; 및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는 천연재료의 해충 기피 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PEST CONTROL BAND USING LIGHT WAVE AND INCEN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나 파리, 벌, 바퀴벌레, 개미 등과 같은 곤충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피부 가려움증 등을 일으키고, 전염병을 매개하는 벌레로, 특히 모기는 말라리아나 뇌염 등 자칫 치명적인 질병을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프레이 타입의 곤충퇴치기 또는 전기 가열식의 전자 모기향을 사용하거나, 코일형태의 고체 모기향을 태우는 방법을 통해 모기를 비롯한 각종 곤충을 퇴치하거나 사람에게 접근하는 것을 막았다.
그러나, 스프레이 타입의 곤충퇴치기의 경우 스프레이에 함유된 휘발성분과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함유됨으로 인해 이를 분무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상기 성분을 흡입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고, 분무되었을 당시에는 모기를 비롯한 각종 곤충을 퇴치하는 효과가 있으나, 지속력이 약하여 야외와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는 큰 효과가 없었다.
전자 모기향의 경우에는 모기향이 설치된 특정공간으로부터 일정 거리 안에 들어온 모기를 비롯한 각종 곤충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고, 전기사용이 가능한 지역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등 곤충의 퇴치 범위 및 사용범위가 극히 한정적인 것으로, 이 또한 야외에서는 사용이 어려웠다.
또한, 고체 모기향은 모기향을 태우면서 발생하는 특유의 향에 의해 모기를 비롯한 각종 곤충을 쫓는 것으로, 이러한 고체 모기향은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 연소되는 연기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에 야외지역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체 모기향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향이 퍼지는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등 사용이 불편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의 모기향이나 곤충퇴치기는 밀폐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는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등산, 낚시, 캠핑 등과 같은 레저활동이나 야외에서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등의 야외활동 시에는 사용이 적합하지 않거나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야외활동 시에 사용할 수 있는 해충퇴치 방법으로는 밴드, 스프레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 기존 해충퇴치를 위한 물품은 개인을 위한 일회성을 띄는 것과 랜턴형식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일회성 해충퇴치 방법에는 향을 이용한 스프레이와 밴드, 문신 스티커가 있으며 밴드의 경우 미적인 부분과 미아 방지를 고려하여서 색상을 넣기도 하였으나, 일반적인 밴드의 경우 단순히 향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으로서 향의 지속시간이 짧고 해충퇴치 효과가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밴드의 경우 향을 이용하여 모기 퇴치에 효과 있는 것처럼 판매되고는 있으나 효과가 없음에도 향이 독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스프레이의 경우 화학적 합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어린이가 사용 시 피부자극을 일으키고 뇌 손상에 따른 경련 및 발작을 일으킬 수 있었다.
따라서, 야외활동 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해충퇴치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해충이 싫어하는 광 파장대역인 570 내지 650 nm의 광을 방출하는 축광 소재를 실리콘 재질의 바인더와 첨가하고, 해충 기피 향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들을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제품들에 비해 해충 퇴치에 탁월한 성능을 가진 해충퇴치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 밴드는 축광 소재와 해충 기피 향을 동시에 사용하여 해충 기피 향의 문제점인 지속력 부분을 축광이 보완하고, 해충 기피 향이 해충퇴치 기능을 배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행, 캠핑 등의 다양한 야외 활동시 해충으로부터의 인체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고, 축광을 통한 미적 부분 또한 충족시킴으로써 해충퇴치 이외에도 행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에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해충퇴치 밴드에는 화학적 합성물질, 살충제로 많이 사용되는 디페노트린과 같이 유해한 물질이 포함하나,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 밴드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사용하여 야외활동시 무동력의 해충 기피 광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해충퇴치 밴드를 휴대하여 야외에서도 손쉽게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는 실리콘 재료의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는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 소재; 및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는 천연재료의 해충 기피 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광 안료는 광 파장 대역이 570 내지 650 nm인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광 안료는 다수의 축광 재료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충 기피 향은 계피향,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로즈마리 오일, 레몬 그라스 오일 또는 야래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충 기피 향은 허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충이 싫어하는 광 파장대역인 570 내지 650 nm의 광을 방출하는 축광 소재를 실리콘 재질의 바인더와 첨가하고, 해충 기피 향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들을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제품들에 비해 해충 퇴치에 탁월한 성능을 가진 해충퇴치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는 해충이 싫어하는 광 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축광 소재를 실리콘 재질의 바인더와 첨가하고, 해충 기피 향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들을 첨가 해충 퇴치에 탁월한 성능을 가진 해충퇴치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 밴드는 축광 소재와 해충 기피 향을 동시에 사용하여 해충 기피 향의 문제점인 지속력 부분을 축광이 보완할 수 있으며, 해충 기피 향이 해충퇴치 기능을 배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산행, 캠핑 등의 다양한 야외 활동시 해충으로부터의 인체 보호가 가능하고, 축광을 통한 미적 부분 또한 충족시킴으로써 해충퇴치 이외에도 행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에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해충퇴치 밴드에는 화학적 합성물질, 살충제로 많이 사용되는 디페노트린과 같이 유해한 물질이 포함하나,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 밴드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사용하여 야외활동시 무동력의 해충 기피 광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해충퇴치 밴드를 휴대하여 야외에서도 손쉽게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소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 기피 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광 소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 기피 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100)는 바인더, 축광 소재(110) 및 해충 기피 향(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는 실리콘 재료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축광 소재(110)는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며 축광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축광 안료는 해충이 싫어하는 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안료로서, 광 파장 대역이 570 내지 650 nm인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광 안료는 다수의 축광 재료를 혼합하여 용도에 따른 광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에는 천연재료의 해충 기피 향(1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충 기피 향(120)은 계피향,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로즈마리 오일, 레몬 그라스 오일 또는 야래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허브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충이 싫어하는 광 파장대역인 570 내지 650 nm의 광을 방출하는 축광 소재(110)를 실리콘 재질의 바인더와 첨가하고, 해충 기피 향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들을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제품들에 비해 해충 퇴치에 탁월한 성능을 가진 해충퇴치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해충의 접촉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 외에도 해충의 배설물과 호흡으로 인한 수분과 열이 식품을 부패, 변질시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야외활동 시에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인 밴드, 스프레이, 코일 등을 사용하였으나, 종래의 이러한 제품들은 화학적 합성물질, 살충제로 많이 사용되는 디페노트린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므로 노약자 사용 시 피부자극, 뇌손상, 기관지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는 해충이 싫어하는 광 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는 축광 소재를 실리콘 재질의 바인더와 첨가하고, 해충 기피 향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들을 첨가 해충 퇴치에 탁월한 성능을 가진 해충퇴치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 밴드는 축광 소재와 해충 기피 향을 동시에 사용하여 해충 기피 향의 문제점인 지속력 부분을 축광이 보완할 수 있으며, 해충 기피 향이 해충퇴치 기능을 배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산행, 캠핑 등의 다양한 야외 활동시 해충으로부터의 인체 보호가 가능하고, 축광을 통한 미적 부분 또한 충족시킴으로써 해충퇴치 이외에도 행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한편, 종래에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해충퇴치 밴드에는 화학적 합성물질, 살충제로 많이 사용되는 디페노트린과 같이 유해한 물질이 포함하나,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 밴드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사용하여 야외활동시 무동력의 해충 기피 광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해충퇴치 밴드를 휴대하여 야외에서도 손쉽게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해충퇴치 밴드
110: 축광 소재
120: 해충 기피 향

Claims (5)

  1. 실리콘 재료의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는 축광 안료를 포함하는 축광 소재; 및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는 천연재료의 해충 기피 향;
    을 포함하고,
    상기 축광 안료는,
    다수의 축광 재료를 혼합하여 구성하여 광 파장 대역이 해충 기피 광 파장 대역인 570 내지 650 nm인 광을 방출하는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충 기피 향은,
    계피향,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로즈마리 오일, 레몬 그라스 오일 또는 야래향인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충 기피 향은,
    허브 재료를 포함하는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KR1020160180490A 2016-12-27 2016-12-27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KR101932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90A KR101932501B1 (ko) 2016-12-27 2016-12-27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490A KR101932501B1 (ko) 2016-12-27 2016-12-27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48A KR20180076248A (ko) 2018-07-05
KR101932501B1 true KR101932501B1 (ko) 2018-12-26

Family

ID=6292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490A KR101932501B1 (ko) 2016-12-27 2016-12-27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002B1 (ko) * 2021-07-12 2021-12-01 황문택 해충 퇴치용 장신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993B2 (ja) * 1991-08-30 2000-09-25 大阪瓦斯株式会社 吸収冷凍機
KR101110754B1 (ko) 2010-03-03 2012-02-16 최인원 모기퇴치용 팔찌
KR101300620B1 (ko) 2012-07-19 2013-08-28 최종운 해충접근방지 기능을 갖는 발광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993B2 (ja) * 1991-08-30 2000-09-25 大阪瓦斯株式会社 吸収冷凍機
KR101110754B1 (ko) 2010-03-03 2012-02-16 최인원 모기퇴치용 팔찌
KR101300620B1 (ko) 2012-07-19 2013-08-28 최종운 해충접근방지 기능을 갖는 발광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248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716B2 (en) Insect/arthropod trap
JP7365467B2 (ja) アリ忌避製品
US20080196296A1 (en) Fruit-Shaped Fruit Fly Trap
US20120055075A1 (en) Insect Controlling Devices and Methods
WO2003099343A1 (fr) Appareil de volatilisation
CN108601344A (zh) 飞行害虫驱避制品及飞行害虫驱避方法
KR101932501B1 (ko) 광파장과 향을 이용한 해충퇴치 밴드
JP2023113861A (ja) 殺虫効力増強剤、害虫防除方法、及び加熱蒸散用水性殺虫剤組成物
KR20150087520A (ko) 다기능 모기 퇴치기
KR102333002B1 (ko) 해충 퇴치용 장신구
KR200221446Y1 (ko)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 밴드
JP2005289846A (ja) 殺虫剤
KR101319504B1 (ko) 해충접근방지구
KR100754416B1 (ko) 모기 기피제 조성물
KR101546233B1 (ko) 야생동물 퇴치 시트와 그 제조방법
RU2218762C1 (ru) Ловушка для насекомых
US20210076657A1 (en) Insect trap
KR20200107514A (ko) 해충방지용 발광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ATE336889T1 (de) Insektenfang- und vernichtungssysteme
KR102535743B1 (ko) 해충 퇴치용 밴드 제조방법 및 그 밴드
KR200268212Y1 (ko) 과수용 해충 및 조류 퇴치기
KR20180025636A (ko) 비행형 해충 트랩
KR100397754B1 (ko) 휘발성 해충퇴치향 발산장치 및 그 세트
KR20100005475U (ko) 해충 퇴치용 스티커
Mittal et al. A Dual-Action Approach to Mosquito Control: Harnessing Mosquitoes Affinity for Light with Metofluthrin’s Leth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